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상 : 근대 전환시기 최한기와 니시 아마네의 학문관 비교

        임태홍 ( Tai Hong Lim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동양문화연구 Vol.22 No.-

        이 연구는 최한기가 주자학과 실학적인 전통위에 자신의 학문세계를 구축한 점을 주목하고 니시 아마네의 경우는 일본 고문사학파의 학문, 즉 소라이학적인 전통 위에 학문을 구축하였다는 점을 주목하여 두 사람의 학문세계를 비교, 고찰하였다. 조선의 실학과 일본 에도시대의 소라이학은 모두 주자학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학문으로, 실학은 주자학의 큰 틀과 사상체계를 거부하지 않았으나, 소라이학은 주자학의 패러다임을 정면으로 부정하면서 등장한 사상이다. 즉, 실학은 리와 태극을 중심으로 한 주자학의 형이상학적 담론을 거부하고 실증적이며 현실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사실과 현상에 관심을 가졌다고 한다면 소라이학은 통일적인 원리를 부정하고, 하나의 절대적인 대명제를 거부한다는 점에서 귀납적인 진리의 추구와는 거리가 멀다. 고대에 사용된 어떤 단어의 진정한 개념을 찾아내 그것을 다른 문장을 읽는데 활용하는 일이나, 고대의 진실한 도(道), 즉 선왕의 가르침을 찾아내 그것을 현실의 여러 상황에 대응시켜나가는 일은 연역적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최한기와 니시가 각각 실학과 소라이학으로부터 받은 영향은 그 내용보다는 이러한 방법론상의 영향이었다고 할 수 있다. 최한기의 기학은 실용적인 여러 학문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자 한 성격이 강하다. 중국의 이학(理學)과 심학(心學)이 거대한 사상 체계를 구축하였듯이 그의 기학도 하나의 대명제를 중심으로 거대한 학문 체계를 조직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니시의 양학은 새로운 학문 체계의 구축보다는 서구 문명의 사상과 학문을 있는 그대로 순수하게 수용, 전달하고자하는 경향이 강했다. 니시가 서양어의 번역에 특히 힘을 썼던 것은 일본사회에 서구 문명의 참모습을 그대로 전하고자 하는 의지가 강했기 때문이다. This paper compares between Choi, Hangi``s view and Nishi Amane``s view on learning. Choi, Hangi structured his world of learning upon the academic tradition of Neo-Confucianism and Silhak, whereas Nishi Amane built his scholarship on the tradition of Kobunjigaku founded by Ogy Sorai. Both Silhak of Joseon and Soraigaku of Japan were created in the course of overcoming the problems of Neo-Confucianism. However, there is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hools. One did not refused the paradigm or the system of the Confucian philosophy of Song times, but the other aggressively controverted it. Scholars of the Silhak school disapproved of the metaphysical discourse of Neo-Confucianism, and had interests in the realistic problems. They also were concerned about the concrete facts and phenomena. This tendency might be similar to the inductive approach to the truth, or first principles. Those who belong to Sorai school, however, disclaimed a unified principle for the universe, or all creation. Their approach for true principles was a long way from inductive method. It was near the deductive reasoning. The effects to the thoughts of Choi and Nishi from the Silhak and Soraigaku was the method of learning, not the contents. Kihak of Choi, Hangi was a compilation of the various practical studies of East and West. His Kihak aimed at for the construction of the great ideal system focusing on the great principle, as if the Lixue and Xinxue of China did. Yougaku, the western learning, of Nishi Amane, however, intended to grasp the genuine thought and learning of Western civilization and to convey to the society of Meiji Japan just as it was. Consequentially, Nishi gave his best to the translation of Western culture.

      • KCI등재

        근대초기 일본 양학(洋學)수용의 유교적 맥락 -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의 도나리구사(鄰草)를 중심으로 -

        김도형 한국일본학회 2014 日本學報 Vol.99 No.-

        본 논문은 메이지 초기의 대표적인 계몽주의자이자 양학자였던 가토 히로유키(加藤弘之)의 처녀작 『도나리구사(鄰草)』에 나타난 유교적 맥락을 살펴본 것이다. 최근 메이지 초기의 계몽주의, 특히 메이로쿠샤(明六社)류 계몽주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특히 메이지 초기의 지적 상황을 서구적인 것과 전통적인 것이 공존하며 ‘겹쳐진’ 상태로 바라봄으로써 그 시기 지식인들의 다양성을 드러내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가토 히로유키 역시 그 시기를 대표하는 지식인 중 한 사람으로, 특히 그의 처녀작 『도나리구사』는 일본에서 최초로 입헌정체를 본격적으로 소개한 책자로 유명한하다. 본 논문에서는 거기에 나타난 서구지식의 수용이 유교적인 교양, 특히 ‘천(天)’과 같은 형이상학적 요소에 의해 규정되면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가토의 경우는 당시 지식인들이 기본적으로 유교적인 소양 위에서 양학을 수용하는 ‘겹쳐서 보는’ 시선을 지녔음을 확인하는 데에 좋은 사례를 제공해준다. 이로부터 기존 사상사연구에서 흔히 취해 왔던 전통vs근대의 구도로부터 설명할 수 없는 막말-메이지 초기 지식형성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존의 ‘서구지식 수용에 방해가 된 유교’라는 관점에서 벗어나 두 가지 지식의 맥락이 어떻게 길항하며 서로에게 영향을 끼쳤는가를 살펴볼 수 있는 단서를 마련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Kato Hiroyuki(加藤弘之) is a typical bureaucrat of knowledge in Japan who was active during the late Tokugawa and the subsequent Meiji periods. In Japan, Kato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pioneers of Western thought, although existing research has revealed his thoughts to have been influenced in ways that are perceived to be undesirable. For example, he was known as a “government-patronized studies” due to the similarity of his beliefs to those associated with fascism. Kato's academic tendency has been criticized from the point of view that it depends on “the misuse of Western thought”, or a “misunderstanding on acceptance.” Existing research attempted to explain Kato’s way of thinking in terms of ‘Confucianism’. Looking at it from another point of view, this research considers Confucian cultures and their influence on Kato's thought formation, and how it changed as a consequence of his acceptance of Western thought. Like most intellectuals of the time, Kato had been taught Confucianism from a young age. For him, the inner subconscious of the Confucian cultures (for example, 'the heaven') performed the role of a “universal discipline” acting as recipient for Western thought. This study enabled us to confirm the coexistence of traditional and modern knowledge in Kato's thought, evidence of the “overlapped look”, a point of view that has often been considered confrontatio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