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淸州 松節洞 多重溝狀遺構 性格의 試論

        李文炯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중앙고고연구 Vol.0 No.4

        청주 송절동과 봉명동지역 일대는 無心川邊으로 충적평야와 낮은 구릉성 산지가 형성되어 있어 선사시대에서 역사시대의 많은 유적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이다. 특히 원삼국~백제시대에 이르는 대규모 매장유적이 보고된 지역으로 봉명동유적(Ⅳ지구)의 대규모 토광묘는 원삼국시대의 표식적인 유적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분묘를 조성한 집단과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생활유적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일부 한정된 지역에서 구상유구가 확인된 바 있다. 그러나 최근 연접한 송절동지역 일대에서 기존 봉명동유적(Ⅳ지구)에서 보고된 다중구상유구와 연결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구상유구가 조사되었다. 보고된 유적을 중심으로 다중구상유구의 범위를 추정해보면 명심산에서 분기한 북쪽 능선을 따라 봉명동-송절동지역까지 연결된 하나의 단일 유구로 판단된다. 송절동 다중구상유구는 능선의 방향을 따라 ‘―’자상의 선상 배치로 3중으로 축조되었으며, 방어적인 기능을 담당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축조시기는 중복된 유구를 토대로 청동기시대 이후에 축조되어 원삼국~백제시대 이전 혹은 거의 동시기에 폐기된 것으로 보이며, 내부에서 소토 등이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의도적인 폐기로 판단된다. 이러한 다중구상유구의 폐기는 송절동 일대의 주거집단 간의 통합에 따른 방어 기능의 상실을 의미하는 것이며, 나아가 통합에 따른 생활공간의 확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송절동일대 지역은 백제의 본격적인 세력확장과 더불어 기존 지역 주거 집단의 통합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로 판단된다. A number of archaeological sites dated to prehistoric and historic periods have been reported in the Songjeol-dong and Bongmyeong-dong in Cheongju where alluvial plains and low hills are developedalong the Musim River Valley. In particular, many burials dated to Proto-Three Kingdoms and Baekje periods have been unearthed at Bongmyeong site (District IV), and large pit burials at this site have been regarded as typical ones of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Up to now, however, residential sites directly related to the population to construct these burials are not been discovered except a few ditches. Recently, a ditch was found at Songjeol-dong near the Bongmyeong-dong site, and there is quite a possibility that the ditch at Songjeol-dong can be connected to a multi-connected ditch previously found at the Bongmyeong-dong site. According to inference for the range of the multi-connected ditch based on available data, the ditch can be a single feature connected from Bongmyeong-dong to Songjeol-dong along a northern ridge branched from Mt. Myeongsim. According to writer’s interpretation, the multi-connected ditch might be trebly constructed in linear pattern along the direction of the ridge as a defense facility. Based on overlapped features with this ditch, this ditch is considered to be constructed not earlier than Bronze Age and destroyed at one time period between Proto Three Kingdomsand Baekje periods gradually or simultaneously. Fired clay found inside the ditch may imply intentional abandonment. The intentional abandonment of the ditch may also suggest that unificationof residential groups around Songjeol-dong made the function of defense unnecessary and that the unification asked to extend residential space. In conclusion, the ditch around Songjeol-dong may be archaeological data to suggest political expansion of the Baekjealong with unification process of preexisting groups in the region.

      • KCI등재

        청주 송절동 유적 표지유물을 통해 본 마한에서 백제로의 이행

        김경호 백제학회 2019 백제학보 Vol.0 No.28

        The remains of Songjeol-dong, Cheongju, were discover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Cheongju Technopolis Industrial Complex. This is where the non-mobile remains related to the tomb, production, and life of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of Yuan Dynasty and Baekje Period were found to be main remains. In this paper, the Mahan and Baekje remain of Songjeol-dong were divided into tombstones, and living areas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ver time. Then, I have set the landmark remain which is the standard of chronology. A landmark remains is a relic with a distinguishable mark or feature that distinguishes itself from other objects in the remaining complex. In other words, a landmark remain is a representative object that can identify a target and recognize it by distinguishing it from other objects and is archaeologically an indicator of a particular period of branching and cultural change. An ‘Bowls Shaped Pottery’ is the representative signal remain of Songjeol-dong remains. The bowl is divided into 3 units. The first unit bowls are with the round bottom and fall into the period of A.D. 2nd ~ 3rd century. The second unit bowls have its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flat bottom and no pattern and fall into the period of A.D. 3rd and the mid 4th century. And the third unit bowls have a flat bottom and patted of pattern and are fall into the period after the mid 4th century A.D. The Bowls shaped pottery has changed following these units. This variation in the Bowls shaped pottery(鉢形土器) is understood to be an indicator of cultural change in terms of the change of the daily container found in tombs and life relics. In particular, the emergence of the flat bottom steamer, flat bottom pottery, cup with a grip which appears with the third unit(After the mid 4th century A.D.) is a change in archaeological material data transferred from Mahan to Baekje, and the representative landmark remains of which is the Bowls Shaped Pottery 생산·생활유구가 중심이 되는 유적으로 밝혀졌다. 이 글에서는 송절동 유적의 마한~백제 유적을 분묘와 생활유구로 구분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특징과 변화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송절동 유적에서 편년의 기준이 되는 표지유물을 설정하였다. 표지유물은 유물복합체 가운데 다른 유물과 구별하여 알 수 있도록 한 표시나 특징을 가지는 유물이다. 즉 다른 대상과 구별하여 어떤 대상을 확정하고 그것을 인식할 수 있는 표상적인 유물로 고고학적으로는 특정시기의 분기설정 및 문화변동의 지표가 되는 유물이다. 송절동 유적의 대표적 표지유물은 발형토기(鉢形土器)이다. 발형토기는 1기(기원후 2~3세기)는 발형토기(원저+타날·무문), 2기(기원후 3~4세기 중엽)는 발형토기(평저+무문), 3기(기원후 4세기 중엽에서 후엽)는 발형토기(평저+타날)로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형토기의 변화는 분묘와 생활유적에서 일상용기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문화변동의 지표로 이해된다. 특히 3기(기원후 4세기 중엽에서 후엽)의 발형토기(평저+타날)와 함께 출현하는 평저시루, 평저토기, 파배의 등장은 마한에서 백제로 이행되는 고고학적 물질자료의 변화이며, 그 대표적인 표지유물이 발형토기이다.

      • KCI등재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활용한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의 원료산지 고찰

        배고운,이상옥,정광용,신승철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9 보존과학회지 Vol.35 No.3

        Lead isotope ratios in horse-shaped bronze buckles excavated from the Songjeol-dong sitein Cheongju and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determined by thermalionization mass spectrometry. The lead isotope ratios of the samples with data provenance were plottedin zone 3 of the South Korean galena map.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orse-shaped bronze bucklescould be made using galena located in the same area as the archaeological site. These results can beused as basic data for comparison purposes in future studies o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andprovenance of bronze artifacts.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 29점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납의 원료산지를 확인하고, 출토지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동북아시아 방연석 분포도(Mabuchi, 1985) 대입결과 대부분 중국 남부영역 내에서 매우 밀집한 분포 경향성을 나타내었으며, 한반도 납동위원소 분포도 적용결과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에 해당하는 영남육괴 및 옥천변성대 지역인 Zone 3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는 출토지와 유사한지역에 위치한 방연석 광산에서 채취한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함께 한반도 마형대구 출토 중심지역에 해당하는 중서부지역의 미호천유역 및 안성천유역 출토마형대구 38점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해당 문화권 내 마형대구 제작에 사용된납 원료산지의 연관성 및 지역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시대적⋅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마형대구를 대상으로 한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를 축적하여 추가적인 원료산지 비교분석 연구를 통해 한반도 출토 마형대구의 납 원료산지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