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대한 진화론의 함의

        김성한(Kim Sung-han) 대한철학회 2006 哲學硏究 Vol.98 No.-

        19세기의 사회진화론자들이 파악한 진화론은 현대 진화론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그들 중 일부는 진화를 목적론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진화 과정을 선(善)과 동일시하기도 하였다. 그들은 이처럼 자신들이 나름대로 파악한 진화의 특징을 도덕적 지침으로 삼으려 했는데, 이는 철학적으로 보았을 때 미숙한 태도였다. 나아가 사회진화론은 동물에 대한 인간의 차별은 말할 것도 없고, 인종이나 성 차별 등까지도 옹호하는 듯했는데, 이로인한 폐해는 적지 않았다. 현대의 진화론자들은 더 이상 과거의 사회진화론자들이 범한 실수를 되풀이하지 않는다. 언뜻 보기에 오늘날의 진화론은 인간 아닌 동물과 인간의 격차를 줄임으로써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향상시키는 데에도 기여하는 바가 있는 듯하다. 하지만 동물들과 관련한 새로운 진화론적 사실들 자체가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보장해 줄 수는 없다. 물론 그러한 사실들이 동물과 인간의 격차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그러한 사실들은 가치와는 구분되며, 우리가 특정한 도덕 이론을 받아들여야만 비로소 도덕 판단을 내리는 데에서 중요한 정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진화론 자체가 동물의 도덕적 지위에 시사하는 바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은 섣부른 판단이다. 만약 진화론적 사실이 도덕의 배경을 이룰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면, 그리고 진화론과 도덕의 관계가 논리적인 연역관계가 아니라 단지 전자가 후자를 지지하거나 전자가 후자의 근거를 무너뜨리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면, 우리는 진화론이 도덕에 시사하는 바가 있으며, 이러한 도덕을 통해 동물의 도덕적 지위를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heory of evolution which Social Darwinist of 19th century adopted was quite different from modern theory of evolution. Some of them considered evolution as teleological and identified evolution with the good. Philosophically their attitude were immature. But it was not the end. They also showed affirmative attitude toward every kinds of discrimination, including the one toward animals. The evolutionists of today do not repeat the error of Social Darwinist of the past. At first glance, it seems that modern theory of evolution can contribute something to improve the moral status of animals. But the new evolutionary fact concerning animals itself cannot ensure the moral status of animals. Of course it is needless to say that evolutionary facts can contribute to reduce the gap between non-human animals and man. But those facts are different from value, and they can play a role in making a moral judgment after we accept a certain moral theory. But it is too hasty to think that the evolution itself have no suggestion to the status of animals. If we can think evolutionary fact can give moral support, and if we can think the relation between evolution and morality is not logical deduction but only the former can support or undermine the latter, we might say the evolution has some implication to morality, and by that morality, we can ensure the moral status of animals.

      • KCI등재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미학 비교

        홍일희 한국미학회 2019 美學 Vol.85 No.4

        This paper is aimed at comparing Nietzsche and Dewey's naturalistic aesthetics. The concept of 'naturalism' and 'aesthetics' not only carries the critical meaning of traditional philosophy from Nietzsche and Dewey's point of view, but is also being tried in a new way to convey the message through art, not philosophy. For them, nature is an organic life world that constantly repeats change and creation, and art is universal and at the same time a form of supreme zenith that refers to actively creating human life and experience. But when we examine Nietzsche and Dewey's naturalistic aesthetics closely, we come to a tipping point, so Nietzsche and Dewey have different aesthetic content. Therefore, in this paper, we will first examine the common ground of Nietzsche and Dewey's aesthetics through concepts of art and nature, and further argue their ideological differences through a comparison of biological personality that is based on the will to power and natural and human interaction that is forms an experience. Through these discussion, we can estimate possibility for a point of contact of thought between Nietzsche and Dewey. 이 글은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미학을 비교고찰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자연주의’와 ‘미학’이라는 개념은 니체와 듀이의 관점에서 보면 전통철학에 대한 비판적 의미를 담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철학이 아닌 예술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는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다. 그들에게서 자연이란 변화와 생성을 끊임없이 반복하는 유기적 생명세계이며, 예술이란 인간의 삶과 경험을 적극적으로 창조해 나가는 것을 가리키는 보편적이면서 동시에 최정점의 형식이다. 그러나 니체와 듀이의 자연주의 미학을 면밀히 고찰해 나가다 보면 분기점에 다다르게 되고, 결국 두 사람의 서로 다른 미학적 내용을 발견하게 된다. 이 글은 니체와 듀이의 미학이 갖는 공통된 지반을 예술과 자연 개념을 통해 먼저 확인하고, 나아가 힘에의 의지에 입각한 생리학적 개체성과 경험을 형성하는 자연 및 인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비교를 통해 니체와 듀이의 사상적 차이를 논구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니체와 듀이의 사상적 접점의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개혁신학의 관점으로 평가한 진화 창조론: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을 중심으로

        우병훈 ( Byunghoon Woo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60 No.-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에 제시된 진화 창조론은 과학의 연구 결과를 “일반계시”와 혼동하는 오류를 보여주고, 다윈주의 진화론과 자연주의의 틀에 너무 매여 있기 때문에 반기독교적 세계관을 내포하고 있으며, 주요 교리에 있어서 전통적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심각한 불협화음을 일으키기에 개혁신학이 받아들일 수 없다. 첫째, 우종학은 성경이 특별계시라고 한다면, 자연과학의 발견들은 일반계시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심각한 개념적 오류이다. 그의 진화 창조론은 이런 근본적인 혼동에서부터 출발함으로써 점차로 잘못된 논변으로 나아가고 있다. 그는 과학자를 마치 일반계시의 설명자로 보고 있는데, 이것은 전통적 개혁신학의 가르침과 전혀 다른 주장이다. 일반계시에 대한 가장 적절한 설명은 특별계시인 성경이기 때문이다. 둘째, 우종학의 진화 창조론은 다윈주의 진화론과 자연주의의 틀에 너무 매여 있는 경향성이 있다. 그가 비록 신(新)무신론을 비판하긴 하지만, 창조과학을 비판하는 지점에 가서는 거의 신(新)무신론과 다를 바 없는 입장을 전개한다. 이것은 논리적 모순일 뿐 아니라, 자연주의적이며 반기독교적인 세계관에 빠질 위험이 있다. 셋째, 우종학의 진화 창조론은 기독교의 주요 교리와 조화되기 힘들다. 그의 진화 창조론은 전통적 개혁신학의 아담과 언약에 대한 가르침을 왜곡시키며, 그로 인하여 원죄론은 설 자리가 없게 되고, 구원론 역시 타격을 받게 된다. 또한, 신론에 있어서는 이신론과 범신론을 왔다갔다 하며,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가르침 역시 침해당한다. 이상과 같은 이유로, 전통적 개혁신학은 우종학, 『과학시대의 도전과 기독교의 응답』에 제시된 진화 창조론을 받아들일 수 없다.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presented in Jong-Hak Woo’s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Age and Christian Responses is unacceptable in Reformed theology because his theory shows the errors of confusing the results of science with “general revelation,” includes an anti-Christian worldview that is too attached to the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and naturalism, and discords seriously with major doctrines of the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First, Jong-Hak Woo claims that the discoveries of natural science are general revelation, if the Bible is special revelation. This is a serious conceptual error. His evolutionary creationism, starting from this fundamental confusion, gradually moves on to the wrong argument. He regards a scientist as a describer of general revelation, which is an entirely different argument from the teachings of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The most appropriate explanation for general revelation is found in the Bible which is special revelation. Second,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of Jong-Hak Woo has a tendency to be affiliated too much with the Darwinian theory of evolution and naturalism. Though he criticizes New Atheism, he formulates arguments that are very similar to New Atheism when he criticizes Creation Science. This not only is a logical contradiction but has the risk of falling into a naturalistic and anti-Christian worldview. Third, it is difficult for Jong-Hak Woo’s evolutionary creationism to harmonize with the major doctrines of Christianity. His evolutionary creationism distorts traditional Reformed doctrines of Adam and covenant, and in so doing loses a proper place for the doctrine of original sin and strikes a blow to soteriology. Additionally, in the doctrine of God, it goes back and forth between deism and pantheism and also damages the doctrine that the human being is the image of God. For these reasons, traditional Reformed theology should not accept the evolutionary creationism formulated in Jong-Hak Woo’s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Age and Christian Responses.

      • KCI등재
      • KCI등재

        길버트 화이트에 관한 일반적 가설 고찰 - 『셀본의 자연사와 유물들』 분석을 바탕으로 -

        박정희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7

        Gilbert White, an Anglican priest (curate) in the rural area of south England, observed the nature of the Selborne region throughout his life, and in 1789 published a book titled The Natural History and Antiquities of Selborne. This book has been consistently loved in the United Kingdom and introduced overseas. His work influenced British Romantic literature and is credited with paving the way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y. Nevertheless, little is known about White himself, and no clear reason is given as to why his work is so beloved for so long. White is called a parson-naturalist, but this naming can lead to a distorted understanding of him. A similar distorted understanding appears in relation not only to his position as a priest, but also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Recently, the book has been translat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By analyzing Gilbert White's The Natural History and Antiquities of Selborne in depth, published in 1891 by John Lubbock as one of ‘the 100 best books’, the paper is aimed at suggesting how we should read this book and understand its author today.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s. White was called a parson-naturalist but he was a scientist who thoroughly and diligently explored the nature and antiquities of the region; a priest who cherished providence and miracles of nature, but was wary of superstitions wrapped in religion; a good-natured neighbor who tried to improve the situation of those in need, and a romantic poet who did not alienate objects he encountered in nature. 영국 남부 시골의 성공회 사제 길버트 화이트는 평생을 통해 셀본 지역의 자연을 관찰하고 1789년에 『셀본의 자연사와 유물들』이라는 한 권의 책을 출간한다. 이 책은 지금까지 300판본 정도가 출판될 정도로 영국에서 꾸준히 사랑받고 해외에도 소개되고 있다. 그의 작품은 영국 낭만주의 문학에 영향을 미쳤고, 생태학의 길을 열어준 것으로 평가된다. 그럼에도 화이트 자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고 그의 유일한 작품이 왜 그렇게 오래도록 사랑받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유가 제시된 바 없다. 화이트가 성공회 사제라는 이유로 사역적 자연주의자라고 불리는데, 이러한 명명은 오히려 그에 대한 왜곡된 이해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왜곡된 이해는 그의 사제로서의 위치뿐 아니라 시대 상황과도 연관되어 나타난다. 최근 국내에서도 최초 번역물이 발간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1853년 윌리엄 자딘 경 판본을 저본으로 존 러벅이 100권의 책 안에 포함하여 1891년에 출판했던 길버트 화이트의 『The Natural History and Antiquities of Selborne』을 심층 분석하면서, 오늘날 우리는 어떻게 이 작품과 작가를 읽어야 하는지를 제언해보고자 한다. 이 논문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화이트는 사역적 자연주의라고 불리지만 지역의 자연과 유물들을 철저하고 부지런히 탐구한 과학자였으며, 섭리와 자연의 기적을 소중히 여겼으나 종교로 포장된 미신을 경계하는 사제였으며, 귀족적이기보다는 어려움에 처한 사람들의 상황을 개선하려 노력했던 선한 이웃이었으며, 자연에서 마주치는 대상을 소외시키지 않는 낭만주의 시인이었다는 점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