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1948년 헌법개정요강의 경제질서

        김수용(Su-Yong Kim) 한국공법학회 2021 공법연구 Vol.50 No.2

        대한민국헌법의 경제질서는 헌법 전문, 제2장 국민의 권리의무 등에서 찾을 수도 있지만, 헌법은 경제와 관련하여 독립된 장을 두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제9장 경제 편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현행 헌법 제9장과 관련해서는 헌법에서 독립된 장으로 경제를 규정하고 있는 사례가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9장 경제 편의 내용은 지금의 현실과 맞지 않기 때문에 헌법개정 때 폐지하거나 헌법 개정 때까지는 소극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견해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들은 현행 헌법 제9장이 독립된 장으로 헌법규범화 된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헌법사에서 경제와 관련한 내용이 독립된 장으로 대한민국 성문헌법에 도입된 것은 남조선과도정부 사법부 법전기초위원회 헌법기초분과위원회가 만든 1948년 헌법개정요강에서부터이다. 1948년 헌법개정요강은 제7장에 국민경제라는 제목으로 독립된 장을 두고 있다. 1948년 헌법개정요강에서 경제와 관련한 내용을 독립된 장으로 둔 것은 해방 당시에 존재했던 귀속재산(적산) 등 사회경제적 문제 해결이 중요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해방 당시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결에 대한 요구가 강했는데,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토지문제였다. 남조선과도정부 사법부 법전기초위원회 헌법기초분과위원회 위원들은 당시의 사회경제적 문제를 독립된 장으로, 토지문제는 민생주의 관점에서 해결하는 방안을 헌법규범화하려고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948년 헌법개정요강 제7장 국민경제의 내용은 사상적으로 미국의 정치경제사상가였던 헨리 조지의 주장이 많이 반영된 것 같다. 헨리 조지는 부가 진보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빈곤이 사라지지 않는 원인을 지주가 토지 가치를 차지하는 것을 합법화하는 토지사유제에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빈곤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토지 사유제를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미 토지 사유제가 관습화된 나라에서는 토지를 공유화할 필요까지는 없고, 정부가 지대를 환수하고 다른 조세를 면제하는 지대조세제(단일세)를 실시하면 된다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지대조세제 개혁은 생산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분배를 보다 정의롭게 만들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모든 계층에게 이익을 줄 것이고 더 높고 고상한 문명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1948년 헌법개정요강 제7장 국민경제의 내용은 법계보적 내지 사상사적으로 헨리 조지의 정치경제 사상이 쑨원의 민생주의에 영향을 주었고, 쑨원의 민생주의는 조소앙의 경제 균등 사상에 영향을 주어 1941년의 건국강령, 1948년 헌법개정요강 등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1948년 헌법개정요강이 만들어진 시기가 미군정기였기 때문에 남조선과도정부 사법부 법전기초위원회 헌법기초분과위원회 위원들이 당시의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의 정치경제사상가 헨리 조지의 주장에 주목했던 것 같다. 현행 헌법 제9장 경제 편이 독립된 장으로 성문헌법에 규범화 된 역사적 배경을 고려할 때, 물질적 부가 진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더욱더 심화되어가고 있는 현실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행 헌법 제9장 경제 편을 적극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re is a chapter about economy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chapter about economy in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South Korea was standardized from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Temporary Constitution of Korea that was passed on 6 August, 1947 by the South Korea Interim Legislative Assembly for the first time.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Temporary Constitution of Korea was made by the Code Drafting Commission that was established in Department of Justice of South Korean Interim Government. The Korean elements of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were designated as South Korean Interim Government on 17 May, 1947. The Chapter Ⅶ THE NATIONAL ECONOMY in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Temporary Constitution of Korea was standardized for solving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like enemy property after the liber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after the liberation was land reform. The Chapter Ⅶ THE NATIONAL ECONOMY solved the problem with People"s livelihood of Sun Wen(孫文, 1866-1925) who was influenced by Henry George(1839-1897)’s thought. In terms of legal genealogy and ideological history, Henry George’s thought influenced People"s livelihood of Sun Wen, and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of Sun Wen had an effect on Principle of Three Equalities of Jo So-Ang(1887-1958). In summary, the Chapter In terms of legal genealogy and ideological history, Henry George’s thought influenced People"s livelihood of Sun Wen, and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of Sun Wen had an effect on Principle of Three Equalities of Jo So-Ang(1887-1958). In summary, the Chapter Ⅶ THE NATIONAL ECONOMY in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Temporary Constitution of Korea wa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and economic thought of Henry George. Henry George thought the reason that social poverty did not disappear despite progress in wealth lay in the land ownership system, which legalized landlords to occupy land value. Therefore, he argued that the land ownership system should be abolished in order to eradicate poverty. However, in countries where the land private system is already customary, it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land public, and the government has suggested a solution to the rent tax system(single tax) in which the rent is recovered and other taxes are exempted. He argued that the rent tax reform would ultimately benefit all classes and lead to a higher and nobler civilization, as it not only increased economic growth but also made distribution more just.

      • KCI등재

        민주헌정의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과 제헌헌법의 관계

        김수용 한국헌법학회 2019 憲法學硏究 Vol.25 No.1

        비교헌정사적으로 근대 민주국가는 봉건질서를 타파하고자 하는 민주시민의 탄생과 민주시민에 의한 시민혁명 발발, 민주시민들을 대표하는 의회 조직, 의회에서 민주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헌법 제정, 헌법에 입각한 민주국가 수립, 민주국가를 실현할 구체적인 법령 마련, 헌법 제정과 실천 과정에서 미흡했던 내용을 반영한 헌법 개정 등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1919년 4월 11일에 건립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도 이러한 과정을 거쳐 탄생하였다. 즉 1919년 3.1혁명 이전에 민주시민들이 탄생하였고, 그들이 중심이 되어 1919년 3.1혁명을 일으켰다. 1919년 4월 10일 저녁 10시경에는 민주시민의 대표자들이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을 개원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1919년 4월 11일에 대한민국헌법(대한민국임시헌장)을 제정하였다. 1919년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은 1919년 4월 대한민국헌법에 따라 1919년 4월 11일에 건립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법령 등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1919년 9월 11일에는 1919년 4월 대한민국헌법 이후 미흡한 내용들을 반영하여 제1차 헌법 개정을 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은 총 5차에 걸쳐 개정이 되었는데, 해방 이전 마지막 개정은 1944년 4월 22일에 이루어졌다. 1944년 대한민국헌법은 제61조에서 헌법 개정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8년 7월 12일에 제정되고 7월 17일에 공포된 제헌헌법(1948년 대한민국헌법)은 1944년 대한민국헌법을 개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헌법 제정 절차에 따라 새롭게 제정되었다. 그러나 1944년 대한민국헌법과 1948년 제헌헌법은 기본편제가 유사한 점, 두 헌법 모두 제1조에서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임을 규정하고 있는 점, 1948년 7월 7일 국회 본회의에서의 대한민국 정체성 논쟁과 결정 내용 등을 종합할 때, 1948년 제헌헌법은 헌법 제정 절차에 따라 제정되었지만 실질은 1944년 대한민국헌법의 개정 또는 전면 개정이라고 할 수 있다. On April 11, 1919, the first Constitu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was enacted and was promulgated in Shanghai, China. The Article 1 of the Constitution says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Republic of Korea of 1919”)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in the course of the March 1st Revolution caused by democratic citizens.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was revised five times until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last Constitution(hereinafter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4”) was revised on April 22, 1944.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enacted on July 12, 1948 and was promulgated on July 17, 1948. On August 15, 1948,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Republic of Korea of 1948”)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The Article 1 of the Constitution also says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like that of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On July 7, 1948, the National Assembly of 1948 decided the identity of Republic of Korea of 1948 as follows. “We, the people of Korea, proud of a resplendent history and traditions dating from time immemorial, upholding the great spirit of independence, as manifes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cours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now at this time engaged in reconstructing a democratic, independent country are determined.” In other words, the Republic of Korea of 1919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on April 11, 1919, then it was re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on August 15, 1948. In summar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made by new process even though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4 had the process of revision. But I think that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the revised constitu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4 based on the deci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f 1948 on July 7, 1948, the same Article 1 of two Constitutions(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and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and the similar formation of two Constitutions, etc.

      • KCI등재

        1948년 헌법제정과정에서 나타난 통치구조 논쟁에 관한 연구

        정재도 유럽헌법학회 2020 유럽헌법연구 Vol.0 No.33

        After the May 10 election in 1948, the biggest issue of the Constitutional Assembly, which had a mission to build a new independent nation as soon as possible, was how to enact a constitution that fits the principles of democracy while stabilizing an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In other words, it was to find out what is the optimal form of government that can satisfy democracy and stabilization at the same time. In this process, the position of creating a strong government centered on the President and the position of emphasizing close coope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sometimes struggled, and sometimes cooperated to create the governmental structure of the Constitution in 1948. The constitution of 1948, which was enacted in this way, was basically a mixed form of government that was based on the presidential government system but also had a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The problem is that these mixed governmental forms were not planned and intended from the beginning, but rather were created unintentionally in the conflict between the position of claiming the presidential government system and the position of claiming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However,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1948 Constitution is not purely a coincidence. At least, it seems that the Korean Democratic Party, which led the adaptation, still thought that the governmental form could be operated closer to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through elements of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scattered in the Constitution under the form of the presidential government system. It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amendments proposed to control the president's powers through elements of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Also, it is fully understandable in this regard that after the government form became a presidential system, the center of the constitutional debate in the Constitutional Assembly moved to how to organize various attempts to control the power of the President through the Constitution. And these attempts continued to act as a source of contention over the governmental structure in later constitutional history. After all, the authors of the 1948 constitution reached a consensus on one form of government, and it was said that they constantly struggled to reorganize the power structure and change the form of government to their understanding. And the absence of this mistaken consensus on the form of government became the seed of confrontation over the repetitive governmental structure in subsequent constitutional amendments. 1948년 5.10 총선 이후에 새로운 독립국가를 조속히 건설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안고 있었던 제헌국회의 가장 큰 화두는 불안한 정국을 안정화시키면서 민주주의의 원칙에 걸맞는 헌법을 어떤 내용으로 제정할 것인지, 즉 민주주의와 정국의 안정화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정부형태는 무엇인지를 찾는 일이었다. 이 과정에서 대통령을 중심으로 강력한 정부를 만들어야 한다는 입장과 국회와 정부 간의 긴밀한 협조와 협력을 통해서 공고한 정부를 만들어야 한다는 입장이 때로는 투쟁하며, 때로는 협력하면서 1948년 헌법의 통치구조를 만들어 나갔다. 이렇게 제정된 1948년 헌법은 기본적으로 대통령중심제에 기반하면서도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혼합적인 정부형태이었다. 문제는 이러한 혼합적인 정부형태가 처음부터 계획되고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통령제를 주장하는 입장과 내각책임제를 주장하는 입장이 상호 충돌하면서 그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것은 1948년 헌법의 이러한 비체계성이 순전히 우연의 산물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적어도 번안을 주도한 한민당의 입장에서는 여전히 대통령중심제 정부형태 아래에서 헌법에 산재해 있는 의원내각제적 요소들을 통해서 정부형태를 의원내각제에 가깝게 운영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통하여 대통령의 권한을 통제하기 위해서 제안되었던 수정안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948년 헌법의 정부형태가 대통령중심제로 굳어진 뒤에는 제헌국회에서의 헌법제정논의의 중심이 대통령의 권한을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어떻게 헌법에 구성하고 조직할 것인가로 옮겨가게 된 것도 이런 점에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들은 이후의 헌정사에서 끊임없이 권력구조를 둘러싼 다툼의 근원으로서 작용을 하게 된다. 결국 1948년 헌법의 제정주체들은 하나의 정부형태에 대한 합의에 이르고서도 끊임없이 자신들이 이해하고 정립하려는 모습으로 권력구조를 개편하고 정부형태를 바꾸기 위해서 투쟁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정부형태에 대한 이러한 “동상이몽적”인 합의의 부재가 이후의 헌법개정에 있어서 반복되는 통치구조를 둘러싼 대립의 씨앗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948년헌법 제정과 국가공동체의 통합

        정상우(Chong Sang woo) 한국헌법학회 2015 憲法學硏究 Vol.21 No.3

        이 글은 헌법과 국가공동체 통합의 관계를 우리나라 제헌사를 통해 탐색적으로 연구한 것이다. 사실 1948년헌법은 남북분단과 남한 내에서도 일부 정치세력들이 배제되어 가는 과정을 통해 제정되었다. 1948년헌법이 헌법제정으로서 정당성을 갖고 국가공동체 통합에 기여했음은 물론이지만, 이러한 점에서 일정한 한계와 과제도 지니게 되었다. 따라서 헌법 제정 과정에서 국가적 통합을 위한 합의는 어떠한 절차를 통해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고, 헌법의 구체적 내용들은 국가공동체를 어떻게 통합시키고자 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1948년헌법 제정 절차와 관련해서는 미군정 하에서의 헌법 제정 논의, 헌법제정기구의 정당성, 남북 분단과 헌법 제정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헌법 제정 내용과 관련해서는 민주공화국, 인권, 권력구조, 경제질서, 식민지 청산 등을 중심으로 헌법 제정 논의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못했거나 헌법 제정 참여자 간에 다양한 시각과 해석의 여지를 두었던 점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로써 1948년헌법이 제정 당시부터 국가공동체의 통합에 대해 어떠한 과제를 갖고 어떻게 기능하였는지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think about the relationship of enactment of constitution and national community integration in process of creating the korean constitution. In fact, the 1948 Constitution had been enacted in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and even in the elimination of the part of the political forces. The 1948 constitution had the legitimacy as Constitution and was to contribute to the integration of the national community of course, but also has certain limitations and challenges in these respects. Therefore, we reviewed what progress had been for the agreement for national integration in the course of the enactment of Constitution, and how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Constitution integrate the national community. In relation to procedures of the enactment of korean constitution, we look through the discussion under the US military, the validity of constitutional assemb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orth-south divide and the Constitution. In connec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Constitution, Democratic Republic, human rights, power structure, economic order, and colonial liquidation were examined how these worked for the integration of the national community. As a result, we tried to understand whether the 1948 Constitution had any such problems for the integration of the country community.

      • KCI등재

        대한민국 헌법사를 어떻게 읽을 것인가?

        함재학(Hahm, Chaihark) 한국헌법학회 2009 憲法學硏究 Vol.15 No.2

        1948년 헌법은 대한민국이 독립국가로서 처음 가졌던 헌법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한민국 대다수 국민들에게 별다른 의미가 없다는 진단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이는 그 헌법과 현재 국민들 간의 관계를 설정해 주는 이야기 틀이 부재하기 때문이고, 그런 이야기 틀을 얻기 위해 헌법사의 중요성에 주목한다. 대한민국 헌법사를 바라보는 방법으로 크게 세 가지가 가능하지만, 1948년 헌법의 현재적 의미를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것은 “헌법적 정체성”에 주목하는 방법이라 본다. 1948년 헌법제정의 역사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최근 다시 주목을 받고 있는 슈미트와 아렌트의 제헌이론들을 분석한 후, 양자 모두 제헌을 초역사적 행위로만 파악하는 단점이 있음을 지적할 것이다. 1948년 헌법이 현재 우리들에게 의미 있는 문서가 되려면 제헌을 역사 안에서 이해하고, 과거와의 교섭과정에 주목하는 이론이 필요한 바, 이를 위해 세 가지 개념적 틀의 유용성을 제안한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think about the proper way of investigating the status and meaning of Korea's “founding” constitution of 1948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s living in the 21st century. The starting point is that although it was the very first modern constitution of Korea as an independent nation, most Koreans today do not have much appreciation for it. It will be argued that this is largely due to a failure to provide a narrative framework within which people can place the constitution and connect to it, i.e., a failure to construct a meaningful constitutional history of Korea. The article then reviews three different ways that might be used to construct such a history: i) history of institutions, ii) history of constitutional ideals, and iii) history of constitutional identity. Arguing that the third approach would be most useful to bring out the significance of the 1948 constitution for the people of today, the article then examines a couple of representative theories on constitution-making which have recently been attracting scholarly attention again in Western academia, namely, those of Carl Schmitt and Hannah Arendt. For all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heories, its is claimed that they are both faulty in that they regard constitution-making as the creation of a new order ex nihilo. The article therefore calls for approaching the issue from a perspective that takes the historical dimension seriously, one that sees constitution-making as a process of “negotiation with the past.” It ends with a suggestion for looking at three conceptual polarities when studying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Korea: i) founding vs. renovation; ii) sameness vs. diversity, and iii) universality vs. particularity.

      • KCI우수등재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공화국 헌법에 관한 연구

        金壽用(Kim Su-Yong) 한국공법학회 2007 공법연구 Vol.36 No.2

        일본으로부터 해방을 맞이한 해방공간에서는 어떠한 국가를 수립할 것인가를 놓고 각 정파간의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논의들은 1948년 헌법이 제정되어 대한민국이 수립될 때까지 3년간 지속되었다. 논의의 결과물로 많은 헌법안이 마련되었다. 그러한 헌법안들은 1948년 국회에 제출되었고, 1948년 헌법제정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다.  헌법안 작성자들은 당시 참고가 가능했던 세계각국의 헌법을 가지고 헌법안을 작성하였다. 그중 특히 독일공화국, 일명 바이마르공화국 헌법과 미합중국헌법, 중화민국헌법초안이 우리나라 헌법제정에 영향을 끼쳤음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다. 그에 비하여 다른 국가의 헌법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 중 하나가 1920년 2월 29일에 공포된 체코슬로바키아공화국 헌법이다. 이 헌법은 행정연구위원회안과 법전기초위원회의 헌법개정요강을 통하여 1948년 헌법제정에 영향을 끼쳤다.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공화국 헌법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헌법적 효력을 가지는 규범으로 헌법(charte constitutionnelle)과 헌법적 법률(loi constitutionnelle)로 이루어져 있다. ㉡의원내각제 정부형태를 취하고 있다. ㉢대통령이 내각의 수상 뿐만 아니라 내각위원들을 임면한다. ㉣내각회의는 대통령이 주재한다. ㉤국회의 구성은 양원제로 하고, 각 원의 의원은 보통, 평등, 직접, 비밀선거에 의하여 비례대표제의 원리에 따라서 선출한다. ㉥양원 중 일원이 해산되거나 그 소속 의원의 임기가 만료된 때로부터 양원이 새로 개회할 때까지와, 기타 양원이 정회 또는 폐회 중인 경우, 24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긴급조치(의결)를 할 수 있는 예외적인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위헌법률심사제도를 두고 있다. ㉧배심제도를 취하고 있고, 사소(私訴)를 인정하고 있다. ㉨직업법관의 임기는 종신이지만, 법률에서 정한 연령에 달한 경우에는 유효한 선언으로 퇴직을 명할 수 있다. ㉩국민의 헌법상 권리에 대하여 자세하게 규정하고 있다. ㉪소수자를 보호하고 그들의 모국어 사용을 인정하고 있다. ㉫경제행정을 담당하는 순수한 자문기구로서 국가기관을 창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단일국가형태를 취하고, 카르파티아 남부의 루테니아 지방에는 예외적으로 자치권을 인정하고 있다.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ing, there were a lot of the constitutional discussions and the constitutional drafts to make a nation in Korea. The makers of the constitutional drafts made reference to many constitutions of the world. Among them, the German Constitution of 1919, American Constitution and Draft of the Republic of China are well known. But other constitutions are not. One of them is the Constitution of the Czechoslovak Republic which was promulgated on February 29, 1920. This had effect on the constitution making of 1948 through the Draft of the Administration Research Committee Association and the Outlines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Code Drafting Commission.  The main contents of the Czechoslovak Constitution are like the following: ⓐNorms which have effect of a constitution are constitution(charte constitutionnelle) and constitutional law(loi constitutionnelle).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The President appoints and dismiss the Prime Minister and other ministers of the Government. ⓓThe President has the right to preside over meetings of the Government. ⓔThe National Assembly is composed of a Chamber of Deputies and a Senate, and each member of both chambers is elected according to a general, equal, direct, secret suffrage on a basi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During the period elapsing between the dissolution of either chamber and its reassemble or between the expiration of its term of office and its convocation and during the period of prorogation and adjournment, the committee which are composed of twenty four members act on all urgent matters. ⓖJudicial review system. ⓗThe jury system and the private action system. ⓘJudges are appointed permanently, but they are also pensioned after a valid finding when they have attained the age stated by law. ⓙThe citizen rights are in detail. ⓚProtection of national, religious, racial minorities and their language rights. ⓛAn Advisory Council for Economic Affairs is established and organized by the Government decrees. ⓜA unitary state system, but the autonomous territory of Carpathian Ruthenia has a self-government compatible with the unity of the Czechoslovak Republic.

      • KCI등재

        1948년 북한제정헌법의 초안에 관한 연구

        조재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2 No.2

        North Korea established and announced its constitution on September 8, 1948. However, the period during which North Korea discussed about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was in the 3rd People's Assembly in North Korea called for two days from November 18 to November 19, 1947. In this assembly, 'Chosun Temporary Committee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which consisted of 31 persons including Kim Il-sung and Kim Doo-bong was founded. After numerous times of screenings and corrections on the first draft prepared, it was brought in on the conference table of the first Supreme People's Assembly on September 8, 1948. After 3 times of conference for 3 days from September 6 to 7, 1948, the constitution was established and announced on September 8. Through this,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as born and, at the same time, the North Korean regime was established. The enactment of North Korea's constitution in 1948 was a political and normative output created for the national discourse of establishing single government and the propaganda for its communist state system in the competition of two regimes, the communist camp and the liberalist camp,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Since, in general, a constitution is established as the supreme norm of a state by summarizing normatively the contemporary value of the epoch when the new state is born and its social environment such as politics and economics, not only state form and governance structure become a matter of choice of constituent power but also constitution owns the position as the supreme norm that determines the identity of the state in the future. Even for South Korea, the constitution has been amended 9 times but didn't change any state form or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Similarly, North Korea has changed the name to Socialist Constitution after their socialist renovation work, but since their state system was not changed through a fundamental change in the constituent power or a political upheaval in political system,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s constitution in 1948 would be significant in the scope of such constitutional history. 1948년 탄생한 남북한의 헌법은 헌법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한반도의 분할 통치이후 자유와 공산이라는 양 진영 간의 체제경쟁 속에서, 단독정부수립과 단정반대라는 민족적 담론과 각자의 우월적인 체제 선전을 위하여 탄생한 정치․규범적 산물이다. 일찍이 우리의 역사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국가와 이념에 관한 정치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가의 최고규범으로서의 헌법은 새로운 국가가 탄생할 당시 그 시대적 가치와 정치, 경제 등의 사회적 환경을 규범적으로 정리하여 제정되기 때문에 국가형태와 통치구조는 헌법제정권자의 선택의 문제이자, 향후 국가 정체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최고의 규범으로서의 지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헌법은 지금까지 아홉 차례의 개정을 했다. 제정당시의 국가형태와 이념,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원리 등 우리헌법이 지향하는 근본가치 등이 변한 것은 아니다. 북한의 헌법 역시 사회주의 개조작업 이후 인민민주주의헌법에서 사회주의헌법으로 개정하였으나, 헌법제정권력에 근본적인 변화나 정변(政變)으로 인한 통치권력의 교체, 국가체제 등이 바뀐 것은 아니기에 북한헌법의 제정과정과 헌법초안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헌법사적인 범주 내 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통일을 논의함에 있어서 1948년 북한헌법 제정 당시, 초안에서 규정하고 있었던 ‘주권재민의 원칙’과 ‘사유재산보호’, ‘법 앞에 평등’ 규정 등은 지금의 북한헌법에는 그러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당한 차이를 보여 주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 통일헌법을 구상하는데 있어서, 현재의 남북한의 헌법을 가지고 비교, 논의하기보다는 오히려 해방직후로 거슬러 올라가 당시 논의되었던 헌법 초안 등을 비교해 볼 때 상호간의 공통영역이 보다 넓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남북한 사이에 존재하는 상이한 국가체제와 이념, 그로인한 헌법을 비롯한 법체계의 간극이 분단의 세월만큼이나 깊다면, 이제 다시 분단직후의 상황으로 회귀하여 남북한의 헌법을 비교해 볼 때 비로소 더욱 많은 가능성이 열릴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남쪽 해방공간에서의 주요 헌법쟁점의 수용과 배척

        김수용(Kim, Su-Yong) 한국헌법학회 2014 憲法學硏究 Vol.20 No.3

        한반도는 주변 강대국의 침략이나 간섭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그럴 때마다 한민족은 주변 강대국의 침략이나 간섭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을 하였다. 20세기 초반에 일제는 한반도를 불법으로 점유하였다. 한민족은 일제의 지배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1919년에 3ㆍ1 혁명을 일으켰다. 3ㆍ1 혁명은 일제에 대한 저항과 함께 한민족 내부의 봉건제도를 타파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3ㆍ1 혁명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인민들은 한반도를 불법으로 점유한 일제를 한반도에서 쫒아내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였다. 그러던 중 제2차 세계대전 승전국의 도움을 받아 일제로부터 한반도를 되찾았다. 광복 후 대한민국임시정부 인민들은 한반도에 신국가를 수립하기 위하여 많은 헌법논의를 하였다. 광복에 도움을 준 미국은 남쪽 해방공간에 미군정을 설치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인민들은 미국 대한정책의 제약 하에서 신국가 수립을 위한 헌법논의를 진행하였다. 남쪽 해방공간의 헌법논의에서 논쟁이 되었던 것은 용어(인민 대 국민), 주권(인민주권 대 국민주권), 국호(조선 대 대한민국), 인민/국민의 권리(인권옹호 대치안유지), 친일파 처벌(헌법사항 대 법률사항), 농지개혁(무상몰수 무상분배 대유상매입 유상분배), 국회 구성(양원제 대 단원제), 정부형태(대통령중심제 대 내각책임제), 사법부 구성(민주사법 대 관료사법), 경제(통제경제의 강화 대 통제경제의 약화) 등이었다. 이러한 쟁점들은 이념, 각 개인, 정파나 단체들의 이해관계 등에 따라 수용과 배척 또는 배제되는 과정을 거쳐 1948년 대한민국헌법에 규범화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탄생한 1948년 대한민국헌법은 해방공간의 시대적 과제를 모두 반영하지 못했다. 1948년 대한민국헌법에 의해 수립된 대한민국 정부도 해방공간의 시대적 과제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지금까지도 해방공간의 시대적 과제 중 일부는 계속해서 논쟁이 되고 있다. The Korean Peninsula was often invaded or meddled in by powerful countries. The Japanese Empire invaded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people join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on March 1st, 1919. Korean people wanted to be independent from Japanese imperialism and emancipated from the traditional royal despotism through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Korean people established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fter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Korean people had tried to expel Japan.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imperialism on August 15, 1945 thanks to the Allied Nations. Korean people had debated constitution to establish new nation. After independence, the United States established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USAMGIK) in the Southern Space of Liberation. Constitutional debate in the Southern Space of Liberation was restricted by U.S. korean policy. Constitutional issues in the Southern Space of Liberation were as follows: term, sovereignty, country name, human rights, punishment of pro-Japanese group, farmland reform, organization of National Assembly, form of government, organization of judiciary, economy, etc.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established by some parts of these issues that were accepted by ideology and interest of each individual or group, etc.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didn’t reflect all tasks in the Liberation Space. The Republic of Korea that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also hasn’t solved some parts of the tasks. They remain hotly disputed until now.

      • KCI등재

        한국 헌법사의 출발점 고찰

        허완중(Heo, Wan-Jung) 한국헌법학회 2020 憲法學硏究 Vol.26 No.4

        한국 헌법사는 1948년 헌법 제정으로 시작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1948년 헌법 제정에 직접적 영향을 준 것이 명확할 뿐 아니라 현행 헌법이 전문에서 그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한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을 한국 헌법사에서 빼놓을 수 없다. 더욱이 대한민국 임시정부 헌법은 1919년에 처음 제정될 때부터 기본권 보장과 권력분립이라는 근대적 의미의 헌법이 담아야 할 필수 내용을 빠짐없이 갖췄다. 하지만 아무런 바탕 없이 옹근(완벽한) 근대적 의미의 헌법이 제정될 수는 없다. 충분한 이론적 축적과 실질적 체화 그리고 다양한 경험이 있어야 근대적 의미의 헌법 제정이 가능하다. 서양과 비교하여 터무니없이 짧은 시간 안에 진행된 한국의 압축적 근대화는 특정 시점의 극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어렵고, 점진적으로 바뀌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급박하게 그리고 과정으로 점철되는 한국 헌법사는 근대 헌법의 요소를 중심으로 맥락 속에서 바라보아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 헌법사, 특히 헌법전사는 단편적으로 그리고 단락적으로 연구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바로 이점이 아직도 한국 헌법사의 출발점이 명확하지 않은 중요 이유이다. 신민이 인민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고 신분 해방이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영・정조 시대를 헌법사의 출발점으로 볼 여지가 있다. 그러나 영・정조의 헌정적 맹아는 세도정치로 짓밟혀 맥이 끊어졌다는 점에서 헌법사의 시작으로 보기 어렵다. 따라서 인민의 온전한 힘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지만 인민이 세도정치 붕괴에 적지 않은 이바지를 하였고, 그들의 요구가 일부 수용될 정도의 존재감이 확인된, 특히 양반 특권 폐지로 신분 해방의 문이 열리기 시작한 1863년 흥선대원군 집권을 헌법사의 출발점으로 보고자 한다. 흥선대원군 집권은 개화파가 등장할 터전을 마련함으로써 이후 갑신정변과 갑오개혁 그리고 독립협회 등장의 인적 토양을 만들었을 뿐 아니라 자신의 요구를 일부나마 관철할 정도로 신민이 인민으로 각성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왕권 강화를 목표로 한 흥선대원군의 복고적 개혁은 이후 개혁의 방향을 군주제 제한으로 설정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즉 흥선대원군 집권은 인민 탄생이라는 주체적 측면, 세도정치 붕괴라는 구체제 타파 측면, 신분 해방 시작이라는 기본권 보장적 측면, 군주권 제한 필요성의 실마리 제공이라는 권력분립적 측면을 고려할 때 그리고 개혁 시작이라는 시원적 측면을 고려할 때 헌법사의 출발점으로 삼기에 부족함이 없다. The history of the Korean constitution can be seen as beginning with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in 1948. However, the Constitu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directly influenced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in 1948, cannot be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the Korean Constitution. Moreover, the Constitu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rom the time it was first enacted in 1919, has all the essential contents that the constitution in the modern meaning must contain. However, a constitution in a modern sense cannot be enacted without any basis. It is only possible to enact a constitution in a modern sense only if there is sufficient theoretical accumulation, practical implementation, and various experiences. Compared to the West, the compressive modernization of Korea, which took place in a ridiculously short period of time, makes it difficult to confirm the dramatic change at a specific point in time, and it is only possible to confirm the process of gradually changing. Therefore, the history of the Korean constitution, which is urgently and through the process, can be properly understood only by looking at the elements of the modern constitution in context. Until now, however, the history of the Korean constitution has been generally studied in fragments and paragraphs. This is the main reason why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is still not clear. There is room for seeing the era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as the starting point of the constitutional history a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bjects were growing into people and the liberation of their status bega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e the constitutional sprout in the era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as the beginning of the constitutional history in that the vein was cut off by being trampled by Sedo Politics. Therefore, although it was not made up of the full power of the people, it contributed quite a bit to the collapse of the Sedo Politics, and in 1863, when the door to liberation of the status began to open due to the abolition of the Yangban privilege, which was confirmed to have a presence enough to accommodate some of their demands. I would like to see it as a starting point for the constitution. This is because Heungseon Daewon-gun s reign provided the ground for the emergence of the Gaehwa sect, thereby creating a personal soil for the Gapsinjeongbyeon, the Gapoh Reform, and the appearance of the Independence Association, as well as confirming that the subjects have awakened as people enough to fulfill their own demands. In addition, the retro-style reform of Heungseon Daewon-gun, which aimed to strengthen the royal power, served as an opportunity to set the direction of the later reform to limit the monarchy.

      • KCI등재

        1948년 헌법 천연자원 및 주요산업 국유화 규정의 형성

        전종익 ( Jong Ik Chon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서울대학교 法學 Vol.54 No.2

        독립운동시기부터 중국 내 단체들을 중심으로 천연자원과 주요산업의 국유 또는 국영의 원칙은 경제정책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이는 해방 후에도 이어져 좌우를 불문하고 주요 정당, 사회단체들은 주요산업의 국유화를 강령에 규정하고 있었고, 그와 관련하여 대표적인 천연자원 관련 산업인 광산 역시 국유 또는 국영의 대상에 포함되어 있었다. 당시 천연자원과 주요산업의 국유화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가 널리 존재하였음은 좌우합작원칙이나 미소공동위원회의 질의에 대한 답신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후자에 의하여 천연자원과 산업별 소유권 제도에 대한 구상이 상당한 수준으로 구체화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천연자원과 주요산업의 국유 또는 국영에 대한 일반적인 합의는 헌법제정과정에서 규범화된다. 1946년 신익희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 산하기관으로 출범한 행정연구위원회에서 최초로 작성한 헌법안을 보면 임시정부 건국강령의 취지에 따라 이른바 五五憲草 등 중국의 헌법초안들의 규정을 도입하여 천연자원 및 독점성을 가진 주요기업의 국유 또는 국영을 규정하였고, 우익 중심의 민주의원이나 좌익 중심의 민주주의민족전선의 헌법안에서도 대형 또는 주요산업의 국유 또는 국영을 채택하고 있었다. 나아가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의 조선임시약헌 또한 민주의원의 헌법안을 그대로 계승하였다. 1948년 국회가 개원하면서 이루어진 헌법제정과정을 보면 조선임시약헌을 기반으로 중국의 五五憲草 및 그때까지 만들어졌던 기타 다른 헌법안들을 참고로 하여 초기부터 1948년 헌법 제85조 및 제87조의 원형이 형성되었고 국회의 헌법기초위원회나 본회의에서 큰 이견없이 그대로 헌법규정으로 확정되었다. Before independence, the independent movement societies arrived at establishing some common principles for reconstruction of Korea. One of such principles was nationalization of natural resources and basic industries. After August 15, 1948, that policy can be easily found in the many platforms of political parties and associations regardless of right and left. We can find same policies in the principles for coopertaion of right and left, and answers of political organizations to the questions from the Joint Soviet-American Commission. It demonstrates that there were general consents for nationalization principles at that time. The nationalization clauses of 1948 Constitution were made by adopting these agreements. The first draft of constitution made at 1946 by research committee for administration unde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had the natural resources and basic industries` nationalization provisions which were modified from modern chinese constitutions, and other drafts of right and left wings also had same clauses for large and basic industries. In the legislation process of 1948 Constitution, the nationalization clauses were adopted at the first stage and confirmed in the congress without sincere diss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