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항미원조운동"시기 선전동원네트워크의 형성에 관한 연구

        최승현 한국동북아학회 2017 한국동북아논총 Vol.22 No.2

        The Chinese academy claims that the so-called “campaign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contributed to the legaliza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d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But mobilization by propaganda implies people’s passivity.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Chinese side data through the historical methodology and presen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ly, new China was given a special condition that could reinforce the regime from the Korean War. That is wh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was able to successfully build a propaganda-mobilization network targeting all people. Secondly, the slogan related to “volunteering" including the name of “People's volunteer army” was popular during the campaign. However it was actually planned by the Chinese Communist Party to build the propaganda-mobilization network. “Volunteering" expressed by the Chinese people provided a political justification for the mobilization the people to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Lastly, “the meeting of collective newspaper reading”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volving the people in the propaganda-mobilization network by Chinese communist party regime. Since the group was a workshop that shared “volunteering", the people participated in the propaganda-mobilization network through this meeting activity. 중국학계는 이른바 “항미원조(抗美援朝)운동”이 중국공산당 및 중화인민공화국의 합법화에 크게 공헌하였다고 주장할 뿐, 선전동원이 내포하고 있는 군중의 “피동성” 문제는 간과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역사적 방법론을 통해 중국 측 정부자료 및 『인민일보(人民日報)』등의 관련 문헌자료를 분석,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1949년 10월 건설된 신생 중국은 한국전쟁으로부터 정권을 공고히 할 “전시(戰時)”라는 특수한 조건을 제공받았다. 이를 통해 중국공산당 정권은 전 인민을 대상으로 하는 선전동원네트워크를 성공적으로 구축할 수 있었고, 이는 결국 중국공산당의 정권을 공고히 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되었다. 둘째, “중국인민지원군(中國人民志願軍)”의 명칭을 포함해 항미원조의 전체과정을 풍미했던 “자발적 의지-지원(志願)”의 구호는 중국공산당이 선전동원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기획한 것이었다. 각계가 표명했던 “지원”은 중국공산당 정권에게 전 인민의 동원을 가능케 할 정치적 명분을 제공하였다. 셋째, “신문읽기모임-독보조(讀報組)”는 분산된 군중을 중국공산당 정권의 선전동원네트워크에 참여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독보조는 “자발적 의지-지원”을 공유하는 학습장이었던 바, 중국 군중은 독보조 활동을 통해 조직화되면서 중국공산당의 선전동원네트워크에 편입되었다.

      • KCI등재

        중국 신문보도에 나타난 한중관계 위협요인 분석: 한반도 사드배치 문제를 중심으로

        주민욱 한국동북아학회 2020 한국동북아논총 Vol.25 No.2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no-Korean relations since the deployment of the THAAD on the Korean Peninsula. SNA(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wo factors, THAAD and the Sino-Korean relations as the analysis tool. The analysis covered collectible major Chinese Communist Party newspapers reports since July 2016, when the Korean government officially announced the deployment of THAAD on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is clear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HAAD and the Sino-Korean relations in Chinese newspaper report. Through SNA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outh Korea’ and ‘China’ are closely connected with ‘THAAD’ and ‘deployment’, on the other hand, are linked to ‘Sino-Korean’ and ‘relations’. Second, China emphasize that the THAAD deployment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have an effect on the two countrie's economies as well. Third, China insists the THAAD deployment on the Korean Peninsula will not help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Northeast Asia. 본 연구는 한반도 사드배치 이후 한중관계 변화추이를 살펴봄에 그 주목적이 있다. 그리고 두 요인, 한중관계와사드배치 간 상호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단어 간 상호관계망을 그려낼 수 있는 사회관계망분석(SNA)을 활용하였다. 그 분석대상은 한국정부가 한반도 사드배치를 공식화한 2016년 7월 이후의 수집 가능한 주요 중국 공산당 기관지(党报) 신문보도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국 신문보도에서 사드배치와 한중관계 간 상관관계는 분명했다. SNA 분석을통해 ‘한국’, ‘중국’ 양국은 한편으로 ‘사드’, ‘배치’와 다른 한편으로는 ‘한중’, ‘관계’ 단어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져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국은 한반도 사드배치가 한중관계는 물론 양국의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을 강조하고있었다. 셋째 중국은 한반도 사드배치가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 평화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임을 주장하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