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과 경험의 괴리-1990년대 문학장에서 ‘여성적 글쓰기’ 비평 담론의 형성 및 전개

        한경희 구보학회 2023 구보학보 Vol.- No.35

        ‘여성적 글쓰기’는 1990년대 이래 현재에 이르기까지 여성 작가의 작품을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분석하는 주된 틀로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2016년 페미니즘 리부트를 계기로 ‘여성적 글쓰기’가 여성의 경험을 재현하는 페미니즘 문학을 분석하는 데 있어 과연 실효성 있는 방법론인지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이에 본고는 왜 이러한 질문이 나오게 되었는지를 염두에 두고 1990년대 문학장에서 ‘여성적 글쓰기’가 형성되고 전개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1990년대 문학장에서 ‘여성적 글쓰기’는 성별에 따른 공사 영역의 위계적 분리에 대한 페미니즘의 비판을 1980년대 말부터 한국 사회에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포스트모더니즘의 근대성 비판으로 전유하면서 구성된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여성은 근대의 타자로, 여성성은 상징화 이전의 타자성으로 정의되었다. 1990년대 문학장은 ‘여성적 글쓰기’를 활용하여 ‘여성문학’ 담론을 창안하였으며, 문학장의 주변부와 중심부는 각각 리얼리즘을 중심으로 구성된 ‘문단권력’을 비판할 수 있는 근거 및 문학의 고유성을 보수적으로 옹호하는 근거로 ‘여성문학’ 담론을 전유했다. 그러나 문학장의 주변부에서나 중심부에서나 ‘여성문학’이 정치적 목적성과 무관한 미적 자율성을 옹호하기 위한 담론으로 사용되었다는 점은 마찬가지였다. 이는 1990년대 문학장에서 ‘여성적 글쓰기’가 여성의 경험에 기반해 현실을 비판하는 정치적 실천력을 갖는 페미니즘 문학 비평 담론으로서는 그 효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1990s, the concept of Écriture Féminine has been an important analytical frame for examining the works of women writers from a feminist perspective. However, following the 2016 feminism reboot, some have questioned Écriture Féminine as an effective methodology for analyzing feminist literature representing women’s experiences. Keeping in mind why such questions arose,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by which the concept emerged and developed in the literary field of the 1990s. Within the 1990s literary field, the concept of Écriture Féminine formed amid an appropriation of feminism’s critique of the gendered, hierarchical division of public and private spheres as a postmodern critique of modernity, postmodernism having been introduced to Korean society in earnest beginning in the late 1980s. In the process, women were defined as modernity’s Other, and femininity as pre-Symbolic Otherness. The 1990s literary field utilized the concept of Écriture Féminine to create a discourse of women’s literature, with both center and periphery appropriating this discourse−the periphery as a basis to criticize the literary authority constructed around realism, and the center as a basis for a conservative defense of literature’s special character. Both center and periphery used the discourse of women’s literature to defend an aesthetic autonomy unrelated to political aims. Thus, the 1990s literary field’s concept of Écriture Féminine was bound to be limited in its usefulness as a feminist literary-critical discourse capable of political action via social critique based on women’s experiences of oppression.

      • KCI등재후보

        1990년대 여성 섹슈얼리티 재현의 문제: 장선우의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중심으로

        김예니 ( Kim¸ Yae Ni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2 No.-

        1990년대라는 ‘시대’의 지배적 심상과 감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가로 장정일을 꼽을 수 있는데 그의 작품을 영화화한 장선우의 영화 중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중심으로 장선우가 왜 장정일 작품을 영화화했는지 살펴보면서 특히, 장선우가 영화로 재현하고 있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려 한다. 그전에 살펴볼 것은 1990년대의 상황이다. 1980년대 에로 영화가 있었다면 1990년대에는 에로비디오를 중심으로 에로티시즘이 형상화되었는데, 2000년대부터는 인터넷의 보급으로 많은 영상들이 디지털화 되면서 에로티시즘을 재현하는 극영화의 양상이 많은 변화를 보였다. 이런 변화의 과정에서 영화 <너에게 나를 보낸다>는 장선우의 1990년대 작품 중 1990년대 섹슈얼리티가 재현되는 양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영화라 할 수 있다. 장선우는 원작을 기반으로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기획하면서 ‘가벼운 포르노그라피’를 표방했다. 장정일에게나 장선우에게나 남성 인물의 ‘찌질함’이 중요한데, 이들은 사회적으로 실패했으며 성적으로 ‘불능’인 남성들이다. 그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중요한 생산성이라는 덕목을 갖추지 못한 사람으로 경제적인 생산성도, 사회적 생산성도, 성적 생산성도 없는 인물들이다. 특히, 남성 주인공인 <작가>와 그의 친구 <은행원>은 작품 생산성과 성적 기능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작가>는 현대 사회에서 꿈꾸기를 포기하고 현재의 질서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자신의 생산성을 포기하는 모습을 보인다. 적극적으로 사회 안으로 편입하기 보단 권력되기를 포기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부정성을 드러낸다. 다음으로 장선우는 기존 에로 영화와 다르지 않게 여성의 육체를 재현하는데, <너에게 나를 보낸다>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정사 시퀀스에서 배경음악이나 특별한 소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에로티시즘을 구현할 때 ‘날 것’의 느낌을 준다. 특히, <바지 입은 여자>의 엉덩이가 강조되는데 이는 여성의 존재를 지우고 ‘엉덩이’로 페티쉬즘이 강화되면서 여성 육체에 대한 물화현상이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 영화에서 여성 인물은 여성의 섹슈얼리티, 여성의 성욕, 여성의 욕망을 드러내지 못한 채 남성 인물들의 욕망이 투사되는 대상이 된다. 이는 장선우 감독이 이후, 전위성을 잃는 원인이 된다. Jeong-il Jang can be cited as a representative writer who shows the dominant image and sense of the ‘era’ of the 1990s. This study examines why Sun-woo Jang made Jung-il Jang’s work into a film, focusing on Jang Sun-woo’s < Sending Me to You >, and discusses, in particular, the issue of women’s sexuality that Jang Sun-woo represents as a movie.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situation in the 1990s. There was an erotic film in the 1980s, and eroticism embodied erotic videos in the 1990s. Since the 2000s, the pattern of film dramas representing eroticism changed as videos were digitized because of the spread of the Internet. In the process of this change, the movie < Sending Me to You > is one of the best movies to show the representation of sexuality in the 1990s among Jang Sun-woo’s works in the 1990s. Sun-woo Jang advocated “light pornography” while planning < Sending Me to You > based on the original novel. The nerd things of male characters are essential for both Jang Jung-il and Jang Sun-woo, and these male characters have failed socially and are sexually impotence. They do not have the virtue of productivity, an important factor in a capitalist society, and are described as not having economic, social, and sexual productivity. In particular, the male protagonist “Writer” and his friend “Banker” show the correlation between work productivity and sexual function. < Writer > presents who gives up dreams in modern society and his productivity by accepting the current public orders. It reveals the negativity of modern society by giving up a social authority rather than actively incorporating them into society. Next, Sun-woo Jang represents a woman’s body, no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rotic film. The characteristic of < Sending Me to You >, however, he gives the feeling of “raw” when implementing eroticism by not using background music or special props in the sex sequence. materialization of a woman’s body is strengthened because he emphasizes the buttocks of “Women in Pants” by erasing the presence of women and strengthening the fetishism with “butts.” In this film, female characters become the objects that reflect male characters’ desires without revealing women’s sexuality, women’s sexual desire, and women’s desires. It causes the director Sun-woo Jang to lose his avant-garde characteristic.

      • 1990년대 광고의 ‘낯설게 하기’ 사진 전략과 수용자 참여

        정무환(Chung, Moowhan)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15 디자인지식저널 Vol.34 No.-

        1990년대는 광고에서 사진에 대한 유난히 우월적이고 특권적인 지위가 부여된 시기로 이 논문은 ‘낯설게 하기 (Defamiliarization)’를 전략으로 전개된 1990년대 광고의 사진 전략을 회고한다. 쉬클롭스키(Victor Shiklovsky)의 ‘생소화(Defamiliarization)’와 브레히트(B. Brecht)의 ‘소격효과(alienation effect)’ 등의 부조화 이론을 근거로 1990년대 사진광고들을 고찰하고 그 성격과 의의, 그리고 형식을 분석하였다. 텍스트(text)가 일체 배제된 사진 중심의 방식으로 면밀한 판독(deciperment)이 요구되는 특징을 보였던 1990년대의 광고들은 1970년대 후반의 상징주의적 담배광고의 방식과 1990년대 초반의 베네통(Benetton)의 영향을 받으면서 1990년대 후반 메르세데스(Mercedes ), 폭스바겐(Volkswagen), 그리고 브라질의 아방가르드한 광고사례에서와 같이 성공적인 비주얼게임 광고 형식을 구축하였다. 1990년대 후반에 제시된 비주얼게임(Visual Game) 광고는 궁극적으로 수용자에게 광고를 해독(decoding)하는 재미와 해방감을 제공하는 독자 중심적 광고의 형식이었다. 이는 수용자가 광고에 대한 인습적, 수동적 태도를 무너뜨리고 광고커뮤니케이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그 여지를 극대화한 ‘수용자 참여’의 광고 방식이었다. 텍스트를 배제하고 광고의 내용을 사진을 통해 생소하게 제시함으로써 수용자들이 낯설게 느끼고 의문을 갖도록 하는 전략적 방식은 2000년대 이후 다시 텍스트를 사용하는 방식을 통해 난이도가 조정되었으나 형성된 게임의 형식은 이후의 광고스타일의 전개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1990"s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photographs had superior and privileged position in advertising. This thesis retrospects photograph strategy in advertising in 1990"s which was developed with Defamiliarization as strategy. This thesis considers 1990"s advertising photographs based on dissonance theory such as analyzed Victor Shiklovsky"s defamiliarization and Brecht"s alienation effect analyzed its nature, significance and form. 1990"s advertising that requires photograph centered deciperment with text completely excluded established successful audience participating advertising such as Mercedes" advertisement, Volkswagen"s advertisement and avant guard advertisements in Brazil in the latter part of 1990"s after influenced by symbolism cigarette advertisement in the latter part of 1970"s and Benetton in the early part of 1990"s. Audience participation advertising in the latter part of 1990"s was presented as a form of visual game that provides audience with pleasure of decoding advertisements and sense of freedom. This was "audience participation" advertising that allowed audience to actively participate in advertising communication process tearing down conventional and passive attitude toward advertising. Strategy and form of game that make audience feel unfamiliar with advertisements and raise doubts by removing texts and presenting advertisement in an unfamiliar manner has had a continuous influence on advertising style though it was adjusted in more easily manner that uses text again in 2000"s.

      • KCI등재

        1990년대 한국 사회 지식인상의 분화와 그 역사 사회적 계기들

        윤여일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2023 亞細亞硏究 Vol.66 No.2

        Upon examining the perception of intellectuals in Korean society during the 1990s, following democratization, two biases have restricted the scope of thought that can be drawn from this period. Firstly, the image of 1990s intellectuals was often portrayed in simplistic terms, such as "from resistant intellectuals to functional intellectuals," suggesting a break with and transition from the 1980s. Secondly, the intellectuals of the 1990s were analyzed using intellectual theories developed by certain European thinkers, rather than closely following the debates of that era. These two biases have resulted in a more monotonous representation of intellectuals in Korean society during the 1990s than what actually occurred. However, the intellectual landscape of the 1990s was rich and multifaceted, forming the foundation for today’s intellectual discourse. As resistant intellectuals lost their influence, various intellectual factions, including civic intellectuals, pragmatic intellectuals, polifessors, new rights, new intellectuals, liberal intellectuals, militant intellectuals, outsider intellectuals, popular intellectuals, independent intellectuals, intellectual entertainers, and many others, emerged and contested one another during the 1990s. This paper seeks to trace the differentiation and transformation of intellectuals in the 1990s, focusing on the historical and social causes of political fluctuations, technological changes, and popular trends, while illuminating the origins of today’s intellectual discussions. To provide a comprehensive depiction of the intellectuals that emerg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 will utilize literary, cultural, philosophical, and academic journals from the 1990s, which were typically published on a quarterly basis, as our primary research materials. 민주화 이후 1990년대 한국 사회 지식인상을 살펴볼 때 두 가지 편향이 시야를 좁혀왔다. 첫째, 1990년대 지식인상을 1980년대로부터의 단절과 이행이라는 각도에서 ‘저항적 지식인에서 기능적 지식인으로’처럼 단순화된 구도로 묘사하곤 했다. 둘째, 1990년대 지식인상을 분석할 때 당대의 논의를 면밀하게 쫓기보다는 유럽 지성사에서 특정 사상가들이 개진한 지식인론을 적용하는 식이었다. 그리하여 1990년대 한국 사회 지식인상은 실제보다 단조롭게 그려져 왔지만, 실상은 풍부하고 다기한 방향으로 뻗어나가 오늘날 지식인 논의들의 밑그림을 이루고 있다. 저항적 지식인상이 힘을 잃은 자리에서 시민적 지식인, 실천적 지식인, 폴리페서, 뉴라이트, 신지식인, 자유주의 지식인, 전투적 지식인, 아웃사이더 지식인, 대중적 지식인, 독립적 지식인, 지적 엔터테이너 등 실로 다양한 지식인상이 1990년대에 길항하고 각축했다. 본 논문은 정치적 변동, 기술적 변화, 대중적 동향이라는 역사 사회적 계기를 중심으로 1990년대 지식인상의 분화와 변천 과정을 추적해 오늘날 지식인 논의의 근기원으로서 조명하려는 시도이다. 1990년대 지식계의 구체적인 언설들을 통해 인문 사회 영역에서 부상했던 지식인상을 포괄적으로 포착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해 대체로 계간지였던 1990년대 문학지, 문화지, 사상지, 학술지를 주된 연구 자료로 삼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1990년대 여성 서사의 이미지 연구

        정은주 ( Jung Eun-ju ) 단국대학교(천안캠퍼스) 한국문화기술연구소 2020 한국문화기술 Vol.28 No.-

        박정란 「틈새」, 하성란 「곰팡이꽃」·「옆집 여자」는 1990년대 여성 서사를 볼수 있는 여성 작가가 쓴 단편소설이다. 1990년대 여성은 가부장제의 전통적 여성상의 영향을 받음과 동시에 산업화, 민주화를 거쳐 급격히 변한 사회상에 현대적 여성상의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이를 반영하여 제시된 세 작품은 자유연애를 하고(「틈새」) 이별을 고하는 여성(「곰팡이꽃」), 직업을 갖는 여성(「옆집 여자」)이지만 결혼과 출산, 육아로 경력단절이 되는 여성(「옆집 여자」)이 그려진다. 제시된 세 작품은 단순히 여류작가가 쓴 여성 서사가 아니라 시대적 양상을 포착하여 그려낸 작품으로 보았다. 1990년대 여성의 사회적 위치와 가족적 위치 그리고 개인 스스로 내린 위치까지 파악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를 ‘1990년대 여성 서사의 이미지 연구’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억압(박정란 「틈새」), 단절(하성란 「곰팡이꽃」), 대체(하성란 「옆집 여자」) 이미지로 나타낸 1990년대 여성의 삶’으로 간주하여 살펴보았다. 세 작품은 1990년대 여성 서사 소설이라는 공통점뿐만 아니라 이미지적이라는 공통점도 있었다. 대사보다 묘사가 중점적인 것이 제도권 문학의 특징 중 하나라고 하지만 단순한 기교를 넘어서 이미지가 소설의 주요 상징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Park Jung-ran’s “A crack,” Ha Sung-ran’s “A Mold” and “The Woman Next Door” are short stories written by a female writer who can see female narrative in the 1990s. Women in the 1990s were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female image of the patriarchal system, while also showing a modern feminine side in society that changed rapidly through industrialization and democratization. The three works presented reflect this: a woman who is in a free-love relationship (“A crack”), a woman who has a job (“The Woman Next Door”), but a woman who has a career break through marriage, childbirth and parenting (“The Woman Next Door”). The three presented works were not merely female narratives written by female authors, but rather captured and painted aspects of the times. In the 1990s, women were able to identify their social and family positions and individual positions. This book defines it as ‘A Study on the Image of Women’s Narratives in the 1990s’. We looked at the images of “suppressive pressure” (Park Jeong-ran “A crack”, “A Mold”), and alternative (Hasung-ran “The Woman Next Door”) and “life of women” in the 1990s. The three works were not only common to female narrative novels in the 1990s, but also common to image. Though it is said that the emphasis on description rather than lines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institutional literature, images were emerging as the main symbol of fiction beyond mere finesse.

      • KCI등재

        1990년대와 2000년대 ‘서울 노래’의 두 모습

        장유정 ( Zheng Eu-jeong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 人文科學 Vol.112 No.-

        본고는 1990년대와 2000년대에 나온 서울 노래의 전반적인 양상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시기에 나온 약 350여 곡의 서울 노래를 대상으로 그 제목과 텍스트를 검토했다. 2장에서는 제목에서 드러나는 서울 노래의 특징을 언급했다. 1990년대 이후에 나온 서울 노래는 매우 다양한 지명을 활용했다. 그러면서도 더 빈번하게 나오는 지명들이 있었다. 1990년대 서울 노래에 등장하는 대표적인 지명이 ‘압구정동’이라면, 2000년대 서울 노래에 자주 나오는 지명은 ‘청계천’이었다. 이는 당시의 사회와 문화를 반영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즉 1990년대에 압구정동이 젊은 세대의 문화 공간으로 부상하면서 노래에도 자주 등장했던 것이다. 2000년대에 자주 나오는 ‘청계천’은 주로 ‘청계천복원사업’과 관련성을 지닌다. 즉 청계천복원사업으로 청계천에 집중되었던 관심이 대중가요에도 반영되었던 것이다. 다음으로 서울 노래를 두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그 모습을 살펴보았다. ‘긍정과 희망의 서울 노래’와 ‘부정과 절망의 서울 노래’로 나누어서 그 모습을 고찰했다. 1990년대와 2000년대에 등장한 서울 노래 중에는 서울을 긍정적으로 묘사한 것보다 부정적으로 묘사한 것이 많았다. 서울을 긍정적으로 묘사한 노래를 보면, 서울을 막연하게 찬미하거나 청계천복원사업 이후에 청계천을 예찬하는 노래가 많았다. 하지만 이러한 노래 중에서 지금까지 애창되는 인기곡은 찾기 어려웠다. 한편 서울을 부정적으로 그린 노래들은 단순히 이별의 배경이 서울이 된 노래와 서울과 서울에서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서울살이의 고단함을 비판한 노래들로 나눌 수 있다. 서울이 이별의 배경이 된 노래 중에서 대중적인 인기를 얻은 노래는 <59년 왕십리>처럼 서울 중에서도 좀 더 구체적인 지명을 사용한 노래이다. 이는 왕십리란 지역명이 사람들에게 주는 미감이 구체적으로 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서울살이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그 부정성을 드러낸 노래들은 이른바 민중가요에서 찾을 수 있다. <92년 장마, 종로에서>나 <청계천 8가>가 그러한 예이다. 이러한 노래들은 막연한 서울에 대한 예찬 대신에 가난하고 고달픈 삶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대중의 공감을 이끌어냈다. 1990년대 이후에 나온 서울 노래들은 그 이전 서울 노래와는 조금 다른 양상을 드러낸다. 일단 서울을 긍정적으로 그린 노래보다 부정적으로 묘사한 노래들이 상대적으로 많아졌다. 그리고 노래에 다양한 서울과 서울의 지명이 등장하기는 했지만 이전 시기에 나온 서울 노래와 비교하여 크게 인기를 얻은 노래는 적은 편이다. 이는 서울 자체의 변화와도 연결된다. 즉 역도시화 현상으로 서울이 더 이상 예전만큼의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서 서울 노래도 큰 구실을 하지 못했던 것이다. 서울 노래는 초창기 대중가요에서부터 현재의 대중가요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시대별로 많이 등장하는 지명이나 서울을 바라보는 시선들은 달라졌으나 기본적으로 서울을 긍정하거나 부정하는 것만은 공통적이며 1990년대와 2000년대 서울 노래에서도 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overall aspects of Seoul songs in the 1990s and 2000s. Specifically, I reviewed the titles and texts of about 350 songs from this period. In Chapter 2, I mentioned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songs revealed in the titles. The Seoul songs since the 1990s have utilized a wide variety of place names. However, there were also nominations that came out more frequently. In the 1990s, a representative name appearing in the Seoul songs was ‘Apgujung-dong’. On the other hand, the name of the place that frequently appeared in Seoul songs in the 2000s was ‘Cheonggyecheon’. This is a phenomenon reflected in society and culture of the time. In the 1990s, Apgujeong-dong emerged as a cultural space for younger generation and appeared frequently in songs. The ‘Cheonggyecheon’, which frequently appeared in the 2000s, is mainly related to the ‘Cheonggyecheon Restoration Project’. In other words, the interest that concentrated on Cheonggyecheon as a restoration project for Cheonggyecheon was reflected in popular songs. Next, I divided Seoul songs into two aspects and examined their respective aspects. "Seoul Song of Positive and Hope," and "Seoul Song of Negation and Despair." Among the Seoul songs that appeared in the 1990s and 2000s, there were a lot more negative descriptions than positively depicted ones on Seoul. Songs portraying Seoul positively have many songs that praise Cheonggyecheon after praising Seoul for the sake of restoration or Cheonggye Stream restoration project. However, among these songs, popular songs that have been admired so far have been difficult to find. Songs that reveal the negativity of a real life portrayal of Seoul's life can be found in so - called folk songs. Examples are the < rainy season in 1992, Jongno > and < Cheonggyecheon 8th >. These songs led to the empathy of the public by realistically depicting the poverty and hardships of life instead of vague greetings about Seoul. The songs of Seoul after the 1990s reveal a slightly different aspect from those of previous Seoul songs. There are relatively more songs that once portrayed negatively than songs that positively depicted Seoul. Although there are various Seoul and Seoul place names in songs, there are few songs that are popular in comparison with Seoul songs from previous periods. This is also linked to the change in Seoul itself. In other words, Seoul was unable to function as much as it did before, due to the phenomenon of backward poetry. Seoul songs are constantly emerging from early pop songs to current pop songs. Although the place names appearing in many times and the gaze to see Seoul are different, basically it is common to affirm or deny Seoul.

      • KCI등재

        뒤늦게 도착한 ‘68혁명’-1990년대 한국문학과 ‘무라카미 하루키’, ‘밀란 쿤데라’, ‘다이 호우잉’의 번역 소설-

        정종현 ( Jeong Jong-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8

        한국문학사에서 1990년대는 특별한 연대로 여겨진다. 1990년대는 앞선 시대인 1980년대의 이념적 억압에 대비되며 개인, 내면, 진정성 등으로 요약되는 새로운 문학(성)의 형질로 재편된 시대로 설명된다. 이러한 대비 속에서 1980년대는 민족·민중문학과 경직된 리얼리즘의 규정력에 의한 문학적 질곡의 시대로 간주된다. 그러나 1980년대에는 다양한 문학적 실험과 문화적 활기가 있었던 시대였다. 또한, 1980년대와 1990년대는 단지 단절과 대립뿐만 아니라 연속과 지속의 측면도 지니고 있었다. 1990년대적인 것으로 알려진 여러 특징들은 1980년대 안에서 예비되고 있었던 경우도 많았다. 이 글에서는 1980년대로부터 1990년대로 옮겨가는 ‘이행기’였던 1988년부터 1991년의 사이에 번역된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무라카미 하루키의 『상실의 시대』, 다이 호우잉의 『사람아 아, 사람아!』 등 세 편의 번역 소설을 1990년대의 한국문학에 영향을 끼친 ‘사라진 매개자’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들 작품이 당시 신세대 작가와 독자들의 감수성과 만나는 지점을 분석하여 1980년대로부터 1990년대로의 이행기의 복잡한 변화상과 두 시대가 맺고 있는 관계를 단절과 지속이 겹쳐져 있는 입체적 겹눈의 관점으로 파악할 것이다. In Korean literary history, the 1990s is regarded as the special period. The 1990s is contrasted with ideological suppression in the 1980s that is the preceding era, and is explained as the period that is reorganized as the trait of new literature(literary feature), which is summarized as an individual, inner side and genuineness. Amidst this comparison, the 1980s is deemed as the period of literary yokes caused by the defining power of national·folk literature and rigid realism. However, the 1980s is the era that had been existed a variety of literary experiment and cultural vitality. Also, the 1980s and the 1990s had not only disconnection and confrontation but also the aspect of continuance and sustainability. There were also many cases that several characteristics, which were known to be the style in the 1990s, had been reserved within the 1980s. This writing is aimed to understand three translation novels such as Milan Kundera's 『The Unbearable Lightness of Being』, Murakami Haruki(村上春樹)'s 『Norwegian Wood』, and Dai Houying's 『Human, Ah Human!(人啊, 人!)』, which had been translated from 1988 to 1991 that had been 'transition period' of being moved to the 1990s from the 1980s, as 'disappeared mediator' that had influence upon Korean literature in the 1990s. Through analyzing the influence that these works had upon the sensitivity of new generation writers and readers in those days, the relationship that two periods have along with the complex changes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1980s to the 1990s will be grasped from the viewpoint of the three-dimensional overlapping eyes in which disconnection and continuation are coincided.

      • KCI등재

        자유와 소비의 시대, 그리고 냉소주의의 시작: 대한민국, 1990년대 일상생활의 조건

        주은우 ( Eun Woo Joo ) 한국사회사학회 2010 사회와 역사 Vol.0 No.88

        ``자유``와 ``소비``를 키워드로 삼아 한국사회의 1990년대 일상생활의 조건을 살펴볼 때, ``실질적 의미에서의 1990년대`` 혹은 ``(상대적)장기 1990년대``는 1987년 6월 민주항쟁에서 시작되어 1997년 말의 외환위기 및 IMF 관리체제의 출범과 함께 막을 내렸다.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지고 광주항쟁이 민주화운동으로 인정 되었으며 반공이데올로기가 약화되는 등 정치적 민주화가 진전되었으며, 검열기제 의 완화와 표현의 자유 확대, 공적 공간에서의 성담론의 폭발적 증가 동 사회 · 문 화적 분위기도 자유화되었다. 그러나 자유의 시대로서의 한국의 1990년대는 그 한계가 뚜렷했다. 반면에 1980년대 중반의 ``3저 호황``과 1988년 서울올림픽을 전환 점으로 1990년대 한국사회가 소비의 시대이자 영상소비문화의 시대로 진입했음은 논란의 여지가 없어 보였다. 이런 상황에서 1990년대 한국사회는 ``신세대``로 불린 새로운 주체들의 등장을 목격한 동시에 낭만주의적 열정이 종언을 고하고 허무주의와 냉소주의가 지배하는 사회로 진업했다. 1997년 말 외환위기와 IMF 사태로 한국의 1990년대는 실질적으로 끝났지만 1990년대에 형성된 소비문화와 냉소주의 의 조건은 이후에도 지속되었으며, 2000년대 이후 한국인들은 이제 ``향유가 명령되는 사회``에서 살아가게 되었다. Reviewing South Korea``s conditions of everyday life in the 1990s by using the keywords of ``freedom`` and ``consumption``, the ``1990s in a substantial sense`` or the ``(comparatively) long 1990s`` began from the democratization struggle of June in 1987 and ended with the financial crisis and the start of the IMF management regime at the end of 1997. Political democratization progressed including direct election of President, the acknowledgment of Kwangju democratic movement by the state, the weakening of anti-communist ideology. Social·cultural mood was also liberalized as seen in the weakening of censorship and the expansion of the freedom of expression, and the explosion of sexuality discourses in public sphere. Whereas this age of freedom, however, had its clear limits, it seems to be out of question that Korean society of the 1990s had entered the age of consumption and visual consumer culture since the ``three low boom`` at the middle of the 1980s and Seoul Olympic game in 1988. In this context, Korean society of the 1990s eyewitnessed the emergence of new subjects called the ``new generation`` and was becoming a society dominated by nihilism and cynicism after the demise of romantic passion. The conditions of consumer culture and cynicism formed in the 1990s continued beyond 1997, the de facto ending year of the Korea``s 1990s, and Korean people are now living in a ``society of commanded enjoyment`` since the 2000s began.

      • KCI등재

        여화(余華) 1990년대 중단편소설에 관한 소고

        신의연 ( Eui Yun Sh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2 No.2

        위화의 1990년대의 중단편 소설은 그 주제면에서 1980년대의 선봉시기 작품과 비슷한 맥락을 유지하고 있다. 소수 약자들의 피학적 상황과 소외를 제기하였고, 남녀 사이의 연애와 결혼을 제재로 하여 세속적이며 이기적인 감정을 이야기하였다. 또 기타 일상의 삶속에서 발견되는 여러 부조리를 제기하였다. 이와 반대로 1990년대 중단편의 서술 방식은 오히려 동시기의 장편소설에 가깝다. 서술의 대상이 되는 작중인물의 인생 편폭이 점점 길어지고 있다는 점, 과도한 실험이 아닌 회상정도의 시간에 따른 구성으로 소설이 전개되고 있다는 점, 인물의 전형성이 살아나고, 서술자의 감정이 소설에 개입되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그래서 이들 1990년대의 중단편소설은 위화가 1980년대 선봉시기 냉혹한 글쓰기에서 갑자기 1990년대 민간시기의 온정적 글쓰기로 변화한 것에 대한 몇 가지 힌트를 제공한다. 즉, 아직 1990년대의 중단편소설에도 상당부분 1980년대 선봉시기의 치열한 저항의식이 남아있다는 점이다. 이렇듯 위화의 1990년대의 중단편소설은 작가 위화가 1980년대 글쓰기에서 1990년대 장편으로 가는 과도기이자 완충기로 해석할 수 있다. Yu Hua is one of the most famous Chinese contemporary writers with a lot of readers in Korea, followed by Lu Xun. Most Yu Hua’s novel has been translated into Korean. But, his novelettes and short stories of the 1990s, unlike those of the 1980s and long novels of the 1990s, lack interest and research both in Korea and China. This paper seeks to examine the subject matter and narrative method of the Yu Hua’s novelettes and short stories of the 1990s. The Yu Hua``s novelettes and short stories of the 1990s are similar to the work of the avant-garde of the 1980s in terms of a subject. In his avant-garde novels, Yu Hua focused on the alienation of a unnamed party, emotional abuse by the majority, distrust of the individual``s judgment and the absurdity in everyday life. On the other hand the narrative methods in his novelettes and short stories of the 1990s are very similar to those in long novels of 1990s: the longer description of person’s life in chronological order, more distinct personality and the intervention of the writer’s emotion into the novel. Thus Yu-Hua``s novelettes and short stories of the 1990s combined the avant-garde subject of 1980s with the narrative method of 1990s. Finally, Yu-Hua’s novelettes and short stories in the 1990s are on the transitional period, and they help to understand the changes from the avant-garde novel of 1980 to the long novel of 1990s.

      • KCI등재

        동, 식물 표상에 담긴 ‘1990년대적인 것’의 내포― 성미정과 이수명의 1990년대 시를 중심으로

        김선우 한국비평문학회 2024 批評文學 Vol.0 No.91

        이 논문은 성미정과 이수명의 1990년대 시에 나타난 동, 식물 표상을 살펴, ‘1990년대적인 것’의 내포를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 현대시사에서 1990년대는 전대인 1980년대의 잔해를 감각하고 후대인 2000년대의 예고를 나타내는 독특한, 역동적 시대이기에, 시사적 관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지만, 그에 관한 구조적, 체계적 논의는 미흡하다고 판단하였다. 이 논은 1990년대를 ‘모색’과 ‘극복’을 수행하던 시대로 보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가령 ‘모색’은 ‘우리’보다 ‘나’의 문제를 시에 적극적으로 배치하게 된 사정, ‘극복’은 재래의, 근대적 가치 체계를 무너뜨린 상황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성미정 시의 동, 식물 표상에는 “나무”와 “동물”이 있었다. “나무”는 ‘나’와 적극적으로 연결됨으로 하여 ‘나’의 징후 및 정체성을 발현하는 데 기능하였으며, “동물”은 “내 마음”을 곧 “동물원”이자 “동물들”로 환원하여 ‘나’의 혼란을 넘어 역동을 자아내며 작용하였다. 이수명 시의 동, 식물 표상에는 “꽃”과 “새”가 있었다. “꽃”은 ‘나’를 포함하여 “사람들”과 대비를 이루거나 조응하면서 ‘소외’를 추동하는 현실을 실감하고 극복하도록 하였고, “새”는 단일한 존재이자 복수적 존재로, 인간과 동물의 경계가 허물어진 것을 표상하면서 혼란스러운 “복도”를 종횡하는 역동적 존재로 드러났다. 이들 시인의 동, 식물 표상은 재래, 전통의 시가 표상하지 못하였던 생명, 활기, 역동을 자아냄으로써 1990년대 이후 시의 반성과 그 감수성을 자아냈다는 평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특히 두 시인의 동, 식물 표상은 공통적으로 원형에 가까운 “나무”, “동물”, “꽃”, “새”를 표상한다는 대목에서 눈길을 끌었다. 나아가 두 시인의 동, 식물 표상이 나타내는 ‘1990년대적인 것’에는 ‘여성시’적 특이성이 농밀하게 잠재하여 있어 유의미하기도 하였다. 2000년대 이후 시의 ‘반성’적 사유는 1990년대 시에 담겨 있는 ‘모색’과 ‘극복’이 조성한 ‘1990년대적인 것’과 무관할 수 없다고 생각되었다. 그렇다면, 지금-여기의 시를 논의하는 데 있어, ‘1990년대’ 및 ‘1990년대적인 것’은 흙먼지가 끼어 있는 유물이 아니라 생생히 살아있는 현재의 사물이라 여겨볼 필요가 크다고 느껴졌다. 이 논문을 계기로, 동물과 식물 표상뿐만 아니라, ‘1990년대적인 것’을 다양하게 내포하는 동시대적 시를 살펴 1990년대 시를 다각적으로 조명하고, 2000년대 이후 시에 관한 평가를 수행해가야 옳으리라 여겨졌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nimal and plant imagery present in the poetry of Sung Mijeong and Lee Soomyeong from the 1990s and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what constitutes the '90s. In the context of Korean contemporary poetry, the 1990s represents a unique and dynamic era that senses the remnants of the preceding 1980s and foreshadows the future of the 2000s. While it holds significant value from a literary perspective, there remains an insufficient structural and systematic discussion on this topic. This paper positions the 1990s as a period of exploration and overcoming, unfolding the discourse accordingly. Exploration entails actively addressing individual issues rather than collective concerns, while overcoming signifies the collapse of traditional and modern value systems. Sung Mijeong's animal and plant imagery include "trees" and "animals." Trees actively connect with the self, manifesting signs of identity, while animals, representing the poet's inner self, transcend confusion to evoke dynamism. In Lee Soomyeong's poetry, imagery revolves around "flowers" and "birds." Flowers, juxtaposed with humans, evoke and overcome the sense of alienation, while birds, representing both singular and plural existence, blur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animal, symbolizing a dynamic presence traversing the perplexing "corridor" of life. These poets' animal and plant imagery imbue post-1990s poetry with vitality and dynamism, offering a reflection on and sensitivity to the era.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recurrent presence of primal imagery such as "trees," "animals," "flowers," and "birds" in both poets' works. Moreover, the Implications of the 1990s represented by the animal and plant imageries of the two poets was meaningful because the specificity of "women's poetry" was densely latent. The reflective discourse of post-2000s poetry cannot be detached from the exploratory and overcoming spirit encapsulated in the 1990s. Therefore, in discussing contemporary poetry, it is imperative to view the '90s and its implications not as dusty relics but as vibrant elements of the present. This paper serves as a catalyst to illuminate 1990s poetry from various angles, not only through animal and plant imagery but also through the multifaceted exploration of what constitutes the '90s, thus facilitating a mor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post-2000s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