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 원개형동기의 부장 양상 및 기능과 성격

        오강원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1

        The round cover bronze vessel, seen from a wide perspective belongs to the indented surface mirror with a indented surface, but considering that the reflection of light and image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common bronze mirrors it is recognized as having its independent peculiar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mirror type bronze vessels have been classified into bronze mirrors with flat surfaces, protruding mirror type bronze vessels and indented round cover bronze vessels. The round cover bronze vessel, with the location of the handle as an absolute criteria,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A(centrally located handle), B(handl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eriphery) and C(peripherally located handle) types. The A type is distributed in the upper Xiajiadian cultural sphere of the Laohahe river area and the Laohushanhe river area of the Shiertaiyingzi culture during the B.C. 9th-7th century, the B type in the Zhengjiawazi type of the Shenyang area and the C type is distributed only in the central and west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ound cover bronze vessel, in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Shiertaiyingzi culture in the Laohushanhe river area, was used as a ceremonial vessel one grade lower than bronze mirrors and was a prestige good that was worn on the belts of the ruling class, in the Zhengjiawazi culture it was no longer used as a ceremonial vessel but was used as a high-class chariot ornament attached to the front handrail of the chariot and in the Nanchengli type culture it was hung on the vertical wall of a sacred area and worshipped as a ceremonial vessel. These transformations occurred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changes of each bronze age society and in the case of the Nanchengli culture, because bronze vessels had been scarce until that time, the round cover bronze vessel was used as a ceremonial vessel in the process of using certain Zhengjiawazi bronze vessels as ceremonial vessels. 원개형동기는 넓게 보아 경면이 오목한 요면경에 속하지만, 빛의 반사와 상 맺힘 등이 일반적인 동경과 전혀 다르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독립적인 특수성이 인정된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거울류 청동기를 정면이 평면인 동경, 호면인 경형동기, 요면인 원개형동기로 구분하였다. 원개형동기는 뉴 위치를 절대적인 기준으로 할 때, A형(중심뉴형), B형(중연뉴형), C형(변연뉴형)으로 대분류되는데, A형은 기원전 9~7세기 노합하 유역을 중심으로 한 하가점상층문화권과 십이대영자문화 노호산하 유역권, B형은 심양시 일원의 정가와자유형, C형은 한반도 중서부 지역에만 분포하고 있다. 원개형동기는 하가점상층문화와 십이대영자문화 노호산하 유역권에서는 동경보다 한 등급 낮은 의기이자 위세품으로 수장층의 요대에 착장되어 사용되어졌고, 정가와자유형에서는 의기류에서 탈락되어 수레 전면 난간에 착장되어 있는 고급 수레장식품으로 사용되어졌으며, 남성리유형에서는 신성 공간의 수직 벽체에 걸어 놓고 경배하는 의기로 사용되어졌다. 이러한 변천은 각 청동기사회의 사회문화적 분위기의 변화에 따른 것인데, 남성리유형은 그 직전까지 청동기가 희소하였던 까닭에 정가와자유형의 일부 청동기를 의기화하는 가운데 원개형동기 또한 의기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宋代 금속공예의 두 가지 축 -仿古銅器와 金銀器-

        이용진 ( Lee Yong-jin ) 동양미술사학회 2022 동양미술사학 Vol.15 No.-

        송대 금속공예는 仿古銅器와 金銀器라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방고동기는 예제개혁과 회복을 통한 권력강화를 위해 황실 주도 하의 진행된 금속공예였다. 북송의 방고동기는 휘종대에 집중적으로 제작되었고, 상대 고동기의 기형과 서주 고동기의 명문을 적용하였으며, 부분 주조 후 접합하는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남송대 방고동기는 紹興, 紹熙 연간에 주로 제작되었고, 『宣和博古圖』를 바탕으로 『淳熙釋尊制度圖』, 『紹熙州縣釋奠儀圖』와 같은 예서를 활용하여 새로운 경향의 방고동기를 만들었다. 송대의 금은기는 재질의 희소성에도 불구하고 사용이 보편화 되었는데, 『東京夢華錄』등의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송대 금은기 사용의 보편화는 시장경제의 활성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금은기 소유는 제한적이지만, 사용은 영업장을 방문한 사람은 누구나 할 수 있었다. 송대 금은기는 협층법과 거푸집 단조 등 전대와는 다른 기법으로 제작하기도 하였는데, 협층법은 기형의 중후함과 내부를 매끄럽게 만들어 사용이 편리하였고, 거푸집 단조는 동일기형을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문양 표현에서는 화훼문과 인물고사 등이 주요 문양으로 등장하였고, 타출기법으로 문양을 강조하기도 하였다. 송대 방고동기와 금은기는 재질과 기형, 문양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금은으로 방고동기를 만들고 고동기의 문양을 금은기에 적용한 것은 당시 금은기에도 방고동기의 영향이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송대 금속공예의 두 가지 축인 방고동기와 금은기의 소유는 황실과 관료 등의 지배층에 국한되었지만, 소비와 사용은 다른 양상을 보인다. 방고동기의 사용은 황실과 관료 등 지배층에 국한되었지만, 금은기는 영업점에서 누구나 사용할 수 있었던 공예품이었던 것이다. 송대 방고동기와 금은기는 역할의 차이가 있었지만, 황실에서 민간으로 그리고 상품화로 다양하게 변화하는 모습을 잘 보여준 송대의 금속공예의 두 가지 축이었다. The metal crafts of Song dynasty had developed centering on two axes: imitating ancient bronzes and gold and silver vessels. The imitating ancient bronzes was the metal crafts led by the imperial family in order to reinforce and legitimize their sovereign power through reform and recover national rite. The imitating ancient bronzes of Northern Song were produced during Huizong era, They adopted the vessel types of Shang dynasty and the inscriptions of Zhou dynasty, It was manufactured by joining after partial casting. The imitating ancient bronzes of Southern Song was produced during Gaojong era and Gwangong era, The production of the imitating ancient bronzes of Southern dynasty was used the ritual books such as Xuanhebogutu, Chunxishidianzhidutu (淳熙釋尊制度圖), and Shaoxizhouxianshidianyitu(紹熙州縣釋奠儀圖). The gold and silver vessels of Song dynasty was widely used despite the scarcity of materials, which can be confirmed through records Dongjingmenghuaru(東京夢華錄). The universal use of gold and silver vessels in the Song dynasty meant the revitalization of the market economy. Although ownership of gold and silver vessels was limited, anyone who visited pub could use the gold and silver vessels. The gold and silver vessel of Song dynasty were also produced using techniques different from those of previous dynasty like double-layered technic and mold forging. The double-layered technic has an advantage of voluminous shape and smooth inside for use. The mold forging technic has a meaning in that it enables mass production of the same vessels. The flowering plant and historical event was the main designs, the designs was expressed by the repoussé technic. Although the imitating ancient bronzes and the gold and silver vessels have a difference in materials, shape, and designs, the fact that the design of ancient bronzes was applied to gold and silver vessels shows the influence of the imitaing ancient bronzes. The two axes of Song dynasty, imitating ancient bronzes and gold and silver vessels, were owned by the ruling class such as the imperial family and bureaucrats, but they show different aspects in consumption and use. Although the use of the imitating ancient bronzes was limited to the ruling class, gold and silver vessels that anyone could use at pubs. There was a difference in role between imitating ancient bronzes and gold and silver vessels, however, they were the two axes of metal crafts of the Song dynasty, which showed various changes from the imperial family to the private sector and commercialization.

      • KCI등재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 원개형동기의 부장 양상 및 기능과 성격

        오강원 ( Oh Kang-won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1

        원개형동기는 넓게 보아 경면이 오목한 요면경에 속하지만, 빛의 반사와 상 맺힘 등이 일반적인 동경과 전혀 다르다는 점을 고려할 때 독립적인 특수성이 인정된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거울류 청동기를 정면이 평면인 동경, 호면인 경형동기, 요면인 원개형동기로 구분하였다. 원개형동기는 뉴 위치를 절대적인 기준으로 할 때, A형(중심뉴형), B형(중연뉴형), C형(변연뉴형)으로 대분류되는데, A형은 기원전 9~7세기 노합하 유역을 중심으로 한 하가점상층문화권과 십이대영자문화 노호산하 유역권, B형은 심양시 일원의 정가와자 유형, C형은 한반도 중서부 지역에만 분포하고 있다. 원개형동기는 하가점상층문화와 십이대영자문화 노호산하 유역권에서는 동경보다 한 등급 낮은 의기이자 위세품으로 수장층의 요대에 착장되어 사용되어졌고, 정가와자유형에서는 의기류에서 탈락되어 수레 전면 난간에 착장되어 있는 고급 수레장식품으로 사용되어졌으며, 남성리유형에서는 신성 공간의 수직 벽체에 걸어 놓고 경배하는 의기로 사용되어졌다. 이러한 변천은 각 청동기사회의 사회문화적 분위기의 변화에 따른 것인데, 남성리유형은 그 직전까지 청동기가 희소하였던 까닭에 정가와자유형의 일부 청동기를 의기화하는 가운데 원개형동기 또한 의기화된 것으로 여겨진다. The round cover bronze vessel, seen from a wide perspective belongs to the indented surface mirror with a indented surface, but considering that the reflection of light and image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common bronze mirrors it is recognized as having its independent peculiar characteristics. In consideration of these characteristics, mirror type bronze vessels have been classified into bronze mirrors with flat surfaces, protruding mirror type bronze vessels and indented round cover bronze vessels. The round cover bronze vessel, with the location of the handle as an absolute criteria, have been classified into the A(centrally located handle), B(handl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eriphery) and C(peripherally located handle) types. The A type is distributed in the upper Xiajiadian cultural sphere of the Laohahe river area and the Laohushanhe river area of the Shiertaiyingzi culture during the B.C. 9th-7th century, the B type in the Zhengjiawazi type of the Shenyang area and the C type is distributed only in the central and western part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round cover bronze vessel, in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and Shiertaiyingzi culture in the Laohushanhe river area, was used as a ceremonial vessel one grade lower than bronze mirrors and was a prestige good that was worn on the belts of the ruling class, in the Zhengjiawazi culture it was no longer used as a ceremonial vessel but was used as a high-class chariot ornament attached to the front handrail of the chariot and in the Nanchengli type culture it was hung on the vertical wall of a sacred area and worshipped as a ceremonial vessel. These transformations occurred according to the socio-cultural changes of each bronze age society and in the case of the Nanchengli culture, because bronze vessels had been scarce until that time, the round cover bronze vessel was used as a ceremonial vessel in the process of using certain Zhengjiawazi bronze vessels as ceremonial vessels.

      • KCI등재

        宋代 工藝批評書들과 鑑識眼

        이용진(Lee, Yongji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5 美術史學 Vol.- No.30

        중국의 북송대부터 시작되는 새로운 공예의 경향은 夏商周 三代의 고동기를 모본으로 방제하는 방고동기이다. 방고동기는 삼대의 고동기를 금속이나 자기로 만드는 것으로 북송대부터 청대까지 지속된 중국 공예의 중요한 흐름의 하나이다. 고동기 수집과 방고동기는 송대 사대부와 황실이 주체가 되어 진행된 것으로 고동기 수집이 북송대 사대부들의 취미와 금석문 연구로 시작된 것인 반면, 방고동기는 송대 황실의 예제개혁의 일환으로 시작되었다. 북송 사대부와 황실의 再現三代가 만들어 낸 결과는 송대 이후 중국 공예의 큰 흐름인 고동기 도록의 편찬과 ?古銅器이다. 북송 사대부들은 하상주 삼대를 유교적 이상으로 삼고 삼대 고동기의 연구를 통해 역대문헌의 오류 수정과 당대의 제도 개선이라는 입장에서 고동기 연구를 시작하였고, 그 결과는 삼대 고동기에 대한 금문의 연구서와 고동기 도록이다. 반면 황실은 예제 개혁을 위해 고동기를 수집하고 수집한 고동기를 바탕으로 고동기 방제를 통한 신성예기의 제작과 수집한 고동기를 도록으로 편찬한 것이었다. 『考古圖』와 『宣和博古圖』로 대표되는 송대의 고동기 연구는 삼대의 고동기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고, 특히 이들 도록은 圖와 文이 있는 도록의 편찬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선화박고도』는 북송대 예제개혁의 산물이자 송대 이후 방고동기의 모본이 되었다는 점에서도 중요하지만, 『고고도』의 오류를 수정하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고동기의 시대편년과 기형분류, 각 기물에 대한 총설, 기형과 문양의 의미에 대한 평가 등은 『선화박고도』의 가치를 높게 하는 내용들이다. 이와 같은 도록은 사대부들이 삼대의 고동기를 수집하고 감상할 수 있게한 보편화의 계기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남송대 예제개혁과 남송 사대부들의 고동기 수집과 감상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남송의 사대부들은 북송의 사대부와는 다르게 고동기를 연구의 대상이 아닌 완호지물의 대상으로 인식하여 고동기 수집과 감상이 보편화 되었다. 고동기 수집을 위한 시장의 형성과 더불어 고동기에 대한 가치와 수요가 많아지면서 고동기 진위를 파악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서적인 감식서의 편찬도 이루어졌다. 그러나 남송대 감식서는 상대의 고동기를 주대의 고동기 보다 낮게 평가하고 있어 당시 사대부들의 유교적인 인식, 즉 상왕조보다는 주왕조를 유교적으로 높게 평가하고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송대 사대부들의 완호지물로서의 고동기에 대한 인식은 중국 공예사에 있어 ?古銅器와 고동기 도록 편찬이라는 결과를 가져왔고, 元·明·淸代 공예에 있어 방고동기의 보편화와 사대부들의 고동기 수집과 감상의 기준이 되었다. Trends in new craft of Northern Song China was the imitation of ancient bronze vessels that was made in Xia, Shang, Zhou Three Dynasties. The imitation of ancient bronze vessel was to make them metal or porcelain that was the main stream of Chinese crafts lasted from Northern Song to Qing Dynasty. The collection of ancient bronze vessels was to be started as a study of epitaph and hobby. The imitation of ancient bronze vessels was to be started as a reform of national rite. The Scholar-officials of Northern Song who regarded Xia, Shang, Zhou Three Dynasties as Confucian ideals began to research the ancient bronze vessels with a perspective of correction of ancient records and of contemporary system reform.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the reports about epitaph and the catalogue of ancient bronze vessels. In other hand Imperial collected ancient bronze vessels to reform national rite and product the holy ritual vessels and to compile catalogue on ancient bronze vessels. Kaogutu and Xuanhebogutu representative of the research on ancient bronze vessels of Song dynasty became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ancient bronze vessels. These catalogues have an important meaning to include text and plate. Xuanhebogutu was the most important model to imitate the ancient bronze vessels from Song dynasty. This book has a value of correcting errors of Kaogutu. In particular, p eriodization and classification of ancient bronze vessels, the introduction of vessel type and assessment of the significance of anomalies and patterns are the information to increase the value of Xuanhebogutu. These catalogues became an opportunity to collect and appreciate the ancient bronze vessels. Gentry of the Southern Song recognized ancient bronze vessels as the target of the appreciation not a object of study. Coming to the Southern Song, value and demand for the ancient bronze vessels was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publish the connoisseurship book about distinguishing the authenticity. The gentry of Southern Song considered the bronze vessels of Zhou dynasty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those of Shang dynasty because of confucian justice.

      • 中國의 靑銅器 연구 변천사

        吳濟仲(Oh Jae-joong)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6 동아한학연구 Vol.- No.2

        金文學은 청동기를 연구대상으로 삼는 종합적인 성격의 학문으로 주요한 연구범위는 대체로 古器物學과 古文字學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 청동기의 표면에 鑄造되어 있는 銘文의 著錄과 考釋은 전통 금문학의 주류이다. 일찍이 宋代로부터 시작된 본격적인 청동기 연구가 지금과 같은 종합학문으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것은 끊임없는 변화와 발전을 거치며 가능했다. 특히 이 중에서도 淸代 末期에서 民國 初期는 금문학의 수준이 전대에 비하여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시기로써 이후 현재까지의 금문학 성과는 기본적으로 당시의 연구를 바탕으로 이룩됐다고 해도과언이 아니다. 또한 淸代 말기는 金文學이 최고조에 도달한 시기로 民댐 이후의 청동기 연구와도 대단히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더욱이 金文學의 경우 그 고려의 대상이 청동기의 銘文을 포함하여 器形과 花紋 등 다방면에 걸쳐있기 때문에 청동기 전반에 걸친 폭넓은 안목과 종합적인 연구 없이는 정확한 성과를 기대하기 힘들다. 따라서 청동기 전체를 연구 대상으로 하는 근대적 개념의 金文學 혹은 靑銅器學의 확립은 淸末民初 시기와 절대적 관련을 맺고 있다. The study of Bronze Vessel is mainly divided into Archeology and Graphonomy in ancient times. The main stream of Bronze Vessel research is collecting and analyzing letters which cast on the surface of Bronze Vessel. The study of Bronze Vessel started in Song Dynasty and it had begun a science under continuous change and development. The Bronze Vessel research was improved dramatically from late Qing to early Min. Futhermore.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 recent product of Bronze Vessel research stand on the period basically. The study of Bronze Vessel was at its zenith in the late Qing, and closely related to its study after the Min period. Especially, objects of Bronze Vessel research were various, for example, letters, shape of vessel, patterns and so on. Therefore, the far-reaching insight and comprehensive research is necessary for successful result. Consequently, the establishment of Bronze Vessel research, which is focused on the whole bronze vessel, is definitely connected with the trend from late Qing to early Min period.

      • KCI등재

        중국 鄭州 靑銅器의 分期와 제작기술

        최호현(Choi Hohyun) 한국상고사학회 2016 한국상고사학보 Vol.94 No.-

        이 연구는 중국 商代 前期에 해당하는 청동기를 ‘鄭州 靑銅器’라 개념화한 다음, 발굴된 청동기와 도기 자료를 새롭게 검토하여 분기를 설정하고 각 단계별 변화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해본 것이다. 二里崗文化의 중심지는 현 하남성 정주이지만 이 문화의 분포 범위는 매우 넓다. 당시 정주에 도읍한 상왕조는 강력한 권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金屬 자원 및 靑銅 禮器의 주조를 독점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여러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세력에게 분배함으로써 국가의 권위를 유지하였음이 밝혀졌다. 이 시기 청동기의 분기에 대한 연구는 도기를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의 성과를 그대로 수용한 상태로 이루어졌으며, 동기 그 자체의 형태나 제작 기법의 변화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했다. 따라서 이연구에서는 기왕의 연구 성과에 토대를 두고 그것에 더해 근래까지의 발굴 성과에서 확인된 층서관계에 기준하여 청동기 출토 무덤(銅器墓)의 연대에 대해 살펴보고자 했으며, 아울러 청동기에 대한 형식학적 검토를 진행하였다. 청동기의 편년을 설정한 결과, 정주 청동기는 형태와 문양, 제작 기술에 따라 3단계의 변화를 거쳤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제1기는 二里頭시기 동기 특징이 남아 있는 단계, 제2기는 二里崗시기 동기 특징이 전형적으로 드러나는 단계, 제3기는 白家庄기 동기 특징이 확립되고 殷墟시기로 이어지는 단계이다. 이 연구는 정주지역에서 출토된 청동 예기의 조형과 문양 및 제작 기법을 분석하여 이 시기 청동기를 다시금 편년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향후 예기 이외의 청동기에 대한 연구, 정주 이외의 지역에서 출토된 동시기 청동기와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이시기의 문화양상은 더욱 뚜렷해 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period of creation of bronze vessels excavated in Zhengzhou(鄭州), a central area of the former period of the Early Shang period of China and to describe the meaning of its change per stage. Erligang(二里崗) culture in the Early Shang(商) period had very wide distribution area and its center was current Zhengzhou at Henan(河南) Province. The Shang dynasty at Zhengzhou had strong power dominating the production of bronze resources and ritual bronzes. Furthermore, they had kept authority of the country by distributing them into various neighboring powers. A study on the chronology of bronze at the period was mainly carried out by accepting the existing study results which were focused on potteries. And, there are very rare studies on the style and change of production techniques of bronze ware itself.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carry out formative analysis on bronze wa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ronze had been transformed into 3 different stages at Zhengzhou. The first stage was the stage when features of Erlitou(二里頭) bronzes were left. The second stage was a typical stage when features of Erligang bronzes were typically revealed. And the third stage was a stage that was linked to Yinxu(殷墟) bronzes. In addition,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composition of style, features and production techniques of Zhengzhou bronze and attempted chronology of the bronze of the time. It is expected that the cultural features of the period will be more apparent if studies on other bronze than ritual vessels and comparative studies with other bronze than those in Zhengzhou are conducted.

      • KCI등재

        기원전 13~11세기 중원계 청동기의 북상과 연산산맥 남북지역의 청동문화

        최호현 한국청동기학회 2020 한국청동기학보 Vol.27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solve the longstanding academic question regarding the origin and influx route of central plains bronze vessels, which are found around underground storerooms and tombs in the Liaoxi region, as well as identifying their owners. To do this, the central plains bronze vessels from northern and southern Yanshan Mountains were sorted by era and region. Also,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deduce the subject, that is, the owners of the bronze vessels from the Liaoxi. In addition, the patterns of change in the bronze culture around the Yanshan Mountains resulting from the northern expansion were examined. The period was limited to the 13th-11th centuries B.C., prior to the division of the Western Zhou's Yan, and focused on artifacts from the Shang Dynasty Line; these had been excavated from the regions to the northern and southern Yanshan Mountains.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hole of the Liaoxi corresponds to the earlier part of this paper. The bronze vessels from east of Mt. Nuluerhu are typical of the central plains. However, of the bronze vessels from west of Mt. Nuluerhu, some are typical of those from the central plains; other items are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elsewhere or by artisans not from the central plains, and seem to be related to the later Zhukaigou and Lijiaya cultures. Second, of the Shang dynasty ritual bronze vessels from southern Yanshan Mountains, the tombs of the Liujiahe and Houqianyi, which belong to the earlier part of this paper, were due to the direct influx of the Shang people. The Houqianyi and Zhangjiayuan tombs, which belong to the later part, are believ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influx of the pre-dynastic Zhou culture. Third, to secure a stable amount of raw materials for bronze-making, the abundant mining resources in the Yanshan Mountains would have been the main target of control during the Shang and Zhou periods. Representative of the earlier part of this paper are the Xiquegou type, and of the later part, the Houquanyi ruins and the Zhangjiayuan ruins from southern Yanshan Mountains. The indigenous culture is believed to have disappeared or been absorbed around the time of the Western Zhou's founding, or may have migrated to the Liaoning on the other side of the Yanshan Mountains. 본고는 요서(遼西)지역에서 교장과 무덤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상주(商周)시기 중원계 청동용기의기원과 유입경로, 주체인 작기자(作器者) 혹은 소유자 등에 대한 학계의 오랜 숙제를 해결해보고자 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연산산맥 남북지역에서 중원계 청동기가 출토되는 유적을 시기별·지역별로 구분한 후 주변지역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요서지역 출토 청동용기의 주체를 추정하고, 이의 북상에 따른 연산산맥을 중심으로 한 중국 북방지역 청동문화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시기적으로 서주 연(燕)이 분봉되기 이전 즉 기원전 13세기에서 11세기로 한정하고, 연산산맥 남북지역에서 상계(商系) 청동용기가 출토된 유적을 중심으로 하였다. 본고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 째, 요서지역은 모두 본고의 전기에 해당하며, 노로아호산 이서지역에서 출토된 상계 청동용기는 전형적인 중원계에 속하는 기물과 중원 이외의 지역 혹은 비주원계 장인에 의해 제작된 것으로 판단되는 기물이 공존하며, 주개구문화 후기 혹은 이가애문화와 관련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노로아호산이동지역 출토 청동용기는 전형적인 중원계에 속한다. 그러나 상문화의 직접적인 유입이라기 보다는일시적인 교류나 정착에 의한 것으로 보았다. 둘 째, 연산 이남지역에서 출토되는 상계 청동기 중 본고의 전기에 해당하는 평곡 유가하유적과 일부 천안 후천의유적의 무덤은 상인의 직접적으로 유입에 의한 것으로, 후기에 해당하는 후천의 동기묘와 장가원 무덤은 상대 선주(先周)문화의 유입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셋 째, 청동원료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서 연산산맥 일대의 풍부한 광산자원은 상주시기 핵심지역의 주요 경락 대상이었을 것이다. 본고의 전기에는 희작구유형이, 후기에는 연산 이남의 후천의유적과 장가원유적이 대표적이며, 서주 건립을 전후하여 토착문화는 소멸·흡수되거나 연산산맥을 넘어요령지역으로 이동해간 것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靑銅器時代 土器 容量復原 試論 –湖西地域 취락출토자료를 중심으로–

        김범철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80 No.-

        Calculating volumes of Bronze Age vessels has though sporadically been attempt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It does not include theoretically complicated discussions but rather simple technically issues. Nevertheless realizing it’s critical contributions on understanding socioeconomic aspects of the Bronze Age society have attracted archaeologists’attentions. For a proper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on, for example, the changes in domestic activities relevant to cooking and storing, patterns of communal surplus management and so on, calculating and reconstructing volumetric capacity of vessels should be preconditioned. However it is not that easy and simple task, because absolute majority of ceramic vessels are recovered in the shape of incomplete part. Recognizing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some effort to reconstruct parent vessels’volumetric capacity has been made and its accomplishment can be appreciated. However, we can also find some limitation, such as that some vessel, such as jar-shaped vessels of Early Bronze Age, has not been included in the analysis, that some of Songgukri-type vessels, especially small ones revealed incompatibility with formula for reconstructing parent vessels, and that for some part, such as body and bottom ones, formulas have not been suggested. This paper pursues the way in which reconstructing formulas’usefulness could be increased in action. Particularly it looks for a effective treatment of the residuals that deteriorate the efficiency of the formulas, incorporating a bigger sample used in the actual analysis than in the previous research. It is asserted that this paper’s way in which formula for reconstructing parent vessel’s volume of Bronze Age sherds from Hoseo Region is made could be applied to other regions’ones. Furthermo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efficiency of reconstructing formula could be enhanced in the periods when specialization, standardization, and mass manufacture in producing ceramic vessels was accelerated. 간헐적으로나마 청동기시대 토기의 용량을 복원하려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복잡한 이론적 논의도 아닌 방법 차원의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시도가 반복되는 현상은 용기로서 토기의 용량을 측정하는 작업 자체보다는 그것이 파생하는 사회 혹은 경제상 복원에서의 역할을 인식한 데서 비롯된 듯하다. 예를 들어, 가내의 조리나 저장양상의 변화, 잉여의 관리 양상의 변화를 인지하고 설명하기 위해 토기의 용량복원 결과는 필수적이다. 그런데 실전에서 경험하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토기는 불완전한 파편으로 출토되는 바, 개별 유구는 물론 유적 전체에서 출토되는 토기의 용량을 복원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여 파편 상태의 무문토기 용량을 복원하고자 하는 시도가 없었던 것도 아니며, 상당한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일부 기종 특히(전기 유적에서 출토되는) 壺形土器에 대한 복원식의 부재, 松菊里型土器, 특히 소형토기의 복원과정에서 발생하는 복원식과의 정합성 부족, 底部및 胴(體)部만 남은 토기에 대한 복원식의 부재 등과 같은 한계 또한 노출된다. 본고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원식의 효용 제고를 도모하고자 한다. 파편으로부터도 용량을 복원하고자 한 기존의 시도와 방법상에서 큰 차이는 없으나 표본의 양을 늘리고 복원과정에 사용될 회기식의 생성 과정에서 설명능력을 저하시키는 요소, 즉 잔차에 대한 관찰과 처리 방안을 부가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물론, 본고가 호서지역 출토 청동기시대로 고찰의 범위를 한정하지만 동일한 방식의 복원식 생성이 여타 시대나 지역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더 나아가 이러한 방식의 복원식 추출이 청동기시대보다는 토기 제작의 전문화, 대량화, 규격화가 진행되는 시기들에서 오히려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피력한다.

      • KCI등재

        靑銅器時代 土器 容量復原 試論

        Kim Bum cheol(金範哲) 한국상고사학회 2013 한국상고사학보 Vol.80 No.-

        간헐적으로나마 청동기시대 토기의 용량을 복원하려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복잡한 이론적 논의도 아닌 방법 차원의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시도가 반복되는 현상은 용기로서 토기의 용량을 측정하는 작업 자체보다는 그것이 파생하는 사회 혹은 경제상 복원에서의 역할을 인식한 데서 비롯된 듯하다. 예를 들어, 가내의 조리나 저장양상의 변화, 잉여의 관리 양상의 변화를 인지하고 설명하기 위해 토기의 용량복원 결과는 필수적이다. 그런데 실전에서 경험하는 바와 같이 대부분의 토기는 불완전한 파편으로 출토되는 바, 개별 유구는 물론 유적 전체에서 출토되는 토기의 용량을 복원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이러한 상황을 인식하여 파편 상태의 무문토기 용량을 복원하고자 하는 시도가 없었던 것도 아니며, 상당한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일부 기종 특히(전기 유적에서 출토되는) 壺形土器에 대한 복원식의 부재, 松菊里型土器, 특히 소형토기의 복원과정에서 발생하는 복원식과의 정합성 부족, 底部 및 胴(體)部만 남은 토기에 대한 복원식의 부재 등과 같은 한계 또한 노출된다. 본고는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복원식의 효용 제고를 도모하고자 한다. 파편으로부터도 용량을 복원하고자 한 기존의 시도와 방법상에서 큰 차이는 없으나 표본의 양을 늘리고 복원과정에 사용될 회기식의 생성과정에서 설명능력을 저하시키는 요소, 즉 잔차에 대한 관찰과 처리 방안을 부가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물론, 본고가 호서지역 출토 청동기시대로 고찰의 범위를 한정하지만 동일한 방식의 복원식 생성이 여타 시대나 지역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더 나아가 이러한 방식의 복원식 추출이 청동기시대보다는 토기 제작의 전문화, 대량화, 규격화가 진행되는 시기들에서 오히려 더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피력한다. Calculating volumes of Bronze Age vessels has though sporadically been attempted for a relatively long time. It does not include theoretically complicated discussions but rather simple technically issues. Nevertheless realizing it's critical contributions on understanding socioeconomic aspects of the Bronze Age society have attracted archaeologists'attentions. For a proper understanding and explaining on, for example, the changes in domestic activities relevant to cooking and storing, patterns of communal surplus management and so on, calculating and reconstructing volumetric capacity of vessels should be preconditioned. However it is not that easy and simple task, because absolute majority of ceramic vessels are recovered in the shape of incomplete part. Recognizing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some effort to reconstruct parent vessels'volumetric capacity has been made and its accomplishment can be appreciated. However, we can also find some limitation, such as that some vessel, such as jar-shaped vessels of Early Bronze Age, has not been included in the analysis, that some of Songgukri-type vessels, especially small ones revealed incompatibility with formula for reconstructing parent vessels, and that for some part, such as body and bottom ones, formulas have not been suggested. This paper pursues the way in which reconstructing formulas'usefulness could be increased in action. Particularly it looks for a effective treatment of the residuals that deteriorate the efficiency of the formulas, incorporating a bigger sample used in the actual analysis than in the previous research. It is asserted that this paper's way in which formula for reconstructing parent vessel's volume of Bronze Age sherds from Hoseo Region is made could be applied to other regions'ones. Furthermore, it can be expected that the efficiency of reconstructing formula could be enhanced in the periods when specialization, standardization, and mass manufacture in producing ceramic vessels was accelerated.

      • KCI등재

        요서지역 전국 연문화의 전개와 그 배경 - 출토 유물을 중심으로

        배현준(Bae Hyunjoon)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9

        요서지역 연문화는 지역별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요서 남부, 중부, 북부지역은 연문화의 출현 시점과 전개양상에 차이가 있다. 토제예기의 경우 기형, 문양, 부장조합에서 지역 간에 연문화 계통이라는 공통점 외에는 차이점이 더컸으며 이러한 현상은 연문화가 요서지역을 전면적으로 장악하는 전국후기까지도 이어진다. 이는 각 지역별로 연산이남 연문화 집단과 개별적인 교류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며, 때로는 토착세력이 연문화의 물질문화를 모방하여 직접 제작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편 전국중기부터 요서 남부와 북부로 이원화되어 집중 출토되는 청동예기는 당시 토제예기를 소유한 계층보다 상위 계층이 소유한 것으로 연산이남 연문화 세력과 직접적인 교류를 하였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전국중기는 연산이남 연문화 지역의 경우 무덤에 청동예기가 부장된 사례는 극소수에 불과하며, 전반적으로 토제예기를 부장하는 양상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요서지역에 풍부한 청동예기를 부장한 무덤의 출현은 이 두 지역에 연나라에게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위에 있는 정치체가 존재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 두 지역에서 고고학적으로 확인되는 중심지(동대장자, 철영자)의 존재 배경에는 지리적·역사적 요인이 있다. 이 중 일부 문헌 기록을 고려하면, 요서 북부지역은 동호와의 관련성을, 요서 남부지역은 고조선과의 관련성을 상정할 수 있다. 당시 중원 제후국들과 경쟁하던 연나라에게 연산이북지역의 안정화는 중요한 화두였고, 이들과 일정한 정치관계를 맺고 전략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그 결과로 이 두 지역에 풍부한 청동예기를 소유한 집단이 출현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study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t cultural conditions of Yan-Culture(燕文化) in the southern, central and northern areas of Liaoxi(遼西). The appearance time and development of Yan-Culture are different in each region. In terms of pottery ritual vessel, in the shape, decoration and burial combination, the differences between regions are greater than the commonality of belonging to the Yan-Culture system. This situation continued from the early Warring States period to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The reason is that different regions separately communicate with the people of Yan-Culture of the south of Yanshan(燕山) mountain, and at the same time, it cannot be excluded the possibility that the aboriginal people can imitate the Yan-Culture and make pottery ritual vessel. On the other hand, from the middle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bronze ritual vessels unearthed in the South and north of Liaoxi respectively indicated that there is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local top class and the Yan-Culture group of the south of Yanshan mountain. However, at the same time, there were few tombs with bronze ritual vessels in the south of Yanshan mountain, and most of the tombs have been transformed into the tombs with pottery ritual vessels. In this situation, the appearance of tombs with a large number of bronze ritual vessels in Liaoxi means that there are a very important strategic political systems for Yan state(燕國). The appearance background of the two archaeological centers (Dongdazhangzi東大杖子, Tieyingzi鐵營子) found in the South and north of Liaoxi has historical and geographical reasons. Considering some literature records, it can be inferr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northern part of Liaoxi and the Donghu(東胡) group, and the southern part of Liaoxi is related to Gojoseon(古朝鮮) group. And because Yan state had been competing with the vassal states in the Central Plains at the time, the stability of the north of Yanshan mountain was very important to Yan state. Therefore, Yan needed to establish a brief political relationship with them. So in order to maintain this relationship, Yan state provided rich bronze ritual vessels and other precious things to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