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징 단계와 상징 이하 단계의 이미지에 대한 고찰

        장선희 ( Jang Sun H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3

        우리의 시각디자인 활동은 상징 이하의 처리와 상징적 처리 간의 상호작용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의 상호작용이 우리의 디자인 활동에 커다란 영향을 끼침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디자인 분야에서의 실증적인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나의 이미지가 상징이하의 처리(sub-symbolic processing) 와 상징적 처리(symbolic processing)로 이어지는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이미지를 대하는 디자이너의 지각활동에 대한 시각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추상 이미지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디자인 전공학생들이 이 이미지들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설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92명의 산업 디자인 전공 학생들에게 8 개의 명사쌍에 대해 7 단계로 변형된 56 개의 이미지를 무작위 순서로 제시했다. 그리고 제시되는 이미지가 무엇을 나타내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8개의 예시 중 해당되는 예시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설문에 사용된 총 24개의 명사쌍 중 14개 명사쌍에서 상징이하 처리 영역으로부터 상징적 처리 영역까지 이르는 이미지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우리는 상징과 언어 중심의 세계에서 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하나의 대상을 나타내는 이미지가 상징적 처리 영역에서 상징 이하 처리 영역으로 단계적으로 구분되어 변화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그 두 영역을 연결하는 중간단계의 이미지 또한 매우 미묘하지만 분명히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간단계의 이미지들은 상징 이하 처리 영역의 미시적인 의미작용과 상징적 처리 영역의 거시적인 의미작용 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이미지로서 자유로운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Our visual communication design activities are the interactions between sub-symbolic processing and symbolic processing.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ir interactions have greatly influenced our design activities,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in the design sector.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promote visual understanding of designers perception of the image by looking at changes that lead to shifting from sub-symbolic phase to a symbolic phase. For this purpose, we studied the abstract images through the questionnaire to understand how design students perceive these images. We presented 92 industrial design students with 56 images transformed into seven levels for eight pairs of nouns in random order. Participants were asked to select the appropriate example from the eight examples of what they thought the presented image represented. As a result, images from the sub-symbolic phase to the symbolic phase were found in 14 pairs of 24 noun pairs used in the questionnaire. Through the questionnaire, first of all, we were able to see that we live in a symbolic and language-centered world. And we could experience the images of a single object changing step by step from the symbolic area to the sub-symbolic area. Besides, the images of the intermediate stage connecting the sub-symbolic area and the symbolic area are also very subtle, but it could be seen clearly. These intermediate images are expected to play a role in stimulating the free imagination as an image that enable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icroscopic semantics of the sub-symbolic processing and the macroscopic semantics of the symbolic processing.

      • KCI등재

        도시이미지에 따른 상징조형물 필요성에 관한 조사 연구 -광주광역시 상징조형물 사례를 중심으로-

        김제중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1 조형미디어학 Vol.14 No.4

        Recently, a lot of cities in the world are worried the city image and city identity. The cities in korea, are very interested in making a symbolic sculpture. Generally speaking, symbolic sculpture should reflect an image of the city. For the established the symbolic sculpture preliminary research is needed. This study discuss necessity of symbolic sculpture according to city image. And also research the concept of the city image and examines the role of symbolic sculpture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ity image of Gwangju are investigated. And sculpture of Gwangju surveyed to the public and professionals. As a result, physical features and landmarks in the surface of the sculpture is not enough role and it is the lack of coexistence less accessibility or functionality with the local people. In this study, we are able to confirm the direction of symbolic sculpture production. symbolic sculpture should satisfy the aesthetic sense, carry out role of landmark, provide a unique experience. Thus, symbolic sculpture of Gwangju will need to express the city identity and city image by regional differences in culture, Beyond space and time, symbolic sculpture according to city image will need to have commonality. 세계의 도시들은 도시의 정체성과 함께 도시이미지를 고민하게 되었고 도시를 상징하는 조형물을 만드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상징조형물 건립을 위해서는 도시 이미지를 반영하고 또 도시정체성 확립에 기여하는 상징조형물에 대한 구체적인 사전조사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이미지에 따른 상징조형물에 대한 조사연구로서 도시이미지의 개념과 도시이미지에 따른 상징조형물의 역할을 고찰하고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해당 도시의 현황 및 형성된 도시이미지와 이미 설치되어 있는 상징조형물들에 대한 조사 분석하고, 또 광주광역시 상징조형물의 필요성에 대하여 일반시민과 상징조형물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현존하는 광주광역시의 상징조형물은 지표물적 기능, 즉 랜드마크적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으며, 접근성이나 기능성 등의 결여로 지역민과 함께하는 공존하는 부분에서 다소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고 상징조형물이 관찰자에게 미적 감성만을 충족시켜주던 단순 기능에서 미적충족과 더불어 독특한 체험제공 및 지역의 랜드마크적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기능을 제공하는 현재의 경향을 고려할 때 추후 제작될 상징조형물의 방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광주광역시의 상징조형물은 지역과 문명의 차이에 의한 정체성 즉 광주만이 가지고 있는 정체성을 표현해야 할 것이며, 더불어 장소와 시간을 뛰어넘는 인류의 유전적 코드의 동질성에 기인된 보편타당한 공통성을 가지고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선교적 접근을 위한 이미지 상징의 활용 방안 모색

        최유석 ( Choi You Seok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7 복음과 선교 Vol.37 No.-

        본 연구는 선교현장에서 복음전도를 목적으로 한 의사소통에 있어 이미지 상징의 활용 방안을 연구함에 목적이 있다. 상징은 매우 광범위한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다. 문학에서 시작하여 예술의 영역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상징은 사용된다. 본 연구는 상징의 광범위한 영역을 이미지 상징의 활용이라는 측면으로 제한하여 연구한다. 선교현장에서 복음전도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상징을 활용함에 있어 우선 상징의 광범위한 적용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상징의 제한된 의미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징의 제한된 의미는 해석의 다양성을 제한하여 이미지를 활용함에 있어 그 오용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징의 제의와(limited meaning) 함께 이를 해석하는 차원에서 이미지 상징 그 자체는 확장된 의미를(extended meaning) 갖는다. 이미지 상징이 그 자체로는 이교적 의미나 부정적 의미를 포함하나 복음에 의한 이미지 상징의 재해석은 지역적 의미의 신적 재해석(divine re-interpretation)을 통하여 이미지 상징이 가지는 의미가 확장된다. 따라서 선교현장에서 이미지 상징을 활용함에 있어 우선 그 제의(limited meaning)와 확의(extended meaning)는 균형을 이루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이미지 상징은 이교적 혼용(mingle with paganism) 또는 도용(stole by paganism)을 억제하고 복음적 의사소통의 목적을 이루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미지 상징을 선교현장에서 복음전도를 위한 의사소통에 활용함에는 극복해야 할 과제가 있다. 첫째는 성상논쟁(iconoclastic controversy)이다. 성상논쟁은 선교적 수단으로 이미지 활용의 목적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숭배의 대상으로 활용되면서 일어나게 되었다. 성경이 예배와 개인의 경건생활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21세기 시대적 상황을 고려할 때 이미지 상징은 우상숭배가 아닌 성경을 기억하고 성경을 묵상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에 재평가 되어야한다. 둘째는 이미지 상징이 매스미디어시대에서 멀티미디어시대로 발전하였고, 더 나아가 유비쿼터스미디어시대로 발전함에 따라 이미지 상징의 활용 필요성이 제기되었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미지 상징에 대한 숭배의 차원이 아닌 언어(linguistic sign)와 음성(verbal sound)을 동반한 심연(abyss)의 함의를 통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할 필요가 대두된 것이다. 따라서 복음전도의 차원에서 이미지 상징의 활용은 재평가되어야 한다. 오늘날 이미지 상징의 적극적 활용을 위해 재평가를 넘어 고려 되어야할 사항이 있다. 첫째는 이미지 상징의 해석 차원에서의 알레고리적 해석을 제한함과 동시에 둘째는 상징과 본질을 연결하는 비유가 그 의도와 함께 전달되어야 한다. 알레고리적 해석이 시자(viewer)의 위치에서 일어난다면 비유는 화자(speaker)의 위치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화자의 비유를 통한 이미지 상징의 전달에 있어 그 함의가 함께 전달되어야 하며, 시자는 그 해석에 있어 알레고리적 해석을 경계해야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지 상징은 개별적 측면이 아닌 복음전도 의사소통의 현장에서만 활용될 필요가 있다. 이미지 상징의 장소 제한을 고려한 기독교 선교적 접근에 있어 그 상징의 창의적 구축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문화 차이의 이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상징의 창의적 구축 이후 초문화적 상징의 구축을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이와같은 전제 하에 우리는 복음전도를 위한 창의적 접근을 위하여 현대 의사소통과학의 수단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효과적인 복음전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이미지 상징의 선재적 활용을 통해 더 극대화된 선교의 접근이 세계 각지에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research focused on how to utilize symbolic images in evangelism on the missionary field. Symbols can be used in many quite broad ways in various cultural and artistic ways. This paper seeks to focus and restrict the broad use of such symbolic images. Use of symbolic images for evangelistic purposes on the mission field has limitations, and broad and general usage is not possible and needs to be restricted. Restrictive utilization of symbolic imagery means prevention of misuse of symbolic imagery. As well, restrictive interpretation of symbolic imagery entails knowing it`s extended meaning. Symbolic images themselves have pagan or negative meaning to Christians, but it`s meaning can be extended through a Christian perspective of the local cultures. Therefore, there must be balance between restricted meaning and extended meaning, so that the symbolic images will be utilized effectively in gospel communication which is not corrupted by paganism. Nevertheless, there are problems that we need to overcome in using symbolic images for a missional approach. The first is the iconoclastic controversy. In spite of the missional purpose of the icons, the iconoclastic controversy has become an issue in Christian history by icons being misappropriated as objects of faith. Second is that we are faced with rapid changes in this world with the advent of the development of an information era. This era progresses through different stages starting from mass media through multi-media to the era of ubiquitous media. Accordingly we need to revaluate the symbolic images not as objects of pagan faith, by utilizing visually descriptive tags and verbal explanations to communicate the gospel with the deeper implicated and more exact meaning of the symbolic images. There are two aspects we need to consider beyond the revaluation for proactive use of images. The one is to confine the possibility of allegorical interpretation. And the other is to deliver an intent on a metaphor through interconnected symbols and substance of the gospel message. The allegorical interpretation takes part on the viewer`s side although the metaphor is provided by the speaker. For the effective deliverance of the meaning of symbolic images through the metaphor by the speaker, the clear intent of the metaphor also has to be provided along with it. And the viewer(receiver) has to be careful in reconstructing the allegorical meaning. As a result, the symbolic images have to be utilized not only for the individual point of application but for the communication of the gospel message. This is the primary consideration for gospel communication with symbolic images. There needs to be creative Christian symbolic images specific for particular situations to guard against improper allegorical interpretation as in the problem of the iconic worship. However,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symbolic images, there needs to be symbolic imagery that transcultural constructs. If this is so, we can utilize communication science for creative gospel evangelism. The fulfillment of the great commission, rising up in respective regions, will be expected through the optimization of gospel communication by the anticipatory preparation of symbolic images.

      • KCI등재

        이미지의 Symbolic Representation 기반 적대적 예제 탐지 방법

        박소희,김승주,윤하연,최대선 한국정보보호학회 2022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2 No.5

        Deep learning is attracting great attention, showing excellent performance in image processing, but is vulnerable to adversarial attacks that cause the model to misclassify through perturbation on input data. Adversarial examples generated by adversarial attacks are minimally perturbated wher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so visual features of the images are not generally changed. Unlikely deep learning models, people are not fooled by adversarial examples, because they classify the images based on such visual features of images. This paper proposes adversarial attack detection method using Symbolic Representation, which is a visual and symbolic features such as color, shape of the image. We detect a adversarial examples by comparing the converted Symbolic Representation from the classification results for the input image and Symbolic Representation extracted from the input images. As a result of measuring performance on adversarial examples by various attack method, detection rates differed depending on attack targets and methods, but was up to 99.02% for specific target attack. 딥러닝은 이미지 처리에 있어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며 큰 주목을 받고 있지만, 입력 데이터에 대한 변조를 통해 모델이 오분류하게 만드는 적대적 공격에 매우 취약하다. 적대적 공격을 통해 생성된 적대적 예제는 사람이 식별하기 어려울 정도로 최소한으로 변조가 되며 이미지의 전체적인 시각적 특징은 변하지 않는다. 딥러닝 모델과 달리 사람은 이미지의 여러 특징을 기반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적대적 예제에 속지 않는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미지의 색상, 모양과 같은 시각적이고 상징적인 특징인 Symbolic Representation을 활용한 적대적 예제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 이미지에 대한 분류결과에 대응하는 Symbolic Representation과 입력 이미지로부터 추출한 Symbolic Representation을 비교하여 적대적 예제를 탐지한다. 다양한 방법으로 생성한 적대적 예제를 대상으로 탐지성능을 측정한 결과, 공격 목표 및 방법에 따라 상이하지만 specific target attack에 대하여 최대 99.02%의 탐지율을 보였다.

      • KCI등재

        북한 최고지도자의 이미지, `어버이` 성격 분석연구 : `이미지의 상징화` 개념적용 및 `메타포-상징적 이미지`유형 평가

        정교진 ( Jung Kyo Jin ) 북한연구학회 2017 北韓硏究學會報 Vol.21 No.1

        북한 김정은은 2013년 12월12일 장성택을 처형한 이후 확고한 리더십을 확보한 것으로 보인다. 지도자이미지, 상징측면으로 그 주요근거들을 볼 때 첫째, 2014년 1월9일에 김정은의 생일(1.8)이 북한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둘째, 장성택 처형 직후 수많은 김정은 찬가가 쏟아져 나왔다. 셋째, 김정은의 지도자이미지인 `태양`, `어버이`가 지도자 상징성에 도달했다. 넷째, 김정은에게 `수령`의 지도자이미지가 생성되었다. 김정일이 사망하고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하면서 그에게 부여된 지도자이미지 중 대표적인 것이 `어버이`이다. 그리고 그 이미지는 2014년을 기점으로 하나의 상징성에 도달했다. 다시 말해, 2014년부터 북한의 정치문건과 당 문건에서는 김정은을 공식적으로 `어버이`라고 칭하고 있는데 이는 북한전체사회에 통용되었음을 의미한다. 30대 초반의 김정은이 북한에서 `어버이`라고 일컬어진 것이다. 김일성과 김정일도 권력을 장악하는 시점에 그들에게 부여된 대표적인 지도자 이미지가 `어버이`였다. 그런데, 김일성과 김정일의 어버이이미지 성격은 다소간의 차이가 나는데, 김정은의 어버이이미지는 김정일보다는 김일성에 가까운것으로 나타난다. 김정은이 공식석상에 처음 등장할 때, 김일성의 젊은 시절 모습을 하고 나타나 `김일성 화신`의 이미지를 얻으려고 한 것처럼, 어버이이미지에서도 김정일보다는 김일성의 이미지를 따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과연, 이것이 북한인민대중들에게 얼마나 흡인력이 있을 것인가? 본 연구는 이를 검토하기 위해 이미지의 유형중 하나인 `메타포 이미지`, `상징적 이미지` 이론을 적용해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의 어버이 이미지의 성격을 비교분석 하고자 하였다. North Korea`s Ruler, Kim Jong Un seems to have secured solid leadership after the execution of Jang Sung Taek on December 12, 2013. as ruler`s image, symbolic aspect. First, on January 9, 2014, Kim Jong Un`s birthday (1.8) was announced for the first time through North Korea`s Central News Agency. Secondly, after the execution of Jang Sung Taek, a lot of Kim Jong Eun hymns came out. Third, the image of leader Kim Jong Un, `Sun` and `Father` reached the symbolism of leader. Fourth, Kim Jong Un `s leader` s image, `SURYOUNG` was created.When Kim Jong Il dies and When Kim Jong Un succeeds his power, the representative image of the leader given to him is `Father`. And that image has reached one symbolize from 2014. In other words, in the political documents and party documents of the North since 2014, Kim Jong Un is officially called “Father”. it means which it has been used in the entire North Korean society. In the early thirties, Kim Jong Un was called “Father” in North Korea. Kim Il-sung and Kim Jong Il also had a image as `Father` leader image when they took power. However, the character of Kim Il Sung and Kim Jong Il`s image is somewhat different. and Kim Jong Un`s image is closer to Kim Il Sung than Kim Jong Il. When Kim Jong Un first appeared on the official stage, He appeared as in the form of young Kim Il Sung. Because He want to get the image of Kim Il Sung`s incarnation. Likewise his Fathers` image also follows Kim Il Sung`s image rather than Kim Jong Il. But how will this be absorbent to the North Korean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mages of Kim Il Sung, Kim Jong Il and Kim Jong Un by applying `metaphor- symbolic image` which is one of the types of images.

      • KCI등재후보

        현대 패션에 표현된 중세 종교복 이미지의 조형성 연구

        강림아,이효진 服飾文化學會 2003 服飾文化硏究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dieval culture and medieval religious costume by analysing and grasp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image of medieval religious costume in the modern fashion that were represented to the modern fashion, and also to offer materials to predict the history of fashion in the future by considering the progress of modern fashion and recognizing the fashion to be progress. To examine the image of medieval religious costume in the modern fashion, this thesis divided it into avant-garde image, symbolic image, and mysterious image. Thes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avant-garde image, the harmony between characteristic eroticism and heterogeneous materials are expressed and the formative change of religious costume into general costume are expressed. Second, in symbolic image,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medieval clergy man's costume is expressed in modern fashion white its religious meanings and senses are expressed with symbolic image. Third, in mysterious image, the abundant and profound lights and colors express the mysterious senses of the costume and sanctity applied with mosaic painting and stained glass techniques, utilizing the splendor jewelry, spangle and materials, and most of its image reflects exotic and embellish tendency. As a result, this thesis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Previous religious costume of clergy man was used as a mediator between general devotee and God in ceremony, and it was worn by the general devotee to express devotion. This religious costume was utilized in modern fashion, and it gave the avant-garde image and symbolic image of religion. In addition to it, mysterious image was expressed with exotic and embellish tendency.

      • KCI등재후보

        경제주간지 표지이미지의 상징성 연구 : 표지이미지의 위상과 기능을 중심으로

        이강준(Lee, Kang Joo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19 한국디자인리서치 Vol.4 No.1

        경제주간지는 주 단위로 경제정보를 전달하는 언론매체다. 경제주간지의 표지는 경제관련 이슈를 통해 독자의 관심과 주목을 끌고, 자신의 브랜드와 정체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크게 텍스트, 이미지, 레이아웃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그 시각적 요소로는 제호, 헤드라인, 표지이미지, 소제목, 발행일과 발행호수, 바코드, 각종 마크와 문구 등 이 있다. 주간지에 따라 헤드라인을 중시하거나 표지이미지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국내 경제주간지는 헤드라인에 표지이미지가 종속되는 경향이 있다. 표지이미지가 헤드라인에 종속적이라는 것은 헤드라인을 보충 설명하는 기능을 한다는 의미 외에 언어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징적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지 이미지는 크게 3개의 층위에서 상징적으로 기능한다. 첫째 표지이미지를 구성하는 개별 이미지들의 상징적 기능, 둘째 개별 이미지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표지이미지 전체, 그 자체의 상징적 기능, 셋째 표지이미지의 제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배경, 생산의 목적, 소비의 행태 등이 복합적으로 엮여 있는 사회적 상징 기능이 그것이다. The economic weekly is a media that delivers economic information on a weekly basis. The cover attracts the reader s attention and attention, and improves it’s own brand and identity. It can be analyzed as text, image, and layout. The elements include title, headline, cover image, subtitle, issue date and issue lake, barcode, various marks and phrases. There is a tendency to emphasize the head line or emphasize the cover image depending on the weekly magazine. In the domestic economy magazine, the cover image tends to be dependent on the head line. The fact that the cover image is dependent on the headline means that it has a verbal symbolism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explaining the headline, and thus symbolic analysis is possible. The cover image performs a symbolic function on three layers. First, it is the symbolic function of the individual images that make up the cover image. Second, the whole cover image composed of individual images is a symbolic function of itself. Third, it is a social symbol function that has a complex combination of social background, purpos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that affect the production of cover image.

      • KCI등재

        기업의 이미지가 고객의 만족 및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우석 ( Woo-suk Choi ),한문성 ( Moon-sung Han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5 유라시아연구 Vol.12 No.1

        치열해지는 기업의 경쟁 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자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하여 브랜드를 비롯한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하여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기업의 가치는 유형의 자원과 무형의 자원으로 볼 수 있는데 이 중 무형의 자산인 기업의 이미지는 소비자들이 제품 또는 서비스의 구매 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소비자들은 단순히 제품, 서비스를 선택, 구매 뿐아니라 기업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여러 가지 혜택까지도 고려하여 그 기업의 이미지를 보고 선택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기업은 소비자의 의식 속에 자사의 제품, 서비스를 장기적으로 기억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모색하게 되고 그 기업의 긍정적, 호의적인 이미지를 창출하고 소비자로 하여금 그 이미지를 인식시켜주는 전략의 필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치열한 기업 간 경쟁 속에서 독특한 기업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는 휴대폰 제조업체들을 선정, 기업의 상징적 이미지가 소비자를 만족시키고 나아가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업의 상징적 이미지의 변수 중 가격은 고객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수준 또한 고객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광고 또한 고객만족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접근성에 대한 고객만족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객만족은 소비자들의 재구매의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영리의 창출이라는 기업의 목표는 시대가 변할수록 그 방법이나 내용이 진화하고 있다. 과거에는 좋은제품이나 좋은 마케팅이면 기업의 목표를 이룰 수 있었으나, 소비자들이 더 많은 정보를 알게 되는 현대의 경영환경 속에는 과정과 목표가 현대에 맞도록 변화하여 할 것이다. Infinitely developing communication market resulting from radical advance of scientific technology is expected to boost competition even more; meanwhile, companies need to precisely understand consumer’s purchase behavior to sell their products and service in the market. There are a lot factors affecting consumer’s purchase behavior, however,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symbolic image of cell phone manufactures affects the actual purchase behavior by investigating the influencing power that company’s symbolic image has on consumer’s purchase behavior.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surement parameters used to verify the proposed hypotheses overall showed high degree of credibility and validity, leading to increase the trustworthiness of the study results. The acquired credibility and validity which are generally accepted in social science, in turn, guarantee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of this research’s results. Second, the empirical analysis on how company’s symbolic image affected consumer satisfaction (C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Regression analysis regarding company’s symbolic image on CS according to consumer purchase behavior indicated that, among the selected symbolic image factors, price, service quality and company ads had positive impact on CS, while accessibility did not. Among the symbolic image factors with positive impact on CS (price, service quality and company ads), price showed the highest relative importance, followed by service quality and company ads. Thus, consumers are most highly affected by price among the company’s symbolic images. Thirdly, the empirical analysis on how CS affects the intention of repurchase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As shown in the verification of hypotheses above, CS has positive impact on the repurchase intention Finally, I believe that companies can grow their competitive power by generating the image founded by broad understanding of the proposed three factors with positive impact on CS, that is, price, service quality and company ads.

      • KCI등재

        상징 조형물과 상징공간에 이미지화된 지역성

        손은하(Sohn Eun-ha),공윤경(Kong Yoon-kyung)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7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는 다양한 요인들이 있다. 그 가운데 상징 조형물과 상징공간의 조성을 통하여 역사적 사건을 기념하거나 그 지역에 특별한 영향을 끼친 인물들을 조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의 공간적 재현은 지역민들의 정서에 적잖은 영향을 미친다. 마산은 3ㆍ15의거 등 역사적인 사건으로 인한 ‘민주화의 성지’ 이미지와 이은상의 시 ‘가고파’를 선두로 하는 ‘문학의 도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상징 기념물과 상징공간이 곳곳에 조성되어 있다. 이것은 이미지가 형성된 후 그것을 기념하고자 상징물이 조성이 된 것인지 재현된 공간으로 인해 도시 이미지가 만들어지는 것인지 선후관계를 따질 수는 없으나 그 기념물의 공간적 재현은 마산을 상징하는 데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은 분명하다. 본 논문은 마산의 기념비, 상징탑 등의 상징물과 장소적 의미를 담고 있는 상징공간을 살펴봄으로써 팽배해져 있는 두 이미지에 대한 논란을 다루고 역사적 기억들이 마산의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문제를 공간을 둘러싼 투쟁으로 보고 르페브르의 ‘사회적 공간’의 시각으로 들여다보고자 하였다. 마산지역의 두 이미지는 사상적인 측면에서 언론이나 각종 단체들 간에 끊임없는 논쟁과 충돌을 빚고 있었다. 그러나 정작 마산시민들은 두 이미지에 대해 마산을 상징하는 가치가 있으며 존속 보존할 필요성이 있다는 긍정적인 편에 무게를 두고 있다. 현재 마산, 창원, 진해 세 개 도시의 통합으로 인하여 새로운 역사가 시작되고 있다. 따라서 마산에서는 보존하고 성장시켜야 할 가치와 도시 이미지에 대해 진지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There are many factors that form the urban image. Among the many factors, the symbolic monuments and space are developed in order to memorize historic events or important person. The representation of space that uses the symbolic monuments and space has an effect on resident’s sentiment. The two images of Masan are both ‘the democratized holy place’ on the basis of historic events like 3?15 Uprising and ‘literary city’ with the ‘Gagopa’ poem of Lee, Eun-sang in the lead. In relation to these, there are many symbolic monuments and space in the city. It may not be easy to decide which one comes first: that monuments were developed to memorize the built image or that developed space formed the urban image.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monument’s representation of space is symbolizing Masan in many pa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spute of two images and an effect of historic memory on Masan’s identity examining the symbolic monuments and space in Masan. Moreover, this issue is investigated in a point of Lefebvre’s ‘social space’ as a fight around the space. The two images of Masan induce conflicts between the mass media and various associations from an ideological standpoint. However Masan’s residents want to get out of antagonistic relationships and have positive attitude because of symbolic value and need of preservation on two images. Recently, the new era starts because the integration of Masan, Changwon and Jinhae get decided. Therefore it is the right time for Masan to consider careful approach on values to develop and urban image.

      • KCI등재

        그래픽디자인에 표현된 Empty Image 사례 연구 -20세기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강소영 ( Kang So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3

        그래픽디자인에서 빈 공간은 가독성과 심미성을 향상 시키는 필수불가결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Empty Image를 잠재력 있는 조형요소로 판단하여 이를 핵심 조형요소로 부각시키고자 Empty Image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세기 그래픽디자인에서 통시적으로 Empty Image의 시각과 상징을 연구하여 그 특징을 도출하고 디자인에서 Empty Image의 가치와 가능성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20세기 그래픽디자인으로 범위를 한정하여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3단계로 나누어 진행한다. 1단계는 20세기 그래픽디자인에서 능동적 Empty Image를 추출하고 2단계는 Empty Image의 시각(단층, 다층, 탈형상)과 상징(도상, 지표 상징)을 분석한다. 3단계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시각과 상징 특징 도출한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시각 요소는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에 걸쳐 단층 요소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배경 또는 형태 표현, 흑백의 시각적 대비 효과의 특징이 있었다. 다층 요소는 모더니즘 보다 포스트 모더니즘에서 적극 활용되어 적용 빈도가 높았으며 반복, 중첩에 의한 착시효과, 입체감 효과로 공간감을 전달하였다. 탈형상 요소는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용빈도가 비슷하였다. 밤과 낮의 흑백 대비, 비움으로써 휴지 공간, 한쪽을 크게 비운 변각구도법(邊角構圖)을 적용하여 공간을 표현 하였다. 상징 요소는 모더니즘에서 지표(단층), 상징(단층) 사례가 있었고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상징(단층) 사례가 있었다. 그 특징으로 지표(단층)는 밤낮을 흑백 대비로 은유적 상징, 상징(단층)은 시각적 빈 이미지를 통하여 침묵을 상징, 변각구도법(邊角構圖)을 적용하여 사색의 공간을 상징하여 표현하였다. 마지막으로 20세기 그래픽디자인에 나타난 Empty Image의 고찰을 통하여 시각커뮤니케이션디자인에서 그 가치를 재인식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를 기대하며 Empty Image를 핵심 시각요소로 부각시키는데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In graphic design, empty space is an indispensable factor to improve the readability and aesthetics. Empty Image was considered to be a potential formative element, and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o highlight it as the key formative el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isual expression and symbol of Empty Image in 20th century’s graphic design, to derive its characteristics, and then to identify the value and possibility of Empty Image in the Design.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20th century graphic design, and it analyzes mainly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e method of study is divided into 3 stage as follows. 1) Extract active elements of Empty Image in 20th graphic design 2) Analyze visual expression and symbol of Empty Image 3) Derive visual expressing and symbol of 20th century’s modernism and post-modernism.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visual expression has the highest ratio of single layer element from modernism to post-modernism. The Single layer element has the expression of background or morphological representation and visual contrast effect of black and white. The Multi-layer element was applied more frequently in post-modernism than in modernism. and also the multi-layer gives spatial sense by repeating, superimposing illusion effect and stereoscopic effect. The Deformative expressive element was similar in frequency of use in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he expression of night and day was shown in contrast to black and white. Also, a resting space with emptiness represented the sense of space by applying variation method with partly-emptiness. The case of symbol element was the indicator (single layer) and the symbol (single layer) in modernism, and was the symbol (single layer) in post-modernism. The characteristics of symbol element is that the indicator is methphorically expressed in the contrast of black and white for day and night, the symbol is expressed the silence with visual empty images, and symbolize the space of mediation(or comtemplation) by applying variation method. Finally, I hope that the value of Empty Image will be re-recognized and aggresively utilized in visual communication design through consideration of Empty Image in 20th century graphic design. Also, I hope Empty Image becomes a key visual el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