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나가사키현 사키토정 「埋火葬認許証交付簿」 등재 조선인 사망자 분석(1940~1945)

        김명환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7

        본고에서는 일본 나가사키현 사키토정 「埋火葬認許証交付簿」에 등재된 조선인 사망자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사망자들에게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되는 사키토정의 탄광산업에 대해서도 개괄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사키토정은 본래 한적한 어촌이었으나, 1907년 규슈탄광기선(주)이 설립되고 곧이어 사키토탄광이 개발되며 급속히 탄광촌으로 변모하였다. 사키토탄광은 개설 이래 꾸준히 성장하여 1930년대 중반에는 일본 내 탄광 중 10위권에 들어가는 유명한 채탄장으로 발전하였다. 1940년 9월 미쓰비시광업(주)은 규슈탄광기선(주)을 합병하여 사키토탄광을 흡수하였다. 사키토탄광은 1910년대 초부터 조선인 노동자를 채용하였던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나 조선인이 대규모로 동원되기 시작한 것은 전시체제 성립 이후인 것으로 보인다. 조선인 동원은 주로 경상도와 전라도 양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노무관리는 매우 혹독하게 이루어졌다. 1944년 1월 당시 사키토정 거주 조선인 규모가 전국 탄광촌 중 5번째였다는 점에서 사키토탄광으로의 조선인 동원이 대규모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埋火葬認許証에는 사망자의 인적사항 및 사망과 관련된 정보가 자세하게 수록되어 있다. 분석대상이 된 1940~1945년 사키토정 「埋火葬認許証交付簿」에 등재된 조선인 사망자는 211명이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내용이 확인되었다. 첫째, 사망자들의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5세 이하 영유아 및 16세 이상 30세 이하의 청년층 사망자가 많은 것으로 확인된다. 청년층 사망자가 많은 것은 이들이 위험한 직종이나 작업장에 몰려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사키토탄광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5세 이하 영유아 사망자가 많았다는 점에서 당시 사키토정에는 젊은 조선인 부부 혹은 가족이 많이 거주하고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사망자들의 출신지역을 살펴보면 경상도 및 전라도 출신이 전체 사망자의 88.6%를 차지하고 있다. 이것은 당시 사키토탄광으로 동원된 조선인들이 대부분 영호남 지역에서 모집되었다는 증언과 일치하는 것이다. 셋째, 사키토정 「埋火葬認許証交付簿」에 직업이 기재된 조선인 사망자 114명 중 112명은 탄광노동자였던 것으로 확인된다. 직업이 기재되지 않은 사람 중에서도 사망장소 및 사망이유로 보아 2명은 탄광노무자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즉 사키토정 「埋火葬認許証交付簿」 등재 조선인 사망자 211명 중 114명은 탄광노무자였다. 넷째, 사망원인으로는 갱내 탄광사고가 14.2%를 차지하고 있고, 落磐事故에 의한 사망이 가장 많이 발견된다. 變死變傷死가 28건이나 확인되는데, 사망원인으로 보아 구타 등 가혹행위에 의하여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갱외 부상 및 질병 등에 의한 사망은 143명으로 전체의 67.8%를 차지하는데, 여기에는 15세 이하인 자가 76명 포함되어 있다. 탄광노무자로 확인되는 114명 중 갱내 사망자는 47명으로 역시 낙반에 의한 사망이 가장 많다. 갱외에서 사망한 67명 중 24명은 질병이 아닌 부상으로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attempted to analyze the death of Korean people, which was listed on the Certificate of Burial or Cremation(埋火葬認許証) in Sakito-cho, Nagasaki-ken, Japan. And it also overviewed the coal mine industry in Sakito-cho that was considered to exert influence over the dead. Sakito-cho was originally a remote fishery town. However, it underwent a rapid transformation into a coal mine village as Kyushu Colliery & Steamship Co.(九州炭鑛汽船株式會社), was established in 1907, and consequent development of Sakito coal mine(崎戶炭鑛). Since its establishment, Sakito coal mine continued to expand to become a famous coal mine, ranked among top 10 Japanese coal mines by the mid 1930s. On September 1940, Mitsubishi Mining Co.(三菱鑛業株式會社) merged Kyushu Colliery & Steamship Co., to absorb Sakito coal mine. It was confirmed that Sakito coal mine had hired workers from Joseon (the last dynasty of Korea) since the early 1910s. However, it seemed that the fully-fledged mobilization of labors from Joseon took place after the establishment of war-system. The mobilization was mainly occurred in Gyeongsangdo(慶尙道) and Jollado(全羅道) provinces and labor management was carried out in a very severe manner. As of January 1944, the size of Joseon people living in Sakito-cho marked the 5th in the rank of the all coal mine towns in Japan, indicating that there was a massive mobilization of Joseon people to Sakito coal mine. The Certificate of Burial or Cremation contained the details of the personal data and death of the dead. The number of the dead people of Joseon listed on the Certificate of Burial or Cremation of Sakito-cho from 1940 to 1945 was 211, which was the subject of the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e followings:- First, the age-based distribution of the dead showed that many of them were children under age 5 and young people from age 16 to 30. A high number of youth deaths indicated that they had been engaged in dangerous occupations or workplaces. It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Sakito coal mine. The large number of children under age 5 let us presume that there were a number of young Joseon couples and/or families in Sakito-cho at the time. - Second, looking at the native regions, we could find that 88.6% of the dead accounted for those who had been from Gyeongsangdo(慶尙道) or Jeollado(全羅道). It coincided with the testimony saying most of them mobilized to Sakito coal mine were recruited from Yeongnam(嶺南) and Honam(湖南) regions at the time. - Third, among 114 Joseon people whose occupations were recorded in the Certificate of Burial or Cremation of Sakito-cho were confirmed to be coal miners. The two who did not have the record on their occupations, their places and causes of death elucidated their occupations as coal mine workers. In other words, 114 people out of the 211 dead people of Joseon listed on the Certificate of Burial or Cremation of Sakito-cho was mine workers. - Fourth, as for the cause of death, mine accidents in the pit accounted for 14.2% and mine cave-in accident was the primary cause of death. 28 people died violent deaths and the cause of death allowed us to presume that they were dead due to abuse such as beating. The number of death by injury outside pit and illness was 67.8%, including 76 people under the age of 15. Among 114 people who were confirmed their occupation as mine workers, 47 people were dead in the pit and the highest cause of death were cave-in. Among 67 people killed outside the pit, 24 workers appeared not by illness but by injury.

      • KCI등재

        일본 홋카이도 아사지노비행장 건설 조선인 강제동원 실태에 대한 고찰

        서인원(Seo, In-Won) 한일관계사학회 2020 한일관계사연구 Vol.69 No.-

        1942년에서 1944년 사이 일본 홋카이도 아사지노지역의 육군 비행장건설에 강제 동원되어 사망한 조선인들에 대한 진상규명을 하기 위해 「아사지노신증사(信證寺)과거장」, 「사루후쓰무라 매 · 화장허가기록」, 「하마톤베쓰쵸 매 · 화장허가기록」, 「홋카이도개척순난자조사보고서(1991)」등에서 아사지노비행장 건설 사망자 명부와 피해 신고서를 비교 분석하여 사망자피해 실태를 파악하고 사망자의 사망원인, 노동환경에 대해 분석하여 강제동원 및 인권유린 실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명부, 사료, 다코베야 수용시설 등을 종합하면 조선인은 아사지노비행장에서 1,000~1,200명 정도 거주했을 것이고 사망자는 300~400명으로 추정할 수 있다. 현재 남아있는 명부인 「강제연행기 홋카이도 조선인 사망자명부」, 「아사지노 신증사(信證寺)과거장」, 「홋카이도개척순난자조사보고서」,「하마톤베쓰쵸 매화장인허증」을 정리하여 99명 정도의 조선인 사망자 명단을 확보할 수 있었다. 명부를 분석하면 건설업체 책임자가 학대와 폭행치사 등의 사망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매화장인허증을 작성했을 때 사인을 허위로 작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丹野組는 사망자의 현주소가 존재하지 않은 비행장 관계 함바로 기입을 하고 허위 사망원인을 적은 매화장인허증을 하마톤베쓰쵸에 제출한 것도 있었다. 허위 매화장인허증은 사루후쓰무라에서 받아주기 않기 때문에 하마톤베쓰쵸에 사무실이 있는 것처럼 꾸며 사망신고서를 해당 관공서에 제출한 것이다. 또한 도망간 조선인을 잡아 구타로 사망하게 해놓고 매화장인허증 사인에는 정신이상, 변사 등으로 기재하고 있다. 이것은 홋카이도신문, 관련 사료, 증언 등의 분석을 통해 조선인이 구타에 의해 사망했다는 것을 입증할 수 있었다. 노동환경면에서 강제 동원된 조선인은 가혹한 중노동으로 영양실조가 되거나 장티푸스, 설사 등이 계속되어 치료도 받지 못하고 공사 현장에서 사망하는 경우도 많았다. 조선인 사망자 59%가 공사 현장인 아사지노비행장 대지와 현장막사에서 사망한 것은 과로사를 입증해주는 데이터이다. 이런 사망 원인은 가혹한 중노동, 인권유린, 감금, 폭행치사, 도주 감시 등 혹독한 노동환경에서 왔다. 일본 홋카이도 아사지노지역 사망자 현황과 피해 증언의 의하면 강제동원 조선인 사망자들은 대부분 강제 동원되었고 면서기, 일본경찰, 헌병, 행정직원들에 의해 조직적으로 강제 동원되었고 가혹한 노동과 열악한 노동환경에서 희생되었다는 것이 증명된다. We were analyzed in the list of victims, Certification for Burial and Cremation in order to clarify the facts about the Koreans who were forced to build an army airfield at Asajino in Hokkaido, Japan from 1942 to 1944. We analyzed the history of the forced mobilization of Asajino Airfield and the cause of death and the place of death in the list, proves the fact of forced mobilization. Analysis of victims list and materials proved that Koreans would have lived at about 1,000 to 1,200 people at Asajino Airfield and victims could be estimated at 300 to 400 people. The list of about 99 Korean victims could be obtained. When we analyzed the victims list, it was often the case that the person in charge of the construction company made false autographs when he wrote Certification for Burial and Cremation to cover up the deaths of abuse and assaults. There was also a case where the victims residence address was forged and submitted to the other government office. Koreans forced to work in the labor environment often suffer from malnutrition due to severe hardship, typhoid fever and diarrhea. 59% of Korean victims died at the Asajino Airfield site and barracks. Analysis of the list and the feed showed that Koreans were forced to work to Asajino at that time and that they were sacrificed in harsh and depressed working environments in construction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