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退溪와 陽明의 修養論 비교를 통한 朝鮮朝 陽明學의 未擴散 원인 고찰

        강보승 한국유교학회 201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8

        This paper compared perspective of Yi Toegy and Wang Yang-ming on the problems of knowledge and practice. It came out that Yi Toegye’s contention and criticism overlooked the stage of research of good through comparison. And it was inferred that practicability in Yi Toegye’s self-discipline theory was one of causes why Wang Yang-ming failed to spread out in the 16th Century Chosun Dynasty. In other words, since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puts emphasis on inherent knowledge and skips the stage of research of good and neglects gaining knowledge by the study of things which means quest for objective knowledge, it was criticized by Yi Toegye. However, there are some similarities between them: ethical nature of human being in which Yi Toegye emphasized is similar to inherent knowledge suggested by Wang Yang-ming. And Yi Toegye emphasized the practice in everyday life, Wang Yang-ming stressed prompt practice in work and behavior in everyday life as well too. Therefore, scholars during Joseon period opposed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in terms of knowledge whilst it was similar with philosophy of Yi Toegye in the respect of practice. There was no need to conduct research on philosophy of Wang Yang-ming for them. Self-discipline theory by Yi Toegye and Wang Yang-ming is established on the respective discipline and life experiences. With respect to life and experience of Yi Toegye and Wang Yang-ming, it can be understood that Wang Yang-ming acknowledge that knowledge and practice are separated logically. And it’s understandable why Yi Toegye made his study separating the knowledge and practice though he practiced discipline consistently regardless of when nothing happens or something happened. 본고에서는 知와 行의 문제에 대한 退溪와 陽明의 관점을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明善과 誠身의 측면에서 退溪가 제시하는 知와 行의 문제를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퇴계의 양명학 비판 초점이 善을 밝히는[明善] 단계를 간과한 점에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退溪의 수양론이 가진 실천성이 16세기 조선에서 陽明學이 확산되지 못한 원인 중 하나임을 유추하였다. 즉, 陽明學은 良知를 강조하여 明善의 단계를 생략하고 格物窮理의 객관지식 탐구를 소홀히 하는 점에서 退溪의 배척을 받는다. 하지만 퇴계가 강조하는 주체의 도덕 본성이 양명이 제시하는 良知에 비견될 수 있고, 居敬으로 수양론을 일관하는 것이 致良知로 수양을 일관함과 유사하다는 점, 그리고 退溪가 日用平常에서의 실천을 강조했듯이 陽明도 事上磨鍊의 일상적이고 즉각적 실천을 강조한 점 등에서 유사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退溪 당대의 조선 학계는 知의 측면에서는 陽明學을 부정하였고, 行의 측면에서는 退溪學과 陽明學에 유사성이 있었으므로, 결과적으로 陽明學 수용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였던 것이다. 退溪와 양명의 수양론은 각자의 수양과 삶의 경험을 토대로 수립된 것이다. 퇴계와 양명의 삶과 경험을 통해서 볼 때 陽明이 논리적으로는 知와 行이 나뉨을 인정하면서도 현실의 실천과 수양에 있어서 知와 行이 나누어져서는 안 된다고 한 것과, 退溪가 居敬으로 動時와 靜時가 일관된 수양을 추구하면서도 앎과 실천을 明善과 誠身으로 분리하여 인식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필연적 귀결이기도 하다.

      • KCI등재

        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4) - 박세채의 「왕양명학변」을 중심으로 -

        전수연 ( Jeon Su-yeon ),김민재 ( Kim Min-jae ),김용재 ( Kim Yong-ja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소론의 영수로 지목되었던 남계 박세채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살펴보는 것이다. 17~18세기의 조선에서는 예학에 대한 주자학적 관점의 천착과 동시에 탈주자학적 경향의 학풍이 일어나고 있었다. 그리고 학술적 견해 차이에 근거한 시대 인식으로 인해 사대부 간의 갈등과 분화 역시 한층 심해지고 있었다. 조선 학계에서 양명학은 육구연의 심즉리 계보를 계승한 것으로 판단되어, 이황의 양명학 비판 이후로 줄곧 ‘선학(禪學)’으로 치부되었다. 이런 상황에 더하여 박세채는 육왕학이 유행한 이후로 명나라의 유풍(儒風)이 일어나지 못한 것을 보면서, 조선도 명나라처럼 되는 것이 아닐까 우려했다. 이 같은 이유로 박세채의 학문성향은 도통을 중시하는 벽이단적 성향을 띄게 되었다. 한편 그의 제자인 정제두는 홀로 양명학을 탐독한 후 이를 토대로 학술체계를 세웠으며, 자신의 견해를 스승인 박세채에게 전하였다. 정제두가 학술체계를 세운 만큼 박세채도 논리적으로 대응해야 했는데, 그 결과물이 바로 「왕양명학변」이다. 「왕양명학변」에서 박세채는 『대학고본』, 「대학문」, ‘치양지’, 「주자만년정론」을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변론을 진행한다. 이것은 양명학의 출발점과 집대성, 다시 말해 양명학과 주자학이 괴리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던 왕수인의 학술 전개 과정 전부를 변척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또한 ‘격물’에서부터 양명학의 요체인 ‘치양지’에 이르기까지 왕수인의 문집으로부터 선별한 전거를 제시하고 그에 대해 반박하면서 치밀하게 비판하고 있다. 박세채의 양명학 비판도 비록 이황의 변척과 마찬가지로 ‘양명학은 선학이다.’라는 관점으로 귀결되지만, ① 치양지에 대한 분석이 시도된 점, ② 왕수인 만년 시기의 저술을 비판의 대상으로 선정한 점, ③ 양명학에 대한 비판을 왕수인의 문집까지 탐독한 후 도출하였다는 점 등에서 차별성을 확보한다. 결과적으로 박세채의 변척은 오히려 정제두가 양명학에 대한 고유한 이론체계를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양명학을 대표하는 강화학파가 형성되는 데도 일정 부분 기여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ritical perception of Yang-Ming Studies by Park Se-Chae(朴世采), who was pointed out as the leader of "Soryon(小論)".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Joseon had a Neo-Confucianism(朱子學), view of Ritual theory (禮學) and at the same time a Post Neo-Confucianism(脫朱子學) trend was taking place. Therefore, the conflict and differentiation between the nobility were also intensifying due to the perception of the times based on academic differences. In Joseon academia, Yang-Ming Studies was regarded to have inherited Lu Jiuyuan's(陸 九淵) Xinjili(心卽理), and had been dismissed as a Soenhak(禪學) ever since Yi Hwang'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In addition to this situation, Park Se-Chae was concerned that Joseon would become like Ming Dynasty, seeing that the Confucianism of the Ming Dynasty had not flousrished since Lu-Wang xue(陸王學) became popular. For this reason, Park Se-Chae's academic tendency had grown to reject heresy, which valued Confucian Orthodoxy(道統) Meanwhile, his disciple Jeong Je-Du(鄭齊斗) studied Yang-Ming Studies by himself and established an academic system based on it, delivering his views to his teacher, Pak Se-chae. As Jeongjedu(鄭齊斗) established an academic system, Park Se-Chae had to respond logically, and the result was the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王陽明學辨)". In the "Wang Yangming's Scholarly Discrimination" Park Se-Chae conducted a series of arguments for the "the Ancient Text Daxue(古本大學)", "Daxuewen(大學問)", "Zhiliangzhi(致良知)" and "Zhu xi in later life(朱子晩年定論)". This is a criticism of Wang Shouren(王守仁)'s entire academic development process, which was intended to solve the problem of Yang-Ming Studies's starting point and collectivity, the gap between Yang-Ming Studies and Neo-Confucianism. He, Park Se-Chae, also presented selected premises from Wang Shouren's collection of writings and refuted them carefully, ranging from "Gewu(格物)" to "Zhiliangzhi" a key element of Yang-Ming Studies. Park Se-Chae's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also came down to the perspective that 'Yang-Ming Studies is Soenhak’ as Yi Hwang's alteration. However, the following three distinctions had been ensured : ① the analysis of 'Zhiliangzhi' was attempted, ② Wang Shouren's works were selected as a target of criticism, ③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was derived after reading Wang Shouren’s collection of writings. As a result, the transformation of Park Se-Chae rather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Jeong Je-doo to develop his own theoretical system for Yang-Ming Studie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Ganghwa school(江華學派) representing Korean Yang-Ming Studies.

      • KCI등재

        왕양명 양지설의 장횡거 기론적 해석

        김혜수(Kim, Hye-Su) 한국양명학회 2015 陽明學 Vol.0 No.41

        본 연구는 장횡거(張橫渠) 기론(氣論)과 왕양명(王陽明) 양지설(良知說)의 구조적 유사성을 기초로 장횡거 기론에 대한 양명학적 변용을 해명하는데 있다. 여기서 필자는 송명유학의 본질이 도덕형이상학의 구축에 있으며, 이런 관점에서 왕양명의 양지설은 장횡거 기론을 토대로 발전된 이론이라고 파악했다. 사실 장횡거의 기론은 객관적 현상세계를 구성하는 ‘기(氣)’를 바탕으로 인간의 본성을 설명하고 그 도덕적 의미를 제시하려는 시도이고, 왕양명의 양지설은 도덕실천주체로서 인간의 도덕본심에 초점을 두고 ‘양지(良知)’의 이론을 전개하면서 동시에 ‘양지’로써 만물일체를 이루는 도덕이론을 구축하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장횡거와 왕양명의 학문체계는 그 방법론적 차이가 명확하게 드러난다. 하지만, 송명유학의 본질과 도덕형이상학의 구축이라는 시각에서 보면, 장횡거는 ‘기’를 본체와 작용으로 구분하여 천도가 유행하는 우주생성변화의 자연법칙이 인간 본성의 도덕법칙과 동일함을 강조하면서, ‘천도(天道)’와 ‘성명(性命)’이 하나로 관통하여 만물일체가 되는 도덕형이상학을 구축했고, 왕양명은 ‘양지’를 인간의 도덕본체로 삼고 그 도덕본체의 작용을 통해 나와 만물이 ‘양지’로써 일체가 되는 도덕형이상학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장횡거와 왕양명이 바라보는 송명유학의 본질은 서로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필자는 왕양명이 양지설을 확립할 때, 장횡거의 ‘태허(太虛)’와 ‘기’, 그리고 체용(體用)관계의 이론구조를 수용하여 전개했다는 점에서 왕양명의 양지설을 장횡거 기론의 양명학적 변용으로 이해하였다. 따라서 왕양명이 자신의 독창적인 양지설을 확립하는 데 장횡거의 기론은 왕양명에게 적지 않은 사상적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explain the transformation of Yang-ming studies based on structural Similarity of the Qi-theory(氣論) of Zhang Heng-qu(張橫渠) and the Liang-zhi theory(良知說) of Wang Yang-Ming(王陽明). This study understood that the essence of Song-Ming Confucianism is to build a Moral Metaphysics. In this respect, this study judged that the Liang-zhi theory of Wang Yang-Ming had improved with the help of the Qi-theory of Zhang Heng-qu. Actually, the Qi-theory of Zhang Heng-qu explains human nature based on ‘Qi (氣)’ which composes objective the Phenomenal World and tries to suggest it’s ethical meaning. Meanwhile, the Liang-zhi theory of Wang Yang-Ming develop Liang-zhi theory with focusing the moral real intention as subject of moral practice and tries to build moral theory which form the Unity as Liang-zhi(良知). In this regard, the study system of Zhang Heng-qu and Wang Yang-Ming shows some methodological differences. But in essence of Song-Ming Confucianism and building of Moral Metaphysics view, Zhang Heng-qu built a moral metaphysics which became the unity by going through ‘Tian-dao(天道)’ and ‘Xing-ming(性命)’ with a emphasis on the same of the universe creation’s law of nature and human nature’s moral principles. Wang Yang-Ming made an human’s moral original substance of a Liang-zhi and built of Moral Metaphysics which made oneself and all creation into a Liang-zhi through the effect of moral original substance. In this respect, the essence of Song-Ming Confucianism of Zhang Heng-qu and Wang Yang-Ming could say that it have concurred with each other. Also, this study understood that the Liang-zhi theory of Wang Yang-Ming is a Psychological variant the Qi-theory of Zhang Heng-qu in that accepting the Zhang Heng-qu’s ‘Tai-xu(太虛)’, ‘Qi(氣)’ and ‘Ti-yong(體用)’ when Wang Yang-Ming established the Liang-zhi theory. So,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Qi-theory of Zhang Heng-qu have a strong influence on Wang Yang-Ming in establishing his creative Liang-zhi theory.

      • KCI등재

        조선 성리학자들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 검토(2)

        전수연,김민재,김용재 한국양명학회 2019 陽明學 Vol.0 No.5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ritical literatures of Yang-Ming studies left by Joseon's Confucian scholars, who used Zhu-Xi studies as the party of their studies and to examin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riticism of Yang-Ming studies that appeared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In this paper, the critical aspects of Yang-Ming studies by Yu Hui-chun and Ryu Sung-ryong, which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eriod of "deepening understanding of Yang-Ming studies," were reviewed based on the 〈Kyungyeon(經筵 ) Diary〉 of 《Mi-am-jip》and 《seo-aejip》. Yoo Hee-chun and Ryu Sung-ryong were Yi Hwang's writer who shared the scholarly recognition with the biblical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Contest Diary," Yu Hui-chun classified the studies of Xiang-shan and Wang Yang-Ming as the study of the lecture and criticized the philosophy, while Liu Sung-ryong's views revealed in 《Seo Ae-jip》 showed both positive and critical perceptions of Xiang-shan and Wang Yang-Ming, unlike Yoo Hee-chun. In 1573, when Wang Su-in was discussing the Confucian shrine, the two men entered the contest together, and reviewing what was discussed in the contest and the critical perception of Xiang-shan and Wang Yang-Ming, who were included in the two scholars' books. It was revealed that historical events such as personal academic exchanges and ‘Confucian shrine’ were affecting them. Furthermore, Ryu wrote critical writings with Yang-Ming studies-centric conceptual terms developing criticism of Wang Yang-Ming previous scholars, and showed Wang Yang-Ming's academic work as ‘a problem but new theory derived to correct social problems’. This fact is an essential review process for understanding the critical flow of Yang-Ming studies, as the recognition of Yang-Ming studies by Yoo Hee-chun and Ryu Seong-ryong which is a bridg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period of 'enhancing the atmosphere of the Yang-Ming studies' in the 'strengthening of understanding of Yang-Ming studies' period. 본 연구의 목적은 주자학을 학문의 종지로 삼았던 조선의 성리학자들이 남긴 양명학 비판 문헌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조선 시대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양명학 비판의 내용과 방식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논자들은 ‘양명학 이해 심화’ 시기의 학자들로 분류할 수 있는 유희춘과 류성룡의 양명학 비판 양상에 대해 『미암집』의 「경연일기」와 『서애집』 등을 토대로 검토하였다. 유희춘과 류성룡은 이황의 문인으로, 당대 조선의 성리학자들과 학술 인식을 함께 하였다. 유희춘은 육구연과 왕수인의 사상을 강서의 학문으로 분류하여 비판했던 반면, 류성룡은 육왕에 대해 비판적 인식과 긍정적 인식을 모두 드러내었다. 왕수인의 문묘 종사 논의가 이뤄지던 1573년경 유희춘과 류성룡이 경연에 함께 입시한 기록이 있으며, 경연장에서 논의된 내용과 두 학자의 저작에 드러난 육왕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검토한 결과, 개인적 차원의 학술교류 및 역사적 사건으로서의 문묘 종사 등이 그들의 양명학 비판 양상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류성룡의 경우에는 이전 학자들에 비해 한 걸음 더 나아가 양명학의 중심 개념어들을 사용하여 비판 글을 저술하였으며, 왕수인의 학문을 사회적 문제를 바로잡고자 도출된 ‘문제는 있으나 새로운 학설’로 인식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상과 같은 사실들은 유희춘과 류성룡의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양명학 이해 심화’ 시기에서 ‘반양명학 분위기 강화’ 시기로 이행하는 데 가교 역할을 하였음을 드러내고 있으며, 따라서 조선의 양명학 비판 흐름을 파악하는 데 있어 필수 불가결한 검토 과정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陽明先生遺言錄』에 나타난 왕양명의 사상

        장귀용,최재목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5

        After the death of Yang Ming, his student, Qian De Hong, collected his tutor’s analects from those who studied under Yang Ming. Yang Ming’s other student, Zeng Cai Han, basing on Qian’s collected analects and other records, wrote “Yangming Xiansheng Yiyanlu(陽明先生遺言錄)”(below “Yi Yan Lu” ). “Yi Yan Lu” was included in the “lǘdongben” of The Collected Works of Yang Ming, and a handwritten facsimile of the book, combined with another book, remains in Tohoku University, Japan. According to Jeon Seup Rok’s Jeondeok postface, the “Yi Yan Lu” was created by Zeng Cai Han through Qian De Hong’s first edition of the book, which was passed to him by the students of Yang Ming. The “Yi Yan Lu” was read in its original form, or in the form of reedited by Qian De Hong, and the publication of the book took nearly 30 years. Afterwards, due to the recommendations from the QiZhou(蕲州) region’s inspection and others, Qian De Hong reedited the book based from existing analects of Yang Ming, culminating with the publishing of the “Chuan Xi Lu(傳習錄)”. The “Yi Yan Lu” is the second book of the “Chuan Xi Lu”. Therefore, we can consider the “Yi Yan Lu” not as Yang Ming’s ideology as edited by Qian De Hong, but as an accurate record of the actual analects of Yang Ming. The “Yi Yan Lu” contains two volumes with a total of 110 articles, 55 articles each, of which 38 articles overlap with the contents of “Chuan Xi Lu” (1 article in Volume 1, 37 articles in Volume 2). Therefore if we compare “Chuan Xi Lu” with the Testament, we can learn Yang Ming’s ideology before they were edited in the formation of the “Chuan Xi Lu”, and also gain insight on Qian De Hong’s understanding of Yang Ming’s ideology. For this reason,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Yi Yan Lu” and finding its meaning has high bibliographical value in studying the Wang Yangming school. This paper does not deal with all 110 articles of the Testament, but only with the 37 articles that overlap with Volume 2 of the “Chuan Xi Lu”. These 37 articles can b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The first category is composed of articles that coincide entirely with passages in the “Chuan Xi Lu”(including some differences in sentences), the second category with some differences in content, the third category on articles that record the same events differently, and the fourth category on articles with several deleted or added paragraphs. This paper divides the 37 articles into four categories and analyzes thei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also analyzes several representative clauses deleted from the “Chuan Xi Lu”. Through this analysis, we can see Yang Ming’s characteristic practical ethics, and contrast with neo-Confucian thought as the “Yi Yan Lu” was edited into the “Chuan Xi Lu”. This paper also elucidates on how Yang Ming school defends itself against Buddhist and Taoist criticisms from the neo-Confucian school. 양명사후에 그 제자 전덕홍은 양명문하생들로부터 양명의 어록을 모았다. 그리고 양명의 제자 曾才漢이 그 어록집을 토대로, 기타 기록들을 모아서 간행한 책이 바로 『遺言』이다. 『遺言』은 『陽明先生遺言錄』(이하 『유언록』)으로 통용된다. 『유언』은 『양명문집』 閭東本에 수록되어있으며, 일본 東北대학에 이 閭東本의 『遺言』을 필사한 것으로 보이는 『陽明先生遺言錄』이 『稽山承語』와 합본되어서 남아있다. 『傳習錄』의 「전덕홍발문」을 근거로 해서 보면, 양명 문하생들에게서 전덕홍의 1차 찬집을 거쳐 증재한에 의해 탄생한 『유언록』은 遺言 자체로 읽히거나 전덕홍에 의해 재편집 되어 간행된 『전습속록』으로 읽혀왔다. 그 기간은 『전습록』이 완전히 간행되기 전까지 약 30년이었다. 이후 蘄州 지역의 深思畏 등의 건의로 전덕홍이 기존의 어록을 재수정하여 『전습록』을 간행하게 되었다. 『유언록』은 『전습록』 권하에 해당한다. 따라서 『유언록』은 전덕홍에 의해 편집된 양명의 사상이 아닌, 실제 양명의 언설에 가까운 기록이라고 볼 수 있다. 이중 『유언록』에 수록된 권상, 권하 각각 55개 조목, 총 110개 조목 가운데 38개 조목이 『전습록』과 그 내용이 겹친다(권상과 1개 조목, 권하와 37개 조목). 그렇기 때문에 『전습록』, 『유언록』을 비교하여 살펴보면, 『전습록』의 편집과정에서 첨삭된 양명의 사상을 알 수 있고, 『전습록』의 편집자인 전덕홍의 양명사상에 대한 이해도 더욱 뚜렷하게 엿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유언록』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는 작업은 양명학연구에 있어 문헌학적으로 가치가 높다. 이 논문에서는 『유언록』의 110개 조목을 모두 다루지 않고, 『전습록』 권하과 내용이 겹치는 37개 조목에 대해서 다루고 있다. 이 37개 조목을 분류하면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그 내용이 일치하는 조목(일부 문장 표현이 다른 것을 포함), 둘째, 일부 내용이 다른 조목, 셋째, 동일한 상황을 다르게 기록한 조목, 넷째, 일부 단락이 제거되거나 추가된 조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37개 조목들을 위의 네 가지로 분류하고, 그 특징을 분석한다. 여기에 더해 『전습록』에서 제거된 조목 가운데 특징적인 몇 가지 조목도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유언록』에서 『전습록』으로 편집되는 과정에서 전덕홍이 양명 특유의 양명의 ‘心學’을 주자학과 어떻게 분별하는지 알 수 있다. 또한 주자학의 관점에서 비판할 수 있는 양명학의 불교적, 도교적 측면을 어떻게 방어하는지 또한 알 수 있다.양명사후에 그 제자 전덕홍은 양명문하생들로부터 양명의 어록을 모았다. 그리고 양명의 제자 曾才漢이 그 어록집을 토대로, 기타 기록들을 모아서 간행한 책이 바로 『遺言』이다. 『遺言』은 『陽明先生遺言錄』(이하 『유언록』)으로 통용된다. 『유언』은 『양명문집』 閭東本에 수록되어있으며, 일본 東北대학에 이 閭東本의 『遺言』을 필사한 것으로 보이는 『陽明先生遺言錄』이 『稽山承語』와 합본되어서 남아있다. 『傳習錄』의 「전덕홍발문」을 근거로 해서 보면, 양명 문하생들에게서 전덕홍의 1차 찬집을 거쳐 증재한에 의해 탄생한 『유언록』은 遺言 자체로 읽히거나 전덕홍에 의해 재편집 되어 간행된 『전습속록』으로 읽혀왔다. 그 기간은 『전습록』이 완전히 간행되기 전까지 약 30년이었다. 이후 蘄州...

      • KCI등재

        20세기 전반 베트남에서의 왕양명 철학에 관한 연구 상황과 그 의미

        르엉 미 번 한국양명학회 2022 陽明學 Vol.- No.64

        In the entire history of Vietnamese Confucianism, Wang Yang-ming’s thoughts and studies had almost no influence. But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re appeared some attention to Wang Yang-ming’s thoughts. That attention can be seen in Confucian scholars as well as new intellectuals and researchers who received Western educa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ed at discovering why that attention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what it meant to the Vietnamese history of thought. To answer those questions, the author briefly considered the condition of Vietnamese Confucian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n examined papers, books and documents on Wang Yang-ming’s thoughts published during that time. This study include papers published in “Nam Phong” magazine, Dao Trinh Nhat’s book titled “Wang Yang-ming – who initiated the theory of the extension of Innate Knowledge and the doctrine of ‘unity of knowing and acting’”, Tran Trong Kim’s book titled “Wang Yang-ming and the theory of extension of Innate Knowledge”, Phan Van Hum’s book titled “Wang Yang-ming – his life and thoughts” etc., published from 1930s to 1944. The author considered situations and standpoints of those publications’ authors, as well as the time those books and papers were published, their contents, and etc. From that, the author tried to give some opinions concerning the reasons and meanings of the sudden appearance of attention to Wang Yang-ming’s thoughts in the early 20th century’s Vietnamese history of thought. According to the author, the underlying reason of that appearance can be found only if we see beyond the realm of thought. It is the very thirst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development of the then Vietnamese people. 베트남 유학사에 끼친 왕양명 사상과 양명학의 영향은 거의 없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20세기 전반에 이르러 왕양명 사상에 관심이 생겼다. 이 관심은 유학자나 새로운 지식인, 연구자, 유학 출신 학자나 서구 교육을 받은 학자 모두 보였다. 이 관심의 원인과 베트남 사상사에 의미는 무엇인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필자는 20세기 전반 베트남유학이 대면한 상황과 그 시대에서 등장한 왕양명 사상에 대한 논문ㆍ저서 등을 살펴보았다. 이것은 『남 펑』 잡지에서 실린 논문과 쩐 쩡 낌의 『왕양명과 치양지의 학』, 다오 찡 넛의 『치양지설과 지행합일설을 주장한 왕양명』, 판 반 훔의 『왕양명 생애와 학설』 등과 같은 1930년부터 1945년 이전까지 출판된 저술들이었다. 그 논문과 저술들을 작성한 저자의 출신과 사상적 입장 등, 그리고 저술들의 연대, 내용을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필자는 20세기 전반 베트남 사상사에 갑자기 일어난 왕양명 사상에 관한 관심의 원인과 의미에 대해 여러 의견을 제시한다. 필자에 의하면 이러한 관심은 첫 번째로 쇠퇴에 빠지는 유교의 반응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유교가 회복시키려고 하는 표상 하나였다. 두 번째, 왕양명 철학에 관심은 당시의 사상적 위기 가운데 새로운 것을 추구할 희망으로 여겨질 수 있다. 세 번째, 그 관심은 일본,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유신 과정이 만드는 일본의 번영에 관련되었다. 따라서, 그 관심이 생긴 것의 근본 원인은 실제로 사상적 영역에서 벗어나야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바로 민족 독립과 자강에 대한 당시 베트남 사람들의 갈망이었다.

      • KCI등재

        양명심학의 3대 강령

        선병삼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2

        본고는 크게 3부분으로 구성된다. 첫째 학문의 본령, 둘째 학문의 방법, 셋째 학문의 비전이다. 학문의 본령은 공부의 목적, 학문의 방법은 공부 방법, 그리고 학문의 비전은 공부의 달성 결과를 염두에 둔 표현이다. 학문의 본령으로 성인지학을 거론한 것은 양명심학의 목적이 성인지학임을 분명히 밝히고자 함이다. 양명학이 성인지학을 추구했다는 평가는 극히 상식적인 것 같지만 의외로 많은 경우 이에 대한 이해가 미묘하게 갈린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게 된 데에는 신유학의 발단인 송대 이학이 성학을 강하게 추구했다는 것이 상식이 된 마당에, 주자학을 비판한 양명학이 성학을 확고하게 추구했다는 것은 언뜻 보기에 타당한 주장처럼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학문의 방법으로 거론한 치양지가 양명학의 핵심 공부론임은 굳이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치양지 공부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에 있어서는 명대 양명후학들의 분화가 보여주듯이 다양한 견해가 병존한다. 본고에서는 두 가지 문제를 다루었다. 첫째는 주자가 卽物窮理說를 제창한 이유를 밝힘으로써 주자학 공부론과 양명학 공부론에 대한 기존의 ‘一存一廢’ 식의 지리한 논의를 반성해보고자 하였다. 둘째는 치양지 공부론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범하는 실수를 검토해 보았다. 이는 良知學을 올바로 이해하는 관건이기 때문이다. 학문의 비전에서는 양명심학 안에서 천지와 한몸이 되는 경지를 추구하는 仁의 철학을 살펴보았다. 통상적인 양명학 연구는 주자학의 안티테제로서 양명학의 의의 또는 한계를 논하는 것이 밑바탕에 깔려 있어서, 양명 철학 안에서 ‘萬物一體之仁’을 주목하는 경우는 비교적 제한적이었다. 본고에서 상정한 3대 강령들을 한편의 논문에서 다루는 작업은 필연적으로 철학 논문이 갖추고 있는 구체적이고 자세함의 미덕을 희생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대신에 양명심학의 전체적인 특징을 이해하고 그 핵심을 파악하고자 하는 비양명학 전공자들에게는 충분히 일독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This essay is dealing with Yang-Ming Studies’ fundamental ideas, which are the goal of learning, the cultivation theory, and the ultimate goal in Yang-Ming-Xin-Xue. The first, what is the goal of learning in Yang-Ming-Xin-Xue: It is generally accepted idea that the goal of learning in Yang-Ming-Xin-Xue is to be a sage. But there are different suggestions about the ideas above. The reason is like this: Zhu-Zi-Studies was eager to be a sage through its cultivation theory. Yang-Ming-Xin-Xue criticized the cultivation theory in Zhu-Zi-Studies. Therefore, some people don’t agree with the idea that the goal of learning in Yang-Ming-Xin-Xue is to be a sage. In this essay, I try to demonstrate that the goal of learning in Yang-Ming-Xin-Xue is to be a sage. The second, What is the major cultivation theory in Yang-Ming-Xin-Xue: The core cultivation theory is the Zhi-Ling-Zhi(Fulfillment Innate Knowledge of Goodness). For this, there is no question, but it is difficult how to learn and practice Zhi-Ling-Zhi in the daily life. I try to explain the right meaning and practice over Zhi-Ling-Zhi. The third, what is the ultimate goal in Yang-Ming-Xin-Xue: It is general method in examine Yang-Ming-Xin-Xue that is comparing with Zhu-Zi-Studies. So there is a natural tendency focusing on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y between Yang-Ming-Xin-Xue and Zhu-Zi-Studies. But If I say, what is the ultimate goal in Yang-Ming-Xin-Xue? That is the realization of Ren, Which is the harmony with all things in heaven and earth.

      • KCI등재

        李光의 陽明學 認識態度와 그 文學的 展開(1)

        손병국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1 No.-

        Since the time of it's foundation Cho-Sun Dynasty maintained a policy of supressing Buddhism and revering Confuciannism and held up human nature and natural philosophy as it's ruling ideological system. Neverthless by experienceing an precedented national crisis such as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Manchu War of 1636 international criticism against Chinese culture began to arise. And in the meantime contradictions in overall aspects of politics, economics and culture had been understood and desire to reform such cdntradictions began to be created. And such Phenomena can be said as steamming from re-affirmation of Chinese classics and Buddhism which were rejected by doctrine of Chu Tzu and can be discussed together with them was Philosophy of Wang,Yang Ming and Realistic School. Philosophy of Wang, Yang Ming was a subject of great interest during the late phase of King Suncho and Kwang Hae-Kun. And such Facts can be confirmed in writtings of many scholars who showed proclivity towards writtins of Wang,Yang Ming in and their acceptance of his theory on mind. Wang, Yang Ming showed a sympathetic attitude for it and this is a note worthy phenomena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f that time, Lee, Soo Kwang showed interest in Lee-Jee who was a leftist of Philosophy of Wang, Yang Ming. 본고는 이수광이 양명학에 대하여 어떠한 인식태도를 가지고 있었으며 그의 문학에서 드러나는 양명학적 요소는 무엇인가 하는 것을 살펴보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수광이 양명학을 수용하였다는 거론은 자주 있어 왔으나 그 구체적 모습에 대한 논의가 거의 없었다는 점을 직시하면서 그의 문집인 『芝峯集』과 『芝峯類說』을 통해 그 구체적인 모습을 찾으려고 하였다. 무엇보다 그의 문집에서 양명학에 대해 언급한 사실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점은 그의 양명학에 대한 인식태도를 엿볼 수 있는데 충분하다. 그리고 이수광과 같이 같은 시기를 살아간 문인으로서 양명학을 인식한 문인으로 거론되는 허균이 양명학에 대해 언급한 것이 소략한 데 비해 그는 적극적으로 양명학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있으며 갖추고 있는 양도 많다. 이수광이 양명학의 요체인 ‘心卽理’, ‘致良知’, ‘知行合一’에 대해서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었다.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주목한 것은 당 시대의 문인들이 객관적으로 그가 양명학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가 하는 관점이었다. 그 결과 동시대의 문인들의 글을 통해 그가 양명학을 받아들인 것에 대해 언급하고 있는 것을 통해 그의 양명학 인식에 대한 객관적 실체를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인식의 폭도 단순한 양명학에 머무른 것이 아니라 陽明左派 들을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그의 적극적인 양명학 인식은 『芝峯類說』 「儒道部」에서 心學을 다른 것 보다 앞에다 두고 있는 것에서도 확인되는데 아는 바로 心學이 양명학의 요지임을 염두에 두고 찬술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수광의 양명학인식은 다시 문학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는 明代의 公安派 문학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문학은 시대에 따라 발전하며 각 시대에는 그 시대의 독특한 특징을 지닌 문학이 있다고 하고서 문장은 마음에서 우러나온 것이어야 하며 ‘實得’과 ‘眞知’를 갖춰야 한다고 하였다. 이것은 李贄가 주장어린아이의 마음과 같은 童心, 곧 眞心이라는 말과도 상관되는 개념이 근저해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논문(論文) : 『연성동씨족보(連城童氏族譜)』에 보이는 왕양명(王陽明) 제자들의 산일 시문 고찰

        항선 중국사학회 2014 中國史硏究 Vol.91 No.-

        최근 몇 년 동안 양명학(陽明學) 연구는 새로운 활기를 찾고 연구가 심화되었다· 학계는 이미 왕양명(王陽明) 연구 영역에서 드디어 제1·2대 제자들과 일부 왕양명 유파에 대한 연구에까지 확대하고 있으며, 양명의 후학들은 양명학 연구의 주요 부분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나 양명 후학들의 문장 저술들의 산일이 심각하고 심지어 유실되어 학계에서는 최근 수년간 그들의 시문에 대한 수집과 고증을 진행하였지만 좀더 보충하고 수집할 여지를 갖고 있다· 복건성(福建省) 연성현(連城縣)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연성동씨족보(連城童氏族譜)』에는 왕양명 본인과 그의 동생 왕수제(王守弟)·왕수문(王守文) 및 전덕홍(錢德洪)·왕기(王畿)·왕간(王艮)·주득지(朱得之)·황굉강(黃宏綱)·증변(曾변)·위량정(魏良政)·위량기(魏良器)·장원충(張元沖)·황문환(黃文煥) 등 수많은 양명의 제자들이 주고 받은 시문(詩文)·동문전교시(同門傳敎詩)들이 많이 실려 있다· 그중 다수가 양명의 제자들이 왕양명의 “치양지(致良知)”설에 대해 논한 것이며, 또 양명 제자들의 시문 모두가 다른 문헌에서 발견되지 않던 것들이다· 이들 새로운 자료의 발견은 양명 후학들의 가정(嘉靖) 4년 전후의 활동과 사상 흔적들을 연구하는데 아주 소중한 것들이다· 이 논문은 이들 문헌을 처음 발굴하여 새 자료들을 집록하면서 간략하게 분석함으로써 그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새로운 자료들에 대한 체계적 분석과 고찰이 좀더 진행되면 장차 양명 후학 연구의 보다 깊은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academic research on Wang yang-ming community gradually expanded to the first and the second generation disciple· It becomes a component section of the study· However, the materials of Wang yang-ming community were stored badly or even lost· Even though the academia started to collect, but there are still further supplement and material space· Liancheng Tong Genealogy located in Liancheng library of Fujian province includes the Poetry and Literature of Wang Yang-ming School such as Wang yang-ming himself and his brother Wang Shoudi, Wang Shouwen and disciples, Wangji, Wanggen, Zhu Dezhi, Huang Honggang, Zenbian, Wei Liangzheng, Wei Liangqi, Zhang Yuanchong, Huang Wenhuan, which has involved the disciples’attitude towards Yangming`s “Conscience Says”· These Poetry and Literature have not been found in any other document cataloguing· The discovery of these new materials can help us to explore the activities and ideas of Wang Yang-ming School before and after Ming Jiajing four years (in 1525)· This article will unearth the documents for the first time· The new data will strongly promote academic research on Wang yang-ming community for the next study·

      • KCI등재

        朝鮮中期 文章家들의 陽明學 受容의 樣相과 意味

        申承勳(Shin Sheung-Hun)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4 동양한문학연구 Vol.20 No.-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양명학을 異端의 學說이라 규정하고 배척하였는데, 이는 양명학이 독립적이며 온전한 체계를 가진 학설로서 대접받기 이전부터 이미 학설로서 거론되는 자격을 박탈당하는 선입관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학문적으로나 사상적으로 성리학자들보다는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던 문장가들의 저술에 나타나는 양명학 내지 왕양명에 대한 언급이 당대의 사상계나 학술계에 양명학이 미쳤던 영향을 오히려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왕양명의 學說은 학설의 分岐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지만, 학문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기능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주장의 피력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그것은 왕양명 자신이 살았던 시대에 대한 학자로서의 부응이라는 의미에서 그러하다. 왕양명은 한 사람의 학자로서 또 역사 속의 한 시대를 살아간 자연인으로서 나름대로는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려고 했던 인물이다.   조선에 전해진 王陽明의 저술과 양명학에 관련한 서적을 읽은 當代의 文人ㆍ學者들은 새로운 사상에 매력을 느끼기도 하고, 정주학적 입장에서 이단으로 보아 배척하기도 하였다. 특히 이 시기의 문장가들은 學說과 思想의 차원에서는 양명학에 거리를 두고 있었지만, 文章과 事功의 차원에서는 매우 우호적인 시각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문장가들이 왕양명과 양명학에 관심을 가지고 수용한 의미는 고착화되지 않은 학문계의 유연한 생동감과 활기를 16세기 후반에서 17세기 전반기에 이르는 이 시기에서 찾을 수 있다는 데 있다고 하겠다. 그 수용의 양상은 兼採ㆍ?用의 모습을 띠고 있는데, 주자학에 대한 존숭을 버리지 않으면서도 새로운 사상에 대한 관심을 외면할 수 없었던 當代人들의 고뇌가 투영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The scholars of the doctrine of Chu-tzu(朱子學) in Chosun dynasty regarded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陽明學) as a teaching that did not confirm to Confucianism, and they rejected it. This fact acted on preconception that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陽明學) was deprived of qualification in doctrine, before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陽明學) was regarded as a theory that had a independent and sound system. Therefore the literary work of writers can show the influence on the society of scholarship realistically in those days.   The doctrine of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陽明學) is deeply meaningful not only scientifically but also socially. That"s why Wang, Yang-Ming(王陽明) lived not only as a great scholar but also as a natural human at that time. He did his best to live his significant life as a natural human, and put his theory in practice.   By the way, the doctrine of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陽明學) that was transmitted in Chosun, was not received ideologically, but it was received literally and in Sa-gong-hak(事功學). That appeared in the phase of Combined Choice(兼採) and Combined Use(?用).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