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 남명학 연구성과의 회고와 전망(4)-교육연구

        송준식 ( Jun Sik Song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2 남명학연구 Vol.35 No.-

        록 체계가 시대 순이 아니고 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지만, 부분적으로라도 정리할 필요가 있다. 남명의 삶은 크게 네 번의 전환기가 있었고, 그때마다 뚜렷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 왔다. 적어도 이러한 4시기로의 분류만이라도 가능하다면, 현재 소강상태에 있는 남명문학의 연구는 한층 발전된 단 계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for making clear the trend and deciding on the direction of Nammyong Studies as far as cleaning up the research achievement of Nammyong Studies in educational parts to the present day. In this article, Nammyong Studies includes Cho Sik(1501-1572), his pen name "Nammyong", and the researches for the School of Nammyong, the group of his followers. The research of Nammyong Studies in educational parts was started from 1947, but the authentic research started from since 1990. The researches until 2,000 have concentrated on almost all the general educational thought, and that was slanted in favor of Cho Sik. Since 2000,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part of the Nammyong Studies has showed the diversified trends. After that time, the existing researchers expanded the area of research with a new method. The researchers of various majors involved in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part of the Nammyong Studies. And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Cho Sik was changed from the research on some famous men to the focus of the School of Nammyong. This change seems to be positively reflected in the research methods or research works. The future researche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s to find out the identity the School of Nammyong in history through the multidirectional research about the education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as well as the research about the succession of the School of Nammyong are needed. Second, a research to find out how the effects of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are applied to the countryside community and in consequence, how they have devoted to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countryside community is needed. Third, a research to formulate the phases of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in educational history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about a scholar to be compared with Cho Sik is needed. Fourth,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ory and research method of modern western education to the research of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continuously, we can find out the theoretical problems and its limitations in the research of Nammyong Studies and should go forward to overcome them. In fields of education, the research of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will be meaningful when it provided clues to solve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al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study about the historical facts of the past.

      • KCI등재

        남명학 연구성과의 회고와 전망(4)-교육연구

        송준식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2 남명학연구 Vol.35 No.-

        이 글은 지금까지 교육부분에 있어서 남명학 연구성과를 정리하여 그 동향을 밝혀 앞으로의 남명학 연구의 방향을 정하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여기서 남명학은 남명 조식(1501-1572)과 그의 문인 집단인 남명학파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다. 교육부분에 있어서 남명학 연구는 1947년부터 시작되었지만, 본격적인 연구는 1990년 이후부터 시작된다. 2000년까지의 연구는 거의 대부분 교육사상 일반에 집중되어 있다. 그것도 남명에 편중되어 연구되었다. 2000년 이후는 남명학의 교육부분에 관한 연구가 다양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2000년 이후에는 기존의 연구자가 새로운 방법으로 연구의 영역을 확대하였고 다양한 전공의 연구자가 남명학의 교육부분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리고 남명의 문인에 대한 개개인에 대한 연구가 남명학파라는 문인집단을 중심으로 연구의 방향이 변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인접 학문의 연구방법이나 결과를 적극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연구는 첫째로, 남명과 남명학파의 교육에 관한 다각도의 연구와 남명학의 계승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역사 속에서 남명학파의 정체성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며, 둘째로 남명과 남명학파의 향촌사회에서의 교육실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그들의 영향이 향촌사회에 어떠한 형태로 적용되어 향촌사회 변화와 발전에 기여해 왔는가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세 번째로 남명과 비교될 수 있는 사람과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교육사에 있어서 남명과 남명학파의 위상을 정립하는 연구가 필요하며, 넷째로 남명과 남명학에 대한 연구에 현대 서양교육학의 이론과 연구방법을 지속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지금까지의 남명학 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과 한계점을 찾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교육영역에 있어서의 남명과 남명학파에 관한 연구는 과거의 역사적 사실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현재 교육문제 해결의 단서를 제공하고 나가가 미래 교육발전의 방향을 제공할 때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written for making clear the trend and deciding on the direction of Nammyong Studies as far as cleaning up the research achievement of Nammyong Studies in educational parts to the present day. In this article, Nammyong Studies includes Cho Sik(1501-1572), his pen name "Nammyong", and the researches for the School of Nammyong, the group of his followers. The research of Nammyong Studies in educational parts was started from 1947, but the authentic research started from since 1990. The researches until 2,000 have concentrated on almost all the general educational thought, and that was slanted in favor of Cho Sik. Since 2000,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part of the Nammyong Studies has showed the diversified trends. After that time, the existing researchers expanded the area of research with a new method. The researchers of various majors involved in the research on the educational part of the Nammyong Studies. And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Cho Sik was changed from the research on some famous men to the focus of the School of Nammyong. This change seems to be positively reflected in the research methods or research works. The future researche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es to find out the identity the School of Nammyong in history through the multidirectional research about the education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as well as the research about the succession of the School of Nammyong are needed. Second, a research to find out how the effects of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are applied to the countryside community and in consequence, how they have devoted to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the countryside community is needed. Third, a research to formulate the phases of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in educational history through the comparative research about a scholar to be compared with Cho Sik is needed. Fourth,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ory and research method of modern western education to the research of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continuously, we can find out the theoretical problems and its limitations in the research of Nammyong Studies and should go forward to overcome them. In fields of education, the research of Cho Sik and the School of Nammyong will be meaningful when it provided clues to solve the current educational problems and the future direction of educational development on the basis of the study about the historical facts of the past.

      • KCI등재

        채만식 <탁류>에서의 집이라는 장소와 공간주권의 정치학

        김근호 택민국학연구원 2019 국학연구론총 Vol.0 No.23

        채만식의 소설 <탁류>에서 초봉이가 거주한 집들은 초봉이의 삶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장소이다. 따라서 각 집들에 거주한 초봉이의 삶을 집과의 상호 관련 속에서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초봉이가 지향한 주체 모색의 도정과 의미를 해석해볼 필요가 있다. 이 문제를 이 글에서는 집이라는 장소와 공간주권의 관계라는 시각으로 풀어보고자 한다. 양적인 면에서 <탁류>는 군산과 서울이라는 두 공간적 배경이 균등하게 배분되어있는 서사이다. 군산의 서사는 정주사네 집과 신혼집의 이야기로 양분된다. 우선 정주사네 집에서 초봉이는 가부장제적 질서에 순종하는 모습을 보인다. 초봉이는 정주사네 집에서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누릴 자기 몫의 공간주권이 애초 없었을 뿐만 아니라 정략결혼에 의해 집 밖으로 내몰릴 운명에 처해있는바, 비주권적 상황에 예속되어있다. 그런데 초봉이가 고태수와 결혼하면서 마련한 신혼집 이야기에서부터 초봉이는 집에 대한 애착을 보인다. 하지만 초봉이는 남편의 불륜과 그로 인한 그의 비명횡사로 졸지에 미망인이 되는바, 그 집은 초봉이의 장소애와 정체성이란 필연적으로 균열이 생겨나 붕괴되고 만다는 것을 일깨워주는 장소가 된다. 미망인이 된 초봉이는 서울로 이주하려다가 박제호를 만나 그와 함께 서울에 살림집을 차린다. 곧 등장한 장형보에게 초봉이는 집과 함께 공간주권을 모두 빼앗기며 정신과 육체가 예속되는 지경에 처한다. 급기야 장형보를 직접 때려죽이면서 초봉이는 새로운 삶의 공간으로 나아가게 된다. 즉 초봉이에게 집이란 더 이상 영속적인 안녕을 꿈꿀 수 있는 장소가 아니라 발전적 삶을 새롭게 개척하기 위해 거쳐 가야 하는 하나의 위치에 불과했던 것이다. 정주사집, 신혼집 등을 거쳐 성장한 초봉이는 서울집에서 새로운 삶에 대한 희망과 주체적 포부를 갖기에 이른다. 즉 그렇게 종결되는 초봉이의 성장서사는 장소 정체성에 얽매이지 않는 탈장소화의 주권적 결단이라는 가치로 수렴되는 것이다. <탁류>의 초봉이가 보여준 주체 모색의 서사에 긍정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여기서 찾을 수 있다. In Chai Man-sik’s Novel <TakRyu>, Cho-bong’s houses are the place where close emotional interactions with her happen. Therefore, it is necessary in order to analyze Cho-bong’s life to examine who lived in each house in relation to it’s place and to interpret the process and the meaning of Cho-bong’s searching for hers subjectivity. In this article, I want to solve this problem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 and spatial sovereignty. <TakRyu> is a story having a balance of equally spaced backgrounds, Gunsan and Seoul. The stoy of Gunsan is divided into the story of Chung Ju-sa’s house and the newlywed house. First of all, Cho-bong appears obedient to the patriarchal order at Chung Ju-sa’s house. Cho-bong is a subjugated figure in a non-maintenance situation, not only because she had no space to live in as a member of his family but also because she was forced out of the house. At the story of a newlywed house prepared when she married Ko Tae-soo, Cho-bong shows an attachment to the house. But Cho-bong becomes a widow because of her husband’s criminal activities, and the house was a reminder that the place and identity of the Cho-bong were to be fractured and collapsed. Cho-bong who became a widow, tries to move to Seoul, but meets Park Je-ho to set up a home in Seoul. Jang Hyung-bo, who appeared quickly, the starting salary takes away all of her spatial sovereignty along with his house, and his mind and body are subjugated. Finally, by beating Jang Hyung-bo to death, Cho-bong will move toward a new place of life. In other words, the house at Seoul was no longer a place to dream of lasting well-being, but a point to pass through in order to rediscover the development of life. Cho-bong who grew up at Chung Ju-sa’s house and at a newlywed house, reaches to have hope for a new life and subjective aspirations at her Seoul house. In other words, the closure of Cho-bong’s narrative converges into the value of the sovereign determination that is not tied to the place identity. We can find a positive significance at the search for subject shown by Cho-bong in <TakRyu>.

      • KCI등재

        허목이 찬술한 조식 선생 ‘신도비’논란에 대한 고찰

        조주희 ( Cho Joo-hee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21 漢文古典硏究 Vol.42 No.1

        한자의 도입과 함께 전래된 유학은 혈연공동체의 생활규범과 사회공동체의 행동규범을 보편화하여 도덕·윤리의 근간을 이룸으로써 우리 전통문화의 정수를 제공하였다. 문화란 자연 상태에 있는 정신적·물질적 실체를 인간이 가공하여 그것을 변화시키거나 새롭게 창조해 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문화생산의 촉매제로는 문자에 의해 정리된 학문이 가장 으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한 사회에 특정 학문이 정착되면 그 학문이 통치의 이념을 제공하여 사회변동이 일어나고 사회변동은 문화 변화를 일으킨다는 학문과 사회와 문화 간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여 이 패러다임의 틀에서 미수 허목이 찬술한 ‘남명 조식의 신도비’인 『덕산비』에 대한 논란을 사회·문화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성리학의 경우 고려 말에 도입되어 왕조교체의 명분을 제공하여 사회 변동을 불러 왔을 뿐만 아니라, 혈연공동체의 생활 규범과 사회공동체의 행동규범을 제시하여 불교와 도교를 멀리하는 문화변동을 일으켰다. 실학은 17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에 공리공담에 치우친 성리학을 개혁하여 實事求是의 논증을 중시함으로써 영·정조의 문예부흥기를 태동시켰을 뿐만 아니라, 허목이 찬술한 『덕산비』가 신도비의 원래 취지인 揚善隱惡 보다는 자신의 의도인 陽尊陰擠를 각인하여 놓았다는 논란을 정파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후손의 효심에 의존하여 판단하는 문화변동을 가져왔다. ‘신도비’는 2품 이상의 품계를 얻은 망자에게 주어지는 은전으로, 망자가 학문 연구를 통해 고고한 인품과 깊은 학문을 지녔었다는 증거였다. 따라서 이것은 가족과 가문 그리고 망자가 속한 학파에게 긍지를 안겨주는 영광스러운 특전이었다. 이러한 영광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남명 조식 (1501~1572)의 신도비문 찬술 역시 당대에 정치적으로나 학문적으로 최고의 명성을 얻고 있는 학자에게 청문하였다. 1617년에 세워진 정인홍의 『남명선생신도비』는 1623년 인조반정으로 훼철되고, 그 이후에 남인의 영수였던 허목에게 청문하여 그것을 돌에 새겨 비를 세웠다. 이후 서양학문의 전래와 함께 1685년에 세워진 허목의 『덕산비』가 남명에 대하여 양선 은악 보다는 양존음제의 경향이 짙다고 하여 조씨 문중과 노론이 한편이 되어 1926년에 훼철하였다. 그 후에 진주향교의 남인계 유림이 소송을 제기하여 5년간에 걸친 소송 끝에 조식 후손이 승소함으로써 250년 동안 계속된 허목의 『덕산비』에 대한 논란이 종지부를 찍게되었다. 이 논문은 조식의 신도비 청문 과정과 立碑 과정에서 후손의 孝보다는 정파적 이해관계가 개입되었다는 사실을 학문의 정착, 사회의 변동, 문화의 변화라는 패러다임에 입각하여 탐구하였다. In this study, the dispute stemming from the cenotaph erected in memory of Nammyeong (Cho Sik's nickname), and its subsequent destruction leading to a lawsuit between the Namin (southern people) faction and the descendents of Cho Sik was examined through a sociological lens. The writing on the cenotaph was also a cause for dispute between Namin and the descendents of Cho Sik, as well as between Namin and Noron (another faction). Cho Sik was active in the 16th century during the early development of neo-Confucianism. Neo-Confucianism in Joseon was centered around familial blood ties which determined norms for the whole community and the ruling ideology for the nation state. These neo-Confucian norms pervaded in all facets of society, including kinship communities, wider society, and culture. These norms also permeated in mental or intellectual outputs such as artworks and symbolic systems such as linguistic rules. All these in the Joseon era were included under the umbrella of the concept of culture, with culture being defined as the mental and physical aspects of nature as it is created by humans, and that which is transformed or created as new. The academic discipline called Confucianism also contained the term culture as the concept of a human mental output leading to new creations. Neo-Confucianism was a philosophy that added metaphysical reasoning to early Confucianism, and was introduced in late 13 century Goryeo by Ahn Hyang, thus playing a critical role in the creation of a new culture in the dynastic transition period. Neo-Confucianism rejected the doctrines of Buddhism and Taoism as empty, characterizing them as a destructive force of familial and societal ethics and discipline, as Buddhism tended toward eschewing the secular world and Taoism favored seclusion. Buddhist and Taoist doctrines were effectively rendered a taboo paving the way for neo-Confucianism to take root in the culture, and as a result, causing a great societal change. From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until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Realist School (Shilhak) of Korean Confucian academic tradition was established, and its practitioners reflected upon the exclusionary and intolerant nature of neo-Confucianism. They also stressed the importance of pragmatism and carefully analyzed and debated each and every proposition they faced. Accordingly, the 喪葬祭禮, or Confucian rituals, was elevated to the status of an academic discipline. However, the rituals outlined in the Sangjangjerye became the source of intense struggle among the political factions behind closed doors, thus leading to social change which in turn caused cultural change. The establishment of the Shindobi, which was used as a means of strengthening the class system, became the subject of profound studies, and the focus of a power struggle between factions, including Yesong surrounding funeral rites of a queen's mother, served as the catalyst for great social change. When viewed through this lens, the sociological meaning of Heo Mok's cenotaph erected for Cho Sik entitled “Deoksanbi” is revealed.

      • KCI등재

        慶尙右道 蘆沙學派의 南冥學尊崇 樣相과 그 本質에 대한 考察 -趙性家, 崔琡民을 중심으로-

        김익재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趙性家와 崔琡民은 경상우도 蘆沙學派의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南冥學派의 본거지인 경상우도에서 태어나 蘆沙 奇正鎭의 문인이 되었고, 기정진의 학문을 전파하고 확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사람들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이들의 행적을 돌이켜보면 그들에게서 남명학적 사상과 언행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들의 이러한 언행을 순수하게 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의 이러한 행위가 진정으로 남명학을 존숭해서가 아니라, 남명학적 사상이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경상우도에서 자신들의 학파세력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록에 남아있는 여러 가지 증거와 정황으로 볼 때, 경상우도 노사학파를 대표한다 할 수 있는 조성가와 최숙민은 실제로 남명 조식을 존숭하였고 그의 사상을 자신의 내면에 깊이 간직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사상을 더욱 더 발전․확산시키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노력했던 인물들이었다는 것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남명학 존숭과 관련된 그들의 언행은 진정성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he most remarkable persons of the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They were born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the stronghold of Nammyoung-school, and became the students of Nosa Ki jung-jin. They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But the second thought of their whereabouts, we can find out the considerable evidence that they have a lot of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And we can't deny that some of us partly agree that. Because the behavior of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aken as not purely efforts for the Nammyoung-school's ideas but as a pretentious actions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It may be so, bu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the representative of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actually speaking they really respected Nammyoung Cho-sik and really kept his academical ideas in their mind. Furthermore we have to realize tha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did their many-sided efforts to develop and spread the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 KCI등재

        이항의 철학사상과 조식의 비판

        조남호 한국공자학회 2023 공자학 Vol.51 No.-

        이 글은 이항의 철학사상과 조식의 관계를 다룬 글이다. 이항과 조식은 동시대 인물이지만, 행동 패턴이 조금 달랐다. 이항이 리기심성론을 주장하는 논변에 대해서 조식은 이름을 도둑질한 것이라고 비판한다. 다시 말해 논변보다는 실제 수양공부에 치중하라는 권고이다. 이항의 리기심성론에 대하여 이황이 주자학의 정통을 벗어났다고 평가하였지만 그렇다고 그의 학술사상이 주자학적 사고를 벗어난 것은 아니다. 다른 한편으로 이항은 허엽, 이구, 노수신 등의 심학을 비판하였다. 이항의 철학은 두 학파 사이에서 절충점 또는 변별점을 추구하였기 때문에 독립적인 학술체계를 세우기가 매우 어려웠다. 다시 말해 이항은 이황의 주자학과 서경덕의 심학 사이에서 두 학파의 논리적 단점을 지적하고 비판하였다. 이항의 철학은 정통 주자학으로부터 후자 그룹에 속한다고 비난받았다. 더구나 이항이 리기일물론이나 심성일물론을 논리적으로 끝까지 추구하여 수양공부론을 완성하지 못한 점에서 심학 관점에서 비판받을 수 있다. 이항의 학술적 절충 또는 쌍방 비난은 이후에 독립된 학파를 만들지 못하는 이유가 되었다. 반면에 조식은 주자학의 형이상학에 관한 논변이 초래하는 위험을 눈여겨보고 있었고, 이항이나 이황도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조식은 이론이 섬세해질수록 번쇄해져서 행동으로 나아가지 못한다고 보는 것이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Lee Hang and it's critic by Cho Sik. Although Lee Hang and Cho Sik were contemporaries, their behavior patterns were slightly different. Regarding Lee's argument for claiming Li qi xin xing, Cho criticizes him for stealing confucian value. In other words, it is a recommendation to focus on actual training rather than argumentation. Although Lee's theory of Li qi xin xing was evaluated as deviating from the orthodox philosophical theory of Zhu Xi, this does not mean that his academic ideology deviated from the philosophical thought of Zhu Xi. On the other hand, Lee Hang criticized the school of mind, He Yeop, Lee gu, and Ro Shu sin. It was very difficult to establish an independent academic system because Lee's philosophy pursued a compromise or a point of distinction between the two schools. In other words, Lee pointed out and criticized the logical shortcomings of the two schools between Lee Hwang's Confucianism and Se Gyeong Duk's mind school. Li Hang's philosophy was criticized as belonging to the latter group by the orthodox Zhu Xi. Moreover, it can be criticized from a psychological point of view for the fact that Lee Hang did not complete the study of discipline by logically pursuing one thing of li-qi and one thing of xin and xing. Lee's academic compromise or criticism from both sides became the reason for not being able to create an independent school later. On the other hand, Cho Sik was paying attention to the danger posed by the argument about metaphysics of Zhu Xi, and neither Lee Hang nor Lee Hwang could escape this limit. Cho Sik is the belief that the more delicate the theory, the more it shatters and does not lead to action.

      • KCI등재

        연구논문 : 남명 조식철학에 나타난 "낌새[기(幾)]"관의 논리 구조와 의의

        이철승 ( Cheol Seung Le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5 儒學硏究 Vol.33 No.-

        조식의 ‘낌새(幾)’관은 그의 철학적 사유의 깊이를 반영한다. 조식은 ‘낌새’관을 통해 형이상학적인 원리와 현실적인 실천 논리의 유기적 결합을 시도한다. 그는 하늘의 길인 ‘성(誠)’이 인간의 마음속에서 ‘성(性)’으로 간직되고 있음을 인정하고, 이 성(誠)으로서의 성(性)이 순수하게 발현되어 현실사회에서 제대로 구현되는 것을 중시한다. 그는 이러한 이상적인 삶을 성인의 삶으로 여기고, 평생을 그렇게 살기 위해 노력했다. 그런데 이 성(誠)으로서의 성(性)은 항상 선한 방향으로만 발현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때에 따라 악한 방향으로 발현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성(性)이 발현될 찰나의 ‘낌새[幾]’를 잘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이 ‘낌새’에 관한 통찰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주역.에서는 ‘낌새’를 아는 것을 신묘함이라고 표현하였고, 이것을 체계적으로 연구한 주돈이는 이 ‘낌새’를 성(誠)과 신묘함의 논리에 나란히 위치시켰다. 이러한 주돈이의 관점에 대해 주희를 비롯한 많은 성리학자들이 상세하게 풀이를 하였고, 조식은 이러한 선배 학자들의 견해를 적극적으로 계승하였다. 조식은 <성도(誠圖>와 <기도(幾圖)>와 <심위엄사도(心爲嚴師圖)>를 작성하여, 자신의 관점을 드러내었다. 그는 ‘낌새’의 논리 근거를 순선무악(純善無惡)의 성(誠)으로 여겼을 뿐만 아니라, ‘낌새’의 지향점 역시 성(誠)으로 여겼다. 이 때문에 성(性)이 발현될 찰나의 ‘낌새’를 잘 살펴 성(性)이 악으로 향하지 않고, 선으로 향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는 이러한 성(誠)을 제대로 구현하기 위해 항상 안으로 공경한 자세를 갖추고, 밖으로 의로움의 결단을 내려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것은 그가 이상적인 삶을 통한 건강한 공동체 사회를 이루기 위해 항상 깨어 있으면서 공경과 의로움의 자세가 매우 중요함을 역설하는 것이다. 그가 항상 ‘성성자(惺惺子)’와 ‘경의검(敬義劍)’을 차고 다니며, 진정한 선비의 모습을 띨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이러한 사상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hilosophy of Cho Sik 曺植(Nammyeong 南冥, 1501-1572) is well reflected in his concept of "ji 幾(omen)". Cho Sik attempted to harmonize his metaphysical principles and his practical teachings through the concept of "ji". He held that the way of heaven is cheng 誠(sincerity) and cheng resides in human mind. According to him, the ideal life is to embody the sincere xing 性(human nature) in actual society. He regarded a sage as someone who actualizes the ideal life and he pursued such an ideal life as sages. In his view, xing embracing cheng is not always going in the right direction and sometimes xing shows up in the evil way. This is why it is important to take a careful look at the "ji (omen)" of xing. Since the careful examination of "ji" is important, the Zhouyi 周易(Book of Changes) views the understanding of "ji" as a mysterious and marvelous ability. Also, Zhou Dunyi 周敦이(1017- 1073) put the same importance as cheng on "ji". Many Neo-Confucian scholars including Zhu Xi 朱熹(1130-1200) gave detailed explanations to the Zhou Dunyi’s view and Cho Sik also followed the views of the Neo-Confucian scholars. Cho clearly explained his view on "ji" in his illustrated books such as Chengtu 誠圖, Jitu 幾圖, and Xinweiyanshidu 心爲嚴師圖. He argued that cheng is completely pure without a hint of evil and cheng is the ultimate goal of "ji". Based on this logic, Cho held that people should do their best to direct their xing not to evil but to good. In this regard, Cho emphasized that people should maintain respectful mind and righteous attitudes in order to actualize cheng in actual society. This way, he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keeping respectful and righteous attitudes in order to make a sound community and live an ideal life. He always kept items such as xingxingzi 惺惺子(bell) and jinyijian 敬義劍 (sword of respect and righteousness) with him as reminders of his philosophical ideals.

      • KCI등재

        설정식의 『하므렡』 번역의 의의 및 번역 텍스트 분석 연구

        권오숙(Osook Kweon)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22 셰익스피어 비평 Vol.58 No.3

        Sŏl Chŏng-sik, who translated and published Hamŭret in 1949, majored in English literature and Shakespeare in USA. His Korean translation Hamŭret has the significance of being the first translation of Hamlet by an English literature scholar based on the English text. Sŏl Chŏng-sik put a preface at the beginning of the main text which explains his translation strategy in detail and presented the English text he used and all the Japanese translations referenced in his translation. He added an explanation about Shakespeare and Hamlet at the end of the text. Kim Byeong-cheol who overviewed the entire translation history of Korea complimented Hamŭret as a translation work that raised the translation of Korea to the high level.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Hamŭret for the first time. In his preface, Sŏl Chŏng-sik said that he used the metaphrase strategy, translated for the stage, and chose words that the audience could understand easily. He also tried hard to keep the aesthetic elements unique to Shakespeare’s plays such as alliterations and puns as much as possible. He added some stage directions and simple annotations for the reader’s understanding. Sŏl Chŏng-sik’s serious translation attitude would serve as a good example for translators in both creativity and sincerity.

      • KCI등재

        함경도 방곡령 실시와 배상을 둘러싼 중앙 정계와 지역사회의 동향(1889~1893)

        박한민 호남사학회 2022 역사학연구 Vol.86 No.-

        This article examined the activities of local governments, merchants, and investigators dispatched to the region who responded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in rela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Grain Export Prohibition Order in Hamgyeong province, and their impact on central politics and local communities. The reaction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merchants over the profits from grain distribution and sales cannot be understood as simply to prevent grain outflow from foreign invasion and to protect the local econom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Korea and Japan government dispatched officials to Hamgyeong province. In Joseon, Lim Eung-ho was dispatched as an inspector. During the investigation, local people were forced to spare themselves and avoid trading grain with Japanese merchants, fearing the possibility of retaliation by incumbent officials related to Cho Byung-sik, the governor of Hamgyeong province. While the investigator worked in the area, some secretly investigated the irregularities under the direction of Cho. The information they collected was later used to impeach and detain Lim in the mediation.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dispatched Ishii Kikujiro to Wonsan. Ishii interviewed local merchants and investigated the books to see if the amount claimed for damages was appropriate and reasonable. During the investigation, he confirmed that it was somewhat difficult to prove the extent of damage claimed by the Japanese merchants in Wonsan, and instructed them to re-assign and submit the whole amount for compensation. Min Eung-sik was the leading figure in Joseon politics defending Cho. Min was against the compensation for the Grain Export Prohibition Order and led the replacement of minister of Foreign Office. After contacting the Japanese legation officials, Daewongun attempted to redeem his political influence by using stalled negotiations between Joseon and Japan, leaking the information within the government to the Japanese side. In the compensation negotiation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Grain Export Prohibition, various local and central forces intervened deeply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greatly affecting the grain trade in the local community. It can be seen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Grain Export Prohibition Order and compensation negotiations were a domestic issue closely linked to political forces in the cabinet. 이 글에서는 함경도 지역의 방곡령 실시와 관련하여 지방관과 상인, 지역에 파견된 관리가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대응한 양상과, 이들의 활동이 중앙 정계와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을 검토하였다. 곡물 유통과 판매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둘러싸고 지방관과 지역 상인이 보인 반응은 방곡령 실시가 단순히 외세 침탈로부터 곡물 유출을 막고 지역경제를 보호하기 위한 차원만으로 이해할 수 없다. 함경도 상황을 조사하기 위해서 조일 양국은 관원을 현지에 보냈다. 조선에서는 임응호를 판핵관으로 파견하였다. 조사 과정에서 지역민들은 함경감사와 관련이 있는 현직 관리들의 보복 가능성을 우려하며 몸을 사리고, 일본 상인과의 곡물 거래를 꺼릴 수밖에 없었다. 판핵관이 지역에서 활동하는 동안 조병식의 지시를 받아 비위를 몰래 조사한 자들도 있었다. 이들이 수집한 정보는 이후 조정에서 임응호를 탄핵하고 구금시키는데 활용되었다. 외무성에서는 이시이 기쿠지로를 원산에 파견하였다. 그는 현지 상인들과 면담하고 장부를 조사하면서 손해배상으로 청구한 금액이 적정하고 타당한지 조사하였다. 조사 중 원산 재류 일본인들이 주장하는 피해액에 다소 증빙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고, 전체 배상액을 재산정하여 제출하도록 지도하였다. 함경감사 조병식을 비호한 조정의 유력자는 민응식이었다. 민응식은 방곡령에 대한 배상 반대론을 주장하였고, 외아문 독판의 교체를 주도하였다. 일본공사관 측과 접촉한 대원군은 조정 내 분위기와 정보를 일본 측에 흘리면서 교착상태에 빠진 조일 간 교섭을 이용하여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만회해 보려 시도하였다. 함경도의 방곡 시행과 배상 교섭에는 지방과 중앙의 여러 세력이 각자의 이해관계에 따라 개입하면서 지역사회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방곡령 시행과 배상 교섭은 조정 내 정치세력과 긴밀하게 연동된 내정 문제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기획논문 : 경상우도 노사학단(蘆沙學團) 조성가(趙性家),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 경상우도(慶尙右道) 노사학파(蘆沙學派)의 남명학존숭(南冥學尊崇) 양상(樣相)과 그 본질(本質)에 대한 고찰(考察) -조성가(趙性家), 최숙민(崔琡民)을 중심으로-

        김익재 ( Ik Jae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0 남명학연구 Vol.30 No.-

        趙性家와 崔琡民은 경상우도 蘆沙學派의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그들은 南冥學派의 본거지인 경상우도에서 태어나 蘆沙 奇正鎭의 문인이 되었고, 기정진의 학문을 전파하고 확장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던 사람들이다.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이들의 행적을 돌이켜보면 그들에게서 남명학적 사상과 언행을 적지 않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이들의 이러한 언행을 순수하게 보지 않고 있다는 점도 부인할 수 없다. 그 이유는 그들의 이러한 행위가 진정으로 남명학을 존숭해서가 아니라, 남명학적 사상이 뿌리 깊게 자리 잡은 경상우도에서 자신들의 학파세력을 확산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 그렇게 행동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기록에 남아있는 여러 가지 증거와 정황으로 볼 때, 경상우도 노사학파를 대표한다 할 수 있는 조성가와 최숙민은 실제로 남명 조식을 존숭하였고 그의 사상을 자신의 내면에 깊이 간직하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사상을 더욱 더 발전·확산시키기 위해 다방면에 걸쳐 노력했던 인물들이었다는 것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서 남명학 존숭과 관련된 그들의 언행은 진정성에 바탕을 둔 것으로 인식해야 한다.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he most remarkable persons of the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They were born in the East Kyoung-sang district, the stronghold of Nammyoung-school, and became the students of Nosa Ki jung-un. They put in a great deal of effort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jin. But the second thought of their whereabouts, we can find out the considerable evidence that they have a lot of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And we can`t deny that some of us partly agree that. Because the behavior of Cho sung-ga and Choi sook-min is taken as not purely efforts for the Nammyoung-school`s ideas but as a pretentious actions to spread and expand the academic theory of Ki jung-min. It may be so, bu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the representative of Nosa-school in East Kyoung-sang district, actually speaking they really respected Nammyoung Cho-sik and really kept his academical ideas in their mind. Furthermore we have to realize that Cho sung-ga and Choi sook-min did their many-sided efforts to develop and spread the Nammyoung-school`s ideas and behavi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