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항공우주산업 분야 과학기술의 연구 동향 분석

        김희수 ( Hee-su Kim ),김재현 ( Jae-hyun Kim ),황인서 ( In-seo Hwang ),이동훈 ( Dong-hoon Lee ),최원석 ( Won-seok Choi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1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9 No.4

        연구 동향 분석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특정 연구 분야의 동향을 분석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논문 키워드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구 분야의 동향을 살펴본다. 항공우주산업은 주목 받고 있지만 항공우주 산업의 근간이 되는 과학기술에 대한 특징을 데이터에 근거해 분석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2009년~2020년 발행된 항공우주산업 관련 3편의 SCI 저널 (Progress in Aerospace Science,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IEEE Transaction On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 논문을 선정하였으며, PAS에서 168편, AST에서 844편, TAES에서 2627편 총 3639편의 논문에서 5026개의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키워드는 정제하여 하나의 논문에서 생성된 키워드들을 링크로 서로 연결하며, 이렇게 구성된 키워드 링크 데이터를 UCINET 툴을 이용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 동향 분석을 수행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항공우주 기술 분야의 키워드 네트워크는 평균적으로 하나의 키워드가 8.788개의 키워드와 연결되어있고, 밀도는 0.002 값을 가지며, 클러스터링 계수는 0.451로 매우 낮다. 이는 항공우주산업 기술에서는 항공기 기체, 비행체 제어, 공력, 환경규격, 항공 전자 및 소프트웨어, 인공위성, 추진, 항공기 엔진, 항공기 인증, 발사체, 무인기, 탐지 추적, 광학 등의 다양한 분야가 연구 및 통합되기 때문이다. 또한, 키워드 간 평균 거리가 4.05 값을 가지는데 이는 항공우주기술 분야가 좁은 세상 네트워크(small world network)를 이루고 있으며, 멱함수의 법칙의 특징을 가지는 것을 말한다. 네트워크에서 중심성이 높은 노드는 중요한 위치를 가지며 다른 노드들에 많은 영향력을 끼친다. 연결 중심성(Degree centrality), 매개 중심성(betweenness centrality) 지표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내의 중요 키워드들을 분석하고 키워드들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서 항공우주산업의 연구동향을 분석한다. 본 연구를 통해 중요한 키워드로 ‘수신기(Receiver)’, ‘평가(Estimation)’, ‘탐지 및 추적(target track)’, ‘공기역학(aerodynamic)’, ‘궤적(Trajectory)’,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등의 키워드가 선정되었으며, 이들 키워드는 항공우주산업 과학기술의 근간에서 중요한 키워드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키워드를 중심으로 중요하게 선정된 키워드간의 관계를 살펴본다. Research trend analysis is a method of analyzing trends by using data in a specific research field. In this study, trends in the research field are examined and evaluated with thesis keyword network based on characterize the subject and keyword semantic analyze. Although the aerospace industry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field of studies, science and technology characteristic analyzing in the aspect of data has not been frequently researched. For this study, 3 SCI journals papers (Progress in Aerospace Science, Aerospace Science and Technology, IEEE Transaction On Aerospace and Electronic System) related to the aerospace industry were selected, which were published from 2009 to 2020. And we collected a total 3639 papers that contains 5026 keywords which are 168 papers form PAS, 844 papers from AST and 2627 papers from TAES. The collected keywords from each paper were connected as one link, and performed network configuration with a linked keyword data set by using UCINET tool. Constructed keyword link data set was analyzed for aerospace trend research.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a single keyword from aerospace technology field was connected with 8.788 keywords in average, the network keyword density had a value of 0.002 and the clustering coefficient was very low as 0.451. This is because various fields such as aircraft airframe, vehicle control, aerodynamics, environmental standards, avionics and software, satellite, propulsion, aircraft engine, aircraft certification, launch vehicle, unmanned aerial vehicle, detection and tracking and optics are researched and integrated in the aerospace industry technology. In addition, the average distance among keywords has a value of 4.05, which means that the aerospace technology field forms a small world network and has the characteristic of the power law. A node with high centrality in the network link has an important position and has a lot of influence on other nodes. And the research trend of the aerospace industry is analyzed per important keywords in the network using the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 centrality indicators and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From this study, important keywords such as ‘Receiver’, ‘Estimation’, ‘target track’, ‘aerodynamic’, ‘Trajector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omputational fluid dynamic’ and ‘unmanned aerial vehicle’ were selected. And it confirms that these keywords appeared as important found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aerospace industry. For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selected as centering keyword.

      • KCI등재

        한국 항공우주 기업의 기술추격 과정 사례연구 - 쎄트렉아이社의 사례 -

        송재필 ( Jae-pil Song ),황진영 ( Chin-young Hwang ) 한국항공경영학회 2022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20 No.2

        국내 우주개발은 1989년 항공우주 전문기관의 설립을 시작으로 1980년대 후반부터 본격 추진되어 선진국 대비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괄목할만한 성과를 창출하였다. 하지만 국내 우주산업의 규모는 세계 시장 대비 약 1%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주도적 위치로 발돋움하는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국내 지구관측 소형위성 분야의 중소벤쳐기업인 쎄트렉아이는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민간기업으로는 국내 최초로 인공위성 완제품 개발·조립 기술을 확보하고 해외수출을 확대하는 등 세계시장에서 위상을 높여가고 있다. 본 연구는 우주산업의 후발주자로서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가는 쎄트렉아이의 발전 과정에 대해 동태적 역량이론과 기술추격 관련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결과, 항공우주산업과 같은 CoPS 산업에서는 후발국의 기술추격이 매우 어렵다고 한 Hobday (1998)의 기존 연구와는 달리, 후발주자인 국내 중소벤처기업이 소형인공위성 분야에서 비교적 성공적으로 기술추격에 성공하고 세계시장에 진출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쎄트렉아이의 기술추격 과정에 있어서 있어 몇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는데, 첫째, 창업 이전 단계에서 대학 연구기관의 정부 연구개발 프로그램을 통한 기술추격 역량을 구축하였으며, 초기의 기술 습득 단계에서 해외 기술이전 등을 통한 실행을 통한 학습(Learning by doing)이 핵심 기술력(System Integration 등)을 조기에 확보하는데에 효과적이었다. 특히, 영국 SSTL에서 직접 설계, 제작 과정에 참여하면서 습득한 초소형 위성의 시스템기술은 쎄트렉아이의 기술추격의 기반이 되었다. 둘째, 쎄트렉아이의 기술추격 과정은 주로 자체 R&D에 의한 성과였다. Kim(2000) 등 많은 기술추격 이론에서 선진국의 기술도입을 반복하면서 기술수준을 높여가던 사례와는 달리, 쎄트렉아이는 창업이 후 과감히 소형위성 분야 세계시장에 뛰어들면서 자체적인 연구개발을 통한 학습(Learning by R&D)을 통해 사업과 연구개발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기술역량을 구축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듀얼학습(Dual-learning) 프로그램과 클론 프로젝트(Clone Project) 등의 내부 지식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핵심경쟁력인 기술역량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였다. 셋째, 후발기업의 기술추격에 있어 기술적 능력뿐 아니라 기업의 경영전략이 매우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쎄트렉아이는 사업초기부터 국내시장이 아닌 해외시장을 목표시장으로 설정하였다. 특히 기술역량이 부족할 수 밖에 없는 후발 기업이 선도기업과 경쟁함에 있어, 저가 수주 방식의 마케팅이 아닌, 후발국 대상 기술이전 등 차별화된 경쟁전략이 매우 효과적이었다. 특히 쎄트렉아이가 영국에서 학습했던 방식을 도입하여 KAIST(인공위성연구센터)와 협력하여 위성의 제작뿐 아니라 석박사 학위 과정을 병행하는 기술학습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 것은 개발도상국의 정부사업 수주에 매우 효과적인 전략이었다. 넷째, 인공위성산업의 특성 설명에 있어서 복합제품시스템(CoPS)의 이론적 분석틀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복합제품시스템(CoPS)은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한 제작 경향 및 경로의존적인 특성을 갖는다. 쎄트렉아이는 RazakSat, DubaiSat 등 국내외 위성개발 사업의 수주를 통한 발전과정을 겪어왔는데, UAE와의 사례를 통해 볼 수 있듯이 하나의 프로젝트가 한번 시작되면 후속사업으로 장기간 연결되는 경로의존적인 특성을 띄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항공우주산업 및 항공우주산업과 유사한 특성을 띄는 첨단산업 분야로의 기술추격을 하는 후발주자와 관련 연구 등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Korea’s space development was promoted in earnest from the late 1980s, starting with the establishment of related specialized institutions, such as KARI and KAIST Satrec in 1989, creating visible technical results despite its short history. Despite these achievements, however, Korea’s space industry is struggling, with only about 2% of the global market, and Setrec-Initiative, the first private company to secure satellite development and assembly technology in Korea, expanding its competitiveness in the global market. This study conducted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Setrec-Initiative(SI) based on Dynamic capability framework combined with catching-up theories, which secures global competitiveness despite its short history as a latecomer. Hobday(1998) argued that technological catch-up in latecomers is very difficult in the CoPS industry such as the aerospace industry. However, based on this cas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Setrec-Initiative, a small venture company in Korea, succeeded in technological capability building and entered the global market. In addition, several implications were obtained in the technology catch-up process of SI. First, in the pre-startup stage, the technological capabilit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government R&D program of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s. In this stage, learning by doing through parallel execution of overseas technology transfer was very effective in accumulating core technology(System Integration). It became the basis for SI’s technology pursuit. Second, SI’s technology catch-up process was mainly an achievement by its own R&D. Unlike many technology catch-up theories such as Kim(2000), SI has been building its technology capabilities by boldly entering small satellite market since its foundation and combining business and R&D through its own research by R&D. In particular, in this process, ‘dual-learning’ program and the ‘clone project’ internal knowledge management program were operated to transfer technology to new personnel. Third, from the beginning, SaTRec Initiative has targeted the overseas market, not the domestic market. In this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technical capabilities but also corporate management strategies are very important. In particular, when SI, which inevitably lack technical capabilities, compete with advanced companies, the strategy of presenting technology transfer programs to latecomers rather than low-cost marketing was very effective. In particular, introducing SI’s method of learning in the UK and working with KAIST to operate a technology training program that combines master’s and doctorate programs was a very effective strategy for winning government projects in developing countries.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oretical analysis frame of the complex product system (CoPS) was very effective in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aerospace industry. The complex product system (CoPS) has project-based production patterns and path-dependent characteristics. Once a project is launched, it was confirmed that it has a path-dependent characteristic that leads to long-term follow-up projects, as shown in the case with the UAE. Through this,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latecomers and related studies that are pursuing technology in the aerospace industry and high-tech industries with similar industrial characteristics.

      • 신정부 창조경제 시대 견인을 위한 항공우주기술의 역할

        김종범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4

        전 세계적으로 경제 불황이 지속되는 가운데서도 우리나라에서는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등 정부주도 계획을 수립ㆍ시행하여 항공우주 투자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항공우주기술은 미래사회를 선도하고 국민행복 가치창출과 지속가능한 창조경제를 구현하는 창조형 R&D로 전환해야 하고, 국민소득 4만달러와 무역 2조달러 국민행복시대를 견인하는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한다. 달탐사, 한국형발사체, 개인용항공기 등 신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고, 출연연의 산ㆍ학ㆍ연 협력연구의 중심체 역할 강화, 연구성과 확산 및 중소기업 지원 강화 등에도 초점을 맞춰가고 있다. 이러한 창조경제를 위한 노력들은 과학기술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정치ㆍ사회ㆍ경제의 발전에 공헌함과 동시에 국가 이익의 증진, 국제적 지위향상에 밑거름이 될 것이다. Despite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the global government"s budget of aerospace development industry has constantly increased. Korea also continues to invest in aerospace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National Aerospace Plan, and the investment effect can be defined as technological, soci-political and economic. Aerospace technology should play a key role in Korea"s future by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happy and positive values, the shift to creative R&D polocies for creative economy and the achievement of GDP of $40,000 and $2 trillion in trade volume. KARI is also making a constant effort - KOMPSAT, COMS-2, KSLV-II, lunar exploration satellite, PAV(Personal Air Vehicle) are evidances of this - to develop the aerospace industry amid keen competition worldwide. Korea are diffusive in the transfer of R & D result of aerospace development through the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 like Japan. These efforts will surely be a basis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overall growth.

      • 융합연구사업과 항공우주기술

        김종범,황진영 한국항공우주학회 2014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4 No.11

        융합기술의 혁신은 현대 과학기술의 보편적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정부출연구소, 기업, 대학 등 대부분의 기술혁신 주체들이 융합기술의 혁신 주체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융합연구의 정의, 필요성, 융합연구 국가계획, 항공우주 융합연구 현황,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고, 특히 항공우주기술에의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The innovation of the fusion technology takes place as a universal phenomenon of the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The mos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subjects including government funded research institute, company, university get attention as the innovation subject of the fusion technology. This research finds out the definition, necessity and national plan of the convergence R&D, and analyze aerospace fusion research present condition, problem, and activation plan. It tries to look into particularly the applicability of aerospace technology.

      • KCI등재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의 항공우주산업 기술파급효과에 관한 연구

        박재찬 ( Jae-chan Park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7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5 No.5

        본 연구는 항공기 중에서도 첨단 기술이 집약된 전투기 개발이 항공우주산업 각 분야에 미치는 기술적 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한 연구이다. 그 동안 기술파급효과는 주로 정성적인 사례연구나 특허분석법 등에 의존해 왔다. 이는 항공우주산업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효과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술 대 기술의 이전효과를 경제적 가치로 나타낼 수 있는 기술파급효과 모형을 제시하고 이에 따라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기술이 항공우주산업의 대표기술에 대해 미치는 기술파급효과를 측정하였다. 기술파급승수(TCC) 개념을 도입하여 한국형 전투기 개발의 기술파급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는 분야를 계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특히 기술대 기술의 정확한 파급효과 측정을 위하여 기술가치평가계수를 도입하여, 항공우주산업 기술의 가치평가를 통해 기술의 시장가치를 정교하게 반영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기술파급효과 측정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전투기 개발사업을 포함한 국방 R&D를 통해 개발된 기술이 타 산업분야로 파급되는 정도에 관한 경제적 가치를 측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study suggests a quantitative measurement model of technological spillover in developing KF-X program. Through the literatures of existing studies of spillover cases and partial patent analysis, we can found limits of not-integrated, or quantitative. And existing studies did not have any scientific validity. Under this circumstances, this study attempts to build a substantive measurement model of technological spillover in KF-X program through introducing technological contribution coefficient that is combination of similarities of technologies and contribution of technologies. By applying the model on the aerospace industry, this study shows economic value of KF-X program in terms of technological spillover effects. This study suggests an accurate model of measuring real defense R&D technologies’ spillover effects to the other industry through introducing concept of technology market valuation coefficient of royalty rate.

      • KCI등재

        국방연구개발 과제의 정량적 기술파급효과 측정에 관한 연구 : 한국형 전투기(KF-X) 개발의 방위산업에 대한 기술파급효과를 중심으로

        박재찬 ( Jaechan Park )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8 지역산업연구 Vol.41 No.3

        국방연구개발은 전체 국방비 중 방위력개선비에 속한 항목으로서 무기체계 개발과 국방기술연구개발로 나눌 수 있다. 국방연구개발의 성과는 무기체계의 개발 및 특정 국방기술 개발의 성공으로만 평가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무기체계 개발 과정에서의 핵심기술이 국방기술의 연구개발에도 공헌할 수 있다는 것을 정량적 모형으로 정립하여 실제 무기체계 개발사업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현재 진행 중인 대표적인 무기체계 개발 사업인 한국형 전투기(KF-X)개발 사업이 방위산업 분야인 지휘통제·통신, 감시정찰, 기동, 함정, 화력, 방호, 국방 M&S 분야 기술개발에 어느 정도 기술파급효과가 있는 지를 기술파급계수(TCC)와 기술가치평가계수를 활용한 모형을 활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국방기술개발의 기술파급효과를 촉진시킬 수 있는 실질적 수단으로서의 기술적 유사도와 기술적 공헌도의 개념에 대해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고, 무기체계 개발로 획득된 기술이 다른 국방기술 개발에 대한 기술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측정 및 평가하여 타당성을 검토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객관적 도구를 제공하였다는 측면에서 실무적 공헌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quantitative estimation measurement of technology spillover effects of KF-X program on Korea’s defense industry. Traditionally defense R&D i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f developing weapon systems and R&D of defense technologies. Each has been controlled by individual standards and doesn’t have any relation each other. In the act of technology spillover, there can be some techn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weapon system development programs and defense technology R&D projects. By using the Technology Contribution Coefficient model, this study suggests technological spillover effects of 9 core technologies - aviation engineering, airframe, flight control, utility system, avionics system, test and evaluation, training system, integrated logistics support and system engineering - of KF-X program on defense industry of command&communication, I·S·R, military vehicles, battleship&submarine, ordnance system, air defense&NBC, defense M&S, and SW.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upport a feasibility study research method of defense R&D program. Also in terms of technology to technology perspective, this study is helpful in rational decision making in cost benefit analysis of defense R&D projects.

      • 항공우주 개발 타당성분석의 이론과 실제

        김종범,김은정 한국항공우주학회 2013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3 No.11

        연구개발 투자의 사전적 및 사후적 타당성 분석에 의한 효율적인 자원배분 체제의 구축이 요청되고 있다. 본 고는 항공우주기술 분야의 국내외 실제 현실에 활용되고 있는 타당성 분석(기술적, 경제적, 정책적 타당성분석)의 이론과 실제 분석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러한 결과, 항공우주산업은 생산과정에서 부가가치 비율 및 연구개발 지적 비율이 높으며, 기술축적도 크며, 결과적으로 많은 산업분야에 높은 경제적/기술적 파급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나타날 수 있다. R&D policies are gradually demanding efficient resource allocation system based on pre and post feasibility analysis on R&D expenditure. This paper goes through theories, methods and cases regarding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The cases have implications that aerospace industry creates high value-added and shows high degree of accumulation of technology. This means aerospace industry sector have large economic and technological impacts on other many industrial sectors.

      • 증거기반 항공우주 전략

        김종범(Kim, Jong-Bum)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6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4 No.1

        증거기반 정책이 보편적인 현상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항공우주 R&D 분야에서의 증거기반 중장기 투자전략을 살펴보았다. 세계 및 한국의 시장·산업 현황, 시장성, 공공성, 기술역량, 정부투자생산성, 우선투자 전문가 설문 등의 분석을 기반으로 한국의 항공우주 R&D 투자전략을 살펴보고자 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medium and long-term investment strategy based on the evidence in the R&D field of Korean aerospace technologies. Through the analysis of factors such as the current state of the world and Korean market, current status of investment, marketability, public nature, technical capabilities, productivity of government investment, expert questionnaire of priority investment in the Korean aerospace technologies, we presented the R&D investment strategy of aerospace technologies.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인 창의연구의 성공요인 분석

        최남미(Choe, Nammi),남기원(Nam, Gi-Won)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Vol.19 No.2

        대형 체계사업이 주를 이루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유일한 개인 소규모 과제인 항공우주기술시드사업은 출하였다. 최근 수행한 시드사업의 세 가지 대표사례를 선정하여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공통적인 성공요인으로 동일 주제에 대한 장기적인 연구, 연구책임자의 전문성 및 신념, 창의성을 이끄는 조직의 리더십, 연구그룹 내 수평적 의사소통 및 다양성, 외부 연구 집단과의 활발한 협업이 있었다. 연구원 개개인의 역량과 더불어 조직의 열린 정책 및 문화가 뒷받침 되어야 개인의 창의적 연구도 혁신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분석된다. The Seed Project for Creative Aerospace Technology R&D(Seed Project), the only small-scale project for individuals in the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results more research papers, patents, and technology transfer compared to large-scale system projects. Three representative cases of the recent Seed Project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success factors. Common success factors are long-term research on the same subject, the expertise and confidence of the principal investigator, creative organizational leadership, horizontal communication and diversity within the research group, and active collaboration with external research groups. Also it is analyzed that a creative research by individual can lead to innovation as open policies and supportive culture of the organization are guaranteed as well as the capabilities of the individ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