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 수준 평가 문항 분석을 통한 어문 규범 교수ㆍ학습 방안

        신호철(Shin, Ho-cheol)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4 No.-

        본고에서는 국가 수준의 평가(대학수학능력시험, 수능 모의평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대상으로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을 추출하여 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어문 규범 교수ㆍ학습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1. 국가 수준 평가에서 어문 규범 관련 문항은 20여 년 동안 수능, 모의수능,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총 3084개 문항에서 34개 문항만이 출제되었다. 수능에서 11개 문항, 모의수능에서 17개 문항,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6개 문항이 출제되었다. 이 34개 어문 규범 관련 문항에서 26개가 한글 맞춤법 관련 문항이고, 8개가 표준어 규정 관련 문항이다. 특기할 점은 외래어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법 관련 문항이 한 문항도 출제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2. 한글 맞춤법에서는 고쳐 쓰기에 결합된 문항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단독으로는 합성어나 접사 등을 포함하는 ‘제4장 형태에 관한 것’이 4.5개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다음으로 한글 맞춤법 총칙과 관련된 것이 3개 출제되었다. 표준어 규정에서는 8개 문항 중 5개가 표준 발음법과 관련된 문항이다. 3. 어문 규범 관련 문항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의 어문 규범 교육에 대한 교수ㆍ학습 방안으로 4단계의 단계별 교수ㆍ학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곧 ‘단계 1 어문 규범 ‘총론’에 대한 원리 중심의 연계 교수’, ‘단계 2 원리 학습기반의 탐구 중심 교수’, ‘단계 3 실제 언어 자료를 활용한 보기/자료/답지 등의 상호관련성 해석 중심의 교수’, ‘단계 4 혼동 어휘 중심의 교수’가 그것이다. 어문 규범 관련 문항 분석 결과 탐구의 과정이 배제된 채 결과의 내용을 추론하는 형태의 문항이 다수 발견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원리 학습을 기반으로 한 탐구적 사고 과정을 증진시킬 수 있는 탐구 중심의 교수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현실에서 사용되는 실제 언어 자료들을 ‘<보기>’의 대상으로 제시하고 이 자료의 정확한 해석과 그와 관련되는 언어 자료를 적용시키는 학습이 유용하다고 제안하였다. 끝으로 혼동하기 쉬운 어휘들을 중심으로 학습할 것을 주장하였다. For this paper, I extracted certain test questions from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alyzed them, and discussed them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From 20 years of questions papers, I selected 33 questions out of 2919 based on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from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College Scholastic Aptitude Pretests, and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Out of the 33 questions, 25 are Korean orthography-related questions and eight are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related questions. Questions combined with rewriting are the most characteristic of Korean educational norms. Of the eight questions based on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 three were related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and five were related to the standard pronunciation of law in Korean language standardization. Based on these results, I have proposed fou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characteristics of Korean educational norms: principle-centered education linked, inquiry-based education, analysis of correlation-based education, and confusion-centered learning vocabulary.

      • KCI등재

        국어 어문 규범 교재의 성격과 어휘 선정 원리

        이관규 ( Kwan Kyu Lee ),신호철 ( Ho Cheol Shin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1 문법 교육 Vol.14 No.-

        We have discussed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Korean norm textbook and principles of vocabulary selection. In chapter 2, we discussed the direction of korean norm textbook. We indicate two basic rules and six specific ways to develop the textbook of Eomun-gyubeom. The basic rules of developing the textbook of Eomun-gyubeom are based on the increase of public recognition on Eomun-gyubeom and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of Eomun-gyubeom education. In chapter 3, we discussed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the textbook. We pointed out three characteristics that the textbook has. First, the textbook ① supports to embody the basic spirit of Korean education, ② improves the ability of Eomun-gyubeom and leads active and convenient Eomun life, ③ inspires the interest in Eomun-gyubeom and enhances the attitude to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In chapter 4, we introduced principles that we applied to the step-by-step textbooks of Eomun-gyubeom. Those are ① principle of selecting the stages of vocabulary contents, ② principle of selecting vocabulary contents, ③ principle of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educational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