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교육 분야 언어 네트워크 분석 연구의 동향

        성한나(Han Na 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 분야에서 언어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서 언어 네트워크 분석 관련 연구의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7년부터 2022년 6월까지 국내 특수교육 분야의 언어 네트워크 분석 활용 연구 28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발행연도 및 게재 학술지, 연구 주제, 분석 도구, 시각화 분석법, 분석지표’로 설정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지적장애연구’에서 가장 많은 수의 연구가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5년을 시작으로 점차 연구 수가 증가하여 2019년, 2021년에 가장 많은 연구(7편)가 수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는 연구동향 및 지식구조 분석을 주제로 수행되었으며 그에 따라 수집 텍스트는 학술지 게재 논문이 대다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분석 도구는 ‘UCINET’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으며, 네트워크 지도를 통해 결과를 시각화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분석대상 28편의 논문 모두에서 중심성 척도를 분석지표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클러스터링, 에고 네트워크 분석 등의 방법도 사용되고 있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향후 특수교육 분야에서 언어 네트워크 연구 수행의 방향을 제공하는 데 의의를 가지며 질적으로 보다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필요성과 연구목적 및 주제에 적합한 네트워크 분석 도구, 시각화 제시 방법, 분석지표를 활용하여 연구 결과를 풍부하게 제시할 필요성에 관해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language network analysis-related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trends of studies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Korea. Methods For this purpose, 28 studies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in the domestic special education field were analyzed from 2007 to June 2022.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t as ‘year of publication and published journal, research topic, analysis tool, visualization analysis method, and analysis index’.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Science Research’ and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was found to have been carried out. In addition, mos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subject of research trend and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and it was found that the majority of collected texts were article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As a network analysis tool, ‘UCINET’ was used the most, and the most studies that visualized the results through a network map were the most. In all 28 papers to be analyzed, the centrality scale was used as an analysis index, and methods such as clustering and ego network analysis were also used. Conclusions These results have significance in providing a direction for conducting language network research in the field of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and the need for continuous expansion of qualitatively more diverse topics, as well as network analysis tools, visualization presentation methods, and analysis suitable for research purposes and topics. The necessity of presenting the research results abundantly using indicators was suggested.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South Korean ODA for Ethiopia (2000-2015)

        Kim HyunJae,Shon Mi,Kim YoungHwan,Park MinKyoung APEC국제교육협력원 2015 Asia-Pacific Cybereducation Journal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the South Korean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by examining the papers of degree thesis papers, project reports, and academic journals published from 2000 to 2015, as well as investigating and proposing the themes for future studies. According to the rubrics of analysis, from numerous papers, twelve thesis, twelve reports and eight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and considered following five analysis criteria; namely, published year, stakeholder of study, project procedure, methodology, and relevance to MDGs,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apers associated with South Korean ODA for Ethiopia were published in 2008 for the first time. With steadily increasing numbers of thesis, reports, and journals, following after 2008, researches have conducted studies vigorously since 2011. However, investigations on the South Korean ODA for Ethiopia are noticeably insufficient, in comparison to the grant aids and concessional loans paid thus far. Secondly, the analysis appeared in twelve papers published by universities, eleven by government authorities, and eight by specialty magazines. Upon closer inspection, the government authority indicated Korea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and eight other specialty magazines, as well as the following: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2), Korean Association of African Studies3), Korea Society of Agricultural Extension4),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5), Journal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Education6), Korea Research Society for Customs7),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The Women’s Studies8). Third, project procedure utilized as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ne feasibility study conducted in 2012 and 2013, one planning study in 2008 and 2010, two planning studies in 2013, one evaluation study in 2011 were identified. However, each project procedure paper for the 25 projects launched thus far were difficult to find. Papers for those have no relevance with ODA projects, and were considered as other studies. Fourth, papers relevant to the MDGs stand as such; 11 papers were linked with MDG 2, ‘Achieve universal primary education’. Three papers had relevance to MDG 1, ‘Eradicate extreme poverty and hunger’, one to MDG 3, ‘Promote gender equality’, three to MDG 5, ‘Improve maternal health’, four to MDG 6, ‘Combat HIV/AIDS malaria, and other diseases’, two to MDG 7, ‘Ensur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seven to MDG 8, ‘Develop a global partnership for development’. There were no papers connected with MDG 4, ‘Reduce child mortality’. Therefore, based on this trend analysis, broader spectrums and diverse methods of study should be implemented for the future studies with regard to the South Korean ODA for Ethiopia.

      • KCI등재

        뉴스 빅 데이터에 나타난 ‘독서’ 담론 분석 : 11개 중앙 일간지를 중심으로

        신선주 ( Shin¸ Seonju ) 한국독서학회 2020 독서연구 Vol.0 No.57

        본 연구는 뉴스 빅 데이터 분석시스템 ‘빅카인즈(BigKinds)’에 나타난 ‘독서’ 담론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독서문화정책’시행 원년인 2009년을 분기점으로 이전 10년(1999년~2008년)과 이후 10년(2009년~2018년)으로 나누어 독서담론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빅카인즈를 활용한 4가지 분석기법(키워드 검색, 연도별키워드 트렌드, 관계도 분석, 연관어 분석)을 통해 시기별 독서담론에서 어떤 지배적 담론이 들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각 단계별 분석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을 대상으로 ‘독서’와 관련된 사회적 현상과 지배적인 독서담론을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나타냈다. 첫째, 1999년부터 2018년까지 11개 중앙 일간지에 나타난 ‘독서’ 키워드의 기사가 갖는 독서담론의 비중을 확인한 결과 1차시기(1999~2008)에 비해 2차시기(2009~2018)의 키워드 추출 건수는 증가하였으나, 전체 기사 게재율 대비‘독서’키워드 추출건수 비율은 1,2차시기 모두 0.4%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이는 일간지에서 다루는 ‘독서’ 담론이 아주 미비함을 뜻하며, 뉴스기사에서 다루는 비율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독서문화진흥정책’에 비해 지난 20년간큰 변화가 없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11개 중앙 일간지에 나타난 ‘독서’ 키워드 트렌드 분석 결과 ‘독서’가 다른 사회적 이슈들에 밀려 다뤄지지 않는 키워드에 속했으며, 일부 트렌드 추이가 올라가는 부분의 독서분야 이슈들을 살펴보면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과 뉴스기사에서 다뤄지는 토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독서’가 개인의 담론으로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정책적 이슈를 이끄는 것이 사회적인 독서담론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서’ 관계도 분석과 연관어 분석은 1,2차 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정부나 민간이 추진하는 독서관련 사업에 따라 관계도와 연관어 분석에서는 키워드 빈도에서 약간의 변화가 있을 뿐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한점은 주제별 토픽분석기법인 ‘LDA’를 활용해서 토픽구조분석을 실시해야 했으나 실행하지 못함으로써 키워드 분석 중심으로 ‘독서’담론을 들여다보는 데 그쳤다. 또한 뉴스기사의 담론분석은 사회적 이슈가 큰 분야에서 보다 유용하게 분석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과 ‘독서’와 같이 사회적 이슈가 적은 분야에서는 이슈분석보다 정부의 독서정책과 방향에 대한분석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독서현장의 실행력을 높이는 데 더 주요한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In 2009, the “Reading Culture Policy” was implemented in X, promoted by the Government. This study addresses the ten years before (1999-2008) and after (2009-2018) and analyzes how the reading discourses in each period appear to investigate the “reading” discourses in “Bigkinds,” a news-based big data analysis system. Further, the study investigates, by stage, the social phenomena related to “reading” for the characteristics in the analysis process. It also identifies the dominant reading discourses by period, through four analysis techniques (Keyword search, keyword trend by year, relationship analysis, and related word analysis), utilizing “Bigkinds.” Through this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importance of the reading discourses was examined by identifying articles containing the keyword “reading” in 11 major daily newspapers from 1999 through 2018. More articles were identified in Period 2 (2009- 2018) than in Period 1 (1999-2008), but, as a percentage of the total number of articles, the occurrence of the keyword “reading” remained the same (0.4%). This means that “reading” discourses infrequently feature in daily newspapers. Despite the “Reading Culture Promotion Policy” being actively promoted by the Government, their frequency of occurrence in news articles has remained largely unchanged for the past20 years. Second, analysis of the trend of the keyword “reading” in these 11 major daily newspapers revealed that it was not dealt with behind other social issues. Examining the issues in the field of reading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trend revealed that they had close relationships with policies promoted by the Government and with the topics dealt with in the news articles. This shows that “reading” has a limitation as an individual’s discourse and that the Government’s active leading of policy issues affects social reading discourses. Third, relationship analysis (and related word analysis) concerning “reading”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riods 1 and 2. However, there was a slight change in the frequency of the keyword in the relationship and related word analysis, according to whether the reading-related projects were promoted by the government or the private sector. On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opic structure analysis was not conducted utilizing “LDA,” a topic analysis technique. Rather, this study solely examined “reading” discourses, focusing on keyword analysis. Furthermore, analysis of the discourses of news articles could draw a more useful analysis in the areas that have more social issues. Additionall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he Government’s reading policies and directions in areas that have fewer social issues would be more important regarding increasing executive ability in the field of reading.

      • KCI등재

        한국 미술계 위작(僞作)·대작(代作)에 대한미디어 담론 분석- 프레임 네트워크 분석 접근법

        양희수,현은정 한국예술경영학회 2018 예술경영연구 Vol.0 No.45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media discourse affects the behavior and outcomes of relevant actors. In particular, media discourse analysis using text network analysis has been increasingly used to capture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contentious social issues across various fields. The use of this method, however, has not been very active among researchers of arts and culture.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nalysis of media discourse related to art forgery in the Korean visual art sector as a test case to depict the topography of media discourse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We focus on three major art forgery scandals (e.g., Lee Woo Hwan, Chun Kyung ja, Jo Young Nam) and identify 8 major frames (conflict, blame attribution, context description, sensation, government intervention / institutional measures, market economy, power, morality) used in 83 opinion columns in the Korean daily newspapers as well as arts magazines about those instances from 1991 to 2017. We examine how theses frames that reflect the perspectives on art forgery are connected to one another so as to better make sense of how media discourses about art forgery in the Korean visual art sector are constituted. 미디어 담론(media discourse)은 행위자들의 행동과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특히,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이용한 미디어 담론 분석은 다양한 분야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사회적인 이슈의 구조적 특성을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문화예술연구에서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은 비교적 새로운 분석 방법으로, 최근 들어 문화예술분야의 연구 동향을나타내기 위한 분석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은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통해 미디어 담론(media discourse)의 지형을 나타내기 위한 사례로서, 한국 미술계의 위작(僞作), 대작(代作)사건과 관련된 미디어 담론(meida discourse) 을 ‘프레임(frame)’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한국 미술계의 위작(僞作), 대작(代作)논란을 다룬 사설·칼럼 83개를 대상으로 11개의 프레임(frame)을 부여하고, 11개의 프레임(frame)들을 대상으로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 – 1) 11개 프레임(frame)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중심성(degree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등위성 분석(cluster) 2) 미디어 매체(media)의 이데올로기적 성향(ideological tendency)별로 11개 프레임(frame)에 대한 연결 중심성 분석(degree centrality analysis) –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미디어 매체(media)가 미술계의 위작(僞作), 대작(代作)에 대해 전체적으로 각 사건들에 대한 사실·갈등 양상을 나열하거나, 각 사건의 행위 주체의 책임을 묻는 등의 프레임(frame)을 중점으로 담론(discourse)을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미디어 매체(media)의 이데올로기적 성향(ideological tendency)에 따라 한국 미술계의 위작(僞作), 대작(代作)논란을 바라보는 시각에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문화예술분야에서 비교적 새로운 분석 방법인 프레임 분석(frame analysis)을 통해 국내 미술계의 위작(僞作)·대작(代作)논란에 대한 미디어 담론(media discourse)을 파악하고, 이를 네트워크 지도(network map)를 통해 시각화하였다는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11개의 프레임(frame)을 대상으로 실시한 네트워크 분석(network analysis)을 통해 미술품 위작(僞作)·대작(代作)을 둘러싼 미술계 외부와 내부의 견해차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정부 부처가 이와 관련한 정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본 논문이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묘사분석과 전자코 및 전자혀를 이용한 시판 조미료의 관능적 특성

        전서영(Seo-Young Jeon),김진숙(Jin-Sook Kim),김기창(Gi-Chang Kim),최송이(Song-Yi Choi),김상범(Sang-Bum Kim),김경미(Kyung-Mi Kim)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7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3 No.5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the descriptive analysis of commercial seasoning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lectronic nose analysis and electronic tongue analysis.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descriptive analysis b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Fur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determined by electronic nose analysi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determined by electronic tongue analysi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were b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partial least square regression (PLSR) analysi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0 trained panelists, and eight kinds of seasoning samples were used. Results: During the descriptive analysis period, a total of 40 descriptive attributes were developed. Descriptive expressions of the commercial seasonings include six appearance characteristics, 12 odor / flavor characteristics, 13 taste characteristics, four after-taste characteristics, and five mouth feeling characteristics. Descriptive analysis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easonings were clearly distinguished based on the main characteristics, product type, and additives, and samples of meat, seafood, and fermented soybeans. The electronic nose scent pattern was largely divided into liquid product and powder product. Based on the descriptive analysis, electronic tongue analysis was distinguished from bitter taste and sour taste. Conclusion: Some of the correlations between human senses, electronic nose and electronic tongue sensors were confirme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scriptive characteristics, electronic nose analysis, and electronic tongue analysis, the tendency between sampl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sensors was classified. This study can be used not only as useful data on sensory quality of domestic seasonings but also in future seasoning development.

      • KCI등재

        문헌정보학분야에서 메타분석 연구에 관한 고찰

        노정순 한국문헌정보학회 200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Vol.42 No.1

        Meta-analysis refers to the analysis of analysis. It is the statistical analysis of a large collection of analysis results from individual studies for the purpose of summarizing, integrating and interpreting the inconsistent findings. However, no meta-analysis study has been conducted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This Study introduced the charactersistics, basic principles, analysis procesure, and major models of meta-analysis, reviewed meta-analysis studi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discussed major problems in conducting meta-analysi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especially in Korea. 메타분석(Meta-Analysis)이란 분석에 대한 분석(analysis of analysis)이란 의미로, 특정 연구문제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들의 일치하지 않은 결과들을 통합하여 결론을 내리기 위해 개개 연구의 분석결과들을 수학적으로 합성하여 통계적으로 결론을 내리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의 특성과 기본 원리, 분석 절차, 대표적인 분석모델을 소개하고, 문헌정보학분야에서의 메타분석연구를 고찰하였다. 다른 학문에 비해 문헌정보학에서 메타분석연구는 매우 소량 수행되었고 국내 문헌정보학분야에서는 전무한 상태이다. 문헌정보학에서 메타분석을 수행하는데 문제점과 메타분석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연구자가 보고서 작성시 유의해야 할 내용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를 이용한 fMRI신호 분석

        문찬홍,나동규,박현욱,유재욱,이은정,변홍식 대한자기공명의과학회 1999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3 No.2

        fMRI의 신호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선호들이 혼합된 상태이며 , 비록 몇 가지의 요소에 대해 모델링하여 그 선호 형태를 추측할 수 있으나 모든 신호를 정확하게 분리하여 뇌신경의 활성화를 반영하는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알아 내기는 어려운 일이다. 또한 뇌와 신체의 생리적 현상으로 발생하는 잡음뿐아니라 움직임이나 계기의 잡음은 fMRl의 데이터 분석을더욱 어렵게 한다. 따라서 실제 뇌신경의 활성화를 정확히 나타내는 참고데이터(reference data)를 선택하는 것은 힘든 일이며, 뇌신경의 활성화를 반영하는 의미 있는 여러 신호 형태에 대한 분석은 현재 fMRl의 후처리 (post-processing) 분석 방법에서 하나의 연구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prioriknow­-ledge 혹은 참고 데이터가 필요 없는 분석 방법인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lCA) 를 이용하여 fMRI선호를 분석하였다. ICA는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상관 분석 방법에 비해 신호의 형태를 분석하는 데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으며, 지연된 반응 형태를 갖는 신호나 움직임에 의한 신호의 패턴을 분리하여 분석할 수 있다. 한편, ICA만으후 fMRl의 신호에 따라 분석이 효과적이지 못한 경우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threshold, wavelet spatial f filtering, 부분적 영상 분석 방법들을 ICA전에 수행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ICA는 fMRl 신호의 형태 분석에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하며, 데이터의 자유도를 감소 하기 위해서는 선 필터링 (pre-filtering)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The fMRI signals are composed of many various signals.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the accurate parameter for the model of fMRI signal containing only neural activity, though we may estimating the signal patterns by the modeling of several signal components. Besides the nose by the physiologic motion, the motion of object and noise of MR instruments make it more difficult to analyze signals of fMRI. Therefore, it is not easy to select an accurate reference data that can accurately reflect neural activity, and the method of an analysis of various signal patterns containing the information of neural activity is an issue of the post-processing methods for fMRI. In the present study, fMRI data was analyzed with the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ICA) method that doesn't need a priori-knowledge or reference data. ICA can be more effective over the analytic method using cross-correlation analysis and can separate the signal patterns of the signals with delayed response or motion related components.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hreshold, wavelet spatial filtering and analysis of a part of whole images can be used for the reduction of the freedom of data before ICA analysis, and these preceding analyses may be useful for a more effective analysis. As a result, ICA method will be effective for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data.

      • KCI등재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사업 경제적 타당성 분석: 비용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정재호 ( Jung Jae Ho ),정영선 ( Jung Young Sun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1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5 No.1

        북극은 지구 기후시스템을 모두 갖춘 기후변화 연구의 중심지이자, 미래자원의 보고 및 경제발전의 통로로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북극의 연구수요도 급증하고 있음에 따라 차세대 쇄빙연구선의 건조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차세대 쇄빙연구선의 건조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경제성 분석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와 투자 적합성을 분석하는 핵심적 조사과정으로 비용-편익분석(Cost-Benefit Analysis)을 기본적인 방법론으로 채택하여 분석한다. 하지만 순수 R&D 사업과 기타 재정사업 등 비용-편익 분석이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사업의 경우, 비용-효과분석(Cost-Effectiveness Analysis)을 수행한다. 비용효과분석은 ‘고정효과접근법(Fixed effectiveness approach)’과 ‘고정비용접근법(Fixed budget approach)’으로 구분되며 동 연구에서는 동일 효과 대비 비용을 비교하는 고정효과접근법을 활용하였다. 경제성 분석을 위해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원안)’를 기준으로 3가지의 대안(대안 1. 쇄빙연구선 임차 / 대안 2. 외국 내빙연구선 및 쇄빙선 임차 / 대안 3. 쇄빙 화물선 건조, 아라온 개조 및 외국 쇄빙연구선 임차)을 설정하였다. 또한 원안 기준 대안의 효과를 동일하게 보정하기 위해 ‘연구 항해일 수 확대’와 ‘운항예비일 확보’를 활용하였다. 경제성 분석 결과, 총비용(현가)은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원안)가 3가지 대안 대비 약 111.7 ~ 2,699.5억 원 낮게 투입되어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입증 되었다. 또한 동 연구는 대안의 실현 가능성과 운영상의 효율성을 고려할 때, 차세대 쇄빙연구선 건조가 가장 합리적인 방안임을 주장한다. 본 연구는 현재 기획 중인 사업에 대한 경제적 타당성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시의적절한 연구이자, 비용-편익분석을 대체하여 비용-효과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기여한다. 다만 아직 추진이 확정되지 않은 사업임에 따라 일부 자료 및 분석과정을 비공개로 진행하였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의 건조 여부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경제성 측면에서의 타당성은 입증된 만큼 연구수요 등의 기술 및 정책적 타당성이 입증되어 사업 추진이 조속히 이루어 짐에 따라 극지해역 과학플랫폼 확보, 과학외교 기반 국가 위상 제고, 북극항로 개척 및 안전운항, 미래 에너지자원 정보획득의 효과를 창출하기를 기대한다. North Pole increases importance because of centr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that gear up climate system of earth, future resource and way of economic growth. Because North Pole increases importance, Research demand of North Pole is more increase and necessity of Next-generation IBRV(Ice Breaker Research Vessel) building is to come near. This study to identify economic cogency for Next-generation IBRV building through research demand of North Pole and takes best alternative through economic analysis to comparing Next-generation IBRV building block and others. Economic analysis of national R&D business is a core investigation process for economic ripple effect and investment satisfaction and Cost-Benefit Analysis is a standard process, but Cost-Effectiveness Analysis is suitable for pure R&D business and others. The analysis method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such as Fixed effectiveness approach and Fixed budget approach, the latter approach is used in this study. For economic analysis, three alternativ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Next-generation IBRV" (Alternative 1. Leasing of foreign IBRV / Alternative 2. Leasing of foreign icebreakers and RV / Alternative 3. Leasing of icebreakers, Araon modification and foreign IBRV). In addition, ‘expanding the number of days of research navigation’ and ‘securing the days of operation’ were utilized to equally correct the effectiveness of the original reference alternative. Resulting analysis of total cost to fixed effect model of cost effect analysis is that alternative1 low 11~27 billion won comparing other alternative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easibility of alternatives and operational efficiency, it is suggested that the construction of Next-generation IBRV is the most reasonable measure. This study is timely in that it analyzes the economic feasibility of the project currently being pursued, and theoretically contributes to the use of cost-effectiveness analysis as an alternative to cost-benefit analysis. However, since the project has not yet been finalized, some data and analysis processes have been carried out behind closed doors. Although the construction of the Next-generation IBRV has yet to be confirmed, it is hoped that the feasibility of research demand and other projects will be proved as soon as possible as the feasibility of the Next-generation IBRV has been proven. And it will create the effects such as securing a science platform in the polar sea, enhancing the national status based on science and diplomacy, pioneering and safe operation of the Arctic route,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future energy resources.

      • KCI등재

        한국어 듣기 교재에 대한 텍스트기호학적 분석

        백승주 중앙어문학회 2022 語文論集 Vol.91 No.-

        In contrast to other classes where learners can check their learning content when they need it, it is difficult in listening classes. The only time learners can check the ‘listening content’ is while performing listening activities. Due to these limitations, the composition of listening textbooks is more difficult than in other textbooks. The listening textbook’s text is the only clue learners can rely on for understanding listening content, whereas for instructors, it is the only tool that can provide learners with input and output opportuniti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ow these restrictions are overcome in Korean listening subject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text-semiotic analysis. To this end, the two text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ext-semiotic analysis was performed following two procedures. The first analysis procedure is the analysis of ‘communication participants and the acceptance pattern of text.’ This analysis includes ‘classroom situation analysis,’ ‘class situation analysis,’ and ‘teacher and learner situation analysis.’ The second analysis procedure is ‘text structure analysis,’ which includes ‘separate partial text from the full text and superficial communication function analysis,’ ‘Analysis of the usage patterns and relationships of language signs and visual signs,’ and ‘interpretation of partial text function and teaching learning intention according to the class stag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two textbooks were based on the same teaching method and listening model,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various points. In the case of textbook A, one listening content was designed to be taught and learned through 10 partial texts, whereas in the case of textbook B, two listening contents were composed of five partial texts. It was confirmed that the patterns of coherence and cohesion between the partial texts of textbook A and textbook B appeared differently. Textbook A provides learners with abundant input and output opportunities. However, in the case of textbook B, it was found that coherence and cohesion were weak, and thus the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input and output is insufficient. 필요할 때 교수학습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다른 과목과는 달리 듣기 수업은 교수학습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듣기 내용’은 듣기 활동을 수행할 때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제약 때문에 듣기 교재의 구성은 다른 교재에 비해 더 까다롭다. 듣기 교재텍스트는 학습자에게는 의존할 수 있는 유일한 단서이고, 교수자에게 입력과 출력 기회를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도구이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듣기 과목 교재에서 이런 제약을어떤 방식으로 극복하고 있는지를 텍스트기호학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과, 하향식 듣기 모형을 기반으로 하는 두 교재를 비교 분석하였다. 텍스트기호학적 분석은 크게 두 가지 절차를 따라 수행되었다. 첫 번째 분석 절차는 ‘의사소통 참여자 및 텍스트의 수용 양상’ 분석이다. 이 분석에는 ‘교실 상황 분석’, ‘수업 상황 분석’, ‘교사 및 학습자 상황 분석’이 포함된다. 두 번째 분석 절차는 ‘텍스트 구조 분석’으로이 절차 안에는 ‘부분텍스트 판정 및 표면적 의사소통 기능 분석’, ‘언어기호 및 시각기호의 사용 양상 및 관계 파악’, ‘수업 단계에 따른 부분텍스트의 기능 및 교수 학습 의의 분석’이 포함된다. 분석 결과 두 교재가 같은 교수법과 듣기 모형에 기반하고 있지만, 여러가지 지점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교재의 경우 하나의 듣기 내용을부분 텍스트 10개를 통해 교수 학습하도록 설계되어 있었지만, B 교재의 경우 두 개의 듣기 내용을 5개의 부분 텍스트로 구성하고 있었다. A 교재와 B교재의 부분 텍스트들 간의응집성과 응결성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교재는 부분 텍스트들이 형식적으로나 내용적으로 긴밀하게 결속되어 있어, 학습자에게 풍부한 입력과출력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B교재의 경우는 응집성과 응결성이 약하고, 따라서입력과 출력의 기회 제공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질적자료분석 방법으로서 영역 분석 : 그 다양한 방법들의 탐색

        최성호,김영천 한국질적탐구학회 2017 질적탐구 Vol.3 No.1

        This research explains domain analysis as a method of a qualitative data analysis. Domain analysis is also called cultural domain analysis, as it has been considered as a method for cultural exploration. Although the domain analysis has the most extensive history in traditional ethnographic research and been widely used as a basic analysis method, there are only a few related researches, including the Spradley(1980) and Kim&Kim(2015). Therefore, in this research, we explore the concept, traits, and typical technique of domain analysis; including Freelisting, Pilesorting, Paired comparison. Moreover, researchers introduce a new process of domain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of Spradley(1980) and Newing et al.(2011). The research is expected to help researchers in the field, by suggesting diverse and practical methods of domain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질적자료분석 방법으로서 영역 분석(domain analysis)에 대해 논의해보고자 한 다. 영역 분석은 전통적으로 문화탐구를 위한 방법이기에 문화 영역 분석이라고도 하며, 후에 질적 연구에서 보편화되며 영역 분석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영역 분석은 전통적 문화기술지 연구의 가장 오래된 분석 방법이며 질적자료분석 중 기초적 분석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Spradley(1980)의 책과 김필성과 김영천(2015)의 연구 외에 찾아보기 힘 들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영역 분석의 개념과 특징 및 대표적인 영역 분석의 기법인 프리리 스팅(free listing), 항목분류(pile sorting), 대응비교(paired comparison)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다. 또한 Spradley(1980)와 Newing et al.(2011)에 근거하여 영역 분석 기법을 활용한 실제적인 영역 분석의 과정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질적자료분석 방법으로서 영역 분석의 실제적이고 다양한 방법을 제시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