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 교과 문학영역 내 비평교육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고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김명석 ( Myung Seok Kim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0 No.42

        이 논문은 국어 교과 문학 영역 내 비평 교육에 대한 고찰을 연구 목표로 하고 있다. 2007 및 2009 개정 국어 교육과정에서 비평 교육은 문학과 쓰기 두 영역에 걸쳐 있다. 16종의 고교 국어교과서는 거의 모두 1 편 이상의 문학 비평 작품을 제재로 수록하고, 대부분의 학습 활동에 비평문 쓰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는 비평 교육이 문학 교육의 본질에 부합하는 활동이라는 인식하에 이루어진 일련의 논의들의 성과이다. 최근의 비평 교육은 신비평이 주류를 이루던 과거의 문학연구방법론을 극복하고, 독자반응비평을 비롯한 새로운 방법론을 도입하였다. 또 비평적 글쓰기를 활용한 문학과 쓰기의 통합적 지도 방법이 개정 국어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적극적으로 반영된 점도 긍정적으로 평가된다. 개정 고등학교 국어 교과서는 교육과정 상에서 제시하는 목표인 학습자의 비평적 안목을 길러주며, 다양한 작품 해석을 위한 비평적 근거를 찾는 9학년 비평 교육 내용과 예술 작품에 대한 심미적 경험을 드러내는 비평문을 쓴다는 10학년 쓰기 교육과의 연계성을 고려해 구성되었다. 본문에서 분석한 정지용과 윤동주 시에 대한 비평 제재에서 볼 수 있듯이 개정 국어교과서들은 문학사의 대표적 시인들의 작품을 이해하는 다양한 관점들을 제재와 학습활동의 연계를 통해 이끌어내는 긍정적인 시도들을 보여주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정 국어교과서의 비평교육 내용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교육과정에 지나치게 얽매여 교과서 별로 독창적인 내용을 다양하게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비평적 안목을 길러줄 수 있는 다양한 연구방법론이 소개되지 못한 점, 작품론과 작가론 위주의 비평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점, 장르상으로 시 비평에 편중되어 소설 비평 제재는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 등이다. 이러한 과제들이 현재 진행 중인 2011 개정 교육과정과 그 교과서개발을 통해 해결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aims to study criticism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s literature area. Criticism education is spread over literature and writing areas in 2009 revise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curriculum. Literary Criticism is include in almost of 16 different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most of the learning activities include critical writings, These are the achievements of a series of discussions that criticism education is a sort of literary education. Recent criticism education criticisms overcome the research methodology of new criticism that has been the mainstream of criticism for a long time. And the new methodology was introduced. Reader response criticism is an example. Integrated teaching methods utilizing critical writings are reflected positively in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goal of the curriculum presented in the revise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cultivate a critical eye of students, It was composed to consider connectivity of criticism education for Grade 9 and writing education for Grade 10. The aim of criticism education in Grade 9`s curriculum is to find evidence for the various interpretation of the literary works, And the aim of writing education fin Grade 10`s curriculum is to writes critical essay reveals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revised high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critical analysis about the famous Korean poets, Jeong jiyong and Yun dongjuin show the various views using connectivity of text and learning activities, Nevertheless, the textbooks has several problems, Too tied to national curriculum, it does not show variety of creative contents. Various research methodologies cultivate a critical eye of students have not been introduced. Concentrated on criticism about poet, so it is hardly to look for the criticism abut novels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I expect that these problems should be resolved in 2011 revised curriculum and its textbooks.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고등학교 『연극 감상과 비평』 교과서 연계 분석 - 성취기준을 중심으로

        이연심 ( Lee Yeon Sim ) 한국연극교육학회 2021 연극교육연구 Vol.38 No.-

        As a follow-up study of advanced study, this study, having interest in the process of didactic transposition that occurs while realizing curriculum in school settings, aims to make a sequential analysis on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atre』 textbook focusing 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obtain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modification of textbook as well as revision of future curriculum. To achieve such purposes, this study established analysis standards based on the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atre’ curriculum and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repor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raft for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Ⅱ-High School Art Subject Curriculum』 from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analyze connectivity between achievement standards and establishment of units, this study examined large, medium and small units to identify in what units each of 23 achievement standards is being realized. With respect to learning objectives, this study set ‘Is learning objective established suitably for realizing achievement standards?’ as a standard of analysis, and for learning activity, this study generated and 90 elements for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by achievement standards (26 content learning elements, 49 aimed learning elements, 15 application learning elements) and set the elements as analysis standards.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hile borrowing the principle of textbook model focusing on the core achievement standard as a formality,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atre textbook is reconstructed』 focusing on the eyes of recipients, not of producer in terms of contents, and most of achievement standards are being distributed and realized in a multiple number of units after being integrated between and within the areas excepting ‘Understanding of Appreciation and Criticism’, and this study confirmed that achievement standard [Yearbook 12-02-02] is omitted in the aforementioned process. Total 58 learning objective are suggested by small units and 21 of which are considered appropriate to realize each achievement standard, whereas 37 need to be improved for realizing achievement standards. Aspects of learning objectives that need to be improved are① learning objective that analysis-integration is necessary due to repetition or excessive segmentation, ② learning objective that needs to be reestablished due to duplication of learning contents, ③learning objective that needs to be expanded for lack of learning content. As for learning activity, 86 out of 90 elements for analysis of learning activity by achievement standards are being realized in a variety of textbook elements, but content or activity is omitted in 1 content learning element and 3 aimed learning elements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learning activity, this study discovered problems such as learning activity without consideration to the amount of learning, learning activity that duplication of contents is worried, learning activity that learning contents are uncertain or there is a leap of learning process, learning activity that advance learning is required etc.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this study reconstructed curriculum in a creative way by looking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Theatre’ subject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audience, this study organized to enable students to learn appreciation and criticism based on the elements of theatre and appreciation such as production, acting and stage instead of learning appreciation and criticism based on the type and style of theatre.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①organization of textbook units based on the thorough analysis of curriculum, ②segmentation of learning objectives through analysis of curriculum, ③reexamination of the segmentation levels of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④construction of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extbook and curriculum developers, ⑤construction of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extbook developers by subject, ⑥secure of performing and film materials as textbooks, ⑦case study of the use of textbook etc. for futur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revision of textbook.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textbook and formation of discourse about theatre curriculum and theatre textbook for the future.

      • KCI등재

        Eisner의 미학적 관점에 근거한 교육과정 비평의 실천적 방법 탐색

        신경애(Kyung-Ae Shin)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This study explores practical methods of curriculum criticism based on Eisner s aesthetic perspective in the genre of curriculum inquiry. The curriculum is an academic field that is born with independence by itself, without a parental discipline. As such, it is important to find a research methods suitable for the academic nature of the curriculum and to find out research methods that show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In this sense, this study proposes Eisner s curriculum research method and investigates its features and application. The key method is the curriculum criticism as a research genre. Curriculum criticism has properties of qualitative research on the surface, but it is thought that it can reflect the nature of the curriculum because it is able to integrate with quantitative methods. In this study, we first look at the current curriculum inquiry tendencies, then look at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criticism proposed by Eisner, and then propose practical methods for curriculum research. To this end, We intend to develop a discussion through literature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탐구의 양식에서 Eisner의 미학적 관점에 근거한 교육과정 비평의 실천적 방법을 탐색하고자 한다. 교육과정은 모체 학문이 없는 그야말로 태생적으로 독립성을 가지는 학문분야이다. 그런 만큼 교육과정의 학문적 성격에 적합한 연구방법을 모색하고, 교육과정의 다양한 속성을 아우르는 연구방법의 발굴은 중요하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는 일찍이 Eisner가 발전시킨 연구방법을 교육과정의 차원에서 검토해보고, 그 특징과 적용방안을 탐구해보고자 한다. 그 핵심적 방법은 연구 양식으로서의 교육과정 비평이다. 교육과정 비평은 표면적으로 보면 질적 연구 방법의 속성을 지니고 있으나 양적방법으로 절충가능하기 때문에 교육과정의 성격을 잘 반영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현재의 교육과정 탐구 경향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Eisner가 제안하는 교육과정 비평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교육과정 연구에 실천 가능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통하여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검토

        정혜승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01 교육과학연구 Vol.32 No.1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을 형식적인 측면에서 교육과정의 기본 기능을 다하고 있는지, 내적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고, 내용적인 측면에서 지식 기반 사회에 적합한 교육과정인지를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즉,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과를 왜 가르쳐야 하는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분명한 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성격-목표-내용-방법-평가'에 이르는 일련의 체계가 긴밀하게 연결되지 못하였다.또한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특히 '목표'와 '내용' 면에서 지식 기반 사회의 요구를 충분히 대응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고는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요소별로 분석한 문제점들에 대해 나름대로의 대안을 제시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주제어]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정 평가, 국어과의 성격, 국어과의 목표, 국어과의 내용, 국어과의 방법, 국어과의 평가, 창조적 지식기반 사회 This paper starts from the viewpoint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s are disregarded by teachers in classroom who is the subjective body of teaching the Korean Language as a mother language.The primary reason for that situation may be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esn't perform the basic functions as a curriculum.In this paper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was analyzed and the used criteria for analysis are that if it performs the basic functions as a curriculum sufficiently, if the inner coherence is maintained through the whole curriculum, and if the curriculum is suitable for the critical knowledge-based society. The study result shows that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esn't satisfy the essential requirements for good curriculum.It doesn't present any definite answers regarding why the Korean Language should be taught, what should be taught, and how it should be taught.It is not organized systematically, so that composing elements of a system such as Character-Objectives-contents-Methods-Testing are not linked closely.And the result shows that the curriculum does not correspond to the requirements of the knowledge-based society adequately, particularly in the area of Objectives and Contents. This paper is intended to be helpful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y showing found problems in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presenting some practicable alternatives. [Key Word] the 7th Korean language curriculum, curriculum evaluation, character, objectives, contents, methods, testing, critical knowledge-based society

      • KCI등재

        2011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비판적 이해와 교과서 구현 방안 - 국어Ⅰ․Ⅱ를 중심으로

        이호형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2 한국문학연구 Vol.0 No.42

        이 연구는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후속 작업으로 태동한 2011 개정 국어과 교육 과정에서 새롭게 보이고 있는 고등학교 국어Ⅰ․Ⅱ 교육과정의 내적 한계를 밝혀내고, 그러한 문제점을 교과서 구현 방안을 통해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국어Ⅰ․Ⅱ 교육과정은 교육 체계가 학생들의 학습 과목 구조를 결정하는 우선권을 쥐게 되면서, 학생이 과목을 선택함으로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국어 활동 경험을 확보하기 힘들다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실행되면서 한계점이 고쳐지지 않는다면, 국어교과는 더욱 황폐화되어 학습자들에게 외면받는 교과가 될 수 있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호한 성격을 가지는 ‘국어Ⅰ․Ⅱ’ 과목에 집중하여 이 교육과정이 가지는 내면적인 한계를 지적하고자 하는데 그 기준은 2009 교육과정을 검토한 전문가 집단과 현장 교사 집단의 시각과 요구에서 추출하고자 한다. 또한 교육과정은 교과서를 통해 교실에서 실행된다는 점을 상기하여, ‘국어Ⅰ․Ⅱ’ 교육과정이 교과서로 실현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텍스트를 중심으로 한 영역 통합 단원이 개발되어야 할 것을 제기하였다. 구체적인 실현 방안으로는 성취기준 재구조화를 통한 비평 텍스트 쓰기 교육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국어Ⅰ․Ⅱ’ 교육과정의 한계점을 극복하면서, 학습자의 국어능력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focused on critical review of “Korean language I․II” subject in 2011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ion which is a follow-up work of 2009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ion. The critical review aims at clarifying innate problems of this curriculum, and finding out a way of textbook realization for improving those problems.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I․II” has an educational system to get a priority of determining student's subject structure, it has a problem that it couldn't secure various Korean language activities due to student's own selection of subjects. So, if this critical point which would exist in a process of a curriculum implementation is not corrected, the Korean language subject could be impoverished and looked away from students. So, this study points out internal limitations of “Korean language I․II” subject in this curriculum, extracting criteria from experts examining 2009 curriculum revision and teachers having perspectives and needs for that. Also, this study suggests a whole unit of text-based domains integration in supposition a curriculum implementing to a textbook, because a curriculum implement through a textbook in a class. And this study proposes “writing a text of criticism” as a specific realization way, this could be a method of improving learner's Korean language competence authentically with overcoming limitations of “Korean language I․II” curriculum.

      • KCI등재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 탐구: 경기도교육청의 사례를 중심으로

        성정민(Seong, Jeo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문해력을 주제로 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경기도교육청 소속 교사들의 교육과정 비평문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과정 문해력의 개념을 탐구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 중 사례분석이며, 연구자료로서 교육과정 비평문은 총49편으로 2018년 4, 5월에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교육과정 문해력은 교육과정 읽기와 쓰기로 대분류 되었다. 교육과정 읽기는 교육과정 텍스트 읽기, 자기 텍스트 읽기, 현장 텍스트 읽기로 소분류되었고, 교육 과정 쓰기는 교육과정 텍스트 쓰기, 통합하여 쓰기, 계속 읽으며 쓰기, 학생과 함께 쓰기로 소분류되었다. 또한 교육과정 문해력은 기능적 수준과 구성적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되고, 교육과정 문서 등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교사의 맥락으로 다시 구성 할 수 있는 비평적 수준의 역량을 의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교육과정 읽기, 교육 과정 쓰기, 교육과정 문해력의 수준이라는 3차원적 개념도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연구 의 자료는 특정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으나, 연구 결과는 교사들이 교육 과정 문해력의 개념을 명확히 인식하고 성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각급 교육 청 정책 자료의 이론적 배경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As society changes rapidly and the capacity required for students is diversified, autonomy for teacher s curriculum development is emphasized.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curriculum literacy as well as the capacity of teachers to reconstruct the curriculum is being raised.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prior research on the subject of curriculum literacy and analyzed the criticism of the curriculum of the teachers who practiced the teacher-centered curriculum and explored the concept of curriculum literacy. The research method is case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iteracy of the curriculum was classified into reading and writing of the curriculum. Reading the curriculum was subdivided into curriculum text reading, self-text reading, and on-site text reading. Curriculum writing was divided into curriculum text writing, integrated writing, continuing reading and writing and writing with students. In addition, the literacy of the curriculum requires critical level of the teacher.

      • KCI등재

        학교 교육과정 이론의 다양성과 한국적 선택

        김두정 ( Doo J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육과정의 이론들을 분류하고 그 핵심 쟁점을 논의하고, 우리나라 학교 교육과정이론 탐구의 가능한 선택을 제안하는 것이다. 학교 교육과정 이론을 크게 합리적 · 과학적 이론, 비판적 이론, 해석적 이론, 숙의적 이론으로 분류하고 각 범주별 대표적인 이론가 주장의 주요 쟁점을 논의했다. 합리적·과학적 이론가로는 F. Bobbitt 외 3인이, 비판적 이론가로는 M. Apple 외 7인이, 해석적 이론가로는 D. Huebner 외 6인이, 숙의적 이론가로는 J. Schwab 외 2인이 선정되었다. 합리적·과학적 이론의 Bobbitt는 최초로 전통적인 교과 대신 사회의 직업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개발 체제를, Tyler는 학교 교육 목표의 자원을 교과, 사회, 학습자로 확대하고 맥락에 따라 개방적인 교육 목표를 제안한다. 비판적 이론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으로 그 뿌리인 Marx 이론에 대한 비판으로 쇠퇴의 길을 걷다가 J. Whitson의 모순적인 목소리의 포괄이라는 의미의 “헤테로그로시아”로 새로운 활로를 찾고 있다. 다양한 관점에서 개인에 초점을 두는 해석적 이론은 외부의 교육 목적보다 개인의 자유와 가치 있는 교육 활동의 탐구에 중점을 둔다. 숙의적 이론은 숙의를 지식과 가치와 의사결정의 실천을 연합하는데 가장 이상적인 방법임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우리나라 연구자가 선택할 수 있는 가능한 교육과정 탐구의 방향을 외래 교육과정 이론의 우리 상황에의 재 맥락화, 토착적 교육과정 이론의 전개 등의 두 가지로 제안한다. The study aimed to classify and discuss major school curriculum theories and to make possible choices for curriculum inquiries for Korea`s curriculum researchers. Major curriculum theories were classified as rational-scientific theory, critical theory, hermeneutical theory, or deliberative theory. Bobbitt made use of society as a curriculum source for the first time. Task analysis was the method that he used to develop curricula. Tyler drew educational purposes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subjects, learners, and society. New developments of critical theories, such as popular culture, border pedagogy, new literacy, ecological crisis, and peace education, appeared after cultural reproduction or resistance theories became weak. Whitson`s heteroglossia, the inclusion of conflicting voices, activated weakened critical theories. Hermeneutical theories, which focus on individual students, emphasize individual freedom and value educational activities. Deliberative theories, originally based on Schwab`s work, suggest that deliberation is ideal as a methodology to make full use of knowledge, moral values, and decision-making together. The researcher finally proposes two possible choices for curriculum inquiries Korea`s curriculum researchers, 1) recontextualization of current theories to Korea, and 2) Korea`s own curriculum inquiries about its particular curriculum.

      • KCI등재

        다문화 교육과정과 그 실행에 대한 비판적 분석: 초등학교 통합교과 "다양한 가족" 주제 중심으로

        김선영 ( Seon Yo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4

        다문화 사회로의 시대적 변화와 요구에 따라 최근 다문화 관련 내용이 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 차지하는 빈도와 비중이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그 방향과 목표가 바르게 정립되지 않은 채 유행처럼 다문화 교육이 개발 및 적용되는 상황을 볼 때, 현 다문화 교육과정이 어떤 다문화적 가치와 이념을 (재)생산하는지 비판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평가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판적 다문화주의에 근거하여 문서화된 교육과정과 교실에서 실제 실행된 교육과정을 동시에 분석하며 그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통합교과 교육과정 중 ‘다양한 가족’이라는 소주제를 중심으로 하였다. 본 소주제는 세 개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공통된 주제로, 통합교과서의 20차시 분량인 한 단원으로 개발되어 2013년부터 전국 2학년 1학기에 실행되고 있다. 연구 방법은 두 가지로, 국가수준 교육과정, 국정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를 대상으로 한 질적 문헌 분석과 함께 2학년 한 학급에서의 수업 관찰과 담임교사 면담 자료 수집을 통한 질적 사례 연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현 다문화 교육과정은 주류와 다른 소수 집단과 문화를 소외(alienation)시키고 억압(oppression)하는 형태를 띠고 있었다. 다양한 가족을 타자화하여 구분 짓고, 고정관념, 결점형 사고, 문화 상대주의에 치우쳐 편협하게 다양한 가족과 문화를 이해했으며, 소수 집단이 주류 문화에 동화될 것을 강조하는 반면에 그들의 주체적 역량(agency)은 고려하지 않은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즉, 현 다문화 교육과정은 모든 학생들의 평등하고 공정한 교육 경험을 보장하고 나아가 학생들을 정의로운 사회 건설에 주역으로 준비시키는 비판적 다문화 교육과정과는 그 방향을 크게 달리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개선을 위해 몇 가지 방안을 논하였다. In responding to recent changes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South Korea, a great deal of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need for a multicultural curriculum and there has been a trend to reflect multicultural topics in national curricula and textbooks. However, simply popularizing multicultural issues does not guarantee an authentic multicultural curriculum, which helps students experience educational equity and justice so they can be ready to become critical social agents. Given that necessity,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d the theme of ``diverse families`` from the current national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curricula. The theme was developed into a unit in a national textbook, which has been used for 2nd grade students since 2013. In addition, the practical curricular implementation was also analyzed through observations of lesson practice in a class and interviews with the homeroom teacher.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this study found that the curriculum and its implementation falls short of critical multicultural curriculum due to the approach that the curriculum alienated and oppressed different cultures and multicultural populations, such as segregating non-mainstream families from the majority; distortedly understanding diverse families and their cultures in a microscopic view; and placing an emphasis on assimilation and de-emphasizing the agency of minorities. I made several suggestions for developing a multicultural curriculum in the future.

      • KCI등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이화식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6 미술교육연구논총 Vol.46 No.-

        Arts education is currently facing new challenges. Arts education students, education professionals, parents, and it is compared to other educational or athletic known in its local community does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fact. In addition, from 2018 it has been added to the drama education and arts education Arts education is an unavoidable situation, competition and drama education. 2015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has been finalized on September 23, 2015, it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2015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can be applied from 2018. 2015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was to improve the shortcomings of traditional arts and give you the opportunity to develop a competitive arts education. In the study, we can therefore critically investigated the following three aspects in the educational process and pursuing the progressive development of arts education. 1) compared to the music by selecting a center of the arts curriculum 「Art Creation」 an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and discussed the competitiveness of theater education curriculum. 2) curriculum is to evaluate the main ideas presented in terms of internal validity. 3) fusion and creative talent training course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cultivation was investigated how well apply to learner-centered activities, compared to the 2015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and in 2009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for this purpose by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document it was clear in comparison. In addition, fine arts, education, psychology, philosophy, etc. related to 2015 Reformed National Art Curriculum was re-definition of key concepts. 현재 미술교육은 새로운 도전에 직면되어 있다. 예술교육은 현재 학습자, 교육전문가, 학부모, 지역사회 시민들로부터 다른 주지교육에 비해 그 중요도가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2018년부터는 예술교육에 연극교과가 추가되어 연극 교과와의 경쟁이불가피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2015. 9. 23일에 확정․고시되어 2018년부터 적용되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새롭고 진보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통하여 기존의 미술교육이 가졌던 단점을 개선하고보다 경쟁력 있는 미술교육으로 진보할 수 있는 계기가 주어진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측면에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고찰하여 미술교육의 진보적 발전을 모색하고자 한다. 1) 2015 개정 「미술」 교육과정이 제시하고자하는 핵심 개념을 구인타당도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2) 2015 개정 「미술창작」과 「미술감상과 비평」을 경쟁력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미술 교육과정’ 을 ‘2009 개정 미술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교육과정이 가지는 문서에서의 성격과 특징을 해석하고 명료화하였다. 또한 미술학, 교육학, 심리학, 철학 등과 관련시켜 ‘2015 개정 미술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핵심 개념을 재개념하여 미술과 교육과정의 재정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문,사회과학편 : 무용비평 교육의 새로운 지평

        전현주(HyunJuJeon),오율자(YulJaOh) 한국체육학회 2012 한국체육학회지 Vol.51 No.4

        본 연구는 무용비평 교육의 대안을 제시하여 현재와 미래 무용비평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함으로써 무용학의 새로운 변모를 시도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국내대학의 비평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무용비평의 교육적 기능과 효과를 제시하여 현재 비평 교육의 문제점을 찾아 그것에 대한 반성을 통해 비평의 새로운 구조를 탐색하여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무용 이론교육의 강조점에 따라 교과목이 선정 조직되어 각 분야를 심도 있게 연구하고, 추진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배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무용과 학생들의 무용비평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비평교육이 어떤 방법적 원리로 접근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하며 학습주제와 관련된 전공수업을 통한 글쓰기 과제를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무용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무용작품에 대한 명확한 평가를 통해 감상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주고, 작품에 대한 총체적 분석능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결론 적으로 무용비평계의 발전을 위하여 개인의 의지와 소질에 맞춘 이론을 전문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여건을 마련하여 충분한 자질이 갖추어진 평론가가 많이 배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ill present an alternative to dance criticism education and establish a basis for new paradigm to be developed in the current and future of Dance. Besides, the curriculum of a domestic University will be analyzed as an attempt for new transformation. Also presenting educational functions and effects of dance criticism and finding problems in current dance criticism education, this study will propose a new structure and its future direction of dance criticism education while reflecting on its problems. First, courses have to be select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critical factors of the dance theory, and professional staffs that can push ahead with and study each field in depth should be provided. Second, a serious consideration should be placed upon methodological principles in order to improve students’ dance critical writing skills, and for this, it is desirable to utilize writing assignments given to students taking major subjects related to what they learn. Third, the dance criticism education for dance majoring students has to give useful information to appreciators and improve overall analytical skills for the work of art. In conclusion, the condition in which students can learn theory adjusted according to an individual’s talents should be created so that a number of highly qualified critics can be produced for the development of dance cri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