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천도교 대교당 건축의 상징성: 자유로운 종교의 중심 만들기

        고건호 종교문화비평학회 2020 종교문화비평 Vol.38 No.38

        This study explores th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Chondogyo Central Temple. Chondogyo constructed its Central Temple in the heart of Seoul to create a new “center” for Chondogyo as well as a “symbol of free religion.” Through an advertisement on Chondogyo released in December 1905, Chondogyo proclaimed that it was a free religion and that it will be constructing a new temple. Chondogyo decided to announce its plans to build a new temple in its declaration of the establishment because its leaders considered the temple to be the symbol of “free relig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Central Temple and the Central Temple Headquarters, the Daesinsa Centennial Hall was also built at the same spot, thus creating a Chondogyo town that expanded and reinforced the symbol of the free Chondogyo. With traumas of the Donghak years fresh in their mind, the Chondogyo leaders chose to proclaim and persuade themselves that Chondogyo was a free religion, rather than obtaining religious freedom from the government. The establishment of a temple was a part of this strategy. While the Chondogyo advertisement, which marked the beginning of the Central Temple's construction, and the articles from the newspapers associated with the enlightenment movement, all displayed the modern discourse on religion, they differed in their emphasis. The Chondogyo article emphasized religious freedom, whereas the press emphasized the boundaries and scope of religion, that is, the limits to religion. As such, the positions of Chondogyo, which intended to expand the scope of religion, and the press, which tried to limit Chondogyo’s scope as a religion, were not easily compromised. Moreover, after Chondogyo was classified as a “quasi-religion” by the Japanese empire’s sanctioning of religions, its symbol as a “free religion” remained a problematic issue. 이 논문은 천도교 대교당 건축의 상징적 의미를 탐구하고 있다. 천도교가 서울 도성 한가운데에 대교당을 건축한 것은 천도교의 새로운 ‘중심’ 만들기이자 ‘자유로운 종교의 상징’ 만들기였다. 이 논문은 천도교 대교당 건축의 시작점인 1905년 12월의 광고 기사를 당시 잡지, 신문 기사와 비교 검토하였다. 2장과 3장에서는 천도교 대교당과 천도교타운의 형성 과정을, 4장에서는 천도교 탄생과 교당 건축의 상관성을, 5장에서는 천도교 대교당 건축의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았던 근대 당대 한국 사회에서 교당은 자신의 종교적 정체성의 상징일 뿐만 아니라 종교의 자유를 선취하기 위한 효과적이면서 현실적인 방편이기도 했다. 천도교 변증론의 정수라 할 수 있는 1905년 12월의 천도교 광고 기사는 천도교는 자유로운 종교라는 선언과 함께 교당 건축의 의지를 천명했다. 천도교가 출범 선언문에서 교당을 건축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은 교당 건물을 ‘자유로운 종교’의 상징으로 여겼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대교당과 중앙총부를 완성한 후 같은 자리에 대신사출세백년기념관까지 아우르는 천도교 타운을 조성하면서 자유로운 천도교의 상징은 보다 확장, 강화되었다. 동학 시절의 트라우마를 기억하는 천도교는 종교의 자유를 정부로부터승인받는 대신 천도교가 자유로운 종교라는 것을 스스로 주장하고 설득하는 방식을 택했다. 교당 건축은 이러한 전략의 일환이었다. 대교당 건축의 시작점이었던 천도교 광고와 당시 계몽언론의 기사는 근대의 종교담론을 공유하고 있었지만 강조점에 차이가 있었다. 천도교 광고는 종교의 자유를 강조했고 계몽언론은 종교에 허용된 영역과 범위, 곧 종교의 한계를 강조했다. 이처럼 종교의 범위를 확장하고자 했던 천도교와, 종교의 영역에 한정하고자 했던 언론의 입장은 쉽게 타협되지 않았다. 더욱이 일제의 공인교정책에 따라 ‘유사종교’로 분류되면서 ‘자유로운 종교’의 상징은 여전히 문제적 영역으로 남아있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서울지역 천도교 여성단체의 조직과 활동

        조규태 서울역사편찬원 2007 서울과 역사 Vol.- No.70

        일제강점기에 서울지역에는 천도교 여성단체의 총괄 본부와 지부가 있었다. 천도교의 여성단체로는 천도교가 신ㆍ구파로 분립하기 전인 1924년에 설립된 내수단, 1927년 천도교 구파의 여성들이 별도로 조직한 천도교여성동맹, 1931년 천도교의 신파와 구파가 합동하여 조직한 천도교내성단 등이 있었다. 그러니까 천도교내수단ㆍ천도교여성동맹ㆍ천도교내성단 등의 본부와 그 서울지역 지부인 경성부ㆍ용산부가 서울에 위치하고 있었다. 1924년 朱鈺卿․孫廣嬅․金友卿 등 천도교 최고 간부의 부인들은 천도교내수단을 조직하였다. 내수단의 가입연령은 처음 15세 이상이었다가 곧 17세 이상으로 변경되었고, 1926년 천도교여자청년회가 조직된 이후 21세 이상으로 제한되었다. 한편 천도교가 淵源, 민족운동의 방략 등의 차이로 신ㆍ구파로 분화되자, 구파 간부의 부인인 한봉소ㆍ박정자, 사회주의계 여성인 김수월ㆍ박호진 등은 서울에서 1927년 천도교여성동맹을 조직하였다. 서울에 거주하는 17세 이상 구파의 여성은 대체로 천도교여성동맹 서울지부에 속하여 활동하였다. 천도교 신파의 여성단체인 천도교내수단과 구파의 여성단체인 천도교여성동맹은 1931년 3월 16일 합하여 天道敎內誠團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천도교내성단은 천도교 신파와 구파의 재분열에 따라 1932년 4월 각각 신파와 구파의 천도교내성단으로 분열되었다. 그러다가 1940년 합하여 天道敎內修會로 재편되었다. 천도교의 여성단체인 천도교내수단, 천도교여자청년회, 천도교여성동맹, 천도교내성단의 본부 임원과 서울 지부의 여성들은 강습과 자학, 청강, 토론 등을 통하여 교리와 일반상식을 함양하고, 포교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여성의 지식과 여권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여성을 노동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염색의 입기’, ‘머리 쪽 짓기’, ‘옷의 고름 폐지와 단추 달기’, ‘단발’ 등의 생활개선운동을 전개하였다. 더 나아가, 신파 천도교내성단 본부의 임원들은 1930년대 천도교청년당과 천도교 중앙종리원 내에서 여권을 신장하기 위한 운동을 벌였다. 그리하여 천도교내성단의 본부 임원인 李鶴得과 申南洪은 천도교청우당의 여성부위원, 朱鈺卿은 중앙종리원의 敬道觀正이 되어, 천도교 여성의 권익을 신장하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천도교 신파의 여성단체가 문화운동에 주력하였다면, 천도교 구파의 여성단체인 천도교여성동맹 본부의 임원들은 민족운동단체와 사회운동단체에 참여하여 민족운동과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천도교여성동맹은 1928년 4월 대회에서 근우회 지지를 천명하였고, 본부의 임원인 박호진․김숙․김수월은 근우회의 본회와 근우회 경성지회와 경동지회에서 집행위원 등으로 활동하였다. 또한 박호진은 조선공산당, 중앙청년동맹, 조선청년총동맹, ML파의 공산당 재조직사건 등에 간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으며, 김숙과 김수월은 각기 신흥청년동맹과 중앙여자청년동맹의 집행위원으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The main head and branches of Chondogyo women organizations were located in Seoul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zation. Among the Chondogyo women organizations there were Chondogyo Naesoodan(天道敎內修團), Chondogyo Women Union(天道敎女性同盟), Chondogyo Naeseongdan(天道敎內成團), Chondogyo Naesoohoe(天道敎內修會). Therefore the each main head and Seoul Branch and Yongsan Branch of them were in existence in Seoul. Chondogyo Naesoodan was established in 1924 by Joo Ok Kyeong, Son Gwang Hwa, Kim Woo Kyung, and etc. Chondogyo Women Union was established in 1927 by Han Bong So, Park Jeong Ja, Kim Soo Weol, Park Ho Jin, and etc who were members of the old group departed from the Chondogyo in 1926. Chondogyo Naeseongdan was establised as the result of unification of Chondogyo Naesoodan and Chondogyo Women Union in 1931. To enter these organizations, women were demanded to be a believer of Chondogyo. And they had to be over 17 years old generally. By way of exception, women to wish to enter Chondogyo Naesoodan had to be more than 21 years old from 1926 to 1930. Women less than 20 years were demanded to enter Chondogyo Women Young Association(天道敎女子靑年會) in the period. Each Member of Chondogyo Naesoodan, Chondogyo Women Union, Chondogyo Naeseongdan, Chondogyo Naesoohoe studied doctrines of Chondogyo at an institute giving short courses or by mail test. And they propagated their religion. Also they did many activities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for example by cutting hair, dyeing clothes, attaching buttons, and etc. They made an effort to acquire women´s rights in their church and gained them. Members of Chondogyo Women Union did an independent movement. They made an effort to get comrades in Geunwoohoe(槿友會), the Joseon Communist Party, and other social group.

      • KCI등재

        포스트모던사회와 한국신종교 포스트모던 사회와 천도교

        윤석산 ( Suk San Yoon ) 한국신종교학회 2009 신종교연구 Vol.20 No.-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and innovations to Chondogyo in post-modern period. In order to evaluate this theme, I investigated the elements of post-modernism from research result of religious thought of Donghak-Chondogyo which have been produced by other scholar. I compare the problem of Chondogyo today and the teaching and reform of Uiam. I conclude that most of the system in today`s Chondogyo does not overcome the category that was achieved at Uiam`s period. Therefore Chondogyo religious body could not adapt to the current. Finally the Chondogyo religious body has walked the decayed road. In conclusion, Chondogyo religious body need to use the original religious thought and teaching of the past and have to try to realize today the teaching of Chondogyo`s leaders.

      • KCI등재

        동학에서 천도교로의 개편과 3·1독립혁명 - 수원지역을 중심으로

        임형진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5

        On December 1, 1905, Son Byeong-hee, who was moved to the Imperial Newspaper, changed the Donghak into the Chondogyo, and developed the full-scale civilization flowering movement. He changed Donghak into a modern religion, Chondogyo, and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by raising awareness through the media publishing movement and running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However, in 1910, forced vassalization by Japan was another trial of the Chondogyo. In 1919, Chondogyo did not give in to the trials, but reached the height of 300 million people nationwide. This was entirely due to the people's desire to find alternate hopes for the repressive rule along with Son Byeong-hee's leadership in Chondogyo. The 1919, 3.1 Independence Revolution was a breakthrough in which these people's aspirations burst. More than 2 million people attended the nation and claimed independence of Korea regardless of the place where Koreans are from all over the world. Among them, Suwon, Gyeonggi-do province was the place where the most fierce protests were held. Suwon area was a center for abundant farming and marine products, so it was a place where resistance rituals had been abandoned, and the heat of education was higher than any area. In particular, it was a union of Chondogyo, Protestant and Confucian scholars, and a demonstration of peoples, Sangmin, workers, students and even Gisaeng demonstrators. The retaliatory action of the Japanese imperialism was hard to find in other regions. It is significant that one of the most reformed Donghak Chondogyo in the city of Suwon, which was made up of his reform politics during the Jeongjo era, was once the most active. Above all, the world that Jeongjo dreamed of was Donghak Chondogyo, a utopia world of harmony and reform, and a world that treats people like heaven. 1905년 12월 1일 [제국신문]에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는 이른바 대고천하를 하면서 다시 역사의 전면에 부각된 손병희는 본격적인 문명개화운동을 전개하였다. 동학을 근대적인 종교인 천도교로 변화시켰고 언론출판운동을 통한 의식고양과 의식개혁을 진행하였으며 학교운영을 통한 교육입국이 기치를 높이 세운 것이다. 그러나 1910년 일본에 의한 강제병탄은 천도교의 또 다른 시련이었다. 천도교는 이 시련 앞에 굴하지 않고 기미년에 이르면 전국적으로 300만 교도를 형성할 정도로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이는 전적으로 손병희의 리더십과 함께 일제의 압제에 대한 대안적 희망을 천도교에서 찾은 민중들의 열망 때문이었다. 1919년의 3.1독립혁명은 이러한 민중의 열망이 분출된 돌파구였다. 전국적으로 200만명 이상의 인원이 참석하였고 해외 각지에서도 한국인이 있는 곳이라면 장소를 불문하고 한국의 자주독립을 주장하였다. 그중에서도 가장 치열한 만세시위가 전개된 곳이 경기도 수원지역이었다. 수원지역은 풍부한 농수산물의 집결지였기에 일찍이 저항의식 역시 남달랐던 지역으로 어느 지역보다도 교육열이 높았고 그만큼 지식인충이 많았었다. 특히 천도교, 개신교 그리고 유림세력의 연합이 이루어지고 농민과 상민, 노동자, 학생 그리고 심지어는 기생들까지 시위에 참여하는 전 민중주의적인 시위를 전개한 지역이었다. 그에 따른 일제의 보복행위도 다른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였다. 정조시대 그의 개혁정치로 만들어진 도시 수원에서 가장 개혁적인 동학 천도교가 한 때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는 것은 남다른 의미를 가진다. 무엇보다도 정조가 꿈꾼 세상이 결코 동학 천도교가 이상한 세상과 크게 다르지 않은 화합과 개혁 그리고 사람을 하늘처럼 대하는 세상이 그것일 것이기 때문이다.

      • KCI등재후보

        천도교의 정치사회 활동과 교리

        박세준 ( Park Sei Joon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6 인문사회 21 Vol.7 No.5

        본 논문의 목적은 종교조직인 천도교를 사회운동조직으로 오해하는 것을 바로잡으려고 하는 데 있다. 사회운동조직으로 보일 정도의 왕성한 천도교 활동은 천도교의 교리를 실천한 결과물임을 밝힘으로 오해를 바로잡고자 한다. 즉 종교조직의 활동은 종교 조직의 교리 실천의 결과라는 보편성과 함께 천도교 교리와 활동의 특수성을 밝혀내는 것이다. 천도교는 전신인 동학 때부터 사회의 변화를 꿈꿨다. 동학혁명이 바로 그것이다. 이후 일제강점기 때에는 3·1운동을 주도했고,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물론 다양한 독립단체에서 독립운동에 힘썼다. 독립운동뿐만 아니라 어린이날을 제정하는 것과 같은 사회문화운동도 실천했다. 해방 후에는 정당을 설립하여 현실정치에 참여했다. 천도교의 여러 정치사회 활동은 교리인 교정쌍전에서 비롯된다. 교정쌍전은 정교일치, 신정국가와는 다르다. 정치와 종교를 대립하는 관계로 보는 서구의 정교분리와는 달리 정치와 종교를 상생하는 관계로 바라보고 있다. 교정쌍전이라는 교리 실천의 결과가 다양한 정치사회활동인 것이다. 종교인은 해당 종교의 교리를 실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자신 종교의 교리를 실천하지 않는 것이 문제인 것이지 실천하는 것을 이상하게 바라봐서는 안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rrect the misunderstanding about Chondogyo as religious organization. Because Chondogyo is the ethnic religion, the misunderstanding about Chondogyo is the misunderstanding about us, Korean. The ethnic religion is the result of ethnic wisdom. A decline of the ethnic religion is the problem of us, Korean. So the misunderstanding about Chondogyo should be corrected. Several political and social activities of the Chondogyo come from doctrine of Gyojungssangjun(敎政雙全, 교정쌍전). Gyojungssangjun means developing together religion and politics. Activities under the Religious doctrine is natural. So Chondogyo`s political and social movement have been the practice of doctrine, Gyojungssangjun.

      • KCI등재

        동학·천도교 사회운동에 관한 사회윤리적 평가와 미래적 과제 : 사회변혁 및 사회통합 이념 모색을 중심으로

        남태욱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4 기독교사회윤리 Vol.29 No.-

        우리사회는 현존하는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고 사회변혁과 통합을 이룰 수 있는 사회이념을 필요로 하고 있다. 필자는 우리 근대사에 주목할 만한 영향을 끼친 동학·천도교의 사회운동에서 나타난 사회이념의 타당성을 논증하여 우리사회의 변혁과 통합이념으로서의 가능성, 한계와 미래적 과제를 인식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고자 한다. 왜냐하면 동학·천도교의 사회운동은 우리 근대사에서 간과할 수 없는 비중과 위상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갑오동학혁명, 3·1독립운동, 신문화운동 등은 우리사회의 근대화에 절대적으로 기여하였음을 역사적으로 결코 폄훼할 수 없다. 필자는 동학·천도교의 창도 목적, 포덕천하(布德天下), 보국안민(輔國安民), 광제창생(廣濟蒼生) 등은 인간과 인간, 개인과 사회, 인간과 자연(생명), 인종과 민족, 문화와 문명을 차별하거나 분리하지 않고 전일적(全一的)으로 통합할 수 있는 대안인 동시에 인류가 추구해야 하고 성취해야 하는 보편적인 이념이라고 생각한다. 필자는 본 연구를 통해서 동학·천도교의 사회변혁 혹은 사회통합 이념이 인류 보편적인 이념임을 논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동학·천도교 사회운동을 역사적으로 개괄할 것이다. 둘째, 동학·천도교 사회운동을 사회윤리학적 관점으로 평가할 것이다. 셋째, 동학·천도교 사회운동을 추동한 사회이념을 규명 및 한정하고자 한다. 넷째, 동학·천도교 사회이념의 미래적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I assert that our society requests a social ideology which can resolve so many social conflicts and fulfill social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prove adequacy of ideology which was found in Donghak·Chondogyo’s social movements. And after that I can be recognize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also I can be find out its future tasks of as an ideology for social change and configuration. Because Donghak·Chondogyo’s social movements were given much weight absolutely in our modern time. So we can’t deny the fact that the Donghak revolution and samil independence movement, new cultural movement etc. were contributed to modernize our society totally. I insist on that Donghak·Chondogyo’s religious objectives that is, podeokcheonha(布德天下), boguganmin(輔國安民), gwangjechangsaeng(廣濟蒼生) etc. can be an alternative plan that change and unify wholly human being and society, nature and nation, culture and civilization. At the same time it can be a universal ideology that have to seek for social justice. In this research I will prove that Donghak·Chondogyo’s ideology for social change and integration is an universal ideology for just life of human beings. For proving it, first, I will try to generalize Donghak·Chondogyo’s social movement historically. Second, I will evaluate it by the viewpoint of social ethics. Third, I will examine and limit its concept. Fourth, I will suggest the future tasks of Donghak·Chondogyo’s social ideology.

      • KCI등재

        동학ㆍ천도교 사상의 ‘모던적(modern)’ 징후

        박민철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7 시대와 철학 Vol.28 No.4

        Donghak and Chondogyo were native Korean religion and the thought system that clearly included Joseon’s modern planning in response to Western modernity. However, when assessing the modernity of Donghak and Chondogyo, difficulties may arise from two approaches: (1) taking western modernity as the standard, and identify the content that correspond to it, and (2) setting a clear boundary against western modernity, and calling for spiritual pride, while seeking Korea’s own modern consciousness. Both of them have limitations that they may unilaterally define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Donghak and Chondogyo. Donghak is the “thought of boundary” in the geographical distinction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long with “divided colonial thought” which could not but be defeated as it underwent the periods of the late Joseon and the Korean Empire. The thought of boundary and the divided colonial thought are arguably the very thing that reveals the modernity of Donghak and Chondogyo. Therefore, the primary concern is to understand how Donghak and Chondogyo envisioned modern planning in contrast to the tradition in such conditions, what they tried to include in their thought system, and what kind of philosophical terms they used to express it. 동학ㆍ천도교는 서구적 근대에 대응했던 조선의 근대적 기획이 분명하게 포함된 한반도의 자생적인 종교ㆍ사상체계였다. 따라서 동학ㆍ천도교는 한반도 근대성의 단초를 찾고 이를 정당화하고자 했던 많은 연구들의핵심 주제가 되었다. 동학ㆍ천도교의 근대성을 평가할 때는 크게 다음과같은 두 가지 방식에서의 난점이 동반된다. 이를테면 서구적 근대성을 기준에 삼고 그것에 단순 대응하는 내용을 추출하거나, 반대로 서구적 근대에 날선 경계를 설정하고 독자적인 근대의식을 찾으면서 정신사적 자부심을 요청하는 방식이 그것이다. 하지만 이 둘 모두는 동학ㆍ천도교의 사상사적 특성과 의의를 일방 규정해버릴 수 있는 한계를 갖는다. 동학은 동과서의 지리적 구분 속에 있었던 ‘경계의 사유’이자, 조선 후기와 대한제국 시기를 관통하면서 서구적 근대를 추종했지만 결국 좌절될 수밖에 없었던 ‘분열된 식민지적 사유’라는 특성을 갖는다. 이때 이러한 경계의 사유, 분열된 식민지적 사유는 결국 동학ㆍ천도교의 근대성을 드러내주는 그자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핵심은 그러한 조건들 속에서 동학ㆍ천도교는 전통과 구별되는 근대적 기획을 어떻게 구상했는지, 그리고 그러한 근대적 기획 속에서 어떤 내용을 자신의 사유체계 안에 포함시키고자 했는지, 나아가 그것을 어떠한 철학적 용어들로 표현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일이다.

      • KCI등재후보

        동학·천도교의 수행론:주문, 성경신, 오관을 중심으로

        오문환 동학학회 2007 동학학보 Vol.11 No.1

        Spiritual realization of Choi Je-Woo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Donghak· Chondogyo. He made up a series of spiritual practices through which everybody can be unified with the one ultimate cosmic force and became a saint. He was confident that those who practices his spiritual practices can get the realization within 3 years. Spiritual practices Chondogyo can be analysed in three categories; Mantra Meditation, spiritual practices in everyday life and Institutionalized spiritual practices. Semantical analysis of Mantra shows us the concrete processes of spiritual realization of Chondogyo; bearing the ultimate Being inside, becoming one with the One ultimate cosmic force, knowing the God and the Cosmos completely. In Chondogyo everyday life itself is understood as the manifestation of God. Therefore Haewol taught respect and serve everybody as the God. Here I analysed the 3 principles of human conduct in life(Belief, Respect, Sincerity). Lastly I analysed the institutionalized spiritual practices of Chondogyo, for example, serving the pure water and pure rice. The result of these spiritual practices was expressed in concepts like 'Superior Man', 'Kingdom of Heaven in this earthly world', 'Returning to the Oneness'. In other words, only through these spiritual practices man can be get self realization and build the ideal human community. 동학·천도교는 영적 체험에서부터 시작되었기 때문에 이를 체득 또는 심득하는 구체적인 절차와 도법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천도교 수행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의 지극한 기운과 하나가 되어 우주만유와 하나가 되고, 하늘마음과 하나가 되어 지극한 성인이 되는 것이라 하였다.천도교의 수행 방법은 주문수행, 생활수행, 제도속의 수행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주문수행에서는 모심·정함·앎의 세 단계를 분석하였으며, 생활수행에서는 일상생활에서의 인간행동의 도덕적·윤리적 덕목인 믿음· 공경· 정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도수행에서는 수행이 천도교의 제도에 어떻게 반영되어 구현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수행의 결과는 흔히 ‘지상신선’, ‘지상천국’, ‘동귀일체’ 등으로 개념화된다. 여기에서 자기완성과 공동체 완성이 수행에 의하여 가능해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동학·천도교의 개벽사상과 인내천 정신

        조극훈 동학학회 2017 동학학보 Vol.0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resent meaning of Gaebyeog Thought and Innaecheon Spirit in Donghak-Chondogyo. These are the core ideas of Donghak Chondogyo.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research results of them. Nevertheless, the debate on the contemporary meaning of them was relatively insufficient. In particular,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m in terms of life, peace, and spiritual restorati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change of the new building of Donghak Chondogyo’ cosmology was clarified, and the core meaning of Innhaecheon was suggested, and also that Innaecheon is understood as the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Sichuanju and Yangcheonism, and the contents of 'Yichinwhansung' which is a concrete method of practicing Innaecheon. Second, the background and contents of the construction of the Gaebyeog Thought were discussed through the study of Donghak Canon and the researchers. Third, the way and meaning of Innaecheon, which will contribute to modern civilization, is presented in terms of life, peace and spirit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naecheon of Uiam Son Byeong-hee is embodied as "Yichinwhansung", and this will play a role of spiritual recovery to overcome material civilization. Second, Gaebyeog is a philosophy of civilization that can transform the world of self reliance into a unified world. Third, the spirit of Donghak Chondogyo is in the recovery of life, peace and spirituality, and it can be made into humanity education, healing culture, etc.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 천도교의 개벽사상과 인내천 정신의 현재성을 규명하는 데 있다. 개벽과 인내천은 동학 천도교의 핵심 사상이다. 그동안 이에 대한 상당한 연구 성과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현대적 의미를 규명하는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했다. 특히 본 연구는 생명, 평화, 영성 회복의 관점에서 개벽과 인내천의 현대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동학 천도교의 신관의 변천 과정을 규명함으로써 인내천의 종지를 제시하였다. 인내천은 시천주와 양천주의 발전의 결과로 이해된다는 점과 인내천의 구체적인 실천방법인 ‘이신환성’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둘째, 개벽사상의 성립배경과 그 내용을 동학 경전 및 연구자들의 논의를 통해서 논의하였다. 셋째, 현대문명에 기여하게 될 인내천의 실천방법과 의미를 생명, 평화, 영성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암 손병희의 인내천은 ‘이신환성’으로 구체화되며, 이신환성은 물질문명을 극복할 수 있는 영성회복의 역할을 할것이다. 둘째, 개벽은 각자위심의 세계를 동귀일체의 세계로 전환할 수 있는 문명 전환의 논리이자 철학이다. 셋째, 동학 천도교의 정신은 생명, 평화, 영 성회복에 있으며, 인성교육, 치유문화 등으로 현재화할 수 있다.

      • KCI등재

        동학 · 천도교의 여성관의 변화

        김미정(Kim Mi-jeoung) 고려사학회 2006 한국사학보 Vol.- No.25

        19세기 대내외적인 어려움에 처해있던 조선의 사회 · 경제 · 정치적 혼란 속에서 민중들을 기반으로 발생한 동학사상은 유 · 불 · 선 사상을 수용하여 당시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하나의 사상으로 기능하게 된다. 동학의 창시자 수운 최제우는, ‘사람이 곧 인간 스스로가 경의하는 한울님’이라는 인내천 사상을 주장하여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강조하였다. 그의 인간평등사상은 이시기 동학의 여성관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서는 동학의 창시자 수운 최제우, 해월 최시형, 그리고 의암 손병희 이후의 천도교 초반시기를 중심으로 여성관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여성에 대한 존재인식기, 여성에 대한 인식전환기. 여성인식의 실천기로 나누어 각 시기의 의의와 한계를 조명하고자 하였다. 근대여성사의 흐름 속에서 동학과 천도교의 여성관은 나름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들 사상 혹은 종교의 여성관은 분명 전근대의 유교적인 사회의 여성관과는 차이가 있다. 물론 그 한계가 존재하긴 하지만 모든 계층의 여성들의 주체성을 인정하였으며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표명하였다는 점은 주목할 만 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hanged process of view of Womanhood by Donghak · Chondogyo. 19th century Chosun people disordered by external condition plunder and economical poverty. The purpose of Donghak which was mad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made to transfer bridge was actual conquest in this confusion. The founder of Donghak, Choi, jewoo emphasized human’s dignity and equality with the Innaechun phenomenon. Innaechun means that a man is Hanul. This phenomenon influenced to view of womanhood of Donghak. Donghak and Chondogyo are important in women’s history of modern age. View of womanhood of this time is different from Confucianism’s view of womanhood. As note, it is important that recognize all women’s subjecthood and women’s dignity in public and express. So, this treatise have handled view of womanhood of Donghak and and Chondogyo with dividing by three. First is the period of existence awareness about woman. In this chapter, I represent the view of Womanhood in the human’s equalitarianism of Donghak. Second is the turning point of awareness about woman. In second chapter, I explain the change of the view of Womanhood in the Choi, sihyoung’s phenomenon. The Last is the period of practice awareness about woman. Lastly, I examine various activities about women in Chondogy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