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회상담에서“내적작동모델”의 위치

        현상규 ( Sangkyu Hyun ) 한국목회상담학회 2015 목회와 상담 Vol.24 No.-

        Internal working model is a core conceptual element of attachment theory which has drawn the attention from clinicians as well as researchers. However, the internal working model is not a well-articulated concept in ways that the counselor can make it at his or her disposal for the purpose of various interventions. Attachment theorists have provided several different definitions of the internal working model. This may undermine further one’s efforts in utilizing the concept of internal working model in the arena of counseling. The pastoral counselor is called to serve those who are in pain or anguish for whatever reasons. Under the circumstance that attachmentbased therapy is being widely practiced, she or he faces unique challenges of integrating secular psychology in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However, the integration process is not an easy task. There are many things to take into consideration for the effective integration. However despite the potential pitfalls in the process of integration, it is worth doing it because such an effor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astoral counseling. This paper is an example of how integration of secular psychology with the field of pastoral counseling takes place. It takes the concept of the internal working model as an integration experiment. For an effective work, it makes an overall review of the internal working model so that one can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it. The paper addresses how traumatic experiences undermine one’s sense of worth and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his or her internal working model. In particular, one’s maladaptive working models tend to make negative influences throughout life. Considering all the factors related to internal working model, the pastoral counselor is in a unique position of translating various aspects of the internal working model. This paper examine an example of the good translation for the task of integrating psychology and theology. The ultimate goal of the integration between two different disciples is to help people recover from their anguish and move toward God, who is our ultimate comforter.

      • KCI등재

        BMC를 활용한 공유경제 기반의 스마트워크센터 모델 연구

        이유미(Yu Mi Lee),임명환(Myung Hwan Rim)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 2013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 Vol.20 No.4

        The advance of the smart working environment came the expectation that it would innovate and revolutionize the way people work, particularly in a society where smart work is readily available for creating a collaborative and ‘connected’ business. One of the core infrastructure elements for making smart work a viable option is the smart work center, the promotion of which requires a new form of "smart work center business model" that can satisfy the purposes of both public services and private businesses. This calls for collaboration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Recently a number of businesses have been making significant headway in the creation of a new environment for business support and collaboration by adopting a sharing economy business model in their offices. The so-called "Coworking Space" is an advanced form of business environment in the emerging "smart work" era, and comes with the benefits of reduced costs as a result of sharing office space and knowledge sharing through the use of human networks. This paper describes the framework of a ‘smart work center business model based on the sharing economy’ using a BMC (Business Model Canvas),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inherent to the smart work center and the sharing economy. It was on the basis of this framework that a smart work center model for business incubation and startup, a private smart work center model for childcare services, and a community marketplace model with a global network were developed.

      • KCI등재

        하이브리드형 근무제도가 조직 구성원의 적응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도내재화의 매개효과와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조절효과

        홍엄기,김주일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2023 인적자원개발연구 Vol.26 No.2

        The advance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long with the COVID-19 pandemic, ha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work patterns. Although companies have mostly resumed office work as the pandemic subsided, organizational members have shown a preference for continued telecommuting and remote work. In this context, a hybrid work model, which combines office work and remote work,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Despite the growing interest in the hybrid work model in corporate fields, research on this topic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brid work model and determine how these characteristics influence members' adaptive performance.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of an organization can be linked to performance through members' perceptions and acceptance of th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stitutional internalization between the hybrid work model and members' adaptive performance. Additio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LMX)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ybrid work model and institutional internalization is examined. To validate these relationship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4 members of multinational companies, and the data were collec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ybrid work model had a positive impact on members' adaptive performance. Furthermore, the hybrid work model was found to enhance adaptive performance through institutional internalization,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Finally, it was observed that the influence of the hybrid work model on institutional internalization varied depending on the quality of the LMX. Specifically, the impact of the hybrid work model on institutional internalization was greater in groups with lower levels of LMX than in those with higher level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hybrid work model were discussed.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코로나 대유행은 일하는 방식의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다. 코로나 유행이 진정되면서 기업들은 대부분 다시 사무실 출근을 재개하였으나, 조직 구성원들은 재택근무와 원격근무의 지속을 선호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근무방식이 사무실 근무와 원격근무를 혼합한 하이브리드형 근무제도이다. 기업현장에서 하이브리드형 근무제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단계에 있다. 본 연구는 하이브리드형 근무제도의 특성을 확인하고, 이러한 특성이 구성원의 적응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기업의 인적자원관리제도는 구성원의 인식과 수용 정도인 제도 내재화를 거쳐 성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형 근무제도와 구성원의 적응성과 사이에 제도내재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하이브리드형 근무제도와 제도내재화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외국계 기업의 조직 구성원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하이브리드형 근무제도는 구성원의 적응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이브리드형 근무제도는 제도내재화를 통하여 적응성과를 높이는 것으로 조사되어, 제도내재화의 매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하이브리드형 근무제도는 리더-구성원 교환관계 질(quality)에 따라 그 영향효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리더-구성원 교환관계의 수준이 높은 집단보다 낮은 집단에서 하이브리드형 근무제도가 제도내재화에 주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이브리드형 근무제도와 관련하여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유럽의 스마트 워크와 국제무역에 관한 연구

        김연준(Yeon Joon Kim) 한국유럽학회 2017 유럽연구 Vol.35 No.3

        세계는 업무의 효율성 증진을 위해 스마트 워크 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유럽 국가들은 선진 기술력을 바탕으로 스마트 워크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전 세계의 귀감이 되고 있다. IT 기술력의 발달과 노동의 효율성 추구로 스마트 워크는 현대사회에서 그 수요가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한편 팩터 콘텐츠 모델의 대표적 연구라고 할 수 있는 Davis and Weinstein(2001)의 연구에서는 스마트 워크를 고려하지 않고 무역에 있어서 팩터 콘텐츠 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스마트 워크를 고려하여 무역에 있어서 팩터 콘텐츠 모델을 도출하고 이를 유럽 데이터를 가지고 실증 분석을 한다. 또한 그래비티 모델의 아이디어를 본 연구에서 도출된 모델에 추가하여 스마트 워크를 고려한 무역에 있어서 팩터 콘텐츠 모델을 도출하고 유럽데이터를 가지고 실증 분석을 한다. 분석 결과, 스마트 워크를 고려한 무역에 있어서 팩터 콘텐츠 모형이 기존 연구 보다 Sign test, Slope test, Variance ratio test에서 더 좋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특히 그래비티 모형을 가정하여 유럽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 전통적인 모형보다 세 가지 테스트에서 더 좋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이를 통해 스마트 워크에 대한 수요 증가 속에 스마트 워크 시스템의 구축은 무역 비용 감소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는 무역에 있어서 팩터 콘텐츠 모형과 그래비티 모형의 발전에 기여하게 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T technology and efficiency of work, people over the world pay more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smart work. To set up the smart work system successfully, development of IT technology is required and people all around the world need to pay note of efficiency of the smart work. Smart work system gets settled in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european countries. It signifies that those developed countries have set advanced IT facilities.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factor content of trade model with consideration of the smart work. And, this paper also suggests the gravity model in considering the smart work system. This paper uses data from the european countries in conducting empirical tests with constructed models. Up to recently, many trade economists investigate the factor content of trade model by twisting and turning the original model. Research of Davis and Weinstein(2001) carried out the study of the factor content of trade model by modifying the classical assumptions. This research adopts the idea of the smart work in the factor content of trade model and the gravity model. This is a new assumption that not any trade economists made an attempt so far. These are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Results of the tests show that the modified factor content of trade model with the smart work generates better results than the model without considering the smart work with the sign test, the slope test, and the variance ratio test.

      • KCI등재

        항공 산업과 스마트 워크 시스템의 연관관계에 관한 연구 -Gravity Model과 Factor Content of Trade Model을 중심으로 실증분석-

        김연준 ( Yeon-joon Kim ) 한국항공경영학회 2016 한국항공경영학회지 Vol.14 No.5

        최근 IT 기술의 발달로 스마트 워크 시스템은 국내·외 전 산업분야에 점점 확대되어 적용되고 있다. 특히 기존의 시스템과는 달리, 시간 및 공간적으로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으로 항공 산업에서도 스마트워크 시스템은 다양한 분야로 발전되어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 산업에 진출하여 발전해온 스마트 워크 시스템에 대해 연구한다. 항공 산업 분야에 진출한 스마트 워크 시스템은 스마트 엔트리시스템(smart entry system), 스마트 에어 크래프트(smart aircraft), 스마트 항공 정보(smart aviation information), 스마트 보안(smart security) 등 다양한 분야에 확대 적용되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항공 산업에서 스마트 워크를 고려한 중력 모델을 도입하여 무역에서의 팩터 콘텐트 모델을 분석한다. 특히 무역에 있어서 팩터 콘텐트 모델을 항공 산업에서 스마트 워크 시스템 구축을 고려한 무역에 있어서 팩터 콘텐트모델로 재구성하고 재구성된 모델을 실증분석 한다. 그리고 항공 산업에서 스마트 워크 시스템의 구축이 기존의 팩터 콘텐트 모델을 보다 더 잘 설명하는지를 실증분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력 모델을 가정하여 항공 산업에 적용되는 스마트 워크 시스템과 관련한 ICT 투자 변수와 인터넷 엑세스 변수를 무역에 있어서 팩터 콘텐트 모델에 추가하여 모델을 구성하고 이 모델에 대한 실증분석을 한 결과, 기존 연구보다 싸인 테스트(sign test), 슬롭 테스트(slope test), 베리언즈 레이시오 테스트(variance ratio test)에서 더 좋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T, the smart work system has been spread and applied to almost all industries in the world. Unlike previous system, the smart work system has been developed in various fields and it saves time and space for work and it also enhances efficiency of work. In these situations, we intensively investigate the smart work system in the field of aviation. To put it concretely, this paper analyzes in deep concentration on the smart work system with smart entry system, smart aircraft(NASA project), smart check in service, smart aviation information, and smart security to investigate application of the smart work system toward the aviation`s industry. This paper conducts empirical tests and investigates how smart work system of aviation industry affects the gravity model with the factor content of trade by modification of previous models. We find better results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es such as Davis and Weinstein(2001)`s research with the sign test, the slope test, and the variance ratio test. This shows that the smart work system in the aviation`s industry plays an important role in explaining the factor content of trade model with consideration of the gravity model.

      • KCI등재

        맞벌이 부부의 일가족 경험과 정신건강: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조규영 ( Kyuyoung Cho ),김신경 ( Sinkyung Kim ),전효정 ( Jeon Hyo Jeong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8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3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the relationships among dual-earner couple’s work-family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using APIM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Method: Using the 7~8th (2015) wave of PSKC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study included 606 couples raising children who are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sults: The result 1 shows relationships between work-parenting gains and depression/life-satisfaction (Model 1 & Model 2). In Model 1, wives' level of work-parenting gains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of their own nor of their spouse. However, husbands' level of work-parenting gains was associated with their spouses' as well as depression of their own. In Model 2, wives' level of work-parenting gains was associated with life-satisfaction of their own but it was not associated with life-satisfaction of their spouse. However, husbands' level of work-parenting gains was associated with their spouses' as well as life-satisfaction of their own. The result 2 shows relationships between work-parenting strains and depression/life-satisfaction (Model 3 & Model 4). In Model 3, wives' level of work-parenting strains was associated with their spouses' as well as depression of their own. In addition, husbands' level of work-parenting strains was associated with their spouses' as well as depression of their own. In Model 4, wives' level of work-parenting strains was associated with life-satisfaction of their own but it was not associated with life-satisfaction of their spouse. However, husbands' level of work-parenting strains was associated with their spouses' as well as life-satisfaction of their own. Conclusions: These findings extend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experiences and mental health using dyadic data.

      • 사회복지상담의 관점과 실천의 가치 - SPECT모델을 중심으로 -

        정원철(Jeong, Weon-Cheol) 한국사회복지상담학회 2019 사회복지상담연구 Vol.3 No.1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상담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SPECT모델을 제시하면서 사회복지상담의 본질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SPECT모델은 사회복지상담이 견지해야 하는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주관성 (Subjectivity), 촉진관계성(Precipitate), 절충성(Eclectic), 맥락성(Context), 가변성(Treatable)으로 구체화된다. 이를 요약하면 주관성이란 모든 개인은 고유하며 독특하다고 이해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인간존중, 개별화, 공감, 의도적 감정표현, 수용, 진실성의 사회복지실천의 가치가 포함된다. 촉진관 계성은 내담자의 문제해결을 위해 유익한 괸계경험을 제공해야 함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탄력성, 동기유발, 의도적 관계, 변화가능성, 잠재력의 가치를 포함한다. 절충성은 개입의 효과성이 검증된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이론과 모델의 절충을 의미하며, 여기에는 증거기반, 효과성과 효율성, 과학적 토대, 전문성 강화의 가치가 포함된다. 맥락성은 클라이언트의 문제가 체계나 상황 등의 맥락에서 발생함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환경 속의 개인, 자원동원, 체계적 실천, 이중접근 등의 가치가 포함된다. 끝으로 가변성은 모든 클라이언트는 변화할수 있고 변화를 선택할 수 있음을 강조하며, 여기에는 강점관점, 능력의 신뢰, 자기결정, 책임성, 인간존중의 가치가 포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identity of social work counseling and to understand clearly the nature of social work counseling by reviewing SPECT model. The author of this study proposed the SPECT model created by the author can present the perspective of social work counseling. The SPECT model consists of five component such as ‘Subjectivity’, ‘Promotion’, ‘Eclecticism’, ‘Context’, ‘Treatable’. ‘Subjectivity’ stresses that every individual must be understood as unique one, ‘Subjectivity’ includes the values of social work practice of respect, individualization, empathy, intentional expression, acceptance and genuine. ‘Promotive relationship’ stresses the client need to have beneficial experience to solve their problems, Promotive relationships include the value of social work practice such as resilience, incentives, intentional relationships, likelihood of change, and potential. ‘Eclecticism’ emphasizes that the theories of social work counseling should be selected based on effectiveness proved, This includes the value of evidence-based,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scientific foundations and professional strength. ‘Contexture’ emphasizes that problems of client occur in the systemic base, contexture includes the value such as person in environment , resource mobilization, systemic approaches, multidimensional approaches. treatable includes the value of social work practice such as strengths perspective, trust in capabilities, self-determination, accountability, and human respect. Finally, ‘Treatable’ emphasize that every clients can choose the potential for change at any situation, Treatable includes value of social work practice such as strengths perspective, trust in capabilities, self-determination, accountability, and human respect.

      • KCI등재

        건축물 축소 모형의 저작권 보호 판단 기준

        이대희 한국비교사법학회 2017 비교사법 Vol.24 No.3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 actual model of buildings can be protected by copyright, and, when protected, whether it is protected as architectural, graphic, sculptural and applied art works. Recently, whereas the district court held that the actual model cannot by protected by copyright, the appellate court reversed, holding that it can be protected. Whether the design of useful articles is protected by copyright is related to the principle of functionality and separability.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rotectability of the actual model based on discussion in the United States about pictorial, graphic, and sculptural works, paintings, graphics, and sculptural works, functional works, architectural works, and separability doctrine. This paper deals with physical and conceptual separability as standards the for protection of pictorial, graphic, and sculptural works. Recently, the US Supreme Court held physical-conceptual distinction is unnecessary. While the actual model may be architectural works or pictorial, graphic, and sculptural works, this paper concludes it may be protected as a sculptural work. US Copyright Office also explains that a model of an architectural work generally is protectable if it includes a substantial amount of original authorship and if it contains some original differences from the object depicted. While the model of buildings may be protected just the same as sculptural works if it contains originality, this paper suggests that idea and expression dichotomy, merger doctrine, or scènes à faire doctrine be applied when determining originality. 광화문이나 에펠탑을 축소한 모형과 같이 실제의 건축물을 축소한 모형이 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받을 수 있는가, 보호받는다면 어떠한 저작물로 보호받는가 여부가 문제된다. 이 글은 실제의 건축물의 저작권 보호와 관련하여 그 보호에 대한 입장을 달리한 최근의 하급심 및 항소심 판결을 중심으로, 실제 건축물 축소 모형이 건축, 도형, 응용미술저작물로 보호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건축 및 도형저작물에 의한 보호는 기능성원리나 분리가능성 등을 논의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글은 회화·그래픽·조각저작물, 기능적 저작물, 분리가능성, 건축저작물의 보호에 대하여 미국에서의 논의를 기초로 한국 저작권법에 따라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하였다. 실제 건축물을 축소한 모형의 저작권에 의한 보호가능성을 논의함에 있어서 이러한 모형이 기능적 저작물인가, 이러한 모형이 실용품이라고 할 수 있는가, 실용품으로서 실용적인 기능을 행사하는 것이 본질적인 것인가, 이러한 모형이 미술저작물이나 도형저작물의 요소로서 물품에 화체·구현되어 있는가, 이러한 모형이 일반 조각저작물과 차이가 있는 것인가 여부가 문제된다. 이 글은 실제 건축물을 축소한 모형은 실용적인 기능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므로 그 자체가 실용품이 아니고, 어떠한 물품에 화체·구현되어 있거나 어떠한 물품과 함께 사용되는 것도 아니며, ‘시각적으로 보면서 감상하고 대상을 배우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조각저작물과 아무런 차이가 없는 것으로서, 일반 저작물 내지 조각저작물과 동일하게 취급하면 타당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공유영역에 있는 건축물을 원저작물로 하여 창작성을 가미하여 모형이라는 2차적저작물을 창작한 경우, 건축물 축소 모형의 제작자는 자신이 창작성을 가미한 부분에 대하여 원저작물과는 분리하여 독립된 저작물을 가지게 된다. 다만 창작성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다시 아이디어와 표현의 분리원칙, 합체의 원칙, 필수장면의 원칙 등을 적용하여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 KCI등재

        워크플로우 기반 소셜 네트워크의 확률적 업무전달 관계 모델

        안현 ( Hyun Ahn ),김광훈 ( Kwanghoon Kim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15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16 No.5

        확률적 워크플로우 모델링 방법은 워크플로우 인텔리전스를 지원하기 위한 수학적 방법으로서 워크플로우 모델의 분석 및 시뮬레이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동안에 다양한 확률적 모델링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본 논문에서는 자원관점의 모델링 방법으로서 워크플로우 기반 소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수행자간의 업무전달 관계를 확률적으로 나타내는 모델을 제안한다. 업무전달 관계의 확률은 단위업무 사이의 제어흐름에서 발생하는 업무전이 확률과 업무와 수행자간의 할당 확률에 의해 결정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정보제어넷을 기반으로 확률적 워크플로우 모델과 확률적 업무전달 관계 모델을 정형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추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결과적으로 제안 모델은 조직 및 자원관점의 워크플로우 시뮬레이션 및 사후 모델-로그 비교분석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 stochastic modeling approach as a mathematical method for workflow intelligence is widely used for analyzing and simulating workflow models in the literature. In particular, as a resource-centric modeling approach, this paper proposes a stochastic model to represent work-handover relationships between performers in a workflow-supported social network. Calculating probabilities for the work-handover relationships are determined by two types of probabilities. One is the work-transition probability between activities, and the other is the task assignment probability between activities and performers. In this paper, we describe formal definitions of stochastic workflow models and stochastic work-handover relationship models, as well. Then, we propose an algorithm for extracting a stochastic work-handover relationship model from a stochastic workflow model. As a consequence, the proposed model ought to be useful in performing resource-centric workflow simulations and model-log comparison analyses.

      • 직무요구가 일과 가정의 갈등 및 일과 가정의 증진에 미치는 영향 : 경계관리와 조직지원 제도의 조절효과

        김수정,이상민 한국인사관리학회 2013 한국인사관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1

        Recently, the issues on work-family interface have brought extensive interest and have been subject to increasing investigation. The point is that work and family demension interact each other. Futhermore, this study raises the research question how the influences of job demands could be modeled in the context of work and family as work and family are becoming more and more closer. In such way, traditional 'job demand-control-support (DCS) model'was applied to this study in oder to extend this model into work and family context. However, When this model is expanded to work and family context, the moderating effects of high control and support would show a negative buffering effect, since these factors would make employees to focus more on job.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indicate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work-family conflict, while it was hard to find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job demands and work-family enrichment. Secondly, when employees perceive higher level of organization's institutional support, higher degree of boundary management increases work-family conflict while decreasing work-family enrichment as job demands increase. In other words, the moderating effects of high control and support would not be always positive to outcome as traditional DCS model, but rather show a negative buffering effect.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discuss limitations and directions of further research. 일과 가정의 양립에 대한 이슈가 연구 분야에서 막대한 관심을 받고 있다. 그 배경으로 일과 가정의 영역이 상호작용을 하며 서로 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 주목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일과 가정의 밀착성이 높아짐에 따라 직무요구로부터 파급되는 효과를 일과 가정의 맥락으로 확장하여 볼 필요가 있다는 문제제기와 함께, 직무요구-통제-지원 모형(Job demand-Control-Support Model)을 일과 가정의 맥락으로 확장하였다. 그러나 일과 가정의 맥락으로 확장할 경우, 직무영역 내에서만 바라보던 변수들간 관계와는 다르게 높은 통제요인과 높은 지원요인은 오히려 업무에 집중하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상승작용적인 조절역할을 수행하지 않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직무요구 변수는 일과 가정의 갈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일과 가정의 증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지원 제도가 높을 때, 개인의 경계관리 수준이 높으면, 직무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일과 가정의 갈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일과 가정의 증진은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실증 결과는 조절 변수가 직무요구와 상호작용을 하였을 때는 상승작용적으로 일과 가정의 갈등을 감소시키고 일과 가정의 증진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일과 가정의 갈등을 증가시키고, 일과 가정의 증진을 감소시키는 부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즉, 경계관리와 조직지원 제도의 긍정적인 효과가 직무요구가 높아지면서는 부정적인 상호작용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