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1세기 고전문학 연구 동향 : 『어문론집』 수록 고전문학을 중심으로

        김용기(Kim, Yong-ki)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7 No.-

        이 글은 『어문론집』에 수록된 고전문학 관련 논문들을 통해 21세기 고전문학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둔다. 21세기는 20세기의 마지막 시기 연구 성과와 방향을 이으면서 각 분야별로 완전히 꽃을 피운 시기라 할 수 있다. 여성주의 시각이 고전문학 전반에 정착하게 되었고, 국문 대장편소설연구 또한 양적, 질적으로 저변을 확대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구비문학 연구가 활성화 되었으며, 문화콘텐츠 분야가 하나의 독립된 학문적 분과로 공고하게 자리 잡게 되었다. 이러한 고전문학 연구의 방향에 견주어 볼 때, 『어문론집』에서는 여성문학 내지는 여성주의시각을 다룬 논문들이 부족하다는 점이 발견된다. 또 국문 대장편 소설과 한문 장편소설에 대한 연구도 매우 미진한 편이다. 고전시가 역시 시조와 한시에 편중된 경향이 있다. 고대가요나 향가, 고려가요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가사문학도 생소한 가사 작품에 대한 새로운 소개가 있는 정도이고, 학계의 흐름에 따라 다양하고 깊이 있는 해석이 가해진 글은 발견되지 않는다. 비교적 학계의 흐름에 보조를 맞추어 가고 있는 분야는 설화(구비문학)와 민속학, 문화콘텐츠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학계를 선도할 만한 이론이나 내용적 깊이까지 충분하게 담보하고 있지는 않다는 느낌이다. 이런 점에서 앞으로 『어문론집』은 중앙 학회의 흐름에 맞는 연구주제, 또는 유행하는 주제에 민첩하게 반응하고 활동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문론집』의 장점으로 드러나고 있는 문화콘텐츠 분야나 민속학, 설화 분야는 더욱 다양화하고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학회 차원에서 장기 플랜, 또는 아젠다를 설정할 필요도 있다. 이와 더하여 비교문학을 더욱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고, 또 최근 학계의 흐름이라 할 수 있는 ‘지역학’에 대한 관심도 가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21st century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trend through the classical literature studies that are included in 〈Umoonrongip〉. The studies of 21st century have flourished connecting to the results of 20th century studies. The works dealing with female viewpoints have roots on classical literature generally and the studies of Korean full-length novel have expand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The studies of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have become active and the area of culture contents has planed itself as an independent academic departme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with direction of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it was found to lack of researches about female literature or female viewpoints. The studies of Korean full-length novels and Chinese full-length novels are not satisfactory as well. Classical poetry leans too much towards on Sijo and Chinese poem. The researches of ancient Gayo, Hwangka, Goryeo Gayo are extremely rare. The researches of Gasa introduced only unfamiliar works but few works were interpreted variously and deeply by the flow of academia. The areas of keeping step with the flow of academia are the studies of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folklore and culture contents. However, they are not enough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ory or cover the deep contents.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Umoonrongip〉 to react quickly to the popular research theme or the flow in accord with the central learned society. It needs to diversify and intensify the studies of oral transmission literature, folklore and culture contents that are the strength of 〈Umoonrongip〉. Additionally, it needs to establish the long-term plan and agenda by the academic society and to activate comparative literature. Also, we should increase the interest of ‘regional studies’, the recent academic flow.

      • KCI등재

        21세기 정보화시대의 미래지향적 여가에 대한 이해 및 해석

        이승범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9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21세기 정보화시대의 미래지향적 여가를 이해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8년까지 지난 10년간 발표된 레저 연구에 관한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동향 및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가 연구에 대한 논문 수가 증가했으며, 관광 여가 연구 저널에 발표된 여가 연구에 대한 연구 주제는 노인, 일반과 같은 다양한 주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관광 레저 연구지에 게재 된 레저 연구의 주요 연구 분야는 레저 심리학, 레저 사회학, 레저 산업, 레저 정책, 레저 관리, 레저 역사, 관광 및 레저 교육 분야에 게재되었다. Tourism Leisure Research 저널에 발표된 레저 연구는 훨씬 높은 질적 연구 및 문헌연구였으며, 여가 연구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개발하기 위해서는 연구 방법과 과목을 다양화해야 하며 학제 간 연구를 통해 다양한 측면에서 포괄적인 연구를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21세기 우리철학의 현황과 과제 - 제도권의 철학 풍토와 우리철학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

        이철승 ( Lee Cheol-seu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9 No.-

        21세기형 우리철학의 정립을 모색하는 사람들은 서양철학이나 전통철학에 대해 배타적이지 않다. 그들은 무비판적인 서양철학의 수입과 전파를 통한 문화식민주의적인 모습과 맹목적인 전통철학의 부활을 중시하는 복고주의적인 모습과 같은 비주체적인 철학함의 태도를 비판한다. 그들은 선험적인 보편의 이름으로 변화하고 있는 구체적인 현실의 문제를 재단하는 철학함의 태도에 대해 비판적이다. 그들은 구체적인 특수로부터 문제를 성찰하고, 특수와 특수의 유기적인 교류를 통해 형성되는 공통의 공속의식을 통해 보편을 확보하려고 한다. 이러한 보편은 절대불변의 보편이 아니라, 시간과 공간의 제한된 틀 속에서 형성되었다가 새로운 상황이 도래할 경우 새롭게 변화될 수 있는 시한부 보편이다. 이러한 관점에 기초한 우리철학은 한국인의 정서와 의식과 한국의 특성을 바탕으로 한철학, 외국으로부터 전해져 왔지만 한국의 실정에 부합할 수 있도록 재구성된 철학, 전통시대에 형성되었지만 현대의 시대적 상황에 부응할 수 있도록 재구성된 철학 등을 아우른다. 이러한 우리철학은 시대문제와 시대정신을 반영한 철학으로 국수주의적인 경향을 지양하고, 세계로 향하는 보편성을 지향한다. 따라서 우리철학은 닫힌 개념이 아니라, 열린 개념이다. 앞으로 시대적 상황에 의해 개념과 범주가 확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분류방법과 범주를 대신할 새로운 키워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남과 북의 평화통일을 향한 열망의 확산 및 4차 산업혁명을 비롯한 새로운 문명의 전개 등 전환기의 시대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발굴할 필요가 있다. Those seeking the establishment of Woori Philosophy of the type of 21st century are not exclusive to Western philosophy or traditional philosophy. They criticize the attitude of non-subjective philosophy, such as the uncritical import of Western philosophy and cultural-colonialism through dissemination and the retroism view that values the revival of blind traditional philosophy. They are critical of the attitude of philosophy to judge specific real problems that are changing into priori universal names. They reflect on the problem from specific specialities and seek to secure universality through a common sense of communality formed through organic exchange of special and special characteristics. This universality is not the universal of absolute immutability, but the universal time frame that can be formed within a limited framework of time and space and then changed a new in the event of a new situation. Woori Philosophy based on this view encompasses philosophy based on the sentiments and consciousness of Koreans an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philosophy that has been handed down from foreign countries but has been reconstructed to fit Korea's realities, philosophy that has been formed in traditional times but has been reconstructed to live up to the contemporary times. This Woori Philosophy is a philosophy reflecting the problems of the times and the spirit of the times, and aims for universalness towards the world, abdicate nationalistic tendencies. Therefore, Woori Philosophy is not a closed concept, but an open concept. In the future, concepts and categories can be expanded by the context.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key words to replace existing classification methods and categories. It is also necessary to actively develop ideas that can actively cope with the trend of the transition period, such as the spread of aspirations toward peaceful reunificat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and the development of new civilizations, inclu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