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간 항공기 제조업 아웃소싱 협력사 성과평가에 대한 연구

        김종세,홍재범 대한경영학회 2019 大韓經營學會誌 Vol.32 No.8

        The importance of outsourcing is increasing in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specially, the competence of suppliers is becoming a source of competitiveness for the companie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Successful outsourcing requires efforts to select and foster competitive outsourcing suppliers, which are critical to outsourcing suppliers. It is important to evaluate supplier performance in the process. However, comparing to outsourcing supplier selection,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performance evaluation that are directly related to actual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s outsourcing supplier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commercial aircraft manufacturing industry. Commercial aircraft manufacturing industry requires a variety of manufacturing processes, complex and many types of components, and requires high technology and high quality. The ratio of outsourcing is higher than other industries. Moreo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all production processes of outsourcing suppliers cannot be directly manag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of outsourcing suppliers is very important. While study proceeded, the evaluation factors were summarized based on the relevant literature, and the evaluation factors, which were suitable for commercial aircraft manufacturing industry, were structured by conducting a survey for outsourcing evaluation staffs and supplier managers. The evaluation model was constructed by assigning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evaluation factors using AHP. Using the established performance evaluation model,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outsourcing suppli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Finally, the outsourcing supplier operation plan was derived using IPA. In this study,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between customers and suppliers,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future development of cooperative relationships. In order to foster new suppliers in the long term, it is necessary to transfer from the performance-based evaluation to the capacity-based evaluation. The evaluation method shall be continuously improved for the exertion of existing suppliers and the motivation of potential suppliers. 4차 산업혁명 등 급변하는 경영환경 하에서 아웃소싱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제조업의 경우 협력사의 역량이 해당 기업의 경쟁력의 원천이 되고 있다. 성공적인 아웃소싱을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아웃소싱 협력사를 선정하고 이를 육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며이 과정에서 중요한 것이 아웃소싱 협력사의 평가이다. 그러나 아웃소싱 협력사 선정에 비해 실제 경영성과와직결되는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민간 항공기 제조업을 대상으로 아웃소싱 협력사 성과평가방법을 분석한 것이다. 민간 항공기제조업은 다양한 제작 공정과 복잡하고 많은 종류의 부품이 소요되고 고도의 기술력과 높은 품질이 요구된다. 타 산업군에 비해 아웃소싱 비율도 높다. 더구나, 아웃소싱 협력사의 모든 생산과정을 직접 관리할 수 없는실정을 고려하면 아웃소싱 협력사의 성과평가 방식 고도화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협력사 성과평가방법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 관련 문헌을 토대로 평가요인을 정리하였으며 아웃소싱 평가실무자와 협력사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을 진행하여 민간 항공기 제조업 협력사평가에 적합한 평가요인을구조화하였다. 그리고 AHP를 활용하여 평가 요인간 상대적 중요도를 부여하여 평가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성과평가 모형을 활용하여 아웃소싱 협력사를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IPA를 활용하여 아웃소싱 협력사 운영방안에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청기업과 협력사 간 성과평가에 대해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향후 발전적인협력관계를 위해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장기적 관점에서 신규 협력사 육성을 위해서는 실적 위주평가방식에서 역량 위주의 평가방식으로 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기존 협력사들의 분발과 신규업체의동기부여를 위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평가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 KCI등재

        漢文科 學生 評價 硏究와 實踐의 課題

        김왕규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이 연구는 한문과 학생 평가의 연구와 실천에 관련된 몇 가지 課題를 探索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한문과 학생 평가의 目的과 方向, 학생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要因 그리고 평가 기준과 평가 도구 개발, 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 등이 그것이다. 한문과 학생 평가는 한문 교사가 한문 학습자의 학문 학습 過程과 成就 정도를 판단, 평가하는 활동이다. 한문과 학생 평가는 본질적으로 학습자의 학습 과정과 성취 정도 판단, 한문 교사의 교수·학습 방법 및 자료 점검, 그리고 평가 체제의 개선 등에 중점을 둔다. 한문과 학생 평가의 주요 目的은 학습자의 한문 학습에 대한 총체적 이해와 한문 교사의 敎授 支援 體制 개선이다. 한문 교사, 한문 학습자, 평가 영역, 평가 방법과 도구, 평가 목적, 그리고 기타 몇 가지 교과 외적 사항들이 한문과 학생 평가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이다. 그런데, 이들 要因들은 상호 작용하면서 현장의 한문과 학생 평가를 歪曲, 屈折시키기도 한다.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평가 기준을 例示했다. 평가 기준에 따른 한문과 양적, 질적 평가 도구 개발도 시급하다. 평가 결과의 활용 방안 모색도 한문과 학생 평가의 연구와 실천의 주요 과제 중의 하나이다. 본격적 연구에 앞서, 한문과 학생 평가 실태와 요구 분석과 관련된 전국 단위의 실태 조사가 필요하다. 한문교육학에 대한 넓고 깊은 공부가 先決 課題임은 勿論이다. In this thesis, I aimed to several tasks related to the research and practice about the evaluation of students in classical Chinese class. Those are the evaluation of students’ substance and direction,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evaluation of students,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basis and evaluation tools, and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s result. The evaluation of students in classical Chinese class is that classical Chinese teacher evaluates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achievement. The evaluation of students in classical Chinese class puts emphasis on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the estimating achievement, the checking a teaching-learning method and material, and the improvement of evaluating system. The main purpose of the evaluation of students in classical Chinese class is the learner’s comprehension overall classical Chinese studying and the improving the supporting system for classical Chinese teacher. It is the influencing factors for the evaluation of students that the classical Chinese teachers, learners, evaluation fields, evaluation method and tool, evaluation goal, and other elements. These f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and distort the evaluation in the active classical Chinese class. It is illustrated that the evaluation basis according to the 2007 educ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basis must be settled without delay. The groping for the application of evaluation result is one of the major tasks in the research and practice about evaluation of students.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nationwide and the studying classical Chinese education are the first consideration.

      • KCI등재

        음악교육에서의 과정중심 평가 이해

        권덕원 ( Kwon Doug-won ),석문주 ( Seog Moon Joo ) 미래음악교육학회 2020 미래음악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일부 교육학자들 및 교육기관들에서 강조하고 있는 “과정중심의 평가”에 대하여 학문적으로 이해하고, 음악교육에 바르게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일부 학자들은 과정중심의 평가를 매우 새로운 평가방식으로서, 학교에서의 여러 가지 평가 상의 문제, 또는 학습상의 문제를 해결해 줄 것처럼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과정중심 평가는 전혀 새로운 평가방법이 아니며, 이미 관행이 되어 있는 평가 체제, 즉 진단평가-형성평가-총합평가의 체제 속에서, 특히 형성평가를 강조하는 것이다. 음악교육의 평가는 그 자체로 이미 “과정”을 중시하고 있다. 음악은 시간의 예술이고, 시간이 흘러야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이 나타나며, 시간의 경과 속에서 비로소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을 바르게 평가할 수 있다. 향후 음악교육에서 바람직한 평가의 방향은, 첫째 진단평가를 통하여 학생의 출발점을 파악하고, 둘째,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춘 총합평가를 실시하여 학생의 도달점(성취도, 결과)을 파악하며, 셋째, 진단평가와 총합평가 사이에서 학생의 변화 및 성장 과정을 알 수 있는 내용을 관찰하여 기록하고, 넷째, 학생의 자기평가를 통하여 음악적 변화와 성장의 내면을 파악하며, 다섯째, 학생 간 상호평가를 통하여 동료 관점에서 각 학생의 음악적 변화와 성장을 파악하고, 마지막으로 평가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되, 교사가 조정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valuation based on the process” that recently several educato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intensely advocate, and to find appreciate directions for music education. Some scholars and teachers introduce the “evaluation based on the process” as a new way for solving problems of evaluation and education in schools. However, it is never new evaluation, only focusing “formative” aspect among diagnostic-formative-summative system of evaluation that most of teachers already know and use. If we focus on the process excessively, ignoring the result of learning, then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the whole shapes and states of students’ learning. Now we know that it is the time to rightly understand the “evaluation based on the process” and to examine proper ways of evaluation in order to reflect the recent feature of music learning, maintaining the nature of music education. In fact, the evaluation of learning in music classes are based on the “process.” Because the music is an art of time, the singing, playing, listening, and creating of students need temporal process. Teachers cannot evaluate students in terms of music without the concept of time or process. Of course, the “process” is important in evaluation of music, but we need more points besides the process: the starting point and the result. In Music education, we should properly apply the diagnosis-formative-summative system of evaluation and various methods such as observation, self-evaluation, and mutual evaluation. These methods might provide us more holistic, internal, and interactive states of students’ learning.

      • KCI등재

        지식공유형 ODA 사업의 평가: 정책형성이론과 KSP 사업 실증 분석결과를 활용한 대안적 평가 프레임워크

        이석원,신재은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7 行政論叢 Vol.55 No.2

        As knowledge sharing ODA (such as the Knowledge Sharing Program (KSP) initiated by the Korean government in 2004) has been gaining strategic importance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the systematic evaluation of such projects is also being emphasized. Nevertheless, it is difficult to apply traditional evaluation methods to knowledge sharing ODA due to unique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 from other ODA programs.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of a customized evaluation framework is necessary in order to evaluate the policy effectiveness of the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dequately. This paper introduces the development of an evaluation framework for knowledge sharing ODA programs utilizing policy formulation theory, theory-based evaluation methods, and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of KSP data. The evaluation framework is then applied to evaluate the KSP projects for Agro-Processing Development in Cambodia, from which a thorough analysis of project outcomes and restraints based on the structured evaluation frame and standards was possible. 우리나라에서 2004년부터 시행해오고 있는 경제발전경험공유사업(Knowldege Sharing Program: KSP)과 같은 지식공유형 ODA 사업은 범지구적으로 전략적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ODA 사업 유형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한 체계적 평가의 중요성 역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지식공유형 ODA 사업은 다른 통상적인 개발협력 사업과는 다른 특수한 형태의 개발협력 사업이기 때문에 통상적인 평가 방법론을 적용할 수 있는 여지가 대단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지식공유의 결과가 수원국에서 실제로 정책적 효과성을 발생시켰는가의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식공유형 사업의 특수성에 특화된 대안적 평가 프레임워크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정책학의 이론 중 정책형성 이론, 국제개발협력 분야의 평가에서 활발히 활용되는 이론기반평가(Theory Based Evaluation: TBE) 방법론, 그리고 KSP 사업의 과거 실적 데이터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들을 결합하여 지식공유형 ODA 사업의 평가에 특화한 평가 프레임워크를 개발을 시도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프레임워크를 캄보디아 농산물가공산업 육성 KSP 사업의 평가에 적용하여, 사업의 성공여부와 성공 및 한계요인을 구조화된 틀과 평가기준에 맞추어 분석 하였다.

      • KCI등재

        初等學校 「漢字」의 評價 방향과 실제

        진철용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7 No.-

        This study is aimed to present content, type, form and guideline of evalu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more concretely refer to, discussion was developed aiming at 'written examination' and limited to 'intelligent learning evaluation.'In the Chapter 2, firstly, the content of 「Chinese Characters」of elementary school was reviewed to discuss evaluation on 「Chinese Characters」of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is necessary to be performed in a large outline of education in the interconnection with the Middle School Education in Chinese Characters, and extracted items among the Chinese Characters in the Middle School education and the content of vocabulary to be selected as available content for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In the Chapter 3, the content of Evaluation on Chinese Characters of elementary school was selected. First, among the content of evaluation on Elementary School's 「Chinese Characters」, the items seemed to be proper for evaluation were arranged. And the researcher suggested considerately whether any among the questions of rating examination having many relations to the evaluation on the elementary school's 「Chinese Characters」 are proper for the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 In the Chapter 4, the content of evaluation on Elementary School's 「Chinese Characters」 was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Chapter 2 and the Chapter 3, and the researcher considerately set up the standard of achievement proper for the content. And the representative type and form of question according to each standard of achievement were suggested. If putting together the above matters, the Content of Evaluation on the 「Chinese Characters」 in Elementary School contain 13 kinds such as 'the shape․sound․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organ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combination of the words, sound of the words, meaning of the words, application of the words, sound of the phrase, the outside meaning of the phrase, the inside meaning of the phrase, application of the phrase,' Standard of Achievement of each is 'to know the sound and the meaning of the Chinese Characters and read rightly, to read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s rightly which have various sounds,' etc. And the types of the questions in evaluation on the elementary school's 「Chinese Characters」 were suggested with 20 examples, the form of the question in evaluation according to each type was suggested through being referred to existing studies. This study did not newly suggested new discussions scientifically. This study is relevant having tried to a little bit more concretely arrange and suggest the contents required when the gener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cide the direction of evaluation on 'Chinese Characters' and compose the questions thereof. It is necessary to keep up researching concrete matters of evaluation on the elementary school's 「Chinese Characters」more minutely so as to prepare more detail and concrete guideline, and the direction of the evaluation on the Elementary school's 「Chinese Characters」, type and form of questions in Evaluation.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評價 내용과 유형, 형식,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며, ‘지필평가’를 대상으로 하고 ‘지적 학습 평가’로 한정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2장에서는 初等學校 「漢字」의 評價를 논의하기 위해서 먼저, 初等學校 「漢字」의 내용을 검토하였다. 필자는 初等學校 漢字敎育은 큰 틀에서 中學校 漢文敎育 연계선상에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중학교의 한문과 교육과정의 한자, 어휘의 내용 중에서 초등학교 한자의 내용으로 선정할 만한 것을 추출하였다. 3장에서는 初等學校 「漢字」의 評價의 내용을 선정해 보았다. 우선 2장에서 추출한 初等學校 「漢字」의 評價의 내용들 중에서, 評價의 내용으로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정리하여 보았다. 그리고 初等學校 「漢字」의 評價와 많은 관련을 가지고 있는 급수시험의 문제들 중에서 초등학교 評價에 적용할 내용인지의 여부를 필자 나름대로 제시하여 보았다. 4장에서는 2장, 3장의 내용을 토대로 初等學校 「漢字」의 評價 내용을 선정하고, 필자 나름대로 그 내용에 맞는 성취 기준을 설정하여 보았다. 그리고 각각의 성취 기준에 따른 대표적인 문항의 유형과 형식을 제시하여 보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初等學校 「漢字」에서 評價할 내용은 ‘한자의 形․ 音․ 義, 한자의 짜임, 단어의 조합, 단어의 음, 단어의 뜻, 단어의 활용, 성어의 음, 성어의 겉뜻, 성어의 속뜻, 성어의 활용’이며, 각각에 대한 성취 기준은 ‘한자의 음과 뜻을 알고 바르게 읽기, 여러 가지 음을 가진 한자의 음을 바르게 읽기’ 등 13가지이다. 그리고 初等學校 「漢字」 評價 문항의 유형을 20가지 예시로 제시하였고, 각 유형에 따른 評價 문항의 형식을 기존의 연구를 참고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학문적으로 새로운 논의를 새롭게 제시한 것은 아니다. 이 연구는 일선의 초등학교 교사들이 ‘한자’ 評價의 방향을 정하고 문항을 작성할 때에 필요로 하는 내용들을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려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初等學校 「漢字」 評價의 구체적인 사항들이 좀더 치밀하게 연구되어 보다 더 자세하고 구체적인 初等學校 「漢字」 評價의 지침과 방향, 評價 문항의 유형과 형식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학교내 국어과 평가

        우문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9 No.-

        Korean evaluation in school does not only mean the evaluation for the student's school record. Thus, it should be checked that the purpose of evaluation for school record corresponds to that of Korean evaluation. The primary purpose of Korean evaluation in the form of evaluation for school record is overall improvement of Korean ability. To achieve this, the new notion required is ‘evaluation in school’ and can include evaluation for the school record. Korean evaluation within a school has many characteristics which are different from Korean evaluation outside of school: Integration-it evaluates all the subcategories of the Korean education; Feedback-the evaluation result is fed back to students immediately; Fidelity- it performs the learning goals of nation, teachers and students; Communication- examiners and examines discuss questions together; Variety-there are various methods and tools of evaluation; Reality-it considers realistic situations for evaluation. 학교 내에서 이루어지는 국어과 평가는 내신 평가만 존재하는 것도 아니며, 내신평가의 목적이 국어과 평가의 근본적인 목적에 부합되는가라는 질문에 답이 필요하다. 내신 평가로 대표되는 국어과 평가의 본래 목표인 국어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내신 평가를 포함하는 새로운 개념이 요구되는데 이를 학교내 국어과 평가라 할 수 있다. 학교내 국어과 평가는 학교외 국어과 평가와 다른 특성들을 지닌다. 국어과 하위 영역을 모두 아울러 평가하는 통합성, 평가 결과를 즉시 학습자들에게 환류하는 송환성, 국가 및 교사, 학습자 수준의 학습 목표를 이행하는 충실성, 평가자와 피평가자가 서로 협의하여 출제하는 소통성, 평가 방식 및 평가 도구의 다양성, 그리고 평가의 상황을 고려한 실제성을 통해 그 성격이 드러난다. 무엇보다도 평가 상황이라는 특성은 학교내 국어과 평가와 학교외 국어과 평가를 가르는 가장 큰 성격인데, 이는 일상적인 수업 시간과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수행, 교사의 관찰에 의한 상황과 지필 시험이라는 평가 장면을 인위적으로 만드는 상황을 합해 이른다.

      • KCI등재후보

        공공부문 프로그램평가를 위한 평가역량구축 방안의 모색

        제갈돈 경북대학교 사회과학기초자료연구소 2019 연구방법논총 Vol.4 No.1

        Program evaluation has been developed by the efforts of evaluators on learning to gain new knowledge for program evaluation or on creating the field of evaluation research to discover new methods and techniques. As a result of these efforts, the program evaluation has gained its own domain in academic fields and established its identity as a profession. In recent years, program evaluation has evolved to be an important part of scientific research to achieve the goals of making decisions, planning, and improving the level and quality of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of policies. Program evaluation has evolved with strong momentum on its own, and in return for its development, policy makers, program planners, and top managers can effectively perform their functions according to a given standard. There are elements commonly encountered among countries seeking to build up the capacity to evaluate public sector programs, and the success or failure of implementing them depends on how they are managed.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theoretical basis for finding ways to build up the nation's evaluation capacity by developing lessons and theoretical discussions drawn from experience on such common elements. This study identifies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capacity building from the real world of the evaluation, identifies what is building the evaluation capacity in practice and how the implementation programs are carried out in different organizational settings. When these components of the overall evaluation system,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interact effectively and efficiently, the organization or country is likely to have a superior capacity to evaluate. 프로그램평가를 위하여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려는 학습에 몰두하거나 새로운 방법과 기법들을 발견하기 위하여 평가연구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려는 평가자들의 노력에 의하여 프로그램평가는 발전되어 왔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프로그램평가는 학문 분야세서 자신만의 영역을 확보하게 되었고, 전문 직업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었다. 최근에는 프로그램평가가 정책의 결정, 기획 그리고 집행과 모니터링의 수준과 품질을 높이려는 목표를 성취하기 위하여 과학적 연구의 중요한 부분으로 진화하고 있다. 프로그램평가는 스스로 강력한 추진력을 가지고 발전하여 왔으며, 그 발전의 대가로 정책결정자, 프로그램 기획가 및 최고관리자들이 일정한 기준에 따라 자신들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공공부문 프로그램의 평가역량을 구축하고자 하는 나라들이 공통적으로 접하게 되는 요소들이 존재하고 있고, 평가역량구축 노력의 성패는 그러한 요소들을 어떻게 관리하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본 연구는 그러한 공통적 요소들에 대해 경험으로부터 얻은 교훈과 이론적 논의를 전개하여 우리나라의 평가역량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모색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관심을 가진 독자들이 평가 실제로부터 평가역량구축 실제를 구분하고, 실제에서 평가역량구축이 무엇이며 상이한 조직 환경에서 어떻게 구축사업이 수행되는지를 이해하고, 그리고 평가역량구축의 언어, 개념모형 및 지표들을 구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이처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아우르는 제반 평가시스템 구성요소가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상호 작용할 때 그 조직 또는 국가의 평가역량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읽기’ 영역의 평가 방향과 실제

        심재경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1 漢字 漢文敎育 Vol.27 No.-

        Evaluation in the scene of education is an important thing for measuring achievement of learning.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there is no such education that does not involve evaluation. The gist of this paper is how we can implement the evaluation of the ‘reading’area among other curricular areas of the Sino-Korean classic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reading area and the evaluation of reading presented in the curriculum of the Sino-Korean classics, this paper tries to discuss the direction and practice of the evaluation. We can learn from the revised Curriculum that the goal of the evaluation i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se the sound and meaning of the basic Chinese letters for the education of the Sino-Korean classics,’and the ‘ability to master basic knowledge of the Sino-Korean classics and apply it to the interpretation of Sino-Korean classics and other language activities. Also the Curriculum takes loud reading, segmented reading, and correctly interpreting as evaluative contents. It comes up with the direction of evaluation by deciding the goals, contents, and usage of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through this. Based on the presented direction of evaluation, this paper creates 3 loud reading questions, 3 segmented reading questions, and 2 interpretation questions as examples, which Sino-Korean classic teachers make reference to when they implement the evaluation of reading in the scenes. The loud reading questions are of the types of simple answer and statement, the segmented reading questions are of the type of simple answer, and the interpretation questions are of the types of simple answer and self-evaluation report. In future, diverse ways of evaluation regarding ‘interpretation’ in the evaluation of reading should be explored because ‘interpretation’ occupies the most important position in the reading education. The diverse ways of evaluation plays important roles in attaining the ultimate goals not of the Sino-Korean classics including the Sino-Korean fluency as well as reading.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면에서 평가는 학습의 성취 정도를 측정하는 중요한 일이다. 평가가 있지 않은 교육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문과 교육과정 영역 중 ‘읽기’ 영역의 평가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대안이자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이 논문의 핵심이다. 한문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읽기의 영역별 내용과 읽기의 평가에 근거하여 평가의 방향과 실제를 논하고자 한다. 개정 교육과정에서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의 음과 뜻을 알고 쓸 수 있는 능력’과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 생활에 활용하는 능력’을 평가 목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소리 내어 읽기, 끊어 읽기, 바르게 풀이하기를 평가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평가 목표, 평가 내용, 평가 결과의 활용을 정하여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제시한 평가의 방향을 토대로 소리 내어 읽기 3문항, 끊어 읽기 3문항, 풀이하기 2문항을 예시로 제작하여 현장의 한문 교사가 읽기의 평가를 진행할 때 참고가 되게 하였다. 소리 내어 읽기는 포트폴리오, 단답형, 서술 단답형의 유형으로, 끊어 읽기는 단답형, 완성형 유형으로, 풀이하기는 단답형, 자기 평가 보고서법 유형으로 출제하였다. 차후 읽기의 평가에서 ‘풀이하기’와 관련한 다양한 평가 방법이 연구되어야 하겠다. ‘풀이하기’가 읽기의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다양한 평가의 방법은 읽기뿐만이 아니라 한문 능력 신장이라는 한문과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CIPP모형에 기반한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 직무연수 평가

        이정은 ( Jung Eun Lee ),강영심 ( Young Sim Ka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지적장애 특수학교의 직업교육 내실화를 위한 현장교사의 전문성개발에 대한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CIPP모형에 기반하여 교사가 이수한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103개 지적장애 특수학교에서 직업교육 관련 수업을 담당하는 중등교사 중 최근 4년간 직업교육 직무연수를 한번이라도 이수한 경험이 있는 39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연구로 과정평가 모형의 일종인 CIPP모형에 기반을 둔 48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첫째,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는 보통 이상이었다. 특히 CIPP모형을 기반으로 했을 때, 투입평가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상황평가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업교육 직무연수에 대한 영역별에서 상황평가는 연수참여의 자발성, 투입평가는 연수이수를 위한 행정적 지원, 과정평가는 강사의 전문성 수준, 산출평가는 연수운영의 전반적인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직업교육 직무연수의 강점은 연수기회의 참여확대였고, 약점은 사전조사와 대상자분석의 보완이었다. 따라서 앞으로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직업담당교사를 위한 직업교육 직무연수는 연수상황 파악을 위해 수요자와 학교현장의 사전 실태 분석을 통한 연수 개설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seek the CIPP evaluation model applied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perceived by vocational teachers in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fulfill this purpos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1. To conduct overall evaluation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vocational teachers who work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 To analyze sub-categories evaluation of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vocational teachers who work at special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95 secondary education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in 103 school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out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analyze both evaluation that used CIPP mode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18.0. The results are as follow: Overall evaluation abo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vocational education was above average. Seeing sub-categories of evaluation, input evaluation is the most positive evaluation, product 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context evaluation are in order. The outcome suggests tha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input evaluation like plan and support is more positive than others, but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context evaluation such as pre-analysis and direction guidance is need to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his study suggests that understanding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context needs to be implemented through analysis of reality between vocational teachers and school environment. After that, to meet satisfaction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planning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nd notifying demand of vocational teacher are necessary. Furthermor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agency should improve teachers` demand and evaluation.

      • KCI등재

        사회과 지리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의 기준설정에 관한 연구

        서태열,심광택,이간용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3

        This study tried to clarify the contents of geography teacher's proficiency in evaluation of students achievements, to establish their the performance standard. Generally standards for teacher's proficiency in evaluation of students's achievements could be suggested as five categories: the ability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and principles of evaluation, the ability to utilize evaluation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the ability to develop and utilize assessments device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quality of sound evaluation, and the ability to draw out the results of evaluation, to understand how to use it. However, it has several problems such that it only suggest the nominal and overlapping items and it lacks the hierarchy and systemic structure. In the light of procedural sequence and the subject of geography, these standards could be re-suggested as follows: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general principle of evaluation,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the subject of geography, the ability to select and develop evaluation devices suited to geography contents, the ability to implement evaluation of geography learning in classroom, the ability to utilize information on evaluation. The geography teacher as social studies teacher should implement evaluation which reflect the purpose and objectives of the subject of geography and integrate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evaluation to motivate students. 본 연구는 학생평가에 있어서 사회과 지리교사에게 필요한 평가전문성의 내용과 이를 바탕으로 지리교사가 평가를 행할 수 있는 수행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교사의 학생 평가전문성 기준으로서 평가하고자 하는 특성에 대한 이해능력, 교수-학습 과정과 평가의 활용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및 활용능력, 건전한 평가의 질에 대한 이해능력, 평가결과의 산출 및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능력 등 5가지를 제시하지만, 이러한 기준은 교육평가에 요구되는 당위성만을 열거할 뿐이어서 상호 중첩되고, 무엇보다도 이들 기준들은 체계성 혹은 위계성이 부재하여 개념모형으로서는 가치가 있으나, 실천을 위한 절차모형으로서는 문제점이 발견된다. 따라서 지리평가가 구현되는 절차적 계열성을 중심으로 다시 재구성하면, 평가원리 일반에 관한 이해, 지리 내용영역에 관한 체계적인 이해, 내용영역에 적합한 다양한 평가도구 선정 및 개발, 교실현장의 지리학습 평가실무능력, 평가정보의 활용능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사회과 지리교사는 지리교과의 본질적인 목적과 목표를 반영하는 평가를 함으로써 평가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학습자에게 동기유발이 되도록 평가의 과정과 교수-학습의 과정을 통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