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ersonal Data Disclosure in Blockchain Networks

        Youngin Koh(고영인),Sung. H. Han(한성호)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perties of blockchain networks that can influence users’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data. Background: Blockchain technology gives rise to new ways of managing personal data. It enables individual-centric data management with such characteristics as safe data storage and easy data sharing. Nevertheless, individuals have to disclose their data to others in peer-to-peer networks in blockchain, and accordingly privacy concerns could occur. In other words,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a double-edged sword by simultaneously providing the privacy concern of personal data disclosure with the benefit of delivering network participants with a new way to manage their data. From the perspective of blockchain network users,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on the impact on personal data disclosure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perties of blockchain networks. Method: This study consists of two phases, literature survey and user studyA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the properties of blockchain networks related to personal data disclosure. It considered not only blockchain types—public/private, permission/permissionless blockchain—but also technologies that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blockchain technology, such as off-chain or inter-chain. Twenty-two properties of blockchain networks were obtained as a result. It also conducted user research to select the blockchain network properties influencing personal data disclosure intentions. Sixteen participants who have experience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individually. They received 22 cards displaying the properties. They selected and ranked the cards they considered appropriate by using the following criteria: a) encouraging to disclose personal data to others within the network or b) making reluctant to disclose personal data to others within the network. And then this study conducted an interview on how they thought each blockchain network property influences the intention to disclose personal data. Results: As a result of the user research,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en properties could encourage disclosure, and five properties could influence disclosure reluctance.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security status of their data disclosed on the blockchain network—how personal data is exposed to others, how it is managed or stored—or trust in the network affects the disclosure intention of personal data. Although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 ’financial reward from data disclosure’ can induce the disclosure intention, its rank is low because they do not think they can receive a large amount of money as a reward by disclosing data. They also responded that the properties of the public blockchain network—‘everyone could read the data in the network’, ’know whom the personal data came from’, ’all users, including myself, own all data’—particularly influence in their reluctance to disclose data. Conclusion: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blockchain technology can be used for individual-centric data management systems from the point of view of network users. Blockchain network properties usually influence a positive effect on data disclosure intention. On the other hand, the properties that may make people reluctant to disclose personal data are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the public blockchain. It is necessary to design individual-centric data management systems using blockchain technologies with private blockchain or other technologies that can overcome this limitations.

      • KCI등재

        블록체인 선화증권의 상용화에 관한 연구

        최석범 한국물류학회 2019 물류학회지 Vol.29 No.1

        Blockchain is a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that can record transactions between parties in chains of blocks in a secure and permanent way. Blockchain technology essentially removes the intermediaries who were previously required to act as trusted third parties to verify, and record transactions in e-Commerce. Therefore, blockchain technology has the potential to solve a long standing bottleneck in the dematerialization of bills of lading as the title registry as intermediary is a hot issue in introducing electronic bill of lading. The smart bill of lading as blockchain Bill of Lading developed by CargoX preserves all the functions of paper B/L and furnishes traders with benefits offered by the decentralised ecosystem, including speed, security and transparency. And CargoX provides a base for further integration of value-added features such as smart contract and insurance, etc. The central registry was required in the existing electronic bill of lading, but the blockchain bill of lading as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using the blockchain technology does not require the central registry for controlling of title, so the blockchain bill of lading adopts the innovative method which was not tried as b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widespread usage of blockchain bill of lading by suggesting commercialization of blockchain bill of lading by examining the case of blockchain bill of lading as electronic bill of lading and the effects in using blockchain bill of lading. 블록체인은 안전하고 영구적인 방식으로 블록들의 체인에 당사자 간의 거래를 기록할 수 있는 분산된 원장기술이다. 블록체인 기술은 전자상거래에서 거래를 확인하고 기록하기 위해 이전에 신뢰할 수 있는 제3자로 행동하도록 요구하는 중개자를 근본적으 로 제거한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술은 전자선화증권 도입시 중개자로서의 권리등록소가 뜨거운 이슈였기 때문에 선화 증권의 전 자화에 있어서 오랜 기간의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CargoX가 개발한 Blockchain기반 선화증권은 종이 선화증권의 모든 기능을 유지하고 속도, 보안 및 투명성을 포함하여 분산된 생태계가 제공하는 이점들을 거래업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또한 CargoX는 스마트 계약, 보험 등과 같은 부가가치 기능의 추가적 인 통합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기존의 전자 선화증권에서 중앙등록기관이 요구되었지만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하여 구현되는 전자선화증권으로서의 블록체인 선화증권은 중앙등록기관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에 시도되지 않는 혁신적인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자 선화증권으로서 블록체인 선화증권의 도입사례를 살펴보고 블록체인 선화증권의 상업화를 강구하여 블록체인 선화증권의 광범위 한 사용에 기여하는 것을 그 연구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블록체인과 민주주의

        김형섭(Hyung-Seob KIM) 한국헌법학회 2021 憲法學硏究 Vol.27 No.2

        고도화된 초연결사회로의 진입과 다양한 사회적 원인에 기인한 비대면현상의 가속화는 현실과 가상의 공간에서 취득한 다양한 데이터를 기초로 국가권력과 소수의 다국적 기업에 의한 정보독점화를 심화시키고 있고, 이로 인해 공적 및 사적 분야에서 정보격차 내지 불평등은 더욱 확연하게 드러나고 있다. 데이터시대의 정보독점과 지나친 정보집중의 고착화현상은 개인의 자유를 과도하게 제한하거나 실제 끊임없이 위협하고 있다. 최근에 이러한 정보통제의 위험성을 제거하고 개인의 자유와 사회의 민주성을 회복하기 위한 기술적 방법으로 블록체인이 주목받기 시작하였다. 블록체인기술은 종래 데이터 독과점의 원인인 중앙집중화된 통제방식을 탈피하여 정보독점으로 인한 정보의 비대칭성이나 불평등으로부터 벗어나게 한다는 점이 매력적이다. 향후 블록체인기술은 경제적 및 사회적 지배 및 통제의 위험성을 차단함에 있어 유용한 기능을 발휘하리라 기대된다. 디지털 경제와 자산의 디지털화의 추세에 직면하여 블록체인(기술)은 가치자산의 효율적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서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분산네트워크에 기초한 원장공유를 통해 중앙권력을 부정하고 개개인의 자율성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정치과정 및 사회체계에 있어 큰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블록체인은 권위있는 제3자의 매개없이도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뢰(거래)기술인 동시에 사회구조를 변화시켜 효율성(경제성)과 함께 민주성을 확보하는 기술적 진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블록체인은 데이터라는 자원을 분산체계에 기반하여 그 생산자가 직접 참여하여 관리하고 가치를 교환한다는 점에서 데이터시대에 정보민주화를 가능하게 한다. 물론 블록체인이라는 새로운 기술의 등장이 사회적 변화를 가능하게 할 것인지, 가능하다면 어느 정도일지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따른다. 여기에서는 블록체인으로 인해 변화가능한 우리 사회의 정치과정 및 사회의 발전 등을 조망하기 위해, 특히 정치 및 사회구조의 기반인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그 영향과 적용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블록체인에 의해 민주주의의 가치이념이 근본적으로 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몇 가지 (규범)가치가 주목되고 실행방법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블록체인에 기반한 기술도입으로 공적 수행체계의 변화를 줌으로써 민주주의 실현에 영향을 미치는 혁신적 수단을 확보하였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블록체인은 이제까지 최선의 정치원리인 민주주의를 본질적으로 바꾸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민주주의의 본래적 의미를 회복하고, 그 기능적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유용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체인기술은 현대사회에서 대의민주주의가 가지는 기능적 한계를 극복하게 하거나 그 장애를 제거함에 있어서 유용하게 기능하여 대표성, 정치무관심, 정보독점 등의 문제를 일정부분 해결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정당에 의해 매개되는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통해 구성원의 의사결정을 강화하고 직접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선거제도의 운용에 있어 블록체인기반의 전자투표를 비롯하여 스마트계약이 결합된 다양한 방식의 적용으로 투명성과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국민의 의사가 더욱 잘 반영되고 그 과정이 신뢰받는 정치체제를 구축하여 민주주의의 이상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der fortschrittlichen hypervernetzten Gesellschaft und dem beschleunigten Phänomen des ‘Untact’intensiviert sich das Informationsmonopol des Staates und einer kleinen Anzahl multinationaler Unternehmen. Da sich die Digitalisierung von Vermögenswerten in der digitalen Wirtschaft beschleunigt, ist die Blockchain-Technologie als Mittel zum Handel mit Wertanlagen sehr nützlich. Darüber hinaus hat Blockchain das Potenzial, große Veränderungen im politischen Prozess und im sozialen System herbeizuführen, indem es die zentrale Autorität verweigert und sich aufgrund der Natur von gemeinsamen Ledgern auf der Grundlage verteilter Netzwerke auf die Autonomie des Einzelnen konzentriert. Insofern kann Blockchain als neue Vertrauenstechnologie als technologischer Fortschritt gewertet werden, der sowohl bei Transaktionen als auch bei gesellschaftlichen Strukturen die Demokratie sowie die Effizienz (Wirtschaftlichkeit) sichert. Zudem ermöglicht Blockchain die Informationsdemokratisierung im Datenzeitalter, indem der Produzent als Teilnehmer direkt die Datenressource verwaltet und Werte basierend auf dem verteilten System austauscht. Somit befreit uns die Blockchain-Technologie von der Informationsasymmetrie oder -ungleichheit, die durch das Informationsmonopol einer kleinen Anzahl von Menschen verursacht wird. Diese technologischen Mittel können eine nützliche Funktion bei der Blockierung künftiger wirtschaftlicher und sozialer Vorherrschafts- und Kontrollrisiken spielen. Ob und inwieweit das Aufkommen einer neuen Technologie namens Blockchain einen gesellschaftlichen Wandel ermöglichen wird, wird noch diskutiert. Hier haben wir, wie wir bereits gesehen haben, versucht, den politischen Prozess und die gesellschaftliche Entwicklung unserer Gesellschaft zu betrachten, die durch Blockchain realisiert werden kann. Insbesondere der Einfluss und die Möglichkeit von Veränderungen wurden mit einem Fokus auf die Demokratie untersucht, die die Grundlage von Politik und Gesellschaftsstruktur ist. Als Ergebnis wurde bestätigt, dass die Werteideologie der Demokratie durch die Blockchain nicht grundlegend verändert wird. Einige normative Bedeutungen werden jedoch aufgrund des Strukturwandels durch die Blockchain-Technologie unterschiedlich betont oder reflektiert. Zusammenfassend lässt sich sagen, dass Blockchain nicht dazu gedacht ist, die Demokratie grundlegend zu verändern, was das beste politische Prinzip ist, sondern kann als nützlich bewertet werden, um die ursprüngliche Bedeutung von Demokratie wiederherzustellen und ihre Funktionsfehler zu kompensieren. Insbesondere kann die Blockchain-Technologie dazu beitragen, die funktionalen Grenzen der repräsentativen Demokratie zu überwinden oder Hindernisse in der modernen Gesellschaft zu beseitigen, und damit die Möglichkeit aufzeigen, Probleme wie Repräsentativität, politische Gleichgültigkeit und Informationsmonopol teilweise zu lösen. Insbesondere zur Sicherung der demokratischen Legitimität durch politische Parteien ermöglicht und stärkt die Blockchain direkt die Entscheidungsfindung oder im Betrieb des Wahlsystems werden verschiedene Methoden der Blockchain in Kombination mit Smart Contracts, einschließlich blockchainbasierter elektronischer Stimmabgabe, eingesetzt Durch die Sicherstellung von Transparenz und Stabilität durch Anwendung wird es möglich sein, zur Verwirklichung des Ideals der Demokratie durch die Etablierung eines politischen Systems beizutragen, in dem der Wille des Volkes besser widergespiegelt und dem Prozess vertraut wird.

      • KCI등재

        A Preliminary Study on the Four-stage Strategy of Judicial Application of Blockchain in China

        Guangjun Zhang(張光君),Xinyun Hu(胡馨?)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東亞法學 Vol.- No.89

        블록체인의 본질은 분산 컴퓨팅기술에 기반한 모든 노드 공동장부의 방식으로 개체간에는 더이상 상호 신임할 필요가 없다는 효과를 구현한 것이다. 블록체인은 변조불가, 소급가능, 시간표 등 기술특성을 갖고 있어 사법분야에서의 응용전망이 아주 넓으며, 이미 중국 사법개혁의 핫한 이슈가 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블록체인 사법응용의 발전단계에 대한 인식, 발전전략이 명확하지 않기에 실무에서 블록체인 응용에 대한 총체적 방향감이 부족하다. 때문에 중국 블록체인 사법응용 발전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절실하다. 블록체인의 중국에서의 사법응용과 발전은 순 이론적인 허황한 환상이 아니라 튼튼한 기술적 기초가 있다. 현재 중국 블록체인의 사법응용 발전전략단계와 전략중점이 명확하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저 본고는 블록체인 고유의 기술특점으로부터 출발하여 블록체인의 발전추세, 기존의 실천 및 사법응용의 최종적목표와 결부하여 중국 블록체인 사법응용의 4단계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또 블록체인을 이용한 증거보존과 수집, 데이터처리혁신, 장비, 프로그램의 연계 및 법코드화 4단계로 나누었다. 본고에서는 블록체인 사법응용 4단계 발전전략의 특점에 대해 각 단계 전략실시의 중점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학술계가 블록체인 사법응용발전전략에 대한 연구에 대해 관심을 갖도록 하는데 뜻을 두고 있다. 사법실무면에서 이 글은 블록체인의 사법응용의 최종방향과 단계적 목표를 제시하였다. 사법기관은 블록체인기술을 활용하여 분쟁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뚜렷한 목표를 가지게 되고 이로써 사법효률을 현저히 제고하고 사법공정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사회관리혁신을 추진하고 사회관리효률을 향상하는데 새로운 길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 글은 중국 및 다른 나라의 블록체인으로 사법개혁을 하는데 있어 이론적 가치가 있으면 한다. Blockchain is in essence a distributed account book technology, which makes mutual trust among individuals unnecessary via the joint bookkeeping of all participating nodes. Since the Blockchain technology is anti-tampering, traceable, and has the timestamp, there is a promising prospect for its application to the judicial field. This has turned Blockchain into a hotspot issue of China’s judicial reform. However, due to an ambiguous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stage and strategies of the judicial application of Blockchain, there lacks an overall direction for such application. This necessitates the exploration of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judicial application of Blockchain in China. Th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Blockchain in China’s judicial practice is supported by solid technical foundation, rather than pure theoretical fantas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unclear strategic stage and unclear strategic focus in the development of China’s Blockchain judicial application, this paper starts with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Blockchain, combines with the development trend of Blockchain, existing practice and the ultimate goal of judicial application, to propose the four-stage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judicial application of Blockchain in China. The four development stages include the Blockchain evidence collection and storage, data governance innovation, device and program interconnection, and legal coding.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stage development strategy for judicial application of Blockchain in China, this paper proposes the implementation focuses for different strategic stages at an attempt to draw the academic circles’ attention to this research issue. For judicial practice, this paper points out the ultimate direction and stage goal for the judicial application of China’s blockchain to a certain extent, so that the judicial organs can have a definite target in the process of applying Blockchain to solve disputes, so as to effectively improve judicial efficiency and promote judicial justice, and at the same time, it also opens up a new way to promote social governance innovation and enhance social governance efficiency. This study may have certain theoretical reference value for China and other countries to promote judicial reform with the help of Blockchain.

      • KCI등재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암호화폐 유통 가격 예측 연구

        김한민,김호익 한국유통과학회 2019 유통과학연구 Vol.17 No.11

        Purpose: Blockchain technology suggests way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existing industry. Among them, Cryptocurrency system, which is an element of Blockchain technology,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operating Blockchain. While Blockchain cryptocurrency has attracted attention, studies on cryptocurrency prices have been mainly conducted, however previous studies mainly conducted on Bitcoin prices. On the other hand, in the context of the creation and trading of various cryptocurrencies based on the Blockchain system,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cryptocurrencies other than Bitcoin. Hence, this study attempts to find variables related to the prices of Dash, Litecoin, and Monero cryptocurrencie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 also attempt to find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prices for each cryptocurrencies and to examine machine learning techniques that can provide better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performed Dash, Litecoin, and Monero price prediction analysis of cryptocurrency using Blockchain information and machine learning techniques. We employed number of transactions in Blockchain, amount of generated cryptocurrency, transaction fees, number of activity accounts in Blockchain, Block creation difficulty, block size, umber of created blocks as independent variables. This study tried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through 10-fold cross validation. Blockchain information was hierarchically added for price prediction, and the analysis result was measured as RMSE and MAPE. Result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prices of Dash, Litecoin and Monero cryptocurrency are related to Blockchain information. Also, we found that different Blockchain information improves the analysis results for each cryptocurrency.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neural network machine learning technique provides better analysis results than support-vector machine in predicting cryptocurrency prices.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information of Blockchain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rediction of the price of Dash, Litecoin, and Monero cryptocurrency. It also suggests that Blockchai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ice of cryptocurrency differs depending on the type of cryptocurrency. We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on various types of cryptocurrencies is need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future cryptocurrency research in distribution management.

      •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POSITIVE ROLE OF BLOCKCHAIN IN SOCIAL EXCHANGE

        Jungkeun Kim,Areum Cho,Daniel Chaein Lee,Suh-Young Irene Park,Jaehoon Lee,Jooyoung Park,Jihoon Jhang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23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23 No.07

        The study investigates how the presence of blockchain technology affects social fairness and selfish monetary decision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lockchain technology enhances transparency and traceability in social exchanges, the study predicts that individuals will make less selfish decisions when blockchain is present. To test these predictions, the study conducted three experiments using a modified version of the dictator game scenario where participants decide how to divide a sum of money among themselves. In Study 1, the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took less money for themselves and allocated more to the third player when blockchain technology was present,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fairness was higher under the blockchain-presence condition. The mediation analysis indicates that the increase in social fairness mediates the effect of blockchain technology on monetary decisions. Study 2 replicated Study 1 with real monetary incentives. The results showed that individuals took less money for themselves only under the blockchain-image condition, and the importance of social fairness was higher only under the blockchain-image condition. Study 3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first player's allocation on participants' behavior under the presence or absence of blockchain technology.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hat blockchain technology can positively influence social fairness and reduce selfish monetary decisions.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olicymakers and blockchain developers to design and implement blockchain systems that promote transparency and traceability in social exchanges, thereby enhancing social fairness.

      • KCI등재

        지적재산권에 대한 블록체인 기술의 활용 및 한계

        이대희,박민주 한국정보법학회 2019 정보법학 Vol.23 No.2

        A blockchain is a ledger or a database in which transaction data are authenticated by a node connected by P2P, and are stored in blocks chained each other. Main elements of blockchain technologies are P2P, a distributed ledger, and cryptography (hashing, digital signature and public key cryptography). If applied to intellectual property, blockchain technologies play the role of providing solid evidence of creatorship, facilitating the transfer of intellectual property ownership or the licensing of intellectual property through smart contracts and asset-backed tokens, minimizing transaction costs in licensing and paying loyalties, and efficient management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While blockchain technologi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llectual property, there are various limitations, and requirements needed to met in deploying blockchain technologies. For example, the unsolved problem of scalability makes it not possible to upload copyright works, but to upload only their hash value on the blockchain. It means that a copyright owner cannot transfer copyrighted works through a blockchain, but can transfer them through traditional methods like a P2P file sharing. This paper indicates that there are many obstacles in deploying blockchain technologies while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intellectual property. It explains how blockchain technologies work, and the role played by blockchain technologies in intellectual property. It also gives a few projects under development which apply blockchain technologies to intellectual property. It indicates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of applying blockchain technologies to intellectual property. Despite their limitations, blockchain technologies become mainstream, and they may be applied to intellectual property in some respects.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s that Korea needs to develop blockchain technologies and take into consideration applying them to intellectual property. 블록체인은 P2P로 연결되어 있는 노드들의 합의에 의하여 인증된 거래 자료들이 블록으로 저장되고 블록들이 연결되어 각 노드에 분산되어 저장되어 있는 원장 내지 데이터베이스이다. 블록체인은 해시함수, 디지털 서명 및 공개키 암호화 방식, 작업증 명(채굴) 등을 핵심요소로 하는데, 저작물 창작, 발명, 상표의 사용 등 지적재산권의 존재⋅지적재산권자에 대하여 부정할 수 없는 증거를 제공하고, 스마트계약 및 자산 기반토큰(ABT)에 의한 지적재산권 거래를 용이하게 하고, 신뢰기반 제3자인 중간매 개자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거래비용을 감소시키고, 지적재산권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블록체인에 기록함으로써 스마트한 지적재산권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등 많 은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지적재산에 대한 블록체인 기술의 역할이 많이 논의됨에도 불구하고, 현재 블록체인의 역할이 비교적 과장된 측면이 존재하고, 과장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블 록체인 기술이 활용됨에 있어서는 여러가지의 한계가 존재하고, 광범위하게 활용되 기 위해서는 여러 요건이 충족될 것을 전제로 한다. 이 글은 지적재산권에 대한 장점 (이점)만이 추상적으로 논의되고 있고, 이러한 논의도 다소 과장되어 있다는 것을 지 적하고, 지적재산권에 대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사례, 지적재 산권에 대한 블록체인 기술의 한계 등을 고찰⋅분석하고자 하다. 이러한 고찰⋅분 석에 의하여 지적재산권과 관련된 블록체인 기술 및 그 장단점 등을 이해함으로써, 한국에서 블록체인 기술이 지적재산권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전개되기 위한 요건을 간접적으로 제시하고자 하다.

      • KCI우수등재

        블록체인 기반 전자거래의 법률문제

        정진명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1

        블록체인은 차세대 핵심 IT기술로 거론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은 아직 발전단계에 머물고 있으며 실제 활용 사례도 많지 않지만 다양한 영역에서 그 활용이 시도되고 있다. 블록체인은 P2P 방식의 네트워크, 분산원장, 공개키 암호화 기술, 그리고 합의알고리즘으로 구성되며, 블록체인의 가장 큰 장점은 분산형 구조이기 때문에 신뢰할 수 있는 제3자가 필요하지 않아 거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은 산업 및 공공서비스 분야에서 그 활용이 시도되고 있으며, 기술적인 구조 측면에서 개인정보보호법, 정보통신망법, 전자문서법 및 전자서명법 등의 적용이 문제된다. 현재 국회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전자적 형태로 작성된 문서가 전자문서법에 따른 전자문서인지 여부가 명확하지 아니하므로 이를 입법적으로 해결하려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과 전자거래 관련 법규범의 충돌은 블록체인 기술 자체에서 발생한다. 블록체인은 기본적으로 거래정보를 분산하여 저장하며, P2P 방식으로 자유로이 유통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전자거래의 플랫폼으로 적합하다.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블록체인의 구조 및 활용 영역도 매우 다양하여 일률적으로 법률문제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술이 전자거래 관련 규범에 대하여 어떤 영향을 미칠지, 전자거래 관련 규범은 이를 어떻게 수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 연구는 블록체인의 가장 원형적인 형태인 공개형 블록체인을 대상으로 전자거래 관련 법적 이슈를 검토하였다. 폐쇄형 블록체인 및 컨소시엄형 블록체인은 그 구조가 더욱 다양할 뿐만 아니라 그 사용 양태도 상세하게 알려진 것이 많지 않아 기본적인 유형의 법적 이슈만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블록체인의 고유한 특성은 전자거래 관련 규범뿐만 아니라 개인정보 보호 관련 규범, 암호화폐 관련 규범과의 관계에서 충돌을 발생시키고 있지만, 이 연구는 국내에서는 전혀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전자거래 관련 법률문제만을 검토하였다. Blockchain is being discussed as the next-generation core IT technology. Blockchain technology is still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there are not many practical use cases, but its application is being attempted in various areas. Blockchain consists of peer-to-peer network, distributed ledger, public key encryption technology, and consensus algorithm. The biggest advantage of the blockchain is its decentralized structure, which eliminates the need for a trusted third party, resulting in lower transaction costs. Accordingly, blockchain is being applied in the industrial and public service fields, and the appl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 law, electronic document law, and digital signature law is problematic in terms of technical structure. At present, it is not clear whether a document written in electronic form using blockchain technology is an electronic document according to the electronic document law. Therefore, the legislature proposes a legislative proposal to resolve this legislatively. Conflicts between the blockchain technology and the laws related to electronic transactions occur in the blockchain technology itself. Blockchain basically distributes and stores transaction information and has a structure that is freely distributed in a P2P manner, making it suitable as a platform for electronic transactions. However, blockchain technology is changing rapidly, and the structure and application areas of blockchain are so diverse that it is not easy to extract and analyze legal issues uniformly. Therefore, there is a discussion about how blockchain technology will affect e-commerce related norms and how e-commerce related norms will be accepted. This study examines legal issues related to e-commerce in the open blockchain, the most prototype form of blockchain. Closed blockchains and consortium-type blockchains are not only more diverse in structure, but are not well known in detail, and only basic types of legal issues will be considered. Furthermore,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blockchain are causing conflicts in relation to the norms related to electronic transactions, norm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norms related to crypto currency. However,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only legal issues related to e-commerce that have not been discussed in Korea at all.

      • KCI등재

        블록체인의 진화, 현황, 그리고 미래 - 미국의 시장상황을 중심으로 -

        정영훈 ( Jeong¸ Yeonghun ) 한국지급결제학회 2021 지급결제학회지 Vol.13 No.2

        블록체인 기술이 없이는 암호화폐가 실현되지 않았음은 물론 암호화폐 없이는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이 없었던 것도 사실이다. 가상화폐가 사회에서 인지되기 시작한 지금, 이제 블록체인 기술은 어디로 갈 것인가? 필자는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에는 두 가지 방향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하나는 블록체인 기술 자체의 진화이다. 전 세계에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행해져 차례 차례로 새로운 블록체인이 만들어지고 있다. 그런 예 중 하나가 Ethereum(이더리움)이다. Ethereum은 비트코인과 마찬가지로 암호화폐를 다루는 블록체인인데, 그 구상에 ‘세계계산기’라는 표제를 붙여 (비디오), 블록체인 상에 프로그램을 기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암호화폐에 의한 자금조달 및 재분배 규칙을 기술한 DAO(비중앙집권형 자율조직)라 불리는 프로그램이 만들어져 블록체인 상에 주식회사와 같은 구조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는 IPO(주식상장)를 모방한 ICO = Initial Coin Offering이라고 불리는 스킴이 행해지고 있어, 새로운 자본조달 플랫폼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혁신성으로 인해 현재 비트코인 다음으로 유명하고 시장 평가액이 높은 암호화폐가 되고 있다. 그 외에도 예를 들어 블록체인 상의 트랜잭션을 암호화하여 이해관계자 이외에 은닉하고 자금이동을 전혀 추적할 수 없도록 한 암호화폐 Zcash나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고속화할 목적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블록체인 확장 기술, 여러 암호화폐의 블록체인 간 결제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 등 나날이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또 하나는 암호화폐에 머물지 않는 블록체인 기술의 산업응용이다. 본고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참가자가 일정한 규칙 하에 공동운영하는 변경이 불가능한 대장을 구축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분야에서의 응용이 검토되기 시작한 것이다. 예를 들어, 에너지 분야에서는 각 가정에서의 전력사용량 기록, 암호화폐에 의한 사용요금 징수, 나아가 전력소매 및 자가발전에 의한 전력매매까지를 일체화하여 블록체인 상에서 실시하는 방안이 미국에서 검토되고 있다. 또한 의료분야에서는 전자 진료기록카드용 블록체인을 구축함으로써 관련 의료기관과의 연계, 환자 자신의 치료경과정보 공개, 진료보수 청구, 개인정보를 은닉한 연구원에 대한 임상정보 개방 등과 같은 것을 가능하게 하자는 아이디어도 있다. 그리고 민간에서 그치지 않고 정부기관이 블록체인 기술에 착안하고 있다. 정부기관에서는 등기, 징세대장, 전자투표 등 사람이나 조직이나 자산을 관리하는 다양한 대장이 존재하지만 이들 모두 일체의 변경이 허용되지 않고 투명성이 요구되며 변경기록을 하나하나 남겨나가는 것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과의 친화성이 매우 높아 오직 정부기관용 블록체인 솔루션에 주력한 스타트업이 존재할 정도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블록체인 기술이 탄생한 계기, 그 구조,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 언급한 내용은 그 전모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암호화 폐와 함께 생겨난 블록체인 기술은 발명된 지 이미 여러 해가 지나 이제 사회의 기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 자체는 무에서 갑자기 생겨난 것이 아니며 아주 난해한 신기술도 아니다. 어디까지나 지금까지 존재하고 있던 요소 기술의 집합이며, 그 치밀한 편성의 묘에 의해서 행해진 결정이다. 그렇기 때문에, 새로운 요소를 첨가해 또 응용범위를 바꾸어 본다고 하는 대처가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어 그 경쟁의 기세는 지금도 멈출줄을 모른다. 본고의 연구가 블록체인 기술에 관심을 갖는 연구공동체에 기여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며 새로운 이노베이션을 향한 계기가 되기를 원한다. It is also true that cryptocurrency would not have been realized without blockchain technology, and that there would have been no development of blockchain technology without cryptocurrency. Now that virtual currency has been recognized by society, where will the blockchain technology go? I think there are two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blockchain technology. One is the evolution of the blockchain technology itself. R&D is actively conducted around the world, and new blockchains are being created one after another. One such example is Ethereum. Ethereum, like Bitcoin, is a blockchain that handles cryptocurrencies, and the concept is titled ‘World Calculator’ (video), allowing programs to be described on the blockchain. As a result, a program called 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that describes the rules for financing and redistribution by cryptocurrency was created, making it possible to create a corporation-like structure on the block chain. Recently, a scheme called ICO = Initial Coin Offering that mimics IPO (stock listing) is being conducted,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capital raising platform. Due to this innovation, it is now becoming the second most famous and highly valued cryptocurrency after Bitcoin. In addition to this, for example, Zcash, a cryptocurrency that encrypts transactions on the block chain to hide it from other stakeholders and makes it impossible to track the movement of funds at all, or a block chain extension technology that is being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speeding up the Bitcoin network, several cryptocurrencies New technologies are emerging day by day, such as protocols that enable payments between blockchains of money. Another is the industrial application of blockchain technology that does not stop at cryptocurrency. As seen in this paper, using blockchain technology, it is possible to build an immutable ledger that participants jointly operate under certain rules. By utilizing this, applications in various fields have begun to be reviewed. For example, in the energy field, a plan in the United States is being considered in the United States to integrate electricity consumption records at each household, collection of usage fees by cryptocurrency, and even electricity retail and electricity sales by self-generation in the United States. Also, in the medical field, the idea of building a block chain for electronic medical record cards to enable linkage with related medical institutions, disclosure of patient’s own treatment progress information, billing for medical treatment fees, and opening of clinical information to researchers who have hidden personal information there is also And not only the private sector, but also government agencies are paying attention to blockchain technology. In government agencies, there are various ledgers that manage people, organizations, or assets, such as registration, collection book, and electronic voting. The affinity with blockchain technology is so high that there are startups that only focus on blockchain solutions for government agencies. This study reviewed the origin of blockchain technology so far, its structure, and the direction of its future development. However, the content mentioned in this paper is only part of the whole picture. Blockchain technology, which was created along with cryptocurrency, has already been invented for many years, and now has an impact on the foundations of society. However, the blockchain technology itself did not come out of nowhere, nor is it a very difficult new technology. It is a collection of elemental techniques that have existed until now, and it is a decision made by the meticulously organized grave. Therefore, the action of adding new elements and changing the scope of application is being actively carried out, and the momentum of the competition is still unstoppable.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of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research community interested in blockchain technology,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for new innovation.

      • KCI등재

        블록체인 기술과 활용 연구

        이새봄(Sae Bom Lee),박아름(Arum Park),송재민(Jaemin So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6 No.2

        블록체인은 네트워크상에서 기록된 데이터들이 하나의 블록 단위로 수집되어 저장되며 앞뒤로 연결되어 저장되도록 고안되었고, 그 형태가 블록들이 연결되어있는 모습과 비슷하므로 블록체인이라 불리게 되었다. 많은 기업이 국내외적으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를 대중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산업에서 블록체인이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블록체인의 기술적 특징을 소개하고 블록체인을 활용한 응용 서비스들을 다룬다. 블록체인의 아키텍처와 핵심기술 5가지를 소개하고 결제서비스와 블록체인 서비스 네트워크, 블록체인 부동산 플랫폼, 신원확인, 암호화폐, 다이아몬드 유통경로 추적, 블로그 정보 기록에서 활용되고 있는 블록체인 응용 서비스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블록체인의 이해를 높이고 향후 블록체인 연구 및 서비스 개발에 유용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Blockchain is designed to collect and store the data recorded on the network in one block unit, and is connected and stored back and forth, and its form is similar to how the blocks are connected, so it is called a blockchain. Many companies are trying to popularize blockchain-based services at home and abroad, and blockchains are used in various industries. This study introduce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blockchain and deals with application services utilizing the blockchain. Introducing 5 types of blockchain architecture and core technologies and introducing blockchain application services that are used in payment services, blockchain service networks, blockchain real estate platforms, identity verification, cryptocurrency, diamond distribution path tracking, and blog information recording. do.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blockchain and provide usefulness in future blockchain research and servic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