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복작업 PERT 네트워크의 확률기반 주공정 산정기법

        이규진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18 No.6

        Network-based scheduling methods can be classified into CPM method and PERT method. In the networkscheduling chart, critical path can be estimated by performing the forward calculation and the backward calculationthough the paths in the network chart. In PERT method, however, it is unreasonable to simply estimate the criticalpath by adding the sum of the activity durations in a specific path, since it does not incorporate probabilistic conceptof PERT. The critical path of a PERT network can change according to the target period and deviation, and in somecases, the expected time of the critical path may not be the path with longest expected time. Based on this concept,this study proposes a technique to derive the most-likely critical path by comparing the sum of estimated time withthe target time. It also proposes a method of systematically deriving all alternate paths for a network of repetitiveactivities. Case studies demonstrated that the most-likely critical path is not a fixed path and may vary according tothe target period and standard devi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method of project duration forecasting willbe useful in construction environment with varying target date situations. 건설공사의 공정 계획에 많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방식의공정표는 CPM방식과 PERT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네트워크 공정표에서는 주공정선의 산정은 전진 계산과 후진 계산을 통하여 가장 합계기간이 크게 산출되는 경로를 선택하는 방식에 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CPM 기법에서는 각액티비티의 소요기간이 고정된 값으로 제시되므로 이를 기반으로 하여 주공정선의 산정이 용이하다. 그러나 PERT 네트워크에서는 소요기간이 확률적으로 주어지므로 단순히 특정 경로 상 액티비티 기간의 합계만으로 주공정은 정하는것은 불합리하며, 확률에 기반하여 산정된 예상기간에 의해최가능 주공정으로 제시되어야만 PERT의 목적에 부합할것이다. 이는 목표 기간에 따라 주공정선이 변화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예상 기간이 더 작은 경로가 최가능주공정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에 의거하여본 연구에서는 PERT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경로별로 예상기간의 비교를 통해 확률적 의미를 가진 최가능 주공정을도출하는 기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한다. 체계적인 대안 경로 도출을 위해 작업 구획과 작업 공정이 교차하여반복적으로 진행하는 방식의 네트워크 반복 작업 공정표를대상으로 하여 대안 경로 도출 방식을 제시하였으며, 도출된경로를 대상으로 예상 기간과 표준 편차를 산출하여 예상기간이 목표 기간을 초과할 확률을 기반으로 하여 최가능주공정을 산출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사례 연구를 통해최가능 주공정은 고정된 경로가 아니며 목표 기간과 표준편차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법은 건설 공사와 같이 목표 공사기간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기간 예측의 리스크를명확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컨볼루션과 Turkstra 법칙을 이용한 확률론적 PERT의 개발

        윤득노 ( Deukno Youn ),김태곤 ( Taegon Kim ),이한귀 ( Lee Han Ki ),이정재 ( Jeong-jae Lee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토목 사업과 같이 많은 자원과 오랜 시간이 걸리는 사업에 있어서 공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농업 토목 사업은 일반 토목 사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업 규모가 작고, 설계 빈도가 낮아 공정상 불확실성이 더 크다. 따라서 농업 토목 사업에서는 공정관리에 있어서 불확실성에 대해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공정관리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기법이 널리 쓰이고 있다. PERT 기법은 시간을 추정하는 데 있어서 발생하는 불확실성에 대해 베타함수를 이용하여 추정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나, 임계경로(Critical Path)가 고정된 하나의 경로만을 나타내는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PERT가 갖는 제한적인 확률 개념을 확장하기 위해 확률간의 계산을 위한 2가지 연산자를 제안하였다. 작업 간의 직렬연결에 대해서는 컨볼루션 기법을, 작업 간의 병렬연결에 대해서는 Turkstra 법칙을 적용하여 연산자를 제안하였으며, 2가지 연산자를 이용하여 확률론적 PERT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확률론적 PERT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Monte Carlo Simulation 기법을 이용한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경로별 임계경로일 확률 및 임계경로의 추정시간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수준의 결과를 확인하였다.

      • 대규모 시스템의 모사와 관리를 위한 PERT네트워크 완료일자 추정기법에 관한 고찰

        이제명 ( Lee Jae-myung ),이호재 ( Yi Ho-jae ),박미정 ( Park Mee-jeong ),이정재 ( Lee Jeong-jae ) 한국농공학회 200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5 No.-

        Propriety of PERT network for planning and management in large-scale systems was investigated. We also review the example of small and middle size system to compare the appropriateness of PERT analysis method. For comparing the appropriateness of PERT analysis method the calculation time, and the variances were estimated. Eventualy, we proposed the criteria of PERT analysis method for planning and management large-scale systems.

      • KCI등재

        CCPM을 이용한 건설사업 일정관리에 관한 연구

        박영민,김수용,김기영,Park Young-Min,Kim Soo-Yong,Kim Ki-Yo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5 No.5

        건설 공사의 여러 관리 요소 중 일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의 건설 프로젝트 일정관리 수준은 1950년대에 만들어진 PERT나 CPM을 반세기가 지난 지금까지 그대로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런 PERT/CPM의 사용은 소요공기추정의 불확실성과 그 활동에 할당된 자원의 경합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들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일정관리 기법인 PERT/CPM의 단점을 보완하고 국내 건설공사의 일정관리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1997년에 개발된 새로운 일정관리 이론인 CCPM(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에 대한 소개와 함께, 가상의 교량건설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 모의시험을 통하여 CCPM의 국내건설사업에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 하였다. Construction work varies with the project types. However, the success of all project types depends upon three conditions i.e. schedule, quality and cost. If these three conditions are fulfilled, then project said to be successful. In this paper, scheduling of a construction Project has been dealt with the application of CCPM method. CCPM has been introduced as a new theory in construction industry in 1997 at the United States, but its application is still insufficient in domestic field due to the absence of systematic study, A simulation has been conducted in a Bridge construction project to validate the possibility of CCPM in order to complement PERT/CPM in construction field.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the CCPM could be effective to reduce the project time duration than existing PERT/CPM technique.

      • KCI등재

        연약암반내 패널채광시 강지보를 이용한 패널 유지기간의 확률론적 평가

        장명환(Myoung-Hwan Jang) 한국암반공학회 2018 터널과지하공간 Vol.28 No.4

        OO광산은 연약한 암반특성에서 2차, 3차 채광을 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다. 이러한 채광을 위해서는 패널형태로 채광구획을 나누고 패널채광을 하는 동안 패널이 유지되어야 한다. 본 과업에서는 패널 사이의 채광갱도를 강지보에 의하여 유지하고 확률론적으로 패널의 유지기간을 평가하였다. 패널유지기간 평가를 위하여 Taylor 식을 이용하고, Pert 분포를 개념적으로 변형하여 적용하였다. 주요 입력자료는 Pert 분포에 의하여 결정하고 Monte Carlo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확률분포에 대한 패널의 유지기간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패널폭 18-25 m일 경우 최소 6.5일에서 최대 20.6일 까지 패널의 자립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신뢰수준 90%에서 무지보 유지기간은 8.2-15.6일 정도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짧은 패널의 유지기간은 패널채광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패널의 유지를 위하여 강지보를 계획하였다. 그 결과 광산별 3년 이내의 채광계획으로 패널유지를 위한 강지보를 적용하면, 90% 신뢰수준 내에서 패널의 유지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OO mines have been tried in various ways to perform secondary and tertiary mining in fragile rock properties. For such mining, the panels should be maintained while the mining compartments are divided and paneled. In this study, the mining gate between the panels was maintained by a steel beam and the panel life time was probabilistic evaluated. We used Taylor"s formula for panel life time and modified the Pert distribution conceptually. The main input data were determined by the Pert distribution, and Monte Carlo simul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anel life time for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the panels could be stand-up time from a minimum of 6.5 days to a maximum of 20.6 days when the panel width was 18 to 25 m. At the confidence level of 90%, the panel life time was analyzed as 8.2-15.6 days. The short panel life time is not possible with the panel mining. Therefore, it was planned to construct a steel beam for panel maintenance. As result, it was analyzed that steel beam for panel maintenance with mining plan of less than 3 years according to mine could maintain panel within 90% confidence level.

      • KCI등재

        PERT/CPM을 이용한 최적화된 협업 프로세스 수립 모형

        임유섭,장영현,김승희,Lim, Yousup,Chang, Young-Hyeon,Kim, Seunghee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1

        다자간 협업이 요구되는 신규 사업 시 협업 절차를 수립하거나 이미 다자간 상호 연계 형태로 진행되는 협업 절차에서 문제점을 분석하여 객관적으로 증빙하고 제도를 개정하는 일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는 PERT/CPM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활용하여 협업 주체 간 업무 처리 절차를 수립하고 처리 소요 기간을 산출할 수 있는 협업 프로세스를 위한 최적화 수립 모형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협업 프로세스 최적화 수립 모형의 실효성과 유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고용노동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위연계형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 선발 절차의 협업 절차 최적화 작업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협업 절차를 새로이 수립하거나 재구성해야 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해 협업 주체 간 정보시스템 간 연계 업무 절차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It is a very difficult task to establish a collaborative procedure in a new business that requires multilateral collaboration or to revise the regulation by analyzing and proving objectively the problems in the collaborative process conducted already by multilateral collabor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n optimization model for collaborative process to establish the operation procedure between collaborative parties using PERT/CPM network diagram which allows us to calculate the processing time.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our model for the collaboration process optimization developed in this study, we applied the developed collaborative procedure to student selection of the work-and-study-in-parallel course associated with a degree executed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is study can be useful not only for newly establishing or reconfiguring collaborative procedures but also for standardizing the business procedures for building information systems between collaborative organizations.

      • KCI등재

        VSM 설계와 운영방안

        최성운,이창호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6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Vol.8 No.6

        This paper suggests the design and operation of value stream mapping(VSM) applied to project management, such as R&D, IT Investment. First this study represents design methodology of VSM process using SIPOC(Supplier, Input, Process, Output, Costumer). Second, this paper considers the identification and improvement plan about non-added value time for VSM using FPC(Flow Process Chart) and PERT/CPM. Last, this paper proposes VSM scheduling method using PERT/CPM and CCPM(Critical Chain Project Management)

      • 조선사업에서의 CCPM기법 적용 방안에 대한 연구

        이건창,신성철,김수영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12 한국해양환경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2 No.5

        조선사업에 있어서 안벽 회전률의 증가는 곧 회사의 수익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다. 본 연구에서는 안벽공사 기간을 줄이고 일정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제약이론인 TOC기법을 기반으로 한 CCPM기법을 중형 LNG선의 엔진 가동 공사 일정에 적용하였다. 기존의 PERT/CPM기법은 각 직업 속에 여유시간을 포함하여 일정을 세웠다. 하지만 잦은 일정지연과 자원의 병목현상 발생으로 전체 프로젝트의 지연이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PERT/CPM기법의 단점을 보완한 CCPM기법을 적용하였다. CCPM기법에서는 학생증후군, 파킨슨 법칙 등과 같은 인간의 심리문제와 자원의 병목현상을 해결함으로써 불확실성에서 비롯된 일정지연요소를 제거했다. 또한 PERT/CPM기법에서 사용하지 않는 Buffer의 개념을 도입하여, 개별 작업의 지연으로부터 전체 일정을 보호하였다. CCPM기법의 적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프로젝트를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PERT/CPM기법 적용했을 때 보다 약 14일의 공기단축 효과 가지고 왔다.

      • KCI등재

        PERT를 통한 제강공장 전로수리시간 단축에 관한 사례연구

        김창현,조재균 대한설비관리학회 2002 대한설비관리학회지 Vol.7 No.4

        A case study to reduce maintenance time using PERT in Steel Making Plant is introduced. By redefining maintenance activities and rearranging maintenance jobs in accordance with maintenance priorities and precedence constraints, current maintenance time, 13 days, has been reduced to 10 days. Due to the increased production time in steel making plant through this study, production increase of molten steel is expected.

      • KCI등재

        위험도기반 해양사고 초기대응 지원 시스템 개발 기초연구:

        나성(Seong Na),이승현(Seung-Hyun Lee),최혁진(Hyuek-Jin Choi)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0 No.6

        최근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발생한 몇 건의 대형 해양사고에서, 신속하고 체계적인 초기대응이 사고 전개양상과 사고결과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다양한 해양사고 상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전개될 수 있는 시나리오, 적용 가능한 사고대응 방법들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확보하는 것이 해양사고 초기대응을 위하여 무엇보다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위험도기반 초기대응 지원 시스템’의 개념을 제시하고, 해양사고 이후 전개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와 적용 가능한 사고대응 방법들을 식별하기 위하여 사건전개 시나리오 식별 브레인스토밍 기법을 제안하였으며, 식별된 사고대응 방법들의 적용으로 인한 피해저감 효과 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사건수목분석 (Event Tree Analysis: ETA) 기법을 활용한 사건전개수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사고대응 방법에 대한 상세분석을 위해서는 PERT/CPM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또한, 상기 제시한 위험도기반 초기대응 지원 시스템의 구성 체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유조선 좌초사고에 대한 사고대응 작업을 예로 간략한 위험도분석 작업을 수행하였다. A number of maritime accidents, and accident response activities, including the command and control procedures that were implemented at accident scenes, are analyzed to derive useful information about responding to maritime accidents, and to understand how the chain of events developed after the initial accident. In this research, a new concept of a ‘risk based accident response support system’ is proposed. In order to identify the event chains and associated hazards related to the accident response activities, this study proposes a ‘Brainstorming technique for scenario identific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the HAZID technique. A modified version of Event Tree Analysis was used for quantitative risk analysis of maritime accident response activities. PERT/CPM was used to analyze accident response activities and for calculating overall (expected) response activity completion time. Also, the risk based accident response support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is explained using a simple case study of risk analysis for oil tanker grounding accident respo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