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SM 기법을 이용한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시장 수용 가격 추정

        조용경(Cho, Yong kyung),윤영호(Yoon, Young Ho)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3

        The market of AI smart housing services and platforms is expanding with the advancement of ICT technology. Therefore, competition is high for market expansion and preoccupation in the platform industry, furniture and interior industry, electronic device industry, construction industry, and communication industry. But we have already known users(residents) are the most important. And the value perceived by users is priced in the marke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price range of AI smart housing services and platforms that are acceptable in the marke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AI smart housing service and platform acceptable in the market, and to estimate the price range suitable for the distribution structur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intelligent home network most similar to the AI smart housing residential service and platform is basically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subscription economy. Among the three types of subscription economy, the service is provided by paying a fixed fixed fee. In other words, it is a form of paying a monthly subscription fee and using all services and platforms. Accordingly, we estimated the monthly subscription fee of AI smart housing service and platform using PSM with a sample of 300 apartment dwellers nationwide. As a result of PSM analysis, the market acceptable price range was found to be between 16,000 won and 26,000 won for monthly subscriptions. And the price that maximizes demand is 18,000 won.The SPR was about 2,000 won, indicating that price sensitivity was not great. These results suggest the minimum price range for the AI smart housing service and platform to be basically supplied in the future in the apartment where about 70% of the people live, without being alienated from the market.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practical reference for entities planning to advance into AI smart housing services and platforms throughout the market.

      • KCI등재

        AI 서비스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헤이카카오, 네이버 클로바를 중심으로

        권아름,김승인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3 디지털예술공학멀티미디어논문지 Vol.10 No.2

        In this paper, study on user experience to improve the usability of AI service platforms. There ar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technical problems that AI technology penetrates into life but cannot continue natural conversations. Accordingly, in order to examine the user experience, the user experience of Kakao's Hey Kakao and Naver's Clova application, which provide domestic AI complex services, was compared and analyzed. As a research method, a 1:1 face-to-face in-depth survey was conducted on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40s who are familiar with VUI use, and user experience was analyzed by matching VUI usability category items such as efficiency, accuracy, flexibility, consistency, meaning, and AI usability evaluation. As a result, both applications had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command recognition from feature to feature, and were also inconsistent with the use of VUI and UI in providing information and content.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usability, technical problems with command recognition, high-level information provision, and consistent interaction design should be considered. 본 연구는 AI 서비스 플랫폼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사용자 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AI 기술이 생활 속으로 파고들지만 자연스러운 대화를 이어가지 못하는 자연어 처리와 기술적 문제가 있다. 이에 사용자 경험을 고찰하고자 국내 AI 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카카오의 헤이카카오와 네이버의 클로바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VUI 사용에 익숙한 20-40대 남녀를 대상으로 1:1 대면 심층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사용성 평가 설계를 위해 VUI 사용성 범주 항목인 효율성, 정확성, 유연성, 일관성, 의미성과 AI 사용성 평가를 위한 항목 개인맞춤화, 다양성, 편의성, 전문성, 실시간성을 매칭하여 사용성 평가 목록을 작성한 후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애플리케이션 모두 명령어 인식에 대해 이해도가 기능마다 상이했으며, 정보 및 콘텐츠 제공에 있어 VUI와 UI 사용에 대해서도 일관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사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명령어 인식에 대한 기술적 문제와 고차원적인 정보 제공, 일관적인 인터랙션 디자인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I 추천시스템 기반 버티컬 플랫폼의 개인화 서비스 특성과 효과 연구

        김종욱(Jong-Ouk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5

        본 연구는 AI 추천시스템 기반 버티컬 플랫폼의 개인화 서비스와 소비자의 정서적 몰입, 신뢰 및 행동의도를 분석함으로써 개인화 서비스의 특성과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한 정량적 연구를 수행하였고, 버티컬 플랫폼에서 구매경험이 있는 20대와 30대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방식에 의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버티컬 플랫폼의 개인화 서비스 특성은 사용 용이성, 정보 정확성, 편의 제공성, 상품 선별성, 상품 추천성으로 분류되었고, 정서적 몰입과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개인화 서비스 특성은 정보 정확성과 상품 선별성으로 나타났다. 개인화 서비스의 사용 용이성은 정서적 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소비자 신뢰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버티컬 플랫폼 소비자의 추천의도와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 개인화 서비스 특성은 정보 정확성, 편의 제공성, 상품 선별성이었으며, 정서적 몰입과 신뢰는 소비자의 행동의도를 높이는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이 결과는 AI 추천시스템 기반 개인화된 서비스 개발의 근거를 제공하고, 플랫폼과 소비자 간의 긴밀한 관계 구축을 위한 마케팅 믹스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personalized services by analyzing the personalized services of a vertical platform based on an AI recommendation system and consumers affective commitment, trust,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research method was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surveys,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argeting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purchasing experience on a vertical platform. The personalized service 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platform were classified into the ease of use, information accuracy, convenience provided, product selectivity, and product recommendability. The information accuracy and product selectivity of the personalized service positively affected the affective commitment and trust. The ease of use negatively affected affective commitment, while it positively affected trust. Personalized service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d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of vertical platform consumers were information accuracy, convenience provided, and product selectivity. In addition, the affective commitment and trust of vertical platform consumers positively affected the behavioral intention.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personalized services based on an AI recommendation system and be used in the marketing mix to buil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tform and consumers.

      • KCI등재

        인공지능 서비스 플랫폼 기반 제조경보시스템 개발: 연속주조공정을 대상으로

        채희철(Hee Chel Che),이정한(Joung-Han Lee),이준석(Junseok Lee),백민재(Minjae Baek),이성락(SeongRak Lee),김창원(ChangWon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1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1 No.5

        빅데이터, 인공지능, IoT기술과 같은 디지털 기술의 발달은 오늘날 많은 산업 분야의 변화와 혁신을 이끌고 있다. 제조업 분야에서도 디지털 기술의 적용을 통해 많은 혁신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스마트공장이 있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서는 많은 디지털 기술이 필요하며, 그 중 인공지능은 응용가능성이 높은 기술 중 하나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AI서비스 및 서비스 플랫폼에 대한 표준이 정립되어있지 않고, 관련 인력도 부족하여 AI서비스 개발과 운영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업에서 이러한 어려움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AI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며,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조업에 활용한 제조경보시스템도 같이 제안한다. 제안한 인공지능 서비스 플랫폼과 제조경보시스템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제철공정 중 하나인 연주공정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제안된 시스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Today,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uch as big data,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Internet of Things, leads to changes and innovations in various industries. For example, a lot of manufacturing companies try to apply digital technology to improve productivity. It is smart factory. Digital transformation is needed a lot of digital technology. Among them, AI is higher technology for applicability. However, the standard of AI services and service platform is not fixed yet. Also, AI developers and data scientists are not enough to satisfy demand. Due to these reasons, new service-based AI is challenging to appl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manufacturing warning system based on an artificial intelligence platform for helping the above problem. The proposed system is applied in continuous casting processing of the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and we are able to find out the feasibility for the proposed.

      • KCI등재

        SNS 뉴스 서비스의 특성에 관한 연구: 카카오톡 뉴스 콘텐츠

        안종묵 ( Jong-mook Ahn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9 No.4

        본 논문은 디지털미디어의 영향이 확대되는 가운데, SNS 카카오톡 플랫폼의 뉴스 서비스에 주목하였다. SNS 카카오톡은 AI 뉴스알고리즘을 활용한 ‘편집’을 통해서 뉴스 이용자들에게 제공됨으로써 초기화면에 어떠한 뉴스를 업로드 하느냐에 따라 뉴스 이용자의 의제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NS 카카오톡 플랫폼 뉴스서비스에서 경성뉴스의 연성화는 문제이다. 둘째, SNS 카카오톡 플랫폼의 뉴스 서비스에서 상위 5% 뉴스원은 뉴스통신사 3개, 경제전문 인터넷신문 1개, 전통적인 보수 신문 미디어 3개이다. 100% 타급뉴스에 의존하는 SNS 카카오톡 플랫폼의 뉴스 서비스는 보수언론의 뉴스 프레임을 확대 재생산하고 있음을 나타내며, 뉴스 프레임의 획일화 문제를 낳을 수 있다. 셋째, 뉴스의 연성화 정도가 강할수록 댓글이 많은데, 본 연구결과는 댓글 수와 뉴스의 연성화와 관계있음을 실증적으로 보여준다. 뉴스 생태계가 뉴스 이용자와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뉴스 이용자의 욕구가 반영된 댓글이 뉴스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온라인 저널리즘의 회복을 위한 법·제도적 방안이 시급하게 마련되어야 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news service of the SNS KakaoTalk platform while the influence of digital media has expanded. As SNS KakaoTalk is unilaterally provided to news users through ‘editing’ using AI news algorithm, it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agenda formation of news users depending on what news is uploaded to the initial scree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oftening of hard news in the SNS KakaoTalk platform news service is a problem. Second, the top 5% news sources in the news service of the SNS KakaoTalk platform are three news agencies, one economy-specialized internet newspaper, and three traditional conservative newspapers. The news service of the SNS KakaoTalk platform, which is 100% dependent on other news sources, indicates that the news frame of the conservative media is expanded and reproduced, and it may lead to of lack of diversity in the news frame. Third, the stronger the degree of news softening, the more com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irically show a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comments and the news softening. Considering that the news ecosystem consists of dynamic interaction with news users, it indicates that the comments reflecting the needs of news users affect the news service. Therefore,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must be urgently prepared for the recovery of online journalism.

      • KCI등재

        Impact of Perceived Value of Facility AI Platform Service on Reuse Intention based on IS Success Model

        이병구,문태수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2023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Vol.23 No.5

        With the wide sprea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most firms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establishing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y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as an investment in smart factory and facility AI platform adoption has been strengthened. In particular, the firms are improving their labor productivity and facilitating their effort for organizational digital transformation through smart factory project in manufacturing companies. Based on the theory of IS success model,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quality, systems quality, service quality and reuse intention through the firm's digital transformation process. This study also applied perceived value construct into adoption of facility AI platform service for predictive maintenance beyond something like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s) and POP (point of production). We believe that firms can improve their reuse behavior through value-based approach to adopt facility AI platform service. This study collects 98 firms user data from manufacturing companies which implemented their smart factory projects. After analyzing the data, we conclude that digital transformation through facility AI platform service has contribute to establish one of their core capabilities to build sustainable growth of the firm.

      • 인공지능 서비스 플랫폼의 사례연구를 통한 UX 디자인 고찰 : 빅 데이터 활용과 플랫폼을 중심으로

        Sung Sil Kim,Young Hwan Pan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19 서비스디자인융합연구 Vol.3 No.1

        본 연구의 배경은 4차 산업 발달 기술 중 가장 많은 화두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의 기술적 의미와 기술 종류를 명확히 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업 전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정의할 필요가 있다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인공지능 서비스의 기술 활용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더욱 긴밀하고 넓게 우리 주변의 다양한 서비스에서 활용되어지고 있는 반면, UX디자인 분야에서는 기본적인 기술에 대한 이해도도 매우 낮은 편일뿐만 아니라 해당 기술을 바탕으로 한 활용에 대한 방향도 못잡고 있는 듯하다. 이에 인공지능 기술과 활용 분야에 대한 관계를 정립하는 것은 UX디자인 관점에서 매우 필요한 요건이라고 판단되었으며, 기술들을 이해하고 유익하게 활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우리의 자세이자 책임이라고 생각되었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기술의 원리와 빅 데이터와의 관계를 정리하고 어떤 서비스로까지 이어지는지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향후 UX디자인 분야에서 어떠한 역량과 방향을 가져가야할 지에 대해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방법론으로는 데이터 수집과 테스트의 한계로 인해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그 중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서비스 플랫폼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향후 미래 디자인에 대한 기술적 해석과 발상에 도움이 되길 기대하며, UX디자이너로써의 역량과 통찰력에 대해 재조명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began with the need to clarify the technical meaning and type of technology in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the most talked about among the 4th industrial development technologies, and to define how it affects the industry as a whole. While the use of technology in artificial intelligence services is being used more closely and widely than we think, in the UX design field, understanding of the basic technology is also very low, and the direction of its use based on that technology seems to be poor. It was judged that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I technology and utilization areas is a very necessary requirement from the UX design perspective, and that it is our position and responsi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technologies wisely. The study aims to outline the principl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its relationship to big data and show what capabilities and directions to take in the future UX design area by studying what services it leads to.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due to limitations in data collection and testing, and was centered on big data and AI service platform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Hopefully, it will help us interpret and think about future designs, and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our capabilities and insights as UX designers.

      • KCI등재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표적시장 선정을 통한 사업화 전략 수립

        조용경(Cho, Yongkyung),임지은(Im, Jieun),윤영호(Yoon, Youngho) 한국주거환경학회 2021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9 No.4

        AI 스마트 하우징은 국가적으로 연구·개발을 통한 시장 활성 및 시장 선도가 요구된다. 시장 활성화 및 선도를 위해서는 개발 단계에서부터 사업화 전략이 필요하며, 사업화 전략 수립을 위해서는 먼저 표적수요의 선정이 요구된다. 표적 수요를 선정하는 방법에는 STP 프로세스가 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시장세분 요소를 기반으로 AI 스마트 수요자 시장 세분요소를 성별, 연령, 가구규모, 거주지역, 소득, IT 친숙도 등으로 도출하였다. 시장세분요소별로 시장을 세분한 결과 남성보다는 여성이, 가구규모가 작을 수록, 지역적으로도 서울, 세종시 보다는 제주, 전라도, 강원도, 충북, 광주, 경기도 등이, IT 친숙도가 높은 층에서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화된 세분요소로는 소득이 낮거나 높은 층에서 필요도 인식이 높았고, 연령이 낮은 20-30대 층과 50대 이상 장년층 이상의 필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할 때 표적시장은 20-30대와 고령층으로 이원화하고, 소득 측면에서도 저가형과 고가형으로 이원화할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더불어 IT 친숙도 측면에서도 IT 친숙도 ‘중’인 세분시장 중 판단을 유보한 층이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활성화 및 저변확대를 위해 전략적으로 접근해야하는 세분시장임을 도출하였다. 지역적으로는 시점적용을 위해서는 서울, 세종시 보다는 제주도나 강원도 등 타 지역이 더 유리하다는 전략의 도출이 가능했다. 마지막으로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의 총 수요는 전국 아파트 거주 가구 10,780,401가구이며, 잠재수요는 7,729,548가구라는 표적수요의 량도 도출했다. AI smart housing requires market activation and market leadership through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 order to revitalize and lead the market, a commercialization strategy is required from the development stage. A method for selecting target demand is the STP process. To this end, based on general market segmentation factors, AI smart consumer market segmentation factors were derived such as gender, age, household size, residential area, income, and IT familiarity. As a result of segmenting the market by market segmentation factor, as a result of segmentation of the market by market segment, more women than men, and smaller households, geographically more Jeju, Jeolla-do, Gangwon-do, Chungbuk, Gwangju, and Gyeonggi-do than Seoul and Sejong-si, and Gwangju, Gyeonggi-do were more popular among those with high IT familiarity. appeared to be necessary. As for the dual subdivision factors, it was found that people with low or high income had a higher awareness of need, and those in their 20s and 30s with low age and those in their 50s or older had higher needs. Combining these results, it was deduced that the target market should be divided into those in their 20s and 30s and the elderly, and in terms of income, it should be divided into low-priced and high-priced models. In addition, in terms of IT familiarity, it was deduced that among the sub-markets with ‘medium’ IT familiarity, those who had withholding judgment should approach strategically to activate AI smart housing services and platforms and expand the base. Regionally, it was possible to derive a strategy that other regions such as Jeju-do or Gangwon-do were more advantageous than Seoul and Sejong-si for the point-in-time application. Finally, the total demand for AI smart housing service and platform is 10,780,401 households living in apartments nationwide, and the potential demand is 7,729,548 households.

      • KCI등재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 활성화를 위한 사업화 모델 수립에 관한 연구

        조용경,김재환 한국주거환경학회 2022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20 No.4

        우리나라는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주거서비스 요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활성화 측면에서 저렴하고 보편적인 주거서비스가 많이 부족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거서비스 활성화 측면에서 AI 스마트 하우징 시장 활성화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AI 스마트 시장 분석을 통해 다양한 시장 참여자들의 가격과 기능의 두가지 요소에서의 시장 접근 형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AI 스마트 하우징 활성화를 위한 가격, 표적시장, 제공 서비스 등을 포함한 사업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기능의 수준차이는 있지만 AI 스마트 하우징 구현 측면에서 전후방의 다양한 산업계가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총 11개의 기능수준을 기준으로 16개 유사·경쟁시장 및 대체 시장의 기능을 정량화 한 결과 최저 2개 기능 수준에서 최대 7.5의 기능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 스마트 하우징 서비스 및 플랫폼의 경우에도 6.5-8정도 수준의 기능수준을 구현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격구간의 경우 구독의 유통방식을 취하는 경우 0.11~6.49 만원/월의 구간에서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방식으로 유통되는 경우는 간단한 제품의 경우 2천원 정도부터 시작하지만 스마트 가전으로 구현할 경우 약 2,000만원까지 가격이 형성돼 있다. 마지막으로 표적시장 및 표적시장의 특성, 가격수준, 플랫폼 기능, 핵심 고객가치(서비스) 등을 종합 정리하여 사업화 모델을 7개 유형을 수립하였다. 입문용, 보급형 청년용, 보급형 고령자용, 고급형 1-2인 가구형, 고급형 3-4인가구 이상 형, 고급형 고령층, 최고급형으로 구분하였다. 보급형의 경우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주거복지 차원에서의 적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 KCI등재

        리걸테크와 소비자후생 - 리걸테크 유니콘의 성장배경과 사례를 중심으로 -

        정혜련 한국소비자법학회 2022 소비자법연구 Vol.8 No.2

        Legal Tech has drastically reduced the amount of time and cost needed to file a suit, while also enabling more convenience for legal professions by substituting human resources to artificial intelligence in works of searching provisions, making a list of evidence, or reorganizing lawsuit records and others. Moreover, from the aspect of clients, Legal Tech allowed the clients to get easier access to legal services, and as a result it contributed in spreading the atmosphere that it is possible to receive legal aid with low costs. In particular, Legal Tech achieved explosive growth in the U.S. with the need for secure implementation of the electronic evidence discovery system in law proceedings, followed by imposition of heavy fines, compensation for damages, and even effecting prevail/defeat if not complied. As the discovery of electronic evidence itself is complicated and complicate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digital platform, which is easy to collect, store, and analyze data, has demonstrated the efficiency of its operations. The domestic market situation is no longer irrelevant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legal tech. As the number of registered lawyers in the country increased and competition intensified, legal services using legal tech as a necessity for differentiation of services expanded. Legal Tech's legal search and case search functions have eased hypertrophy of online platforms and th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legal professionals in general online platforms, allowing everyone to get services to lawyers they want, and increasing access to legal services. Also the evidence discovery system is already applied to the code of criminal procedure through the amendment of 2007. Faithful execution of the digital evidence presentation discovery system is applied to domestic company as well as American companies especially since the increase of ongoing lawsuits between domestic companies and American companies. In the United States, Logikcull in the field of electronic discovery and Legalzoom in the field of legal advice have already achieved remarkable results. Logikcull use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to categorize, organize and tag vast amounts of data uploaded by users to facilitate lawyers, and Legalzoom has gained huge popularity by providing useful legal services to individuals and small businesses which could not afford to have lawyers, allowing most users to subscribe to Legalzoom and covering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company's income with the subscription fee. Considering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ituation, for the normalization of legal tech platforms, not only the technical perform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lgorithms, but also data protection, algorithm regulation and rule-making, and expansion of related infrastructure (especially expansion of public legal information) are essential. Especially, as the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of president-elect Yoon Seok-yeol emphasizes self-regulation on digital platforms, self-regulation should be reach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legal tech platform described above. In conclusion, since legal tech platforms clearly do help promote consumer rights by lowering the cost of searching information and increasing their access to lawyers, regulations on legal tech platforms should be properly harmonized. 리걸테크는 미국에서 법조문 검색, 증거목록의 작성, 소송기록의 정리 등을 사람이 아닌 인공지능이 대체함으로써 법조인의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소송과 관련된 시간과 비용을 대폭감소시켰다. 또한 고객의 측면에서도 법률 서비스 이용의 문턱을 낮추어 적은 비용으로 법률구제를 받을 수 있다는 분위기를 확산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미국 법원이 소송의 절차 중 전자증거개시제도의 이행여부에 대하여 엄격하게 판단하고 증거개시 및 증거보존통지의 불이행이 있는 경우 막대한 금액의 과징금 부과와 손해배상, 나아가 승·패소 여부까지 좌우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리걸테크는 이러한 전자증거개시절차의 성실한 이행의 필요성과 맞물려 미국에서 폭발적 성장을 이룩하였다. 이는 전자증거개시절차 자체가 복잡하고 까다롭기 때문에, 데이터 수집·축적·분석이 용이한 디지털플랫폼이 업무의 효율성을 발휘한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국내의 시장상황도 더 이상 리걸테크의 발전과 성장에 무관치 않다. 국내 등록변호사 수가 증가하면서 경쟁이 심화하였고, 서비스 차별화의 필요성으로 리걸테크를 활용한 법률 서비스의 중요성이 확대되었다. 리걸테크의 변호사검색 기능, 판례검색 기능은 일반적인 온라인 플랫폼의 비대화 일반인과 법조인 간의 정보비대칭성을 완화하여 누구나 원하는 변호사들에게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하여 일반 국민(소비자)의 법률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였다. 또한 증거개시제도의 경우 이미 형사재판에서는 2007년 형사소송법 개정을 통해 우리나라 소송법에도 적용되는 절차적 제도이며, 국내 기업이 미국 법원에서 미국의 기업과 진행하는 소송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전자증거개시제도의 충실한 이행의무는 미국 기업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기업에게도 적용되는 의무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에서는 이미 전자증거개시 분야의 Logikcull, 법률 자문 분야의 Legalzoom이 괄목할 만한 성적을 거두었다. Logikcull은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업로드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류, 정리 및 태그를 달아주어 변호사의 편의를 도모하였고, Legalzoom은 변호사를 둘 여력이 없는 개인이나 중소기업에게 유용한 법률 서비스를 제공하여 큰 인기를 끌어, 대부분의 사용자가 리걸줌을 구독하여 그 구독료로 회사 수입의 상당 부분을 충당하였다. 국내의 상황을 고려하여, 리걸테크 플랫폼의 정상화를 위하여는 인공지능과 알고리즘의 기술적 성능뿐만 아니라 데이터 보호, 알고리즘 규제 및 준칙 마련, 관련 인프라의 확충(특히 공개법률정보의 확대) 등이 필수적임을 이해할 수 있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대통령직인수위원회는 디지털플랫폼에 대한 자율규제를 강조하고 있는 만큼, 앞서 설명한 리걸테크 플랫폼별특성에 착안한 자율규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리걸테크 플랫폼은 정보 검색 비용을 낮추고 변호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등 소비자 권익증진에 분명 도움을 준다는 점에서 소비자를 포함한 이해관계자의 권익보호와 리걸테크 플랫폼에 대한 규제가 적절히 조화를 꾀하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