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악기로 활용 전래된 불전의 악기 연구

        박두리나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6 No.-

        Most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currently being played are introduced from Chinese ancient musical instruments. Except for a few musical instruments such as gayageum, geomungo, and daegeum, all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were imported from China. In history, there have been musical instruments in China since 6,000 B.C. Among them are the Indian musical instruments brought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from India. The names of Indian musical instruments are replaced by the names of Chinese musical instruments as the Buddhist Scriptures have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the ancient musical instrument Vinna of South India and Sidal of North India. These musical instruments are Indian musical instruments passed to China along with Buddhism.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lated into Chinese, the musical instruments’ names were changed to gonghu, yurigeum, and bipa in Chinese. There are many musical instrument names in the Chinese version of Buddhist Scriptures. Most of the ancient musical instruments in China are recorded there. They are introduced as musical instruments for playing Buddhist music. Among these instruments, there are musical instruments that are compatible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currently being played in Korea. The history of the musical instruments that have come to Korea from China is sometimes said to begin with the introduction of Daesung Aak (大晟雅樂) of the Song Dynasty in AD 1114. However, earlier in the year of AD 372, Buddhism was introduced to Korea, and the names of musical instruments were probably transmitted through the Buddhist Scriptures. It is not certain yet which Buddhist Scriptures came first, but it is certain that the Buddhist scriptures existed before the instruments came in from China. Therefore, the names of Chinese musical instruments in Korea began to be introduced by the Buddhist scriptures. Given that these instruments are currently being played as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s, this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names of Korean musical instruments were first known through the Buddhist scriptures. This study firstly aims to identify the fact that the names of the musical instruments have been record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and handed down. Next, it aims to identify the kinds of musical instruments used in the performance as the national musical instruments in Korea among the instruments record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Through this study, it aims to reveal the fact that ancient Indian and Chinese musical instruments, which were played in Buddhist music, were introduced to Korea and are now being used as Korean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현재 연주되고 있는 우리의 국악기는 대부분 중국의 고대악기가 유입된 것이다. 국악기 중에 가야금, 거문고, 대금 등의 소수악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악기이다. 중국은 기원전 6천년 전부터 악기가 존재했던 것으로 역사가 전한다. 그중에는 인도로부터 불교가 전래되면서 함께 유입된 인도의 악기가 포함되어있는데 이러한 악기들은 불전이 한역되면서 중국악기 명으로 바뀌었다. 따라서 불전에는 인도의 악기가 중국악기의 이름으로 바뀌어 전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남인도의 고대악기 빈나(Vinna)와 북인도의 시달(Sidal)을 들 수있다. 이 악기는 불교와 함께 중국에 전해진 인도악기인데 불전이 한역 되는과정에서 중국의 공후(箜篌), 유리금(琉璃琴), 비파(琵琶) 등으로 악기명이 바뀌었다. 한역 불전에는 많은 악기 명이 전하고 있다. 중국의 고대악기 중에 대표적인 악기는 대부분 기록되어 있다. 불교음악을 연주한 악기로 소개되어 있는데, 이러한 악기 중에 현재 우리나라에서 연주되고 있는 국악기와 동인한 악기들이 있어 관심을 끌고 있다. 중국으로부터 우리나라에 유입된 악기의 역사는 A.D 1114년 송나라의 대성아악과 함께 들어온 것으로 전한다. 그러나 그보다 일찍 372년에 우리나라에 불교가 들어오면서 경전을 통하여 악기의 이름이 전해진 것으로 보여서 관심을 끌고 있다. 아직까지 어떤 경전이 최초로 들어왔는지 확인되지 않고있지만 중국으로부터 악기가 들어오기 이전에 불교경전이 존재하고 있던 것은 확실한 사실이기에 우리나라에 중국악기이름이 소개된 것은 불교경전이 최초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악기들이 현재 국악기로 연주되고 있음을 보면 우리의 국악기가 불교경전을 통해 그 이름이 최초로 알려졌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불전에 악기의 명이 기록되어 전한다는 사실과 악기의 종류를 확인하고 불전의 부처님의 탄생, 출가, 열반에 어떤 악기가 등장했는지 살펴보겠다, 또한 그 악기들이 어떻게 전래되어 활용되었는지를 살펴보겠다. 이와 함께 불전에 기록된 악기 중에 현재 우리나라 국악기로서 연주에 활용되고 있는 악기를 밝혀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불교음악에 연주되었던 고대 인도와 중국의 악기가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현재 국악기로 활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서 널리 알리고자 하는 것이다.

      • KCI등재

        佛經故事의 中國故事化 과정상의 특징 및 의의 ― 佛經淵源類故事를 중심으로

        연소영 중국어문학연구회 2019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115

        This paper aim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atterns of the stories that originat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and discuss that meanings. I distinguish and define between ‘Buddhist Stories(佛教故事)’, ‘the storie that originated in the Buddhist scriptures(佛經淵源類故事)’ and ‘the storie that evolved in he Buddhist scriptures(佛經演變類故事)’. I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ist scriptures and the stories that originat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However the stories that originat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in comparison with the stories that evolved in the Buddhist scriptures, has fewer stories. But it founded that the some of the stories contents has a direct impact from the Buddhist scriptures. Through this, I explained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Buddhist stories.

      • KCI등재

        唐代 官人의 佛經 傳播와 役割

        김은정 중국사학회 2024 中國史硏究 Vol.- No.147

        불교는 당대에 이르러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당대는 황실 주도 하에 대대적인 역경사업이 진행되었고, 번역된 경전은 강경, 사경, 매매 등의 방식으로 전파되었다. 여기에서 관인은 황실에서 공적인 역할을 부여받기도 하였고, 개인적인 활동을 통해 불경을 지역사회에 전파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관인은 공적 영역에서 국가권력이 주도한 역경사업에 참여하여 윤문과 감호의 업무를 맡았고, 경전을 직접 번역하기도 했다. 사적 영역에서는 불경 주석서와 영험기를 직접 편찬하였고, 고승대덕에게 불경 주석서 편찬을 요청하고 경제적으로 후원하면서 불경 확산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관인 역시 개인의 목적으로 사경 및 각경 활동을 하였는데 이러한 행동이 간접적인 불경 전파의 요인이 되었다. 사경 활동으로 다양한 불경이 확산되었고, 각경 활동으로 경전이 보존되고 시각적으로 전파되는 데에 도움을 주었다. 관인들의 사경 및 각경 활동은 주로 불교의 사후세계관과 유교의 ‘효’ 관념이 결합된 가족의 추복과 평안을 기구하는 목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대승불교의 공통적인 목표인 일체중생을 위해서도 발원하였다. 개인과 종교적인 목적뿐 아니라 관인이라는 신분으로 정치적 의미의 발원 역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당대 중후기 幽州의 節度使와 하급 관인들은 황제와 상관을 위해 각경 활동을 끊임없이 진행하였다. 대체로 정치적 목적과 시대 상황이 부합되어 황제의 수복강녕, 상관의 공훈을 작성하고, 지역의 평안을 발원하였다. During the Tang Dynasty, Buddhism permeated secular society, influencing various aspects such as politics, literature, and culture. The initial phase of Buddhism's integration into the secular realm commenced with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The imperial family of the Tang Dynasty spearheaded this translation project, disseminating a substantial volume of translated scriptures through oral communication, the transcription of Buddhist scriptures, as well as through buying and selling them. In this process, Tang officials, belonging to the elite intellectual class, assumed a public role within the imperial family. They played a pivotal part in spreading Buddhist scriptures and were instrumental in the populace's acceptance and subsequent dissemination of these scriptures. Generally, the officials of the Tang Dynasty were primarily responsible for proofreading and acting as Guardian Ambassadors (監護大使). On a personal level, certain officials engaged in interactions with monks, supporting the compilation of commentaries on Buddhist scriptures. Additionally, they personally wrote commentaries on Buddhist scriptures and even authored works such as the Diamond Sutra Lingyan-ji (『金剛經』靈驗記). Additionally, Tang officials played a role in copying Buddhist scriptures or sutras for personal use, and officials like the Jiedushi (節度使) prayed for the well being of the emperor or high ranking officials, as well as the stability of the region. The fundamental objectives of family peace and the restoration of ancestors were also expressed through the use of Buddhist scriptures, combining Buddhist post world views with Confucian filial piety. Their leading role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the widespread dissemin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n basic society, exerting a profound influence on preserving a substantial collection of these scriptures.

      • KCI등재

        불경계 서사의 소설적 변용과 그 의미

        김진영(Kim, Jin-young)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2 No.-

        This thesis is studied about the Aspect of Novel Writing and Acculturation in Narration of Buddhist Scriptures. First the real condition of narr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novel acculturation is searched, and then that meaning is examined in terms of diachronic and synchronic aspects. The main content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agery of narr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its novel acculturation is searched. The narr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s come to the fore in literary history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Choseon Dynasty intensively. At this time Buddhism was at a squeeze, finally institutionally the exclusion of Buddhism was done. In Buddhism, for the solve the problem it did its best to be active in propagating. The whole life of Buddha and his story of previous life would be treated seriously. But the problem is that a subject and a view of life of narr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re not like Buddhism. Some parts of that works put a Confucian idea. And these paint are an index to aim at novel. Second it is searched about the aspect of novel writing and acculturation in narr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n here it is searched about novel writing and acculturation actively. As a result these works are reflected confucian carnality a lot in terms of view of life, and in terms of religion confucian real world is important. In terms of subject important thought of confucian is emphasized. That's the reason why it is transformed the classical novel at the Choseon Dynasty. Third the literature meaning of narr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s searched. First in narrative literature a harmony of Buddhism and Confucian is come true at the early times. Besides a narr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re harmonized Buddhism and Confucian properly. And in the way that narration of Buddhist scriptures were a propagation text in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and the Early Years of the Choseon Dynasty, it is much attention in korean novel history. Like this, a narration of Buddhist scriptures were collected religious aims and worldly interests, so they were been korean novel as much as a novel of the end of Choseon Dynasty.

      • KCI등재

        13세기 전기 간행 불서의 분석

        김성수 한국서지학회 2004 서지학연구 Vol.2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bibliographically Buddhistic scriptures published in the early thirteenth century, one of the most turbulent times in Korean history. An attempt is made to examine what kind of relationship was there between the historical situation and the publication of Buddhistic scriptures, whether these scriptures had any spiritual influences on the Buddhism and the public, and what was the implication of publishing individual Buddhistic scriptur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1) Nammyongsongjungdo-ga(南明頌證道歌) considered to complete twelve Buddhistic scriptures published by the Chogye Buddhistic Order and Susonsa, was published in 1239 by the offerings of Choi Yi who wanted to improve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Susonsa and the military regime.2) Bophwagyong Kyehwanhae(法華經 戒環解), the theoretical basis of Baengnyon Kyolsa as well as the completion of three Buddhistic scriptures published by the Chontae Buddhistic Order and Baengnyonsa, was also published in 1240 by the offerings of Choi Yi for the same purpose of improving the relationship with Baengnyonsa.3) Koryo Chaejo Taejanggyong(高麗再雕大藏經) published in 1251, was also completed by the financial support from Choi's military regime.In conclusion, the public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the carving of <Koryo Chaejo Taejanggyong> can be considered to play a role as a centripetal force which promoted the public who wanted to defend the country by relying on Buddhism. 이 논문은 한국의 역사 중 가장 격동의 세기였던 13세기 전기(前期)에 간행된 불서들에 대하여 서지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13세기 전기의 시대상황과 불서의 간행이 어떠한 상관관계를 지니며, 또한 이들 간행불서가 그 시대 불교계와 민중들에게 각각 어떠한 정신적 영향을 끼쳤는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들 개개불서 간행의 의미는 과연 무엇인가를 추출하였다. 연구의 결과, 1) 13세기 전기 조계종(曹溪宗) 및 수선사(修禪社)에서 간행된 12종의 불서에 대한 결산(決算)이라 할 수 있는 남명송증도가(南明頌證道歌)는 1239년에 최이(崔怡)의 발원에 의하여, 수선사와 무신정권과의 더욱 원활한 관계개선을 위한 목적에서, 鑄字版을 목판으로 거듭 새겨(重彫)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2) 13세기 전기에 천태종 및 백련사에서 간행된 3종의 불서에 대한 총결이면서 백련결사의 이론적 기반이라 할 수 있는 법화경 계환해 또한 1240년에 최이의 발원에 의하여, 백련사와 무신정권과의 관계개선이라는 특정한 목적을 지니고 간행하였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3) 1251년에 완성된 고려재조대장경 또한 최씨 무신정권의 재정적 지원에 의하여 완료되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불서들의 간행 및 고려재조대장경의 조조는, 오로지 불법을 신봉하는 맑고 바른 마음에서 국가를 수호하고자 하는 일반백성들의 민족적 동질감을 불러일으킴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행동을 유발시키기 위한 방법론, 즉 대몽항쟁을 위한 민족적 구심점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딥러닝으로 불경 읽기 - Word2Vec으로 CBETA 불경 데이터 읽기

        김바로(金바로)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0 No.-

        본 연구는 CBETA(씨베타) 불경 데이터를 대상으로 딥러닝 방법인 Word2Vec(워드투벡)을 통해서 불경을 분석하고 시각화하는 방법을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인공지능이 불경을 읽는 방법의 장단점을 검토했다. 우선 인공지능에 대한 불교학 연구가 인공지능에 대한 비판의 측면에 집중되어 있는 현상을 제시하며, 인공지능을 활용한 불교학 연구를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Word2Vec을 통한 불경 분석의 이론적 배경과 분석 알고리즘을 서술하였다. 또한 불교학 연구자가 분석 결과를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불교학 연구자가 분석 결과에 손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 분석 방법의 장점으로 ‘넓게 보기’, ‘다르게 보기’, ‘디지털 학문 선순환’을 제시하였고, 단점으로 ‘형태적인 접근의 한계’, ‘설명 불가능한 인공지능’, ‘해석 불가능한 인공지능’의 문제를 서술하였다. 그리고 서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불교학의 지식과 사유를 디지털에 이식하기 위한 불교학 디지털 온톨로지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how to analyze and visualize the Buddhist scriptures using the deep learning method Word2Vec using CBETA data, and based on this, examin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how artificial intelligence read the Buddhist scriptures. First of all, the Buddhist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presented a phenomenon focusing on the aspects of criticism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roposed the study of Buddhis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this e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analysis algorithm of Buddhist scripture analysis through Word2Vec were described, the method by which Buddhist researchers could explore the analysis results was presented, and a visualization method was presented to enable Buddhist researchers to easily access and use the analysis results. Finally, the strengths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re "broad view," "different view," and "digital academic development," while shortcoming was to describe the limitations of formative approach, unexpl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comprehensible AI problems. And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 described, I proposed a Buddhist study digital ontology to transplant Buddhist knowledge and manas to digital.

      • KCI등재

        Genres of Buddhist Commentarial Literature in Medieval China

        LI Silong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Buddhist Thought & Cultur Vol.31 No.2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re were many types of Buddhist scripture-interpretation literature, including xuanyi 玄義, xuanlun 玄論, yishu 義疏, yizhang 義章, etc. These exegetical forms are related to Chinese traditional literary style, but mainly inherit the tradition of Indian Buddhist hermeneutics. In this paper, all such types would be summarized as yi (義, exegesis), lun (論, treatise) and shu (疏, commentaries), which are described as follows. The style of yi is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tradition of the Confucian classic Spring and Autumn Annals, which finds two variants in the interpretation of Buddhist scriptures. The first is yizhang as the general interpretation of Buddhist ideas, such as Dasheng yizhang by Jingying Huiyuan, and the second is xuanyi as the general exegesis of a Buddhist scripture, such as Fahua xuanyi by Zhiyi. Lun for Buddhist treatises is the same term used for Chinese traditional treatise lun, but its connotation mainly derives from Indian Buddhist hermeneutics. There are two variants of this style, one is a general interpretation, such as the Dasheng xuanlun by Jizang, and the other is general exegesis, such as Fahua xuanlun by Jizang. Sometimes, this style is also titled with yizhang and xuanyi. Shu as a genre of literature, which is related to Chinese tradition of classical annotation, usually means record, classification, and interpretation of various commentaries. When interpreting Buddhist scriptures, this genre explains Buddhist scriptures from the perspective of yi and is later called yishu, such as in Qixin lun yishu by the author Jingying Huiyuan. It is often also referred to as yiji 義記, jijie 集解 or wenju 文句. Yi and lun are actually the same style or genre, typically having a small number of volumes (juan 卷, rolls or scrolls) and focusing on a few profound meanings. There are many examples of yishu that had such a wide influence that the term changed to become zhangshu 章疏—together with yizhang—since the Tang dynasty.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yi and lun gradually faded out while zhangshu continued to be produced. This change is an indication that the focus of Chinese Buddhism shifted from Indian Buddhist scriptures to Chinese patriarchal works deriving from Buddhist schools, such as Tiantai, Huayan, Chan, and Pure Land Buddhism.

      • KCI등재

        唐代 譯經事業과 監護

        김은정(Kim, EunJ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20 역사문화연구 Vol.76 No.-

        본 논문에서는 唐代에 譯經事業이 전성기를 이룰 수 있었던 배경으로 국가의 후원과 감독의 역할에 주목해보았다. 貞觀年間을 시작으로 당 정부는 역경사업에 적극적으로 후원하였고 유교 관료로 구성된 監護大使를 파견하였다. 당 태종 시기 승관제도가 鴻臚寺와 祠部로 예속되면서 역경사업 역시 자연스럽게 국가권력 아래 감독을 받게 되었다. 정관연간 사서와 유교 경전의 대규모 편찬사업이 진행된 바 있는데, 당시 편찬사업에서 감수국사를 담당했던 관원들이 대체로 역경사업에도 파견되었다. 당 전기 황제는 국가권력의 정당성을 강화하고, 중후기 황제는 내우외환의 시기에 호국이라는 정치적 목적을 현창하기 위해서 역경사업을 활용하였다. 감호는 前秦 시기부터 형성되었지만 당대에 이르러 국가권력의 적극적인 후원 아래 그 역할이 확립되었다. 監護大使의 명칭은 매 역장마다 차이가 있었지만, 공통적으로 역장을 관리하고 경전을 검열한 후 황제에게 진상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감호대사의 직무는 당 중후기에 이르러 전문화되었다. 그들은 주로 황제의 측근 인물, 문관학사 출신, 불교와 친연한 관료들로 구성되었다. 황제는 측근을 감호대사로 파견함으로써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다. 또한 학술 능력이 뛰어난 감호대사를 통해 불경 번역의 완성도를 높이면서 정치적으로 유불도 화합을 추구하였다. 당대 국가권력의 개입, 후원과 감독으로 인해 역경사업은 정점에 달하였고, 대량의 불경이 번역되고 전파되면서 중국불교가 토착화되는 요인 가운데 하나로 작용했던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why Buddhist Scriptures Translation reaches its peak in the Tang Dynasty and argues that it is the active patronage and supervision of the imperial family that made the Buddhist scriptural translation project(譯經事業) at its peak. It also explores the background,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ntinuous support for the project from the royal family. The Tang Dynasty Buddhist scripture translation project was mainly influenced by the political implications to establish the legitimacy of the imperial power and to pray for national peace. Institutionally, a system of monk officials, was incorporated into the Hong Lu Si(鴻臚寺) and Ci Bu(祠部) to supervise Buddhist affairs under national orders. The Buddhist scriptural translation as a continuation of the series of compilation work by history book and Wujing Zhengyi(五經正義) during the King Tang Tai-zong implies the nature of the national project. Moreover, from Tai-zong to De-zong the emperor himself participated in the Buddhist scripture project to write the preface of the scriptures. The emperor also dispatched Guardian ambassador(監護大使) who were the closest aides to the emperor to the Buddhist scripture translation centers to manage and supervise the operation of the project. As the Tang imperial family regarded the Buddhist Scriptural translation projects as the national project, the transl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from the Tang Dynasty are relatively accurate and in large amounts. With active sponsorship and management, the Tang family sought to legitimate imperial power and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emperor.

      • KCI등재

        조선후기 불교 講學私記의 종류와 定本化의 필요성

        이종수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7 南道文化硏究 Vol.0 No.33

        It seems that an educational commentary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occurs with the formation of Buddhist education. An educational commentary of Buddhism is a commentary about the study of and discussion about Buddhism. Certain texts examine the history of Buddhism. These also explain phrases used in discussion and the expression of personal opinion during the study of Buddhism. This commentary has some similarity to the p`ilgi Genre with Ch`agi Style which was popular with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gi Style is similar to an individual commentary on Buddhist scriptures. This is because it includes what the students saw and experienced. However, an individual commentary on Buddhist scriptures has an educational character mostly, so it could be a different text. Some commentaries about Buddhism include interpreted letters or contexts of Buddhist education textbooks that are written personal opinions about several scriptures or theses. Buddhist education textbooks were comprised of individual commentary on Buddhist scriptures in existing research. However, the category of educational commentaries is not limited to only Buddhist education textbooks. Manuscripts of summaries of Buddhist doctrine written in the late 19th century show educational interest. Even though these commentaries are significant they weren’t accepted as cultural assets and were disregarded by researchers. Therefore, we need to study educational commentaries of Buddhism in order to understand Buddhist thought in the late Joseon dynasty. Original text conversion is important to the study of educational commentaries. The three steps are collection, input of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cursive style, and compilation. We can gather widespread educational commentaries in all parts of the country through collection, class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f Chinese characters and making original texts by compilation. Completing this process would be begin in earnest research about educational commentaries. 조선후기 불교 講學私記는 강원의 성립과 더불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강학사기란 불교 경론 연구의 주석서이다. 개인이 공부하는 과정에서 경론의 문구에 해 고증학적 으로 조사한 내용을 설명하거나 개인의 생각을 간략하게 적어놓은 것이다. 이러한 사기 는 조선후기 유교에서 유행했던 箚記体 필기류와 유사한 점이 있다. 箚記 역시 보고 느낀 점을 간략하게 적어놓은 메모이므로 불교의 私記와 형식적으로 비슷한 면이 있다. 하지만 불교 사기는 체로 교학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으므로 차기와는 다른 글이라고 할 수 있다. 불교 강학사기의 종류로는 강원 교재의 글자나 내용을 해석한 講院私記와 여러 경전 이나 논서에 한 개인의 생각을 적어 놓은 硏學私記가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강원교 재의 사기만을 불교 사기라고 표현하였으나 강학사기의 범주는 강원 교재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19세기 후반에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연학사기들은 당시의 교학적 관심을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연구 가치가 높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사기들은 그 중요성에도 불 구하고 문화재로서 인정받지 못하고 연구자들로부터 외면 받아왔다. 조선후기 불교 사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강학사기에 한 연구가 필요하다. 강학사기 연구의 전단계로서 定本化가 필요하다. 강학사기의 정본화는 집성-탈초-회 편의 세 단계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집성을 통해 전국 강학사기를 수집하고, 탈초를 통해 그 계통에 따라 분류하며, 회편을 통해 정본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선행될 때 비로소 강학사기에 한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김시습의 『林泉佳話』 연구

        차충환 한국한문학회 2023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7

        Yimcheongawha(林泉佳話, A beautiful story written in nature) is writing by Kim Si-seup. From the foreword, it can be seen that this book is related to Buddhism. The total number of each pieces is 70. Each story uses the contents of existing writings such as Buddhist scriptures, Seoneorok 禪語錄, and Koseungjeon 高僧傳, or historical events. The author looked at Buddhist-related writings and recorded the part as it was if there was something that matched his thoughts. And with that, he completed one of each piece. In addition, the author presented his opinion before or after each piece and supported it with existing writings or historical events. In most cases, existing writings or historical events are used as positive examples to support the author's opinion, but on the contrary, they are also presented as objects of disagreement or criticism. In each pieces, there is an interpretation of the nature and meaning of the Buddhist scriptures. In addition, there is also a supplementary explanation of some contents of the Buddhist scriptures. There are many stories that describe the author's usual knowledge about the essence of Buddhism. But above all, what is noteworthy are the stories based on the author's direct experience. In Yimcheongawha, there are many contents that criticize the wrong understanding of the Buddhist system or customs, or the corruption of Buddhist temples or monks at the time. Most of these are based on the author's own experience. The main contents of Yimcheongawha are the description of the essence of Buddhism, the Buddhist system and customs, the story of the essence and attitude of monks, and the criticism of the corruption of Buddhism. Among them, the stories describing the essence of Buddhism and the nature and attitude of monk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supplementing the articles of the Myobeopyeonhwagyeongbyeolchan 妙法蓮華經別讚 or Japjeo 雜著. However, the story of the Buddhist system and customs, and the contents showing the corruption of Buddhism, do not appear in Kim Si-seup's other writings. Kim Si-seup has produced philosophical books such as JodongOwiyohae 曹洞五位要解, texts interpreting the essence of Buddhist scriptures, and editorials describing overall knowledge and views related to Buddhism. They are generally philosophical, logical, and persuasive. However, each story in Yimcheongawha is relatively short, and the method of composition is also in a way that utilizes the contents of existing materials or historical events. In addition, the critical perspective of the author stands out in each piece. Therefore, Yimcheongawha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Buddhist criticism books. Kim Si-seup is a person who studied Buddhism. He also lived as a monk. In the process, he not only wrote profound philosophical books such as JodongOwiyohae, but also left writings that reflected real life aspects such as Yimcheongawha. In that it shows the journey of Kim Si-seup's life, Yimcheongawha is one of the writings that eloquently describes Kim Si-seup's life. 『임천가화』는 김시습의 저술로서, 머리말을 통해 불교 관련 저술임을 알 수 있으며, 각편의 수는 총 70화이다. 각 이야기는 불경, 선어록, 고승전 등 기존 저술의 내용이나 고사를 활용한 것이 많다. 저자는 불교 관련 저술을 보면서 자신의 생각과 합치되는 내용이 있으면 그 부분을 그대로 전재하여 각편 하나를 완성했다. 또한 저자의 견해를 각편의 앞이나 뒤에 제시한 뒤, 그것을 기존 자료나 고사로 뒷받침하는 서술방식도 두드러진다. 기존 자료나 고사는 저자의 견해를 뒷받침하는 긍정적인 사례로 활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반대로 이견이나 비판의 대상으로 제시되기도 하였다. 불경의 본질과 의미를 해석한 각편이 있고, 불경의 일부 내용을 보충 설명하는 것으로 각편 하나를 완성한 사례도 있다. 불교의 이치에 관한 저자의 평소 지식을 서술한 이야기도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주목되는 것은 저자의 직접 체험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들이다. 『임천가화』에는 불교 제도나 풍습에 대한 잘못된 이해를 비판하거나 당대 사찰이나 승려의 타락상을 비판한 내용이 많은데, 이들은 대부분 저자의 직접 체험을 바탕으로 한 것이다. 『임천가화』의 내용은 불교의 본질과 이치를 서술한 것, 불교 제도와 풍습에 대한 내용, 승려의 거취와 고승에 관한 이야기, 불교의 타락을 비판한 내용 등이 주를 이룬다. 그중에서 불교의 본질과 이치를 서술한 것과 승려의 거취와 고승에 관한 이야기는 『묘법연화경별찬』이나 『잡저』의 논설을 보완하는 성격을 지닌다. 그러나 불교 제도와 풍습에 관한 이야기와 불교의 타락을 보여주는 내용은 김시습의 다른 저작이나 글에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김시습은 『조동오위요해』와 같은 철학 사상서를 비롯하여 불경의 본질을 해석한 글, 불교와 관련된 전반적인 지식과 견해를 개진한 논설 등을 산출한 바 있다. 이들은 대체로 철학적이고 논리적이며 설득적인 성격을 지니는데, 『임천가화』는 그에 비해 각편 하나하나가 비교적 짤막하고 서술방식도 기존 자료의 내용이나 고사를 활용하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또한 각편 하나하나에 저자의 비판적 시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러한 특징을 고려할 때, 『임천가화』는 불교 비평집의 성격을 지니는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김시습이 살았던 시대에 『필원잡기』, 『용재총화』 등 여러 잡록집이 저술된 바 있는데, 그중에서 『임천가화』와 같은 성격의 저술은 없다. 그것은 그 당시 어느 누구도 김시습과 같은 삶의 여정을 보여준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김시습은 불교 연구자뿐만 아니라 승려로서의 삶을 산 사람이다. 그 과정에서 『조동오위요해』와 같은 심오한 연찬의 결과물을 낳았을 뿐 아니라 『임천가화』와 같은 실제 삶의 국면을 반영한 저술도 남겼다. 김시습의 삶의 여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임천가화』는 김시습의 인생을 웅변해 주는 저작의 하나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