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교문화콘텐츠의 개발과 활용방안

        최진구(Choi Jin goo)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08 불교문화연구 Vol.9 No.1

        The culture in modern society has become the factor that changes human life and has ruled the world of human spirit. KUKBO 173 kinds of 307 ones and BOMUL 956 kinds of 1,469 ones, in total, 1,129 kinds of 1,776 national treasures, showing 63.6% of them, are related to Buddhism. Consequentl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typical of Korea s cultural contents. It is a good thing recently, although it s late, that Buddhist experts and academics show interest in digita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To go forward with digita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t is necessary for believers in Buddhism to have interest in it and to draw support from Buddhist circles. Therefore it would be the best way that Buddhist TV takes the role. Buddhist cultural contents can be defined as Creatively produced cultural contents composed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Buddhist way of life, and social phenomena related to them, aiming value of Buddhism by Buddhology .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fully worthy of using. Buddhist cultural heritage should be popularized and industrialized by making it as digital contents, so people can contact it easily. Buddhism has been putting down roots as symbolic and universal value concept of our own. Buddhist film can be said that it began from such emotional categories. As the starting of Buddhist film was late, Buddhist cultural contents have not put down roots yet. The major problem of Buddhist film is not production but analysis, therefore, it is more important to analyze Buddhist film by Buddhist position than produce Buddhist films. Buddhist circles show interest recently in the industry of animation character. The character industry, regarded as a growth factor of future industry, attract attention of Buddhist circles as well as whole social fields. Hence experts, men of great originality and idea, should be bred up and should take roles for central growth factor lead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On the basis of this, I suggest that Buddhist TV should consider televise Buddhist films for the promotion of program rating and the diversification of program contents. Also it is necessary that the development of flash animation and character, the most easily approachable Buddhist cultural contents children and teenagers can. I suggest that Buddhist TV hold Buddhist Film Festival with the advantage of cable TV broadcaster. So far any religion-related film festival has not been hel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f Buddhist TV hold Buddhist Film Festival through preliminary examination and preparation with the advantage of picture missionary media, it will get excellent results. Once Buddhist TV(BTN) hold Buddhist Film Festival successfully, it will grow Buddhist films as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contribute to the strengthening of prestige as a Buddhist broadcaster as well as secure program contents. 현대사회에서의 문화는 인간의 생활을 변화시키는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정신세계까지 지배하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총307종 가운데 173종, 보물1,469종 가운데 956종, 합계 1,776종 중 63.6%에 해당하는 1,129종이 불교와 관련된 문화재이다. 따라서 불교문화 콘텐츠가 한국의 대표 문화콘텐츠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최근 들어 불교학계와 뜻있는 전문가들이 중심이 되어 불교문화 콘텐츠의 디지털화에 관심을 보이고 있음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디지털화 작업들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불교인들이 관심을 갖도록 하여 불교계의 지원을 유도하는 역할이 필요한데 이 역할을 불교TV가 맡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이다. 불교문화콘텐츠는‘불교철학의 입장에 서서 불교적 가치를 지향하며, 불교 문화유산·불교적 생활양식, 이와 관련된 사회적 제반 현상 등을 소재로 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문화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는 그 활용가치가 매우 높다. 따라서 전략적으로 디지털콘텐츠화하여 불교문화유산을 대중화하고 산업화하여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불교는 우리 민족의 상징적, 보편적 가치 개념으로 자리 잡고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불교영화 역시 그러한 정서적 범주에서 출발했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영화의 출발은 매우 늦었으며 아직까지 확실한 불교문화콘텐츠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불교영화의 과제는 생산이 아니라 해석에 그 과제가 있으며 불교를 소재로 한 영화를 생산하는 것보다, 영화를 얼마나 불교적인 입장에서 해석해내는가가 관건이다. 불교계에서 최근 들어 많은 관심을 갖게 된 분야가 애니메이션 캐릭터 산업이다. 물론 불교계뿐만 아니라 미래산업의 신성장동력으로 평가 받고 있는 캐릭터 산업은 사회 모든 분야의 관심을 끌고 있다. 따라서 창의력과 아이디어가 넘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불교문화콘텐츠를 주도하는 핵심 성장동력으로 활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불교TV에서도 시청률 제고와 프로그램 콘텐츠의 다양화를 위해 불교영화의 방영을 적극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불교문화콘텐츠인 플래시 애니메이션과 캐릭터를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케이블TV 방송사라는 장점을 살려‘불교영화제’개최도 고려해볼 만하다. 현재까지 국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종교영화를 주제로 한 영화제는 개최된바가 없다. 따라서 철저한 사전 조사와 준비를 거쳐 불교TV가 영상 포교 매체의 장점을 활용하여‘불교영화제’를 개최한다면 상당한 성과를 기대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불교TV(BTN)가 불교영화제를 성공적으로 개최한다면 불교문화콘텐츠로서의 불교영화를 성장시켜 프로그램 콘텐츠 확보는 물론 종교방송사로서의 위상 강화에도 크게 기여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불교문화콘텐츠학 교육의 체계와 방법 연구

        이재수 한국종교학회 2023 宗敎硏究 Vol.83 No.1

        In this paper I aim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achievements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the educational system and method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Association of Humanities Contents 20 years ago, the academical research foundation of cultural contents was established. In the meantime,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industry, cultural contents in Korea has grown remarkably. The Korean Wave has spread greatly, and K-content is loved by people all over the world. The cultivation of talent in related fields is an important role of the university,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prepare for the future. By 2022, there were 32 master’s degrees related to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various universities have obtained master’s degrees with interest in Buddhist Cultural Contents in the areas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and religious cultural contents. 14 doctoral dissertations were produced, with nearly 80% of research related to cultural content genres and development. The result of analyzing 81 research papers related to Buddhist Cultural Contents, About half of them are related to society and culture in the humanities. 22.2% of theses are about the utiliz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t was followed by development, production and genre at 13.6% each. Through this research,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have a destitute foundation, but social demands are very high, so strategies and support measures for promot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urgently needed, and the results will be very in height. Futhermore this paper examin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and sugguested a graduate course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Additionally, this research paper examin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ystem of Buddhist cultural content studies and proposed a graduate program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education and research. In addition, in order to develop and spread Buddhist Cultural Contents education, I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ontent-oriented Buddhist Cultural Contents ecosystem, promote Buddhist Cultural Contents, establish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chives, and establish and operate a Buddhist Cultural Contents creator network. Through this discussion, I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path of efforts and cooperation to revitalize the educational system that will lead the futur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 연구의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학 교육체계와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20년 전에 인문콘텐츠학회가 성립되면서 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토대가 성립되었는데, 그동안 문화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한국의 문화콘텐츠는 눈부실 만큼 성장하였다. 한류는 큰 확산을 이루었고 K-콘텐츠는 전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있다. 바로 관련 분야의 인재의 양성은 대학의 중요한 역할이며, 그 미래를준비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불교문화콘텐츠 관련 석사학위는 2022년까지 32건으로 다양한 대학에서전통문화콘텐츠와 종교문화콘텐츠 영역에서 불교문화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는 총 14명이 배출되었는데, 문화콘텐츠 장르와 개발 관련 연구가 80%에 육박하였다. 이를 통해 본다면 불교문화콘텐츠학 관련 연구의 기반은 조성되었다고 볼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 관련 연구 논문 81편을 분석한 결과 인문학 분야의 사회문화 관련이 절반이고, 활용이 22.2%, 개발, 제작과 장르가 각각 13.6%의순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학은 토대는 부실하지만, 사회적 요구는 매우 높으므로 불교문화콘텐츠 진흥 전략과 지원책이 시급하며, 그 성과도 매우 높게 나타날 것이다. 이 글에서 불교문화콘텐츠학의 교육환경과 체계에 대해 살펴보고, 교육과 연구의 기반을 세우기 위한 대학원 과정을 제안하였다. 나아가 교육의방법론으로 인재양성, 현장 실무 교육과 전문 자격 시스템을 및 불교문화콘텐츠 전문가 네트워킹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불교문화콘텐츠학 교육의 발전과 확산을 위해 콘텐츠 중심의 불교문화콘텐츠 생태계 조성, 불교문화콘텐츠 진흥 시스템, 불교문화 콘텐츠아카이브 구축, 불교문화콘텐츠 크리에이터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이 필요함을 밝혔다. 본 논의를 통해 불교문화콘텐츠의 미래를 이끌어 갈 교육체계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협력의 길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불교문화콘텐츠학의 연구방향과 교육방법 고찰

        이재수(LEE, Jae-Soo)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3 종교문화연구 Vol.- No.20

        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의 학문적 체계 정립을 위한 문제와 그 교육체제 및 방향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불교문화콘텐츠학이 성립하기 위한 이론적인 토대와 그 방향성 정립을 시도하고자 한다. 즉 불교문화콘텐츠학은 응용불교학의 한 분야로, 또는 종교문화콘텐츠의 하위 분야로 자리를 잡을 때 불교문화콘텐츠학의 위치와 교육 목표는 종교성에 기반을 두고 출발할 것이지만, 문화콘텐츠학의 분과학문이 될 때는 문화콘텐츠가 지니는 공공성과 대중성의 기반 위에서 보편성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 불교가 지닌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문화적 배경과 내부역량의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문화콘텐츠의 학문적 역량을 성숙시키고, 대중적 확산과 이를 구체적으로 진흥하고 체계적인 활용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중심축과 디지털 콘텐츠 생태계 조성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논자는 불교문화콘텐츠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틀을 다양한 불교문화의 분야별 이해와 문화콘텐츠 장르별 결합을 통합 복합적 이해가 필요하다고 본다. 불교문화콘텐츠 교육과정 및 체계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불교문화콘텐츠 관련 인재들의 교육과 실습 등을 통해 현장 중심의 교육과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인재양성의 시스템 구축이 선행이다. 본 논의가 앞으로 불교문화콘텐츠학의 학문적 정립과 교육 시스템과 교육방법 등의 진전된 논의를 이끌어 내는데 이바지하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ssues with establishing an academic system for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further its educational system and directionality. For that purpose, the investigator tried to build a theoretical foundation and directionality for the emergenc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I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were established as an area of applied Buddhist studies or a subarea of religious Cultural Contents, its position and educational goals should be based on religious nature. If it were established as a segment of Cultural Contents studies, it should be based on the publicness and popularity of Cultural Contents and move toward universality. The cultural backgrounds related to the Cultural Contents of Buddhism and its internal capability have infinite potential. It is time to build a central axis and a digital content ecosystem to mature the academic capabilities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expand it among the public, promote it specifically, and utilize it in a systematic manner. The investigator believes that the basic framework for a Buddhist Cultural Contents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areas of Buddhist culture and the complex understanding of many different genres of Cultural Contents. What is more important than a Buddhist Cultural Contents curriculum and system is a system of producing talents to lead the field-based education and market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through education and practice. The study will hopefully make a contribution to true discussions about the academic establishment and educational systems and methods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studies.

      • KCI등재후보

        불교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현황조사 연구

        박정희,김정연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8 조형미디어학 Vol.11 No.1

        Today, Buddhist culture is the outcome of all interactions of the Buddhist sector with the society. Buddhist culture reflects not only socio-economical structure of the society but also lifestyles of the public. In this respe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and analyzed the results to examine the exist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of Korea and prospect future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First, the introduction introduced the purpose and topic of this study. As our cultural environment is quickly converting to digital industry, we are emphasizing the industrial value of culture and the importance of media contents. However, Buddhist culture in Korea lacks understanding of and communication with Buddhism despite the historical foundation of Buddhism. It is urgent to develop modern Buddhist cultural contents to relight and industrialize the Buddhist history of Korea. Second, the exist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of Korea were examined. Buddhist contents and motifs in animations, movies and car product designs were observed and organized. Then, Buddhist characters in Korea were described. Children's participation in the late 1980s contributed to the creation and diversification of Buddhist characters from the mid 1990s. Various problems of the existing Buddhist characters were analyze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nvest in Buddhist characters as cultural contents, not as mere products. Third, consumers were surveyed for their understanding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The survey was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survey on the found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was conducted on 160 adults and the survey on the preference on Buddhism and characters was conducted on 160 children. Each item in the category was analyzed and described. Last, the conclusion was derived based on the outcomes of this study. The essence of religion is expressed in the form of culture to appeal to many religious believers as well as to the general public. However, it is true that Buddhism is underdeveloped in various aspects compared to other religions. This is probably because Buddhist believers lack spontaneity and understand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modernizing Buddhist contents.

      • KCI등재후보

        불교게임과 지적재산권

        서계원 ( Kye Won Suh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2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문화콘텐츠의 활용사례로서 불교게임의 법적 보호방안을 모색하고 활성화를 추진하는 것이다.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콘텐츠의 유형 또한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도 디지털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게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의에서 불교문화를 소재로 하는 불교게임의 법적 보호방안을 저작권법,특허법,디자인보호법,상표법,부정경쟁방지법의 순서로 검토하고,불교게임의 활성화 전략을 검토하였다. 향후 불교문화콘텐츠를 소재로 하는 불교게임에 대한 효율적인 법적 보호 및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첫째,불교문화를 소재로 하는 대중에게 인기 있는 다양한 게임을 제작한다면, 이를 통하여 게임 산업에 막대한 부가가치가 창출될 가능성이 있다.둘째,불교게임의 불법적인 이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적재산권법상 보호방안을 게임제작의 초기단계부터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셋째,기존의 불교문화와 관련된 콘텐츠의 게임제작 등 다양한 활용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불교문화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는 콘텐츠의 재료인 창작소재들을 어떻게 만들어 낼 것인가 하는 점에 있다. 이미 세계 각 나라들은 문화 또는 전통문화에서 콘텐츠적 요소를 발굴하여 창작과정을 거쳐냄으로써 세계인의 주목을 끌어낼 수 있는 거대한 콘텐츠로 탈바꿈시키고 있다.게임이 여전히 불교문화,불교교리에만 집중되어 있다면, 그 게임은 재미의 차원에서는 그다지 성공적일 수 없다. 오늘날 개인적인 기호와 정신적인 만족감을 포함한 개개인의 감성이 게임의 선택에 크게 영향을 주고 있다. 본 논의를 통해 불교게임의 법적 분쟁을 어떻게 예방하고, 어떻게 이를 활성화할 것인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다양한 불교의 문화콘텐츠가 올바른 법적 보호 및 활용의 단초를 열기 위한 초석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Legal Protection of Buddhist Games in digital media through the cultural contents us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For this purpose, I would like to discuss Buddhist Games. Digital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changed and the type of contents varied in many ways. The importance of the Buddhist Characters under the Digital Media are now emphasized. The Legal Protection of Buddhist Characters was suggested in the serial order of Copyright Law, Patent Law, Design Protection Law, Trademark Law, the Prevention of Unfair Competition Law and utilizing them. Then discussions were made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developing a Activation Strategy of Buddhist Game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activate the legal protection of Buddhist Games and activation strategy in future: First, many Contents on Buddhist Culture should be developed and this increased possibility can be of tremendous value to the game industry. Secondly, introduction of prevention strategy by intellectual property laws should be reviewed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to prevent illegal use. Instead, diverse utilization plans of the existing infrastructure should be prepared. Thirdly, diverse utilization plans of the existing Buddhist Culture including Game Production of Contents should be prepared. Most of all, the most serious problem is how to create story subjects, that is, materials for digital contents, which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developing the Buddhist Cultural Contents. Man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have already discovered elements needed for digital contents from their present or traditional culture and gone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on, turning them into contents vast enough to draw attention from all the citizens of the world. If Buddhist Games are concentrated mostly on Buddhist Culture and Buddhist Doctrine, they will not be much interesting. These days, the selection of the game is affected by the personal emotion including personal preference and spiritual satisfaction. The discussion will hopefully serve as a foundation stone for legal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various Buddhist Cultural Contents.

      • KCI등재후보

        불교 캐릭터와 지적재산권

        서계원 ( Kye Won Suh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1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17 No.1

        본 논의의 목적은 불교문화콘텐츠를 활용하여 문화상품을 제작하여 이를 디지털미디어에 이용할 때 불교 캐릭터의 법적 보호방안을 모색하고 사업화를 추진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특히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관련된 소재 콘텐츠를 예로 논의하고자 한다.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콘텐츠의 유형 또한 다양하게 변화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기반으로 하는 캐릭터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논의에서 불교문화를 소재로 하는 불교 캐릭터의 캐릭터의 법적 보호방안을 저작권법, 상표법, 디자인보호법, 부정경쟁방지법의 순서로 검토하고, 불교캐릭터의 활성화 전략을 위한 논의를 하였다. 향후 불교문화콘텐츠를 소재로 하는 불교 캐릭터의 보호 및 활성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불교문화를 소재로 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한다면, 이를 통한 캐릭터 사업이 막대한 부가가치 창출가능성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있다. 둘째, 불교 캐릭터의 불법적인 도용을 막기 위하여 지적재산권법상 보호방안을 콘텐츠 개발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셋째, 기존의 불교문화와 관련된 콘텐츠의 캐릭터 사업 등 다양한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넷째, 콘텐츠의 상품화와 지적재산권 관리로 성공한 사례를 참조하여, 애니메이션, 온라인게임 등 다양한 진출방안을 도입해야 한다. 본 논의를 통해 불교 캐릭터 보호를 위하여 어떠한 법적 보호방안이 있고, 어떻게 이를 활성화할 것인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작업들을 통해 다양한 불교의 문화콘텐츠가 올바른 법적 보호 및 활용의 단초를 열기 위한 초석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Legal Protection of Buddhist Character in digital media through the cultural tourism us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For this purpose, I would like to discuss animation content is an example. Digital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changed and the type of contents varied in many ways. The importance of the Buddhist Characters under the Digital Media are now emphasized. The Legal Protection of Buddhist Characters was suggested in the serial order of Copyright Law, Trademark Law, the Prevention of Unfair Competition Law and utilizing them. Then discussions were made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developing a Activation Strategy of Buddhist Character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to activate the legal protection of buddhist characters and activation strategy in future: First, many Contents on Buddhist Culture should be developed and this increased possibility can be of tremendous value to the character business. Secondly, introduction of prevention strategy by intellectual property laws should be reviewed in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to prevent illegal use. Instead, diverse utilization plans of the existing infrastructure should be prepared. Thirdly, diverse utilization plans of the existing Buddhist Culture including Character Merchandising of Contents should be prepared. And finally, many ways including animation, Online Games are needed to represent the brand and symbolism of the Buddhist Cultural Contents considering successful case. The discussion will hopefully serve as a foundation stone for legal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various Buddhist Cultural Contents.

      • KCI등재

        만다라 결연 의식의 시각 콘텐츠 구현

        김경덕(Kyungdeok Kim),김영덕(Youngdu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한류 붐 등에 기인하여 문화 콘텐츠 산업의 중요성이 높아가고 있으나 문화 콘텐츠의 한 부분을 차지하는 불교문화 콘텐츠에 대한 개발은 여러모로 미흡한 편이다. 그 이유로 기존 콘텐츠는 불교경전의 원형자체가 디지털화된 것에 불과하여 전문적인 불교학자 외에 일반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이해하기는 어려운 편이다. 또한 대부분의 콘텐츠 연구가 개발 필요성을 논의하고 있지만, 원론 차원에 머물 뿐 경전의 의미 분석과 관련된 콘텐츠 시각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불교 경전의 내용 중 만다라 결연 의식의 의미를 분석하고 시각 콘텐츠로 구현하고자 한다. 만다라에서는 관정이라는 의식에 포함된 결연 의식에서 투화득불(投花得佛)이라는 독특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 내포된 개념과 의미를 분석하고 시각 콘텐츠로 구현하여 이념적 논리를 시각적으로 형상화할 때에 어렵게만 느끼는 만다라 결연의식을 시각적 콘텐츠로 제공하여 일반인들에게도 불교문화 체험의 장을 마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경전의 서술적 표현을 시각화하는 시도를 통하여 불교 경전에 담겨있는 무한한 자료를 콘텐츠화 하는 선례로 남길 수 있다.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steadily growing owing to the Korean wave etc. and Buddhist cultural contents is a part of the cultural contents. However, the development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n many ways has left much to be desired. That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public, who is not Buddhist scholar, to understand and take interest in conventional contents on Buddhist books themselves which are digitalized. Also, most contents researches are discussed on the necessity of contents development and just stay in these subjects, but it is insufficient to study a semantic analysis and visualizing contents on Buddhist books. So, in this paper, we analyse mandala’s twinning rite in the Buddhist books and implement visual contents on the rite. The mandala is using toohadeokbul in a special way as the abhisinca rite. We analyse concept of the toohadeokbul and implement its visual contents which visualize ideological logic of Buddhism. The implemented contents are able to provide the public with Buddhist cultural experience of the yard. Additional, by trying to visualize descriptive expressions of Buddhist books, this paper could be a precedent for developing visual contents of unlimited data comprised in Buddhist books.

      • 종교 페스티벌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 수륙재를 중심으로

        고상현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0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0 No.-

        A Study of Religious Festival to make a Cultural Contents : Focusing on the Suryukjae Ko, Sang-hyun This study has been searched to make a Cultural Contents for the Suryukjae(水陸齋, the Buddhist Rite for Deliverance of Creatures) which is religious festival as well. The root of festival is based on the religious thought. Cultural Contents is all about research as well as industrial and popularize, knowledge of cultural. On the whole, making Cultural Contents of Suryukjae festival can be considered as approaching in that point of view. Suryukjae is festival of harmonization between God and man, man and nature, this life and eternity, man and man with equality without any wall or distintion. Suryukjae continues in day and night for 7days in the longest term. It reflects current social aspects of dance, music, buddhist painting as well as various tangible or intangible elements. Suryukjae is stand for contents of korean culture as well as buddhist culture, but it has not been studied deeply and has no firm foundation in a various use of Cultural Contents. Suryukjae seems to be on the decline, but recently it is starting to revive from the center of Jinkwan temple(津寬寺), Samhwa temple(三 和寺) etc. Meet the needs of the times, this study has been emphasized in terms of each period, classes and regional form of examples, at the same time it has been contemplated to make a method of Cultural Contents which are recently revitalized together with popular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s a local festival. There are several ways of developing about Suryukjae and ritual series. 1. based on prototype of study 2. applying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historical education program 3. making use of video and audio contents: buddhist music of Beom-Pae, buddhist dance of Cymbals Dance, Dharma Drum Dance, Butterfly Dance 4. polytechnic contents making use of paper-flower, the making coins 5. contents of food which are set for Suryukjae 6. developing to make a festival contents of Suryukjae 7. fieldtrip of watching the Suryukjae in a temple. Making a culture and tourist industry contents 8. developing a product of culture and tourist industry contents 9. preparation of effective distribution. 수륙재라는 종교 페스티벌을 문화콘텐츠화하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페스티벌은 종교적인 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문화콘텐츠는 문화의 원형소스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산업화, 대중화를 아우르는 인문지식의 총합이다. 수륙재라는 페스티벌의 문화콘텐츠화도 이러한 관점에서 접근했을 때 총체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수륙재는 신과 인간, 인간과 자연, 이승과 저승이, 인간과 인간이 평등하고막힘이 없이 원융화합하는 페스티벌이다. 수륙재는 길게는 7주야로 행해져, 그 속에서는 당대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무용과 음악, 지화장엄 등 다양한 유ㆍ무형적 요소를 담고 있다. 수륙재는 한국의 문화, 그 가운데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콘텐츠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원형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다양한 콘텐츠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이 빈약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인천 수륙재보존회, 서울 진관사, 강원도 삼척 삼화사, 전남 영광 법성포 등을 중심으로 한동안 명맥이 끊기는 듯 했던 수륙재가 복원되고있다. 이러한 시기에 맞춰 수륙재가 각 시대별, 계층별, 지역별 설행 형태에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함과 동시에 최근에 활성화되고 있는 지역축제 콘텐츠로서의 대중화, 산업화를 아우러는 문화콘텐츠화 방안을 고찰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현행 수륙재와 의식집 등에 대한 ①원형연구를 바탕으로 ②역사교육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 ③불교음악인 범패나 불교무용인 바라무, 법고무, 나비무 등의 영상 또는 음성콘텐츠 ④지화, 지전 등을 활용한 공예콘텐츠 ⑤수륙재에 차려지는 음식콘텐츠 ⑥수륙재의축제콘텐츠 개발 ⑦수륙재 설행 사찰순례 등 문화 관광산업 콘텐츠 ⑧문화 관광산업 상품 개발 ⑨효율적인 유통 방안 마련 등을 들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문화콘텐츠로 본 진관사 태극기 기념사업

        이재수 한국정토학회 2012 정토학연구 Vol.17 No.-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ideas and ways of identifying and utilizing the values of the Jinkwansa Taegeukgi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content, taking a two-pronged approach of branding and cultural cont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The study first proposed to making Jinkwansa Taegeukgi a country brand because of its status as the national flag and building it as a local brand from the perspective of branding. There is a need to find brand equity of multiple dimensions in Taegeukgi and develop a variety of cultural content with it. Jinkwansa Taegeukgi has the required value and content as a local brand. It is required to develop Taegeukgi content to reinforce the space- and experience-based content of Jinkwansa Taegeukgi as one of its strengths and fill up the room in its content. In the study, the investigator strived to find ways to make use of temple stay and Buddhist service for the deceased in land and sea, some of its outstanding assets. Also proposed in the study was making a step-by-step strategy of obtaining the sources and developing derivative and applied content in an effort to develop Jinkwansa Taegeukgi as content. One of the ways to utilize the Taegeukgi content is to restore the stories of the figures related to Jinkwansa as well as cultural tourism storytelling. The life of Baek Cho-wol and the exchanges among the forerunners including Manhae and Yongseong should be restored and presented in the storytelling format for reinterpretation. When they are combined with the festive elements of Jinkwansa's Buddhist service for the deceased in land and sea, it will be a potential starting point for conversion into new performance content. It is also required to make an open space for experiential education in the entry space mediating the spatial expandability of Jinkwansa. Although Taegeukgi is one source, its values and uses should be based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multiple materials related to it(multi-use). Furthermore, it is proposed to put the multiple sources related to Jinkwansa and Taegeukgi to multi-layered and complex uses. 본 논의는 진관사 태극기를 소재로 이를 문화콘텐츠적인 관점으로 그 가치를 어떻게 발굴해 내고 활용할 것인가를 조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브랜딩의 관점과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활용이라는 두 가지 측면으로 접근하였다. 브랜딩의 관점으로 보면 진관사 태극기는 국기라는 관점에서 국가브랜드로 자리 잡게 하는 것과 지역브랜딩으로 이끌어가는 것에 대해 제시하였다. 향후 태극기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차원의 브랜드 자산을 이끌어 낼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로 이어 질 수 있다. 진관사 태극기는 지역브랜드로서 그 가치와 내용을 지니고 있다. 현재 진관사가 지니고 있는 강점 가운데 하나인 공간+체험기반형 콘텐츠를 강화하고, 내용성을 채우기 위해서 태극기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템플스테이와 수륙재라는 훌륭한 자산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였다. 진관사 태극기를 콘텐츠로 개발하기 위해 원천자료의 획득과 파생콘텐츠, 응용콘텐츠 개발이라는 단계적 전략을 수립할 것을 제안을 하였다. 태극기 콘텐츠의 활용 방안은 문화관광 스토리텔링과 진관사 관련 인물의 이야기 복원이 있다. 백초월의 삶, 만해, 용성 등 선각자들의 교류의 복원과 스토리텔링을 통해 이를 재해석해야 한다. 특히 진관사 수륙재가 담고 있는 연희적인 요소와 결합된다면 이것이 새로운 공연콘텐츠로 전환이 가능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향후 진관사가 가지고 있는 장소의 확장성을 매개하는 진입공간에 열려진 체험교육 공간의 구축이 필요하다. 태극기는 하나의 소재(One Source)이지만, 그 가치와 활용은 태극기와 관련된 복합적인 소재의 개발과 활용(Multi Use)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나아가 진관사는 물론 태극기와 관련된 복합적인 소재(Multi Source)를 가지고 중층적이고 복합적인 활용(Multi Use)을 해야 할 것이다.

      • 특집논문 : 산업적 활용을 위한 불교문화콘텐츠 기획

        이재수 ( Jae Soo Lee ) 동국대학교 전자불전문화콘텐츠연구소 2006 전자불전 Vol.8 No.-

        본 논문은 현재 불교문화콘텐츠의 미래와 문화콘텐츠 산업의 축 면에서 불교문화콘텐츠의 기획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불교문화콘텐츠는 활용적인 가치도 매우 높은데, 일반인들에게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 확산, 교육적 활용적인 가치도 매우 높은데, 일반인들에게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 확산, 교육적 활용도 매우 높고, 외국인들에게도 문화상품으로 훌륭한 역할을 하여, 우리문화의 우수성을 전 세계에 홍보할 수 있다. 나아가 문화상풍으로서도 원 소스 멀티유즈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불교문화콘텐츠의 개발전략에서 콘텐츠 기획은 사용 가에게 콘텐츠라는 One Source를 Multi-use로 개발하는 것이 기획의 목적이다. 아울러 사용자 중심의 열린 콘텐츠를 지향해야 할 것이다. 본 논의는 불교문화콘텐츠가 산업에 활용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기획하는데 조금이 나마 이바지 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dict the future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and Planning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for Industrial Applicati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is very broad and valuable. Educational applications, the expansion of people`s understanding of our culture and the introduction of Korean culture to foreign countries are all highly expected. Furthermore. One Source with Multiple-Uses as a cultural product is available. The ultimate purpose of planning Buddhist cultural contents lies in developing from one source contents into multi-use contents. At the same time development strategies should be focused on open access to contents for the sake of the user`s conveniences. I would like to dedicate myself to the Buddhist cultural contents which can reflect the true happiness way. the Buddh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