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신라 미술의 미의식

        정병모 慶州大學校 慶州文化硏究所 2006 慶州文化硏究 Vol.8 No.-

        Silla art went through many changes through a century, but there is a tradition that has not changed. It is the "preference for simple shape and the belief which considers divine image as beautiful." The former is the taste of Silla people and the latter is Silla people's faith in shape. Especially, the beauty of simplicity was pointed out by many scholars, and it established the common ground of Silla art. This represented Silla people's aesthetic sense of respecting the nature rooted in the nature. Minimizing artificial elements while bringing out natural element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Silla art. Changes by period in Silla art are examined in the aspec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art of northern countries, the influence of Buddhist art and the new trend of unified Silla. The foreign art which brought changes in Silla art for the first time was the art of northern countries As the art of northern countries was introduced to Silla, the original aesthetic sense of Silla which emphasized simplidty was changed to take on the trend of abstract beauty. I called this, the 'Abstract Realism.' Buddhism was introduced in Silla in 527, and it brought enormous changes to Silla art. While influenced by the Buddhist art of Goguryeo and Baekje, Silla developed international sense of art. In the 6th and 7th centuries, Silla art displayed a wide variety of styles from the kind image of Buddha which approached the public quite closely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metaphysical world. Silla art, influenced by the early Buddhism, can be summarized into the 'World of Humanism' for it has the familiar and humane disposition.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brought more changes to Silla art. While it followed the 'Ideal Realism Style' which was the common style of the East Asia including Tang, it incorporated the traditional sense of respecting the nature with the humanism of the ancient Silla to create a unique aesthetic sense of Silla. Silla art has both simplicity and internationality obtain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ulture. The simplicity is generally found in the early stages of history and is usually pushed aside or disappears when advanced and exotic sense of art is introduced, but it was kept even after the unification. This shows that Silla people preferred the beauty of simplicity as much as the beauty of refinement. In this aspect, the decorativeness of Hwangryongsa Temple(皇龍寺) gives us great implications. Silla people accepted the world culture upon the strong foundation of folk culture. There is a famous phrase by Goethe that goes "The most ethnic is the most international." This famous phrase is well-known to everyone and is even treated as if it is a phrase in the bible. This means the most folk culture carries international value. Referring to Goethe's logic in this phrase, Silla art can be defined as the culture which sought balance between international universality and the distinctiveness. 신라미술이 천년동안 변화를 거듭하는 동안 변하지 않은 전통이 있다. 그것은 바로 "질박한 조형에 대한 선호와 영험한 조형이 아름답다고 여기는 믿음"이다. 전자는 신라인의 취향이고 후자는 신라인의 조형에 대한 신앙이다. 특히 질박미는 여러 학자들이 지적한 특징으로 신라미술의 공통적인 기반을 이루었다. 이것은 자연에 기반을 두고 자연을 숭상하는 신라인의 미의식을 대표하는 것이다. 인공적인 것을 최소화하고 자연적인 것을 드러내 보이려는 것은 신라미술에서 찾아볼 수 있는 중요한 특징이다. 시기에 따른 변화는 크게 북방미술의 전래, 불교미술의 영향, 통일신라의 새 조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신라미술에 처음으로 변화를 일으킨 외래 미술은 북방미술이다. 북방미술이 신라에 전래되면서 질박한 조형세계를 펼친 신라 고유의 미의식에 추상화의 경향을 띠는 변화가 일어났다. 이것을 필자는 '추상적 사실주의'라 지칭하였다. 527년 불교가 전래된 이후 신라미술은 가히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고구려, 백제 등의 불교미술의 영향을 받으면서 국제적인 미의식을 갖추게 된다. 6, 7세기에는 대중 속에 파고드는 친근한 이미지의 불상으로부터 형이상학적인 세계까지 표현하는 폭넓은 조형세계를 펼친다. 초기 불교에 영향을 받은 신라미술은 친근하고 인간적인 성향을 띤다는 점에서 '휴머니즘의 세계'로 요약하였다. 삼국의 통일은 신라미술에 또 다른 변화를 가져왔다. 기본적으로 당나라를 비롯한 동아시아의 공통적인 양식인 '이상적 사실주의 양식'을 따르면서 전통적인 자연존중의 인식과 고신라의 휴머니즘과 조화를 이루어 신라의 독특한 미의식을 구현하게 된다. 신라미술에는 토속미와 더불어 외래문화의 수용에 의한 국제미가 공존하였다. 일반적으로 토속적인 미감은 초기에 나타나다가 보다 우위에 선 외래적인 미감에 눌려 의식의 수면 아래로 침잠하기 쉬운데, 신라에서는 유독 통일된 이후까지도 토속미를 드러내었다. 그만큼 외래적인 세련미 못지않게 전통적인 토속미도 더불어 애호한 민족이 신라인인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황룡사의 치미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신라인은 강한 토속문화의 기반 위에 세계문화를 받아들인 것이다. 괴테는 "가장 민족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다. "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 지금도 이 명구는 인구에 회자되고 심지어는 성경 구절처럼 신앙시되기도 한다. 가장 토속적인 문화가 세계적인 가치를 지닌다는 의미이다. 괴테의 논리를 신라문화에 적용하면, 국제적인 보편성과 특수성의 조화를 꾀한 문화가 신라미술인 것이다.

      • KCI등재후보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기초한 역사 교육과정 실행연구: 신라 문화 교류사를 중심으로

        곽병현(Kwak, Byeong Hyeon),김은석(Kim, Eun Suk)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신라의 문화 교류사를 UNESCO 세계유산의 등재 기준인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다시 읽고 수업으로 구성하여 실행한 후, 이 과정에서 얻은 성찰을 토대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고대 문화 교류사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다시 읽기> 차원으로, 우선 현행 고대 문화 교류사 교육에는 ‘협소한 수준에서의 교류 강조’, ‘세계사적 시야의 부재’, ‘문화의 수용보다는 문화의 전파 강조’라는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신라의 문화 교류사를 다시 읽어 본 결과, 신라의 문화 교류사는 동북아시아 수준을 넘어섰었고, 이러한 교류를 토대로 신라는 보편성에서 탁월성을 추구한 사회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다시 쓰기> 차원에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고대 문화 교류사를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다시 구성하여 실행하였다(<신라의 문화 교류사 다시 읽기> 수업). 셋째, <성찰하기> 차원에서 문화 교류사 수업 및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우선 수업 성찰과 관련하여, ‘문화 교류사 수업에의 천착’, ‘탐구형 프로젝트 수업으로의 지향’, ‘보편성 획득의 의미를 가르치는 수업 방식에 대한 고민 필요’, ‘탁월성 중 예술적 우수성 또한 강조’, ‘초등학생의 수준과 학습 가능성 고려하기’, ‘신라만이 아닌 한반도의 고대와 중세를 아우르는 방식의 주제 구성’ 등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성찰과 관련하여, ‘문화유산에 대한 외형적 요소보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중점적으로 서술하기’, ‘전파보다는 교류의 관점에서 서술하기’, ‘탁월성 뿐만 아니라 보편성의 관점도 다루기’, ‘특정 코너나 프로젝트 단원(또는 주제)으로 교과서 구성하기’, ‘열린 해석을 지향하는 교과서로 전환하기’, ‘초등학교에서도 세계사 다루기’, ‘탄력적 환경확대법 강화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결국, 문화 교류사 교육은 보편성을 토대로 탁월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 Silla s cultural exchang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the UNESCO World Heritage Registration Standard,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ancient cultural exchange history based on reflection obtained in this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dimension of <reading the curriculum again>,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ancient cultural exchange history education has problems such as emphasizing exchange at a narrow level , the absence of a world historical perspective , and emphasizing the spread of culture rather than accepting it . Next, as a result of rereading Silla s cultural exchang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t was found that Silla s cultural exchange history exceeded the level of Northeast Asia, and based on these exchanges, Silla was a society that pursued outstanding character in universality. Second, in the dimension of Rewriting the Curriculum, the ancient cultural exchange history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was reorganized and implem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Rereading Silla Cultural Exchange History> instruction). Third, the direction for teaching and education of cultural exchange history was presented in the dimension of reflection . First of all, regarding instruction reflection, it suggested focusing on cultural exchange history instruction , orientation to exploratory project instruction , need to think about teaching methods to acquire universality , emphasize outstanding artistic characteristics , conside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vel and learning possibility , and composition of the theme encompassing the ancient and medieval times of the Korean Peninsula, not just Silla. Next, regarding curriculum reflection, Rather than describing only the external elements of cultural heritage, it focuses on describing outstanding universal values, Describing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xchange rather than spreading culture, Controlling not only outstandingness but also universality, Organizing textbooks into specific sections or project units (or topics), Conversion to textbooks aimed at open interpretation, Even in elementary school, dealing with world history, and Enlarging the flexible expanding environments principle were suggested. In the end, education on cultural exchange history should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 KCI등재

        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통일신라’ 서술과 그 내용 분석

        채미하(Chai Mi-ha) 고려사학회 2008 한국사학보 Vol.- No.30

        본 연구는 중국의 대학 역사교재에 보이는 ‘통일신라’ 서술과 그 내용을 살펴본 것으로, 중국 대학 역사교재의 서술 내용을 통해 중국에서는 ‘통일신라’를 봉건사회로 인식하고 있으며 ‘한족[華夏] 중심의 문화사관’ 등이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선 중국 대학 역사교재 중 세계사 교재의 내용은 ‘통일신라’를 봉건사회로 인식하면서 그것의 토대가 되는 토지 제도인 녹읍제와 정전제에 대해 서술하였다. 그리고 국가로부터 토지를 받은 농민은 국가에 종속되어 조 · 용 · 조를 부담하였다고 한다. 또한 ‘통일신라’의 정치형태를 ‘중앙집권제적인 관료정치체제’라고 하면서, 이를 확립하기 위해 중앙과 지방의 행정기구가 정비되었으며, 국학과 과거제를 통해 등용된 관료들에 의해 중앙집권제는 더욱 강화되었다고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통일신라’의 농업생산력과 수공업 및 상업 등이 발전하였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중국사와 중국고대사 교재의 ‘통일신라’ 서술은 당과의 경제, 문화교류와 관련된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우선 인적교류와 관련해서는 주로 도당유학생 및 최치원과 관련된 내용이었다. 이것은 이들에 의해 당 문화가 신라에 전래될 수 있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경제교류의 경우는 조공 · 책봉이라는 국가 간의 교역보다는 민간교역, 그 중 신라방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루었다. 이것은 신라방이 중국에 있었기 때문으로 자국사 중심의 현재주의 원칙이 적용된 역사서술이 아닐까 하였다. 그리고 문화교류와 관련해서는 당 문화가 신라에 일방적으로 전해진 것으로 서술되어 있는데, 이것은 ‘한족 중심의 문화사관’이 반영된 것이라고 하였다. This studying is about the description of 'the unified Silla dysnasty' in the textbooks of Chinese universities, and we could see 'the unified Shilla' was regarded not only as the feudal society given from the described contents in the textbook but as having reflected the 'Han race centered Cultural historical view' from the contents related to economical and cultural exchanges between China and 'the unified Silla'. First the world history textbook of Chinese university regarded 'the unified Silla' as feudal society and described about Nokup-jae, Jeongjeon-jae, from which the estate system had been based and the peasant had been subordinated by the nation from which the lands had been supplied and had to be imposed by Jo · Yong · Jo. Also they described the political type of 'the unified Silla' as 'centralized bureaucratic political system' and the official organization had been systemized to consolidate it, and the centralized system had gained more power by the bureaucrats adopted by Gwageo-jae and Kuk-hak.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and handcrafts industry and commerces could have developed more on this basis. Next, the text of Chinese history and Chinese ancient history described 'the unified Silla' mostly on the details related to economic, cultural exchanges with Tang dynasty. First of all it stated about the students studying in Tang and Choi, Chiwon in the relation with people exchanges. It would be the reason they had introduced Tang culture into Silla. In fields of Economic exchanges, the trade between people, expecially Sillabang were mainly dealt than trades like Chogong, Chaekbong between nations. This history statement must have been affected by the present-time principle centered by their own history since Sillabang had been located in China. Further to this they described Tang's culture had been transmitted one sided to the unified Silla, which was also affected by their 'Han race centered cultural historical view'.

      • KCI등재후보

        신라의 한강유역 진출과 기와의 성격

        서봉수 한국기와학회 2021 한국기와학보 Vol.3 No.-

        본 글은 한강유역 출토 신라기와에 대한 고고학적 관찰을 통해 형식분류를 시도하고 이와 함께 구체적인 시기별 편년안을 마련한 후, 그 성격을 살펴보려 하였다. 이에, 한강유역의 중심 유적에서 출토된 신라기와 를 대상으로 하여 그 세부적 속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표유적 세 곳에서 출토된 기와를 집중 분석하고 그 외 한강유역의 다른 유적에서 출토된 기와를 비교 검토, 도출된 편년안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는 신라기와 의 시공간적 개념을 정리하였다. 그 결과 한강유역의 신라기와는 6세기 전반부터 10세기 전반까지 총 5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글의 주제에 해당하는 시기는 제 1기와 제 2기인데 제 1기는 6세기 중반에서 7세기 전반으로 신라가 한강유역에 진출하여 통일 이전까지 그 기반을 다지던 시기이고 제 2기는 7세기 중반에서 7세기 후반으로 통일을 전후 하여 다양한 제도와 정책을 통해 국가 지배체제의 틀을 구비해 나갔던 시기이다. 이러한 시기 구분을 토대로 해당 시기에 한강유역에서 유행한 기와 형식들을 정리하고 각각의 형식이 크게 유행한 시기와 함께 그 상한과 하한을 고려하여 제시하였다. 아무튼, 한강유역에서 기와가 출토되는 유적은 대부분 성곽유적에 해당하며 이들 유적들은 신라가 한강 유역에 진출한 후 지역을 거점화하면서 안정적인 통치 기반을 구축해 나가면서 설치한 관부로 보았다. 곧 이들 유적에서 출토된 기와는 신라의 군현제 실시와 함께 관부가 들어선 것으로 볼 수 있는 적극적인 유물 인 것이다. 이에 비해 신라성곽이면서도 기와가 출토되지 않는 유적들도 수십 군데 존재하는데 대부분 보 루 형태이며 이는 고구려, 백제와 마찬가지로 안정적 관부 설치 이전 단계의 전투 지휘체계에서 중심역할 을 하는 곳의 산하에 있는 야전 연합전선 체제로 이해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고대 삼국은 문화적, 기술적으로 많은 부분을 교류를 통해 공유하였다. 물론, 각 국이 나름대 로의 문화를 전개하며 고유의 문화적 특수성을 발전시켜 나갔지만 그 저변에는 언어를 비롯하여 문화적 보 편성을 공유하고 있었던 것이다. 지금까지 고고학적 연구 경향에서 개별 유구나 유물에서 나타나는 각국 고유의 문화적, 기술적 요소를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삼국이 공유하였던 문화적 보편적 가치를 찾아내어 구분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고 생각한다. 그 과정에서 일부 개별적인 고고학적 요소를 국가적 또는 군사적 차원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하여 유적 또는 유물의 성격을 규정짓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In this paper, archaeological observations of the Silla Roof-tiles excavated from the Han River basin were made to classify the types an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ing chronologically plan by specific period. Hereby, the detailed properties of Silla Roof-tiles excavated from the central remains of the Han River basin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oof-tiles excavated from three representative sites were analyzed, and the Roof-tiles excavated from other sites in the Han River basin were compared and reviewed, and the concept of time and space with the Silla Roof-tiles was finally summarized. As a result, the Silla Period in the Han River basin was divided into five periods from the early 6th century to the early 10th century.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of this paper were the mid- 6th to early 7th centuries, when Silla entered the Han River basin and laid the foundation before reunification, and the second period was the mid-7th century. Based on these periods, the Roof-tiles types that were popular in the Han River basin during the period were organized and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upper and lower limits along with the period when each type was very popular. In any case, most of the remains excavated from the Han River basin correspond to the remains of the fortress, which Silla established as it established a stable foundation for governance after entering the Han River basin. Soon, Roof-tiles excavated from these ruins are active relics that can be seen as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fice alo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Silla's military system. In comparison, dozens of Silla fortresses are located in the nation were not excavated, mostly in the form of bastions, which could be understood as field alliance systems under the control of the pre-stable government posts like Goguryeo and Baekje. In conclusion, the ancient three kingdoms shared many cultural and technological aspects through exchanges. Of course, each country developed its own culture and developed its own cultural specificity, but on the other hand, it shared cultural universality, including language. So far, it is important to identify cultural and technical elements unique to each country in archaeological research trends, but I think it is also necessary to find and distinguish cultural universal values shared by the three countries. In the process, some individual archaeological elements should be judg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national or military level and should be avoided defining the nature of the remains or relics.

      • KCI등재

        안산 성태산성의 조사 성과와 성격 고찰

        이정철,황보경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3 東洋學 Vol.- No.91

        Seongtaesanseong Mountain Fortress(城台山城) is a small mountain fortress first discovered in 2000 and provides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ing the Ansan area’s administrative system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Through the excavation conducted in 2021, it was possible to know the state of construction of a uniaxial stone wall, and earthenware and roof tiles were also excavated, so that the time of construction could be identified. The construction period of Seongtaesanseong Mountain Fortress is believed to be in the late 6th to early 7th century. The purpose of the fortification is judged to be to monitor and control the West Sea after Silla’s intallation of Sinju(新州) in 553, and the traffic route that connects Ansan’s coast to Gwangmyeong and Suwon. In particular, Silla(新羅)’s diplomatic moves for China during this period put a burden on Goguryeo(高句麗) and Baekje(百濟), and surveillance and conflicts would have occurred in the Gyeonggi Bay(京畿灣) area to seize the maritime power in the West Sea. In response, Silla built a middle and small-scale fortress in the inland adjacent to the coast and concentrated its efforts on defending the Gyeonggi Bay area. In other words, Seongtaesanseong Fortress, Seonggokdong Fortress(城谷洞城), and Gunjasanseong Mountain Fortress(君子山城) were built. 성태산성은 2000년에 처음 발견된 둘레 382m의 산봉형 산성으로 三國時代 安山 일대 관방체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최근에 이루어진 시굴조사를 통해서 성벽의 축조 상태를 알 수 있었고, 토기와 기와도 출토되어 축성 시기를 파악할 수 있었다. 성태산성의 축성 시기는 6세기 말~7세기 전반으로 판단되는데, 둘레와 축조기법은 양천고성지와 유사한 점이 많지만, 자미산성에 비해서는 다소 늦게 축성된 것으로 보인다. 성태산성의 축성 목적은 553년 新州 설치 이후 西海岸을 통한 입출항과 육상 교통로를 감제 및 통제하기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인천과 화성 사이에 위치한 안산 해안은 최전선을 지원하고, 해안을 통해 침입하는 적을 내륙으로 이르지 못하도록 차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신라는 564년부터 중국과 외교를 하기 위해 항구의설치와 당성 1차성을 축성하면서 그 주위에 방위성을 쌓아 관방체계를 구축하였다. 아울러 한강 본류역과 인천, 김포, 안산 지역에도 소규모의 산성을 축성하여 한강 하구와 경기만 일대의 안정화를 도모해 나갔다. 특히기존의 대중국 외교 질서는 고구려와 백제가 주도해 왔던 반면, 6세기 중~후반 사이에는 신라도 독자적으로외교활동을 개시하면서 서해의 制海權 확보는 이전보다 훨씬 중요해졌다. 이에 신라는 경기 남부지역과 경기만 일대 해안에 많은 성곽을 축성하면서 대응해 나갔다. 그중에서도 안산 일원이 당성과 호암산성을 잇는 간선도로의 중간지점에 해당되어 6세기 중반부터 7세기 전반 사이에 성태산성의 축성 필요성이 대두되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성태산성은 신라의 대중국 외교활동과 관련되어 축성되었고, 안산 해안과 광명, 수원 일원으로통하는 교통로를 감제 및 방어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서해를 통한 신라의 대중국 외교행보는 고구려와 백제에게 큰 부담을 주기 시작했다. 따라서 삼국은 서해의 제해권을 장악하기 위해 경기만 일대에서의 감시와 충돌이 발생되었다. 이에 신라는 해안과 인접한 내륙에도 중소규모의 성곽을 축성하여 경기·남양만을 사수하는데 총력을 기울였다. 특히 안산 해안과 육로를 방어하는 관방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성태산성을 비롯한 성곡동성과 군자산성 등을 거의 동시에 축성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디지털 도구를 활용한 교양교육 수업사례 - <영미문학과 영화> 교양수업을 중심으로

        김경희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22 교양교육실천연구 Vol.6 No.2

        This paper examines the class course design and teaching methods using digital tools based on the case of optional liberal arts <English-American Literature and Film> class conducted as cyber lectures due to the 2021 COVID-19 pandemic. In the era of the digital revolution advanced by the COVID-19 pandemic, humanities liberal arts education using digital tools can improve the project-oriented self-directed learning effects and Silla University's core competencies: communication, challenge, thinking, learning, cooperation, and sharing. <English-American Literature and Film> goes beyond encouraging stud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opening the possibility of creative activities and ethics-based global talent, using Shilla University's e-class system, media, video production tools, and digital tools "Dall-e 2" and "Spatial" metaverse platforms.

      • KCI등재

        신라 하대 서남해 지역 禪僧과 후백제

        張日圭(Chang, Il-gyu) 한국고대사학회 2014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4

        신라 하대에 선승들은 진성왕 이전까지 지방호족과 친밀한 관계를 맺었지만, 한편으로는 왕실이나 중앙 귀족의 후원도 받았다. 선종 사찰은 대체로 서남해 지역에 주로 자리하였는데, 그곳에서는 후원 불사를 통해서 석탑과 불상 등이 조성되었다. 서남해 지역의 불교계가 다양한 세력과 관계하였기에, 이 지역 선승은 선종 사상을 내세우면서 교학 불교에 소홀할 수 없었다. 신라 하대 서남해 지역은 선종 불교의 중심지이자 교종 불교를 함께 이해하는 교섭과 융합의 장이었다. 이러한 경향은 후백제 견훤의 불교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이 글은 서남해 지역 선승의 활동과 사상을 시기별?지역별로 나누어 살피고, 후백제와의 관련성을 고찰한 것이다. 신라 하대에 무주와 전주 등 서남해 지역은 물론 강주와 웅주 등 주변 지역에는 여러 사찰이 자리하였다. 화엄사, 금산사, 해인사, 보원사 등은 820년대 말~890년대 말에 교학 불교계를 통제하였는데, 대체로 화엄종과 연결된 데 반해, 전주 지역만 특별히 법상종 교단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한편 820년대 말~920년대 중반에 실상산문, 동리산문, 가지산문 사찰과 승려들은 선종 불교의 성행을 이끌었다. 전주 지역은 처음부터 가장 늦게까지 선승의 활동처로 주목되었다. 다만 이 지역 선종 사찰의 분포와 선승의 활동에는 무주 지역의 영향이 적지 않았다. 무주 지역의 선종 사찰은 다른 지역보다 많이 분포하였고 선승의 활동도 활발하였다. 이 지역의 선승들은 선종 불교는 교종 불교도 함께 이해하여 ‘성상동일’, ‘교선동일’의 사상 경향을 내세웠다. 898년 전후에 무주 지역은 혼란 속에서 여생을 보내기에 알맞은 곳으로 인식되었으나 903년 이후 왕건이 궁예의 명령을 받아 나주를 공격하면서, 이러한 분위기는 갑자기 바뀌었다. 서남해 지역과 연고되지 않은 선승은 무주 지역에 귀국한 뒤 바로 다른 지역으로 이거하였지만, 서남해 지역과 연고된 선승은 무주 지역으로 귀국한 다음에도 여전히 머물면서 이 지역 선종 불교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혜철과 도윤의 법손이자 도선과 절중의 제자였던 경보가 그러한 역할을 맡았다. 912년에 견훤은 덕진포 전투에서 왕건에게 패배하였다. 선승의 귀국처는 전주 지역으로 변경되었고, 견훤의 불교 정책도 이 지역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견훤은 921년에 전주 임피현으로 귀국한 동리산문의 경보에게 전주 남복선원에 주석하도록 요청하면서 무주 지역 선문과의 관계를 복구하려고 하였다. 아울러 미륵사 개탑 불사를 설행하고, 해인사 관혜와 관계를 맺으면서 교종 불교에 대한 통제도 강화하였다. 그는 선사상은물론 화엄사상과 유식사상을 아울렀던 서남해 지역 불교계의 ‘성상동일’, ‘교선동일’ 기조를 계승하면서 왕실의 위상을 강조하고 후백제 영역 지배를 강화하고자 하였다. This article is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r Baekje(後百濟) and Zen Monks(禪僧) who were active in the southwest region in the Late Period of Silla through analyzing their activities and thought per period and by regional groups. There were a lot of typical temples of Textual Buddhism such as Hwaeomsa Temple, Geumsansa Temple, Haeinsa Temple and bowonsa temple in the southwest region. These temples had controled Textual Buddhism from the end of 830th to 890th. Most of them were connected with the Hwaeom-jong(華嚴宗) but Geumsansa Temple located in Jeonju region was associated with the Beobsang-jong(法相宗). Generally, ZenMonks of the Silsangsanmun, Donglisanmun, Gajisanmun had led Silla’s Zen Buddhism from the end of 820th to the mid-920th in the Southwest Region. By the way the interesting things is that Jeonju region was influenced byMuju region strongly even though Jeonju region received attention with the Zen monk’s activity sheets from the beginning of the Late Period of Silla. Muju region was not only the center of Zen Buddhism but also exchange place understanding Textual Buddhism. Zen Monks in this region emphasized that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al truth is same(性相同一)’ and ‘Textual Buddhism and Zen Buddhism is same(敎禪同一)’. Muju region was a stable place around 898. However, since Wang-geon(王建) attacked Naju region in 903, the situation has changed. Most of the Zen monks left Muju region but the monks based in Muju still stayed. For example, Monk GyeongBo(慶甫) was one of those people. He was a disciple of Monk DoSeon(道詵) and Monk JeolJung(折中). He was in succession to the tradition of the southwest region Buddhism. Gyeon-hwon(甄萱) was defeated by Wang-geon in the Deokjinpo(德津浦) battle in 912. After this battle, the place where Zen Monks return home from China was changed to Jeonju region and naturally Gyeon-hwon had no choice but to manage the policy of Buddhism centering around Jeonju region. In 921, Gyeon-hwon called for Monk Gyeongbo to stay at Nambokseonwon Temple in Jeonju in order to resume relations with Donglisanmun Zen Sect in Muju region. In addition, he tried to control Textual Buddhism through having a close relations with Mireuksa Temple and Haeinsa Temple. Eventually by these efforts Gyeon-hwon intended to emphasize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and strengthen his control over the territory of Later Baekje.

      • 신라대학교 주변 백양산의 동물상

        노치권(외 6명) 신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2 自然科學論文集 Vol.22 No.-

        To study fauna of Silla University located in Mt. Baek-yang, we conducted six surveys from 29 May 2011 to 28 April 2012. We found five phyla 41 orders 197 species of animals inhabiting in this area: four phyla 27 orders 163 species of invertebrates and in vertebrates one order six species of fishes, three orders nine species of amphibians and reptiles, six orders 14 species of aves, and four orders five species of mammals. Of these species, some Korean endemic species were included: a fish of Rhodeus uyekii in a pond near main gate of this university, a frog of Rana coreana in a creek near a dormitory, and a rabbit of Lepus coreanus and a water deer of Hydropotes inermis in a grass region near a main stadium. A kind of hawk, Falco tinnunculus as a natural monument (animal) of no. 323-8, was observed on a building of medical and life science. A blue frog of Hyla japonica as a variation was found near a spring resort. Therefore, this area is considered an ecologically important area having a high animal diversit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