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5G 통신 기술을 적용한 인명구조용 보조 장비 디자인 연구 - 해상구조용 드론을 중심으로 -

        YANGJUN,조정형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8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design of marine rescue drones that support lifesaving operations using 5G technology. 5G technology provides the ability to process images and sensor data in real time by providing high-speed data transmission and fine latency. Through this, drones enable quick and accurate information collection and emergency judgment even during life-saving operations. In the study, image sensors, thermal imaging sensors, marine state data sensors, speakers, etc. were applied as auxiliary equipment for marine rescue drones, and a 5G communication marine structure management system was designed to transmit and analyze such data in real time through a 5G net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irection for drones to operate maritime rescue activities in the 5G era by applying 5G maritime communication methods and designing the appearance of drones by combining research results on marine rescue drones in the 5G era. As related technologies mature and product structures improve, drones' 5G technology-related functions are expected to be realized in the near future. It is also expected to be applied to various fields where other marine rescue products or drones can be used. In subsequent studie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ield of maritime structure by presenting such a specific design. 본 연구는 5G 기술을 활용하여 인명구조 작업을 지원하는 해상구조용 드론 디자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5G 기술은 고속의 데이터 전송과 미세한 지연 시간을 제공하여 실시간으로 영상 및 센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드론은 인명구조 작업 중에도 빠르고 정확한 정보 수집 및 응급 상황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에서는 해상구조용 드론의 보조 장비로서 이미지센서, 열화상 센서, 해상 상태 데이터 센서, 스피커 등을 적용하고, 5G 네트워크를 통해 이러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분석하는 5G 통신 해난구조 관리시스템을 디자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G 시대 해상구조용 드론에 대한 연구 결과와 해난구조 요소를 결합하여 5G 해상통신방식을 적용하고 드론의 외관을 디자인함으로써 드론이 5G 시대에 해난구조 활동 운용에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관련 기술이 성숙되고 제품 구조가 개선이 되면서 드론의 5G 기술 관련 기능도 머지않아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다른 해상구조 용품이나 드론 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체적인 디자인을 제시함으로써 해난구조 분야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5G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싱 연구 비교 분석

        고아름,지일환,진호준,전승호,서정택 아이씨티플랫폼학회 2023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Vol.11 No.5

        네트워크 슬라이싱 (network slicing)은 네트워크 인프라를 여러 개로 분할하는 기술을의미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싱은 네트워크 분할에 들어가는 물리적 자원을 최소화하면서, 유연한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은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5G 환경에 적합한 형태로 개발 및 도입되었다. 하지만, 5G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싱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않아 해당 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5G 네트워크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에 대한 비교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기술에 대한통찰을 제공한다. 본 연구의 비교 분석에서는 체계적인 절차를 통해 5G 환경에서의 네트워크슬라이싱에 대한 13개의 문헌을 식별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G 네트워크를대상으로 자주 사용되는 3가지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인 RAN(radio access network) 슬라이싱, CN(core network) 슬라이싱, E2E(end-to-end) 슬라이딩은 확인하였으며, 이러한기술은 주로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향상과 네트워크 격리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음을확인했다. 본 비교 분석 연구 결과는 앞으로의 네트워크 슬라이싱 연구 방향과활용방안으로서 6G 기술 연구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한다. Network slicing refers to a technology that divides network infrastructure into multiple parts. Network slicing enables flexible network configuration while minimizing the physical resources required for network division. For this reason, network slicing technology has recently been developed and introduced in a form suitable for the 5G environment for efficient management of large-scale network environments. However, systematic analysis of network slicing research in the 5G environment has not been conducted, resulting in a lack of systematic analysis of the technology. Accordingly, in this paper, we provide insight into network slicing technology in the 5G network environment by conduct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chnology. In this study's comparative analysis, 13 literatures on network slicing in the 5G environment was identified and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a systematic procedur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ree network slicing technologies frequently used for 5G networks were identified: RAN (radio access network) slicing, CN (core network) slicing, and E2E (end-to-end) sliding. These technologies are mainly used for network services. It was confirmed that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achieve quality improvement and network isol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is comparative analysis study can contribute to 6G technology research as a future direction and utilization plan for network slicing research.

      • KCI등재

        중국 5G 서비스의 사용자 사회적 특성이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니에신위,경성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2 디지털융복합연구 Vol.20 No.3

        This After the debut of 5G, our lives have changed a lot. In particular, the proliferation of wireless network services through smartphones and LTE has completely changed the exist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hat are limited to voice/text communication betwee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and new innovative services have emerged in all aspects of personal and corporate activities.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haracteristics of 5G services and users' willingness to use 5G services. It analyz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social reality, subjective norms), media variables (perceived usefulness) and dependent variables (use intention), set hypotheses, and identified the media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The measurement items of variables are defined, and the research model of 5G service usage intention is design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measurement items for users who have experience in using 5G services. Based on this result, among the social factors of users of 5G services, social reality and subjective norms are suitable factors to improve users' intentions. And through this research we put forward the enlightenment,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5G 서비스 등장한 후 우리의 생활 방식을 크게 변화시켰다. 특히 스마트폰과 Long Term Evolution을 통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확산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 음성, 문자통신에 한정되었던 기존 이동통신 방식을 완전히 바꾸었으며, 사용자와 기업 활동의 모든 측면에서 혁신적 서비스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5G 서비스의 사용자 사회적 특성과 사용자가 5G 서비스의 사용의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독립변수(사회적 실재감, 주관적 규범)들과 매개변수(지각된 유용성) 및 종속변수(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측정변수 간의 영향관계에서 지각된 유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5G 서비스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실증분석을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5G 서비스의 사용자 사회적인 요인에서 사회적 실재감, 주관적 규범이 사용자들의 사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적합한 변수임을 확인하였으며, 지각된 유용성의 매개효과도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5G 서비스의 지속 가능하고 안전한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 KCI등재

        5G 네트워크 글로벌 현황분석을 통한 한국의 발전 전략

        김희진,박윤선,류슬기,이가은,이승주,원종권,황혜정,장영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17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3 No.2

        이동통신의 역사가 5G 발전을 분기점으로 혁식적인 발전과정을 유발시키고 있으며 2020년대에는 완전한 상 용화 및 일반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스마트 기기의 폭발적인 증가와 혁신적인 사물인터넷(Riot) 및 웨어러 블 디바이스 등 다양한 데이터 중심적 단말기들의 대중화를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트래픽의 폭증이 나타나면서 동시 에 미디어에 대한 수요를 급속하게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환경적 요소들은 5G 이동통신 시스템 발현의 필 요충분조건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5G 시대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글로벌 상호 협력체계와 경쟁관 계를 분석, 정리하고 한국의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적 방안을 제안한다. 5G will bring revolutionary development in mobile communication, and it is anticipated to have complete commercialization including mass adoption rate by 2020s. High number of smart devices including IoT, wearable devices, etc., which have high amount of data usage, will involve even higher data traffics. In addition, media dependency and demand is rapidly rising. These environmental aspects will necessity and sufficient condition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5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this paper, global cooperation and competition for 5G technology leadership will be analyzed and summarized. Through this, proper solution to maintain competency of Korea in future will be proposed.

      • KCI등재

        5G 무선국 투자 촉진을 위한 지방세 지원의 경제적 효과 분석

        이미혜,김행선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23 기업과 혁신연구 Vol.46 No.2

        In a situation where 5G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ervice has characteristics of quasi-public goods and is evaluated as a national key industry, the government's intervention to the oligopoly market in the form of local tax incentives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5G networks is a public policy. Based on this, the government is exempting 50% of the registration and license tax for the license of the wireless station in accordance with Article 49-2 of the Local Tax Special Case Restriction Act.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effects, the tax equity effects and local finance effects when a common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allocating 5G was provided benefits for registration and license tax reduction upon opening a wireless s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Radio Waves Act」 in order to provide 5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It was analyzed separately in terms of he economic effects, the tax equity effects and local finance effects. As a result, it was shown that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added value inducement effect, and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through the 50% reduction in registration and license tax for 5G wireless stations were 12.8 billion won, 5.06 billion won, and 78 people, respectively. Meanwhile, the tax revenue increase effect on local governments in relation to 5G wireless stations is estimated to be about 155 million won, and the effect was found to be the highest in the Gyeonggi region. The result regarding tax equity analysis shows that vertical equity improved when using the standard value. In addition, horizontal equity showed the greatest improvement effect in 2021 and the effect gradually decreased over time. 5G 무선통신서비스가 준공공재적 성격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국가기간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는 상황에서 5G 전국망 구축을 촉진시키고자 조세 지원의 형태로 정부가 과점시장에 개입하는 행위는 국가차원의 정책적 공익성을 지닌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하여 현재 5G 무선국 구축과 관련해 정부는 지방세특례제한법 제49조의2에 따라 무선국의 면허에 대해 등록면허세 50%를 감면해주고 있다. 본 연구는 5G 주파수를 할당받은 기간통신사업자가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파법」에 따라 무선국 개설 시 등록면허세 감면 혜택을 제공받는 경우 경제적 효과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경제적파급효과, 조세형평성, 지방재정 측면으로 각각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5G 무선국에 대한 등록면허세 50% 감면을 통해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고용유발효과는 각각 128억 원, 50억 6천만 원, 78명으로 나타났다. 한편 5G 무선국과 관련하여 지방정부에 미치는 세수증대효과는 약 1억 5천 5백만 원으로 추정되는데 그 효과는 경기지역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세형평성 분석결과 수직적 형평성은 감면액 표준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형평성 제고 효과가 나타났으며 수평적 형평성은 도입 첫해인 2021년에 제고효과가 가장 컸으며 시간 경과에 따라 점차 효과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5G 이동통신 서비스 비전 및 응용서비스

        박용완,허수정 에스케이텔레콤 (주) 2014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24 No.2

        디지털기술의 진전과 소비자 수요 변화 등의 패러다임 전환은 통신서비스 흐름을 전체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4세대 기반의 스마트폰 중심의 통신서비스는 산업의 경제적 성장까지 주도하여 소비자의 삶과 생활 패턴에도 영항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급변하는 사회현상과 고도화되어가는 산업 환경, 다양화 개인화되는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있는 차세대 이동통신서비스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5세대(5G)를 준비하고 있다. 4G 이동통신서비스의 한계, 새로운 멀티미디어 통신기기의 보급, 사물인터넷의 확장에 대한 5G 환경으로의 변화 필요를 통해 5G 서비스에서는Quadruple 1000을 제시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5가지 서비스기술을 제시한다. 5G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서비스기술 목표로 초반응성, 초연결성, 초실감형, 초저가형, 초절전형, 초신뢰성을 명명하고 차세대 5G 서비스 비전과 그에따른 핵심 응용서비스를 소개한다. 4G의 서비스 한계를 넘을 수 있는 5G의 서비스 도출은 서비스주도형 산업구조에서 반드시 필요한 연구 분야이며 도출된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로 전 세계 5G를 주도해 나갈 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

      •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5G Services on the Users’ Intention of Continuous Use by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Chil Yuob Choo 한국디지털융합학회 2022 IJICTDC Vol.7 No.1

        This thesis is a paper focusing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analyzing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5G services on users' continuous use intentions. With the star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21st century, 5G is the best technology used in the Internet of Things, high-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self-driving cars,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robots, nanotechnology, and blockchain. Despite the fierce competition among countries to preoccupy 5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re technologies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Korea is very hopeful to expand its economic value by implementing the world's first 5G high-speed mobile communication. Technical features of 5G high-spe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e represented by ultrafast, ultra-high capacity, ultra-low delay, and ultra-connectedness. 5G mobile communic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5G) is significantly superior to LTE, which is 4G mobile communication, in terms of transmission speed, latency, and terminal capacity. 5G service is not just one ax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but it is also an innovative value creation of businesses that technology has. Although 5G was initially expanded to focus on B2C, it will gradually be transferred to a global globalized business in the form o f a variety of new business models and services in the B2B sector. All interest in 5G has now been focused on billions of smartphone users, which, of course, is expected. Therefor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the national investment method will work and what in dividuals can achieve by using 5G services. In addition, in terms of 5G service providers, they have not been able to use specific investment strategies and services because they have not been able to identify large-scale investments for 5G or what parts of each industry as a whole.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organized the characteristics of 5G services,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chnology of 5G services, and conducted a survey focusing on users' actual usage intentions. To this end, 18 prior papers using existing overseas and domestic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were applied, and results on the intention of use were derived us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 KCI등재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효율적인 5G 망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정우기(CHUNG, Woo-Ghee) 한국전자파학회 201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9 No.5

        본 논문에서는 5G 이동통신의 서비스 트래픽 특성 및 주파수를 분석하고,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망구축 및 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5G 이동통신 서비스는 수 kbps의 음성 및 사물인터넷 서비스부터 1 Gbps 이상의 홀로그램 영상 서비스까지 다양한 데이터 전송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5G 이동통신 서비스는 다양한 데이터 전송 속도와 모바일 서비스 트래픽의 증가로 인한 다중 주파수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다양한 셀 커버리지 환경을 나타낸다.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서비스 환경에서 나타나는 서비스 커버리지와 다중대역 주파수의 최적화된 망구축이 필요하다. 현재 논의되는 5G 주파수 블록을 고려하여 3.5 GHz 대역이 5G 서비스 100 Mbps를 셀 경계 200 m에서 제공한다고 가정하면, 28 GHz 대역은 1 Gbps의 홀로그램 서비스를 셀 경계 50 m에서 그리고 500 Mbps 4k UHD 서비스를 셀 경계 100 m에서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5G 서비스를 다중 주파수 대역과 매칭하는 주파수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망구축 방안은 5G 이동통신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We herein analyze the service traffic characteristics and spectrum of the 5G mobile communication and suggest the effective 5G network deployment method for 5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he data rates of the 5G mobile communication are from several kbps (voice and IoT) up to 1 Gbps (hologram, among others). The 5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show the diverse cell coverage environments owing to the use of diverse service data rates and multiple spectrum bands. To effectively support the 5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the network deployment requires the optimization of the service coverages for new service environments and multiple spectrum bands. Considering the 5G spectrum bandwidth debated at present, if the 5G services of 100 Mbps can be supported in the 200 m cell edge using the 3.5 GHz spectrum bands, the 5G services of the 1 Gbps hologram and 500-Mbps 4k UHD can be supported in the cell edges of 50 m and 100 m using the 28 GHz spectrum bands. Therefore, the 5G services can be supported effectively by the 5G network deployment using spectrum portfolio configurations to match the diverse 5G services and multiple bands.

      • 제4차 산업혁명 활성화를 위한 5G 추가 주파수 공급의 전략적인 의견

        박승근,Park, 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9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4 No.6

        The paper presents five strategic opinions for promoting the fourth industry revolution through the supply of 5G additional frequency. The assessments are on the basis of 5G frequency utilization technologies and services, with reference to 3GPP 5G New Radio standards, after investigating the domestic 1G, 2G, 3G, 4G, and 5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as well as the use of mobile radio frequency and spectrum. The presented opinions contain the frequency supply of contiguous-wide bandwidth channels, harmonized frequency supply between licensed and unlicensed spectrum, the existing 4G frequency recycle for increasing 5G coverage and capacity, balance frequency supply in the multi-band for 5G services, and the development of 5G vertical frequency for industry. The aim is that the presented five strategic opinions can offer guidance for the upcoming plan of domestic 5G additional frequency supp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