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1948년 헌법개정요강의 경제질서

        김수용(Su-Yong Kim) 한국공법학회 2021 공법연구 Vol.50 No.2

        대한민국헌법의 경제질서는 헌법 전문, 제2장 국민의 권리의무 등에서 찾을 수도 있지만, 헌법은 경제와 관련하여 독립된 장을 두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제9장 경제 편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현행 헌법 제9장과 관련해서는 헌법에서 독립된 장으로 경제를 규정하고 있는 사례가 많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9장 경제 편의 내용은 지금의 현실과 맞지 않기 때문에 헌법개정 때 폐지하거나 헌법 개정 때까지는 소극적으로 해석해야 한다는 견해 등이 존재한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들은 현행 헌법 제9장이 독립된 장으로 헌법규범화 된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고려하지 않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헌법사에서 경제와 관련한 내용이 독립된 장으로 대한민국 성문헌법에 도입된 것은 남조선과도정부 사법부 법전기초위원회 헌법기초분과위원회가 만든 1948년 헌법개정요강에서부터이다. 1948년 헌법개정요강은 제7장에 국민경제라는 제목으로 독립된 장을 두고 있다. 1948년 헌법개정요강에서 경제와 관련한 내용을 독립된 장으로 둔 것은 해방 당시에 존재했던 귀속재산(적산) 등 사회경제적 문제 해결이 중요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해방 당시 사회경제적 불평등 해결에 대한 요구가 강했는데, 중요한 원인 중 하나는 토지문제였다. 남조선과도정부 사법부 법전기초위원회 헌법기초분과위원회 위원들은 당시의 사회경제적 문제를 독립된 장으로, 토지문제는 민생주의 관점에서 해결하는 방안을 헌법규범화하려고 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1948년 헌법개정요강 제7장 국민경제의 내용은 사상적으로 미국의 정치경제사상가였던 헨리 조지의 주장이 많이 반영된 것 같다. 헨리 조지는 부가 진보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의 빈곤이 사라지지 않는 원인을 지주가 토지 가치를 차지하는 것을 합법화하는 토지사유제에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빈곤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토지 사유제를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미 토지 사유제가 관습화된 나라에서는 토지를 공유화할 필요까지는 없고, 정부가 지대를 환수하고 다른 조세를 면제하는 지대조세제(단일세)를 실시하면 된다는 해결책을 제시하였다. 지대조세제 개혁은 생산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분배를 보다 정의롭게 만들기 때문에, 궁극적으로는 모든 계층에게 이익을 줄 것이고 더 높고 고상한 문명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할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1948년 헌법개정요강 제7장 국민경제의 내용은 법계보적 내지 사상사적으로 헨리 조지의 정치경제 사상이 쑨원의 민생주의에 영향을 주었고, 쑨원의 민생주의는 조소앙의 경제 균등 사상에 영향을 주어 1941년의 건국강령, 1948년 헌법개정요강 등으로 이어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1948년 헌법개정요강이 만들어진 시기가 미군정기였기 때문에 남조선과도정부 사법부 법전기초위원회 헌법기초분과위원회 위원들이 당시의 사회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미국의 정치경제사상가 헨리 조지의 주장에 주목했던 것 같다. 현행 헌법 제9장 경제 편이 독립된 장으로 성문헌법에 규범화 된 역사적 배경을 고려할 때, 물질적 부가 진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더욱더 심화되어가고 있는 현실을 해결하기 위하여 현행 헌법 제9장 경제 편을 적극적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re is a chapter about economy in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chapter about economy in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South Korea was standardized from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Temporary Constitution of Korea that was passed on 6 August, 1947 by the South Korea Interim Legislative Assembly for the first time.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Temporary Constitution of Korea was made by the Code Drafting Commission that was established in Department of Justice of South Korean Interim Government. The Korean elements of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were designated as South Korean Interim Government on 17 May, 1947. The Chapter Ⅶ THE NATIONAL ECONOMY in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Temporary Constitution of Korea was standardized for solving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like enemy property after the liber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after the liberation was land reform. The Chapter Ⅶ THE NATIONAL ECONOMY solved the problem with People"s livelihood of Sun Wen(孫文, 1866-1925) who was influenced by Henry George(1839-1897)’s thought. In terms of legal genealogy and ideological history, Henry George’s thought influenced People"s livelihood of Sun Wen, and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of Sun Wen had an effect on Principle of Three Equalities of Jo So-Ang(1887-1958). In summary, the Chapter In terms of legal genealogy and ideological history, Henry George’s thought influenced People"s livelihood of Sun Wen, and Three Principles of the People of Sun Wen had an effect on Principle of Three Equalities of Jo So-Ang(1887-1958). In summary, the Chapter Ⅶ THE NATIONAL ECONOMY in the Proposed Amendment to the Temporary Constitution of Korea was influenced by the political and economic thought of Henry George. Henry George thought the reason that social poverty did not disappear despite progress in wealth lay in the land ownership system, which legalized landlords to occupy land value. Therefore, he argued that the land ownership system should be abolished in order to eradicate poverty. However, in countries where the land private system is already customary, it is not necessary to make the land public, and the government has suggested a solution to the rent tax system(single tax) in which the rent is recovered and other taxes are exempted. He argued that the rent tax reform would ultimately benefit all classes and lead to a higher and nobler civilization, as it not only increased economic growth but also made distribution more just.

      • KCI등재

        민주헌정의 관점에서 본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과 제헌헌법의 관계

        김수용 한국헌법학회 2019 憲法學硏究 Vol.25 No.1

        비교헌정사적으로 근대 민주국가는 봉건질서를 타파하고자 하는 민주시민의 탄생과 민주시민에 의한 시민혁명 발발, 민주시민들을 대표하는 의회 조직, 의회에서 민주시민들의 요구를 반영한 헌법 제정, 헌법에 입각한 민주국가 수립, 민주국가를 실현할 구체적인 법령 마련, 헌법 제정과 실천 과정에서 미흡했던 내용을 반영한 헌법 개정 등의 과정으로 진행된다. 1919년 4월 11일에 건립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도 이러한 과정을 거쳐 탄생하였다. 즉 1919년 3.1혁명 이전에 민주시민들이 탄생하였고, 그들이 중심이 되어 1919년 3.1혁명을 일으켰다. 1919년 4월 10일 저녁 10시경에는 민주시민의 대표자들이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을 개원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1919년 4월 11일에 대한민국헌법(대한민국임시헌장)을 제정하였다. 1919년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은 1919년 4월 대한민국헌법에 따라 1919년 4월 11일에 건립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은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법령 등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1919년 9월 11일에는 1919년 4월 대한민국헌법 이후 미흡한 내용들을 반영하여 제1차 헌법 개정을 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헌법은 총 5차에 걸쳐 개정이 되었는데, 해방 이전 마지막 개정은 1944년 4월 22일에 이루어졌다. 1944년 대한민국헌법은 제61조에서 헌법 개정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8년 7월 12일에 제정되고 7월 17일에 공포된 제헌헌법(1948년 대한민국헌법)은 1944년 대한민국헌법을 개정하는 방식이 아니라 헌법 제정 절차에 따라 새롭게 제정되었다. 그러나 1944년 대한민국헌법과 1948년 제헌헌법은 기본편제가 유사한 점, 두 헌법 모두 제1조에서 대한민국이 민주공화국임을 규정하고 있는 점, 1948년 7월 7일 국회 본회의에서의 대한민국 정체성 논쟁과 결정 내용 등을 종합할 때, 1948년 제헌헌법은 헌법 제정 절차에 따라 제정되었지만 실질은 1944년 대한민국헌법의 개정 또는 전면 개정이라고 할 수 있다. On April 11, 1919, the first Constitu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was enacted and was promulgated in Shanghai, China. The Article 1 of the Constitution says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Republic of Korea of 1919”)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in the course of the March 1st Revolution caused by democratic citizens.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was revised five times until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last Constitution(hereinafter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4”) was revised on April 22, 1944.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enacted on July 12, 1948 and was promulgated on July 17, 1948. On August 15, 1948, the Republic of Korea(hereinafter “the Republic of Korea of 1948”)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The Article 1 of the Constitution also says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like that of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On July 7, 1948, the National Assembly of 1948 decided the identity of Republic of Korea of 1948 as follows. “We, the people of Korea, proud of a resplendent history and traditions dating from time immemorial, upholding the great spirit of independence, as manifested in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e cours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now at this time engaged in reconstructing a democratic, independent country are determined.” In other words, the Republic of Korea of 1919 was 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on April 11, 1919, then it was reestablished by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on August 15, 1948. In summar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made by new process even though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4 had the process of revision. But I think that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the revised constitu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4 based on the deci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of 1948 on July 7, 1948, the same Article 1 of two Constitutions(the Korean Constitution of 1919 and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and the similar formation of two Constitutions, etc.

      • KCI등재

        1948년 헌법제정과정에서 나타난 통치구조 논쟁에 관한 연구

        정재도 유럽헌법학회 2020 유럽헌법연구 Vol.0 No.33

        After the May 10 election in 1948, the biggest issue of the Constitutional Assembly, which had a mission to build a new independent nation as soon as possible, was how to enact a constitution that fits the principles of democracy while stabilizing an unstable political situation. In other words, it was to find out what is the optimal form of government that can satisfy democracy and stabilization at the same time. In this process, the position of creating a strong government centered on the President and the position of emphasizing close cooper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sometimes struggled, and sometimes cooperated to create the governmental structure of the Constitution in 1948. The constitution of 1948, which was enacted in this way, was basically a mixed form of government that was based on the presidential government system but also had a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The problem is that these mixed governmental forms were not planned and intended from the beginning, but rather were created unintentionally in the conflict between the position of claiming the presidential government system and the position of claiming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However,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the unconstitutionality of the 1948 Constitution is not purely a coincidence. At least, it seems that the Korean Democratic Party, which led the adaptation, still thought that the governmental form could be operated closer to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through elements of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scattered in the Constitution under the form of the presidential government system. It can also be confirmed through amendments proposed to control the president's powers through elements of the parliamentary government. Also, it is fully understandable in this regard that after the government form became a presidential system, the center of the constitutional debate in the Constitutional Assembly moved to how to organize various attempts to control the power of the President through the Constitution. And these attempts continued to act as a source of contention over the governmental structure in later constitutional history. After all, the authors of the 1948 constitution reached a consensus on one form of government, and it was said that they constantly struggled to reorganize the power structure and change the form of government to their understanding. And the absence of this mistaken consensus on the form of government became the seed of confrontation over the repetitive governmental structure in subsequent constitutional amendments. 1948년 5.10 총선 이후에 새로운 독립국가를 조속히 건설해야 한다는 사명감을 안고 있었던 제헌국회의 가장 큰 화두는 불안한 정국을 안정화시키면서 민주주의의 원칙에 걸맞는 헌법을 어떤 내용으로 제정할 것인지, 즉 민주주의와 정국의 안정화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최적의 정부형태는 무엇인지를 찾는 일이었다. 이 과정에서 대통령을 중심으로 강력한 정부를 만들어야 한다는 입장과 국회와 정부 간의 긴밀한 협조와 협력을 통해서 공고한 정부를 만들어야 한다는 입장이 때로는 투쟁하며, 때로는 협력하면서 1948년 헌법의 통치구조를 만들어 나갔다. 이렇게 제정된 1948년 헌법은 기본적으로 대통령중심제에 기반하면서도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가지고 있는 혼합적인 정부형태이었다. 문제는 이러한 혼합적인 정부형태가 처음부터 계획되고 의도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대통령제를 주장하는 입장과 내각책임제를 주장하는 입장이 상호 충돌하면서 그 속에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것은 1948년 헌법의 이러한 비체계성이 순전히 우연의 산물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적어도 번안을 주도한 한민당의 입장에서는 여전히 대통령중심제 정부형태 아래에서 헌법에 산재해 있는 의원내각제적 요소들을 통해서 정부형태를 의원내각제에 가깝게 운영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의원내각제적 요소를 통하여 대통령의 권한을 통제하기 위해서 제안되었던 수정안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948년 헌법의 정부형태가 대통령중심제로 굳어진 뒤에는 제헌국회에서의 헌법제정논의의 중심이 대통령의 권한을 통제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을 어떻게 헌법에 구성하고 조직할 것인가로 옮겨가게 된 것도 이런 점에서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들은 이후의 헌정사에서 끊임없이 권력구조를 둘러싼 다툼의 근원으로서 작용을 하게 된다. 결국 1948년 헌법의 제정주체들은 하나의 정부형태에 대한 합의에 이르고서도 끊임없이 자신들이 이해하고 정립하려는 모습으로 권력구조를 개편하고 정부형태를 바꾸기 위해서 투쟁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정부형태에 대한 이러한 “동상이몽적”인 합의의 부재가 이후의 헌법개정에 있어서 반복되는 통치구조를 둘러싼 대립의 씨앗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공화국 헌법에 관한 연구

        金壽用(Kim Su-Yong) 한국공법학회 2007 공법연구 Vol.36 No.2

        일본으로부터 해방을 맞이한 해방공간에서는 어떠한 국가를 수립할 것인가를 놓고 각 정파간의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논의들은 1948년 헌법이 제정되어 대한민국이 수립될 때까지 3년간 지속되었다. 논의의 결과물로 많은 헌법안이 마련되었다. 그러한 헌법안들은 1948년 국회에 제출되었고, 1948년 헌법제정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다.  헌법안 작성자들은 당시 참고가 가능했던 세계각국의 헌법을 가지고 헌법안을 작성하였다. 그중 특히 독일공화국, 일명 바이마르공화국 헌법과 미합중국헌법, 중화민국헌법초안이 우리나라 헌법제정에 영향을 끼쳤음에 대해서는 많이 알려져 있다. 그에 비하여 다른 국가의 헌법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그 중 하나가 1920년 2월 29일에 공포된 체코슬로바키아공화국 헌법이다. 이 헌법은 행정연구위원회안과 법전기초위원회의 헌법개정요강을 통하여 1948년 헌법제정에 영향을 끼쳤다.  1920년 체코슬로바키아공화국 헌법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헌법적 효력을 가지는 규범으로 헌법(charte constitutionnelle)과 헌법적 법률(loi constitutionnelle)로 이루어져 있다. ㉡의원내각제 정부형태를 취하고 있다. ㉢대통령이 내각의 수상 뿐만 아니라 내각위원들을 임면한다. ㉣내각회의는 대통령이 주재한다. ㉤국회의 구성은 양원제로 하고, 각 원의 의원은 보통, 평등, 직접, 비밀선거에 의하여 비례대표제의 원리에 따라서 선출한다. ㉥양원 중 일원이 해산되거나 그 소속 의원의 임기가 만료된 때로부터 양원이 새로 개회할 때까지와, 기타 양원이 정회 또는 폐회 중인 경우, 24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위원회가 긴급조치(의결)를 할 수 있는 예외적인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위헌법률심사제도를 두고 있다. ㉧배심제도를 취하고 있고, 사소(私訴)를 인정하고 있다. ㉨직업법관의 임기는 종신이지만, 법률에서 정한 연령에 달한 경우에는 유효한 선언으로 퇴직을 명할 수 있다. ㉩국민의 헌법상 권리에 대하여 자세하게 규정하고 있다. ㉪소수자를 보호하고 그들의 모국어 사용을 인정하고 있다. ㉫경제행정을 담당하는 순수한 자문기구로서 국가기관을 창설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단일국가형태를 취하고, 카르파티아 남부의 루테니아 지방에는 예외적으로 자치권을 인정하고 있다.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ing, there were a lot of the constitutional discussions and the constitutional drafts to make a nation in Korea. The makers of the constitutional drafts made reference to many constitutions of the world. Among them, the German Constitution of 1919, American Constitution and Draft of the Republic of China are well known. But other constitutions are not. One of them is the Constitution of the Czechoslovak Republic which was promulgated on February 29, 1920. This had effect on the constitution making of 1948 through the Draft of the Administration Research Committee Association and the Outlines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of the Code Drafting Commission.  The main contents of the Czechoslovak Constitution are like the following: ⓐNorms which have effect of a constitution are constitution(charte constitutionnelle) and constitutional law(loi constitutionnelle). ⓑParliamentary government system. ⓒThe President appoints and dismiss the Prime Minister and other ministers of the Government. ⓓThe President has the right to preside over meetings of the Government. ⓔThe National Assembly is composed of a Chamber of Deputies and a Senate, and each member of both chambers is elected according to a general, equal, direct, secret suffrage on a basis of proportional representation. ⓕDuring the period elapsing between the dissolution of either chamber and its reassemble or between the expiration of its term of office and its convocation and during the period of prorogation and adjournment, the committee which are composed of twenty four members act on all urgent matters. ⓖJudicial review system. ⓗThe jury system and the private action system. ⓘJudges are appointed permanently, but they are also pensioned after a valid finding when they have attained the age stated by law. ⓙThe citizen rights are in detail. ⓚProtection of national, religious, racial minorities and their language rights. ⓛAn Advisory Council for Economic Affairs is established and organized by the Government decrees. ⓜA unitary state system, but the autonomous territory of Carpathian Ruthenia has a self-government compatible with the unity of the Czechoslovak Republic.

      • KCI등재

        1948년 북한제정헌법의 초안에 관한 연구

        조재현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서울법학 Vol.22 No.2

        North Korea established and announced its constitution on September 8, 1948. However, the period during which North Korea discussed about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was in the 3rd People's Assembly in North Korea called for two days from November 18 to November 19, 1947. In this assembly, 'Chosun Temporary Committee for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which consisted of 31 persons including Kim Il-sung and Kim Doo-bong was founded. After numerous times of screenings and corrections on the first draft prepared, it was brought in on the conference table of the first Supreme People's Assembly on September 8, 1948. After 3 times of conference for 3 days from September 6 to 7, 1948, the constitution was established and announced on September 8. Through this,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was born and, at the same time, the North Korean regime was established. The enactment of North Korea's constitution in 1948 was a political and normative output created for the national discourse of establishing single government and the propaganda for its communist state system in the competition of two regimes, the communist camp and the liberalist camp, after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Since, in general, a constitution is established as the supreme norm of a state by summarizing normatively the contemporary value of the epoch when the new state is born and its social environment such as politics and economics, not only state form and governance structure become a matter of choice of constituent power but also constitution owns the position as the supreme norm that determines the identity of the state in the future. Even for South Korea, the constitution has been amended 9 times but didn't change any state form or the basic principles of the constitution. Similarly, North Korea has changed the name to Socialist Constitution after their socialist renovation work, but since their state system was not changed through a fundamental change in the constituent power or a political upheaval in political system,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s constitution in 1948 would be significant in the scope of such constitutional history. 1948년 탄생한 남북한의 헌법은 헌법사적인 측면에서 보면 한반도의 분할 통치이후 자유와 공산이라는 양 진영 간의 체제경쟁 속에서, 단독정부수립과 단정반대라는 민족적 담론과 각자의 우월적인 체제 선전을 위하여 탄생한 정치․규범적 산물이다. 일찍이 우리의 역사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던 새로운 국가와 이념에 관한 정치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국가의 최고규범으로서의 헌법은 새로운 국가가 탄생할 당시 그 시대적 가치와 정치, 경제 등의 사회적 환경을 규범적으로 정리하여 제정되기 때문에 국가형태와 통치구조는 헌법제정권자의 선택의 문제이자, 향후 국가 정체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최고의 규범으로서의 지위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대한민국헌법은 지금까지 아홉 차례의 개정을 했다. 제정당시의 국가형태와 이념,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의 원리 등 우리헌법이 지향하는 근본가치 등이 변한 것은 아니다. 북한의 헌법 역시 사회주의 개조작업 이후 인민민주주의헌법에서 사회주의헌법으로 개정하였으나, 헌법제정권력에 근본적인 변화나 정변(政變)으로 인한 통치권력의 교체, 국가체제 등이 바뀐 것은 아니기에 북한헌법의 제정과정과 헌법초안에 대한 연구는 이러한 헌법사적인 범주 내 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통일을 논의함에 있어서 1948년 북한헌법 제정 당시, 초안에서 규정하고 있었던 ‘주권재민의 원칙’과 ‘사유재산보호’, ‘법 앞에 평등’ 규정 등은 지금의 북한헌법에는 그러한 규정이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상당한 차이를 보여 주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 통일헌법을 구상하는데 있어서, 현재의 남북한의 헌법을 가지고 비교, 논의하기보다는 오히려 해방직후로 거슬러 올라가 당시 논의되었던 헌법 초안 등을 비교해 볼 때 상호간의 공통영역이 보다 넓게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남북한 사이에 존재하는 상이한 국가체제와 이념, 그로인한 헌법을 비롯한 법체계의 간극이 분단의 세월만큼이나 깊다면, 이제 다시 분단직후의 상황으로 회귀하여 남북한의 헌법을 비교해 볼 때 비로소 더욱 많은 가능성이 열릴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재판의 전제성”

        신우철(Shin, Woo-Cheol) 한국법사학회 2010 法史學硏究 Vol.41 No.-

        현행헌법 제107조 제1항과 제2항에 포함된 “재판의 전제”라는 용어의 의미를 둘러싸고 헌법학계와 행정법학계의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비교헌법사적 연원을 추적함으로써, 이 헌법텍스트의 ‘원래 의도’ 및 그 변형과정을 밝히고자 했다. 유진오에 의해 건국헌법 제81조 제2항(법률의 위헌심사)에 삽입된 이 용어는 오스트리아연방헌법(1929) 제140조 제1항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며, 따라서 그 원래 의도는 유럽식 구체적 규범통제에 있어서 ‘선결문제’의 의미로 쓰인 것이었다. 1962년의 헌법개정으로 미국식 부수적 위헌심사를 도입하면서 제1항(법률의 위헌심사)ㆍ제2항(명령ㆍ규칙ㆍ처분의 위헌ㆍ위법심사)에 모두 이 용어를 삽입했는데, 그 결과 동일한 용어가 이 때는 ‘사건쟁송성’의 의미로 쓰인 셈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건국헌법 이래 복잡다단한 비교헌법사적 연관관계의 분석을 통해, 현행헌법 제107조 제1항과 제2항의 “재판의 전제”는 각각 ‘선결문제’와 ‘사건쟁송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체계적인 통일적 해석’을 내릴 수밖에 없다고 결론지었다. The term "Chaepan-ui Chonje(prerequisite for judgment)" in Article 107 Section 1 and 2 of Korea"s Current Constitution plays a crucial role in determining jurisdiction betwee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other courts including the Supreme Court. Some emphasize its literal meaning, "a prior question"; others focus on its hidden meaning, "cases and controversies". I trace the textual origin of the term, and find that it came from Article 140 Section 1 of the Austrian Federal Constitution(1929), which provided "Voraussetzung eines Erkenntnisses(prerequisite for judgment)". So, the drafter"s original intent was to bring in the European "konrete Normenkontrolle(concrete norm control)" system, which separated the review of the constitutionality of a law from the case itself,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prior question", rather than the American term of "cases and controversies". The Revised Constitution of 1960, though it imported the German "Verfassungsgericht(Constitutional Court)" and "abstrakte Normenkontrolle (abstract norm control)" system, omitted the European term "Chaepan-ui Chonje". On the contrary to this, the Revised Constitution of 1962, in the vortex of the sudden adoption of American judicial review system, used the same European term "Chaepan-ui Chonje", as if it meant "cases and controversies". After the winding constitutional journey, the term became the "Gate of Janus" which opens from both sides, i.e., European norm control and American judicial review. The term in Article 107 Section 1 means the former, "a prior question"; the same term in Section 2 means the latter, "cases and controversies".

      • KCI등재

        해방기 헌법초안의 헌법사적 기원 - 임시정부 헌법문서의 영향력 분석을 통한 ‘유진오 결정론’ 비판

        신우철(SHIN Woo Cheol) 한국공법학회 2008 공법연구 Vol.36 No.4

        흔히 ‘제헌헌법의 아버지’로 불리는 유진오가 1948년 헌법의 기초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해방기 헌법초안들의 면밀한 텍스트 대조·분석을 통해, 우리 건국헌법이 단순히 유진오 등 당시 몇몇 기초자의 의사로만 결정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밝혀내었다. 특히, 건국헌법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친 헌법초안들, 즉 행정연구위원회의 한국헌법(1946), 민주의원의 대한민국임시헌법(1946), 입법의원의 조선임시약헌(1947), 민주주의민족전선의 조선민주공화국임시약법(1946), 유진오 헌법초안(1948) 등에는, 비록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모두 임시정부 헌법문서로부터 영향 받은 흔적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건국헌법에 대한 유진오 개인의 기여만을 일방적으로 강조하는 것은 정확한 평가가 아니라는 결론에 이르렀다. It is common knowledge that Yu Jin-o, who is often called the "Father of the Korean Constitution", played a decisive role in the codification of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I, from the viewpoint of a constitutional historian, examine the then constitutional drafts article by article, and find that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is not the mere result attained by the efforts of several drafters at that time. Through the textual survey of constitutional drafts by which the Korean Constitution of 1948 was influenced, such as the Korean Constitution(Hankuk-heonbeob)(1946) of the Administration Research Committee Association,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of the Korean Republic (Taehanminguk-ymsiheonbeob)(1946)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Democratic Council of South Korea, the Korean Provisional Constitution(Chosun-ymsiyakheon)(1947) of the South Korean Interim Legislative Assembly, the Provisional Constitution of the Korean Democratic Republic(Chosunminjugonghwaguk-ymsiyakbeob)(1946) of the Democratic People"s Front, I draw the conclusion that the above listed constitutional drafts was more or less influenced by the constitutional documents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and that Yu Jin-o should not be overestimated as the "one and only Father" of the Korean Constitution.

      • KCI등재

        민주공화국과 법치주의 -미완의 과제인가

        권순일 사법발전재단 2021 사법 Vol.1 No.57

        A mainstream view shared in the constitutional law literature is that a “democratic republic,” proclaimed in Article 1(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 passive formalism referring to a non-monarchy, and the rule of law, although it serves as a basic constitutional principle, is not expressly declared in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 This paper questions this view by arguing that the core provision declaring that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forms an essential and immutable constitutional basis for the rule of law. The paper posits that an accurate reading of Article 1(1) requires a “narrative” understanding of the Constitution, namely, we should interpret the Constitution in light of not only the founding constitutional documents, but also the broader context of the body politic and the evolution of constitutional norms throughout history. In this vein, this paper draws from the relevant literature regarding political ideology, national history, and constitutional law, and concludes that Article 1(1), by embodying the political aspiration that the people of Korea construct a “free republic” governed by the “rule of law”, forms the constitutional basis for the principle of the rule of law. 대한민국헌법 제1조 제1항에서 선언하고 있는 ‘민주공화국’에서의 ‘공화국’이란 비군주국(非君主國)을 의미하는 형식적·소극적 개념이며, 법치주의는 헌법의 기본원리이지만 헌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헌법학계의 주류적 견해이다. 그런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라는 헌법 규정은 헌법 개정에 의해서도 변경될 수 없는 대한민국헌법의 핵심내용이라고 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거기에서의 공화국 개념은 실질적으로 별 의미가 없다고 해석하거나 나아가 법치주의를 헌법의 기본원리라고 하면서도 그 근거조항이 헌법에 없다고 보는 것이 과연 올바른 헌법해석론인지 의문을 제기하는 데서 이 논문은 출발한다. 이 논문은 헌법규범의 내용은 시원점에서 입법된 제헌규범과 그 후 전개된 헌정사적 발전과정을 거치면서 각 시대상황에 걸맞은 형태로 재해석된 입헌규범의 총합으로 보아야 한다는 인식에 주목하여, 헌법 제1조 제1항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는 헌법의 ‘서사적’ 이해가 필요하다고 본다. 그리하여 이 문제에 대하여 국사, 정치사상사 및 헌정사 분야에서 이루어진 그간의 연구성과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헌법 제1조 제1항은 ‘공화정체’를 건설한다는 헌법제정권자인 “우리 대한국민”의 정치사상을 규범화한 것이며, 이러한 민주공화국은 ‘자유공화국’, 즉 ‘법의 지배’가 이루어지는 국가이므로 이 조항은 법치주의의 근거조항이 됨을 지적한다.

      • KCI우수등재

        1948년 헌법 경제조항 형성의 동학과 의미

        최선(Choi, Sun) 한국정치학회 2018 한국정치학회보 Vol.52 No.4

        본 연구는 1948년 5 · 10 총선 결과 우익세력 중심으로 구성된 제헌국회 안에서 사회주의적 성격이 강한 혼합적 경제질서를 규정하는 헌법조항이 만들어진 배경과 의미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현재 한국의 경제질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1948년 헌법의 경제조항에 대한 학술적 논쟁을 정리하고, 5 · 10 총선 전후의 정치사회적 환경을 분석한 후, 제헌국회에서 진행된 경제조항 논의과정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해방 후 한국사회는 새로운 경제질서를 구축하는 상황에서 통제경제에 대한 대중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었고, 둘째, 국민들의 이념성향은 경제적으로는 사회주의나 계획경제를, 정치적으로는 민주주의와 우파 정치세력에 대한 지지가 교차되어 나타났으며, 셋째, 미군정은 헌법 제정을 위한 논의에 개입하지 않고 일정한 거리를 두는 상황에서, 넷째, 5 · 10 총선은 제헌공간을 단정에 찬성하는 우익세력 중심의 닫힌 공간으로 만들었으며,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국내외적 환경에서 진행된 제헌국회 안에서의 경제조항에 관한 논의는 통제경제적 성격이 상대적으로 완화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결국 혼합적 경제질서를 규정한 1948년 헌법의 경제조항은 해방 이후의 경제적 상황, 국민들의 이념성향, 미군정의 정책적 입장, 제헌 주도세력, 제한된 정치적 공간 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한 결과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the Constitutional Provision, which defines a mixed economic order with strong socialist character in the Constitutional Assembly composed of right-wing forces as a result of the 5 · 10 National Election in 1948. First, as a result, Korean society had a popular consensus on the controlled economy in the context of establishing a new economic order after liberation in 1945. Second, the ideological tendency of the people showed the intersection of supporting socialism in economics and the supporting democracy and the right-wing force in politics. Third, in the situation that the US Military Government did not intervene in discussions for establishing the constitution. Fourth, the 5 · 10 National Election made the constitutional space as a closed space centered on the right-wing force. Finally, discussions on the economic clause in the Constitutional Assembly proceeding in the above domestic and external environment, it proceeded in the direction of relatively relaxed characteristics of the controlled economy.

      • KCI등재

        1948년헌법 영토조항의 도입과 헌정사적 의미

        정상우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공법학연구 Vol.19 No.4

        This is a literature-based empirical study of the background to the preparation, the preparation process, and the constitutional significance of territory provisions in the 1948 Constitution. There was an attempt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f the background to the preparation of territory provision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erritory provisions, modification to the contents of territory provisions, and a systematic analysis of format, etc. that are shown in constitution-related documents made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rough the enactment of the Constitution in 1948. The territory provisions in the Constitution prepared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stipulations: the scope of effectiveness is limited to below the 38th parallel, local governments are enumerated as a unit of composing a state, and no territory provision is provided. Even though thirteen administrative districts were enumerated in Yu Jin-o's draft in the process of the establishment of a constitution, the districts were provided in the draft of a constitution prepared by the Constitution Drafting Committee – 'Korean Peninsula and its annexed islands' – as in the present constitution. It is understood that such change in words can be attributed to the acceptance of the Korean Peninsula as an ordinary term, while it is recognized as a unique territory at the same time. The succession of the legal tradition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territory provisions stated in the Constitution can be regarded as the Republic of Korea's succession of the Korean Empire and Shanghai Provisional Government territories. This allows the Republic of Korea to acknowledge its continuity with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terms of territory. 이 연구는 1948년헌법상 영토조항이 작성된 배경과 작성 과정, 그리고 헌정사적 의미가 무엇인지 다양한 문헌을 통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군정기에서 1948년헌법 제정에 이르는 시기의 헌정 관련 문서에 나타난 영토 조항의 규정 여부, 영토 조항 문구의 형식과 내용 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하여 영토 조항의 작성 배경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미군정기에 작성된 헌법문서에서 영토조항은, 효력 범위를 38도선 이하로 한정한 경우, 국가의 구성단위로서 지방자치단체를 열거하는 방식으로 규정한 경우, 영토조항이 없었던 경우 등으로 구분되었다. 제헌 과정에서는 유진오 초안에서 13도의 행정구역 명칭을 열거하는 방식을 취하기도 하였으나, 헌법기초위원회에서 작성한 헌법안 단계에서 현행헌법과 같이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작성되었다. 이러한 문언의 변화는 한반도를 고유한 판도로 인식하면서도 일상적 용어로 정착된 한반도를 수용한 것으로 이해된다. 우리 헌법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영토조항을 둔 결과 대한민국은 대한제국과 상해 임시정부의 영토를 계승한 것으로 볼 수 있고, 그렇다면 영토 면에서도 대한민국은 임시정부와 연속성을 인정할 수 있게 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