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기초한 역사 교육과정 실행연구: 신라 문화 교류사를 중심으로

        곽병현(Kwak, Byeong Hyeon),김은석(Kim, Eun Suk) 한국사회과수업학회 2021 사회과수업연구 Vol.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신라의 문화 교류사를 UNESCO 세계유산의 등재 기준인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다시 읽고 수업으로 구성하여 실행한 후, 이 과정에서 얻은 성찰을 토대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고대 문화 교류사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다시 읽기> 차원으로, 우선 현행 고대 문화 교류사 교육에는 ‘협소한 수준에서의 교류 강조’, ‘세계사적 시야의 부재’, ‘문화의 수용보다는 문화의 전파 강조’라는 문제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신라의 문화 교류사를 다시 읽어 본 결과, 신라의 문화 교류사는 동북아시아 수준을 넘어섰었고, 이러한 교류를 토대로 신라는 보편성에서 탁월성을 추구한 사회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다시 쓰기> 차원에서 국가 수준 교육과정의 고대 문화 교류사를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관점에서 다시 구성하여 실행하였다(<신라의 문화 교류사 다시 읽기> 수업). 셋째, <성찰하기> 차원에서 문화 교류사 수업 및 교육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우선 수업 성찰과 관련하여, ‘문화 교류사 수업에의 천착’, ‘탐구형 프로젝트 수업으로의 지향’, ‘보편성 획득의 의미를 가르치는 수업 방식에 대한 고민 필요’, ‘탁월성 중 예술적 우수성 또한 강조’, ‘초등학생의 수준과 학습 가능성 고려하기’, ‘신라만이 아닌 한반도의 고대와 중세를 아우르는 방식의 주제 구성’ 등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성찰과 관련하여, ‘문화유산에 대한 외형적 요소보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중점적으로 서술하기’, ‘전파보다는 교류의 관점에서 서술하기’, ‘탁월성 뿐만 아니라 보편성의 관점도 다루기’, ‘특정 코너나 프로젝트 단원(또는 주제)으로 교과서 구성하기’, ‘열린 해석을 지향하는 교과서로 전환하기’, ‘초등학교에서도 세계사 다루기’, ‘탄력적 환경확대법 강화하기’ 등을 제시하였다. 결국, 문화 교류사 교육은 보편성을 토대로 탁월성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 Silla s cultural exchang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the UNESCO World Heritage Registration Standard,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ancient cultural exchange history based on reflection obtained in this proce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dimension of <reading the curriculum again>,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ancient cultural exchange history education has problems such as emphasizing exchange at a narrow level , the absence of a world historical perspective , and emphasizing the spread of culture rather than accepting it . Next, as a result of rereading Silla s cultural exchang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t was found that Silla s cultural exchange history exceeded the level of Northeast Asia, and based on these exchanges, Silla was a society that pursued outstanding character in universality. Second, in the dimension of Rewriting the Curriculum, the ancient cultural exchange history of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was reorganized and implem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Rereading Silla Cultural Exchange History> instruction). Third, the direction for teaching and education of cultural exchange history was presented in the dimension of reflection . First of all, regarding instruction reflection, it suggested focusing on cultural exchange history instruction , orientation to exploratory project instruction , need to think about teaching methods to acquire universality , emphasize outstanding artistic characteristics , conside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vel and learning possibility , and composition of the theme encompassing the ancient and medieval times of the Korean Peninsula, not just Silla. Next, regarding curriculum reflection, Rather than describing only the external elements of cultural heritage, it focuses on describing outstanding universal values, Describing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exchange rather than spreading culture, Controlling not only outstandingness but also universality, Organizing textbooks into specific sections or project units (or topics), Conversion to textbooks aimed at open interpretation, Even in elementary school, dealing with world history, and Enlarging the flexible expanding environments principle were suggested. In the end, education on cultural exchange history should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 KCI등재

        유네스코 세계유산협약상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의 이념과 실제

        서재권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法學硏究 Vol.26 No.4

        이 글은 세계유산협약상 ‘탁월한 보편적 가치’라는 불확정적 개념으로부터 파생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는 조약을 관통하는 중요한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정의규정을 따로 두지 않고 이 해석을 운영지침에 맡겨두고 있다. 그러나 운영지침에 의한 해석은 국제법상 조약 해석에 관한 원칙과 거리가 멀고, 특히 유산의 등재와 관리에 상당한 권한을 지닌 세계유산위원회와 유산이 존재하는 주권국가와의 관계에 있어 세계유산제도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담보하기 어렵게 한다. 이런 문제의식을 토대로 이 글에서는 국제조약의 본질과 해석 원칙에 비추어 세계유산협약상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개념을 평가하고, 운영지침에 의한 변형적 해석이 세계유산 관리의 준칙으로서 작동하기에 적합한 것인지를 사례와 함께 살펴보았다. 결론으로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의 개념과 그에 기반한 등재기준의 영향지수를 객관화하여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위원회 구성과 운영을 보다 투명하게 하는 대신 권한을 확대하여 세계유산의 등재와 관리, 기금 운용에 있어서 개별 회원국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아울러 최근 세계유산법 개정에 따라 그 후속조치로 시행령이 마련되고 있는 만큼 유네스코에서 논의되는 유산영향평가 등 관련 제도의 도입을 고려할 때 회원국의 재량을 보장하는 세계유산협약과 법적 강제가 작동하는 국내법의 지위를 명확히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point out problems derived from the indeterminate concept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under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and t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Although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s an important concept penetrating all over the Convention, its interpretation is left to the operational guidelines not defining withing the text of the Convention. However, interpretation by operational guidelines is far from the principle of treaty interpretation under international law, and make it difficult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and transparency for protecting and managing the heritage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and the States Parties. This is because the Committee has considerable authority in governing the World Heritage List, while the heritage exists within each sovereign states. This article evaluate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n light of the principle of treaty interpretation, and examines whether nonconventional methods of treaty interpretation is suitable for acting as a rule of world heritage management system under the Convention. In conclusion, it argues that the concept of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nd the criteria for the assessment should be regularly reviewed and the system needs to be improved to make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committee more transparent. In addition, as the amendment of “Special Act on Preservation, Management and Use of World Heritage(World Heritage Act)” has been proposed and the enforcement decree is being prepared as a follow-up measure, considering the introduction of new system related to heritage management such as Heritage Impact Assessment, it is necessary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which guarantees the discretion of States Parties and the domestic law which legally enforceable.

      • 일반논문 : 서울 한양도성의 보존현황과 주변부 관리

        김영수 ( Young Soo Kim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2013 도시인문학연구 Vol.5 No.1

        서울 한양도성은 역사도시 서울의 정체성을 규명하고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사문화유산이다. 한양도성은 조선의 도읍으로 결정된 이래 500여년이 넘는 오랜 세월동안 도성으로서 역할을 수행해 왔으며 지역적으로 유사한 문화권에 속하는 동아시아의 성곽도시와 구별되는 독창성과 차별성을 지닌 서울의 대표유산이다. 서울 한양도성이 갖는 가치는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도심을 둘러싸고 있는 내사산의 지세와 지형을 이용한 성벽건축이며 둘째, 수백년동안 지속되어온 성곽축성의 역사를 포함하며 셋째, 수차례의 수축 과정속에서 성곽 축성술의 발전을 이루었으며 넷째, 성곽과 관련된 다양한 기록들과 그것을 배경으로 한 많은 예술적 창작품이 만들어졌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서울 한양도성의 가치를 우리뿐만 아니라 세계 인류와 함께 공유하고 보존하기 위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가 추진되고 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세계의 모든 인류가 공동으로 보존하고 관리할 만한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를 갖추어야 하고 그 가치의 진정성(Authenticity)과 완전성(Integrity)을 인정받아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가치를 보존하기 위해서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운용지침에 따라 보호관리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우리는 이미 국토의 개발과 역사문화유산의 보존관리 사이에 상충되는 모순과 갈등을 많이 경험해 왔다. 따라서 지속적인 도시 발전과 역사문화유산의 보존 사이에는 유산의 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지혜가 필요하며, 이러한 지혜를 시현하기 위해서는 대상유산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을 바탕으로 그 특징과 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관리수단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서울 한양도성의 가치 및 특성을 바탕으로 성곽의 구간 별 현황을 파악하고 성곽을 현황별로 유형화하여 각 유형별 주변부에 대한 높이관리 원칙을 제시하는 것이다. 서울 한양도성을 잘 보존하기 위해서는 성곽뿐만 아니라 주변부의 관리가 필요하며 이 중 높이에 대한 관리는 축성당시 도시와 성곽 그리고 자연과 성곽의 관계를 지키고 회복하는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부분으로 서울 한양도성의 보존관리에 필수적인 사항이다. 연구의 방법으로 먼저 세계유산적 관점(OUV,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서 서울 한양도성의 가치를 재조명해 보고 현재 한양도성을 보호하고 관리하는 도시 건축제도와 보존현황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통해 서울 한양도성 관련 법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서울 한양도성의 특성 및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보존관리원칙과 성벽의 잔존유형별 주변부에 대한 높이관리 기준을 제시하였다. Seoul City Wall is an important historic and cultural resource to identify and figure out identity of historic city Seoul. Seoul City Wall plays a role as the wall for more than 500 years since it became the capital of Joseon. It is a representative relics of Seoul with unique characteristics from other cities in East Asia in the similar cultural zone. It has four values. Firstly, it is a fortress building using topography of Naesasan(inner mountain) surrounding urban areas. Secondly, it includes history of fortress building for hundreds of years. Thirdly, it demonstrates the development of fortress wall construction technology in multiple constructions. Lastly, it has a variety of documents and artistic works with Seoul City Wall in the background. Recently, Seoul City Wall is promoted to register UNESCO world heritage so that it would be shared with others. In order to be registered in the UNESCO world heritage, it ha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to preserve and control by human being. and its authenticity and integrity must be recognized. For the preservation of such values, the protection management plan must be set up in accordance with the UNESCO world heritage operation plan. We have experienced conflicts and contradiction between the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of historic relics. Accordingly, we need wisdom to keep value between urban development and historic preservation. For the realization of such wisdom. we need to have proper management plan to keep value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ccurate status understandi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sectional status of wall based on its value and characteristics and classify its type by current status in order to provide height control principle of surroundings. For the proper preservation of Seoul City Wall, it not omly needs to preserve the wall itself, but also to manage surroundings. The height control is a factor having direct effect on the restoration of relation between city and wall at the time of construction and between nature and wall, Thus, it is essential to keep wall preservation. As for the methodology, this study observed the value of Seoul City Wall from the perspective of world heritage (OUV, outstanding universal value). reviewed the urban construction system and preservation condition for the protection of Seoul City Wall, It was followed by figuring out problems os legal system of Seoul City Wall preservation and its preservation condition. Lastly, this study suggested height management criteria by analyzing the preservation management principle and height management criteria to keep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Seoul City Wall.

      • KCI등재

        아산 외암마을 토속경관의 문화유산적 가치

        신상섭 국립문화재연구원 201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4 No.1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many rural villages in Korea have experienced degeneration and breakdown, losing sustainability. However, Oeam village in Asan City, South Chungcheong Province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Important Folk Material No. 236) has established itself as a unique folk village, which evolves with sustainability, pursuing the revival of Neo-traditionalism. Oeam village is a tribal village of the Yis from the Yean region and has maintained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sustainability and soundness for over five centuries. Thus, the village has sustained itself well enough to be a cultural asset with‘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n terms of its value as world cultural heritage. The village maintains its own identity, filled with a variety of traditional and scenic cultural assets that symbolize a gentry village. Those assets include Confucian sceneries (head family houses, ancestral shrines, tombs, gravestones, commemorative monuments, and pavilions), various assets of folk religion (totem poles, protective trees at the entrance of a village, shrines for mountain spirits, village forests), tangible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s related to daily lives (vigorous family activities, rigorous ancestral rituals, family rituals, collective agriculture and protection of ecosystem), which have all been well preserved and inherited. In particular, this village is an example of a well-being community with a well-preserved folksy atmosphere, which is based on environmentally sound settlements (nature + economy + environment + community) in a village established according to geomancy, East Asia’s unique principle of environmental design. In addition, the village has kept the sustainability and authenticity for more than 500 years, combining restraint towards the environment and the view of the environment which respects the natural order and cultural values (capacity + healthy + sustainability). Therefore, the Oeam folk village can be a representative example of a folksy and scenic Korean community which falls into the category of Ⅳ (to exemplify an outstanding type of building, architectural or technological ensemble, or landscape which illustrates significant stages in human history) and Ⅴ (to exemplify an outstanding traditional human settlement, land-use, or sea-use which is representative of cultures, or human interaction with the environment especially when it has become vulnerable under the impact of irreversible change) of Unesco’s World Cultural Heritage. 근대화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수많은 농촌마을은 문화경관적 건전성을 상실한 채 변질이나 해체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충청남도 아산에 위치하는 외암마을(국가지정 문화재 중요민속자료 제236호,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은 신전통주의 부흥을 추구 하며 지속성을 유지한 채 한국의 대표적인 민속마을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외암마을은 예안이씨 동족마을로 500여년의 긴 역사 동안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지속성과 건전성을 지켜온 민속마을로서 문화유산적 가치 측면에서‘Outstanding Universal Value’의 필요충분조건을 갖춘 토속경관 사례이다. 유교적 문화경관 지표물(종가, 사당과 묘역, 신도비, 정려와 송덕비, 정자 등)과 다양한 민간신앙 요소(장승과 솟대, 당산목, 산신당, 마을숲 등), 그리고 유·무형의 생활문화(활발한 문중활동과 엄정한 조상숭배 의례, 가계계승의식, 공동체 농경문화 및 생태환경의 보존 등)를 지속성있게 전승함으로써 전통시대 양반촌을 상징하는 보편성과 완전성, 그리고 진정성을 유지한 채 정체성을 표출하고 있다. 특히, 동아시아의 독특한 환경설계원리인 풍수지리적 관점에서 마을을 자리 잡기하여 환경적으로 건전한 정주공간(nature + economy + environment + community)을 구축함으로서 토속성 짙은 문화경관을 완성한 사례가 되는데, 외암오산(광덕, 설아, 송악, 월라, 면잠)과 외암오수(용추, 인곡, 반계, 역천, 온정)와 같은 광역 생태문화경관의 보전과 같은 자연 환경의 절제, 그리고 생태환경의 질서와 문화적 가치를 중시하는 환경관(capacity + healthy + sustain-ability)을 결합하여 지속성과 진정성을 지켜나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외암마을 토속문화경관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기준 Ⅳ(인류역사의 발달단계를 보여주는 뛰어난 유형의 건축물이나 건조물 집합체 또는 조경유산)와 Ⅴ(뛰어난 유형의 전통 인간 거주지 또는 급격한 변화로 파괴의 위험에 직면한 문화의 대표적 유산으로서 토지에 기반을 둔 유산)의 범주에 포함되는 우리나라 공동체 사회의 대표적 사례가 된다.

      • KCI등재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활용한지역 창생과 한일관계 —OUV 해석 차를 중심으로—

        박희경 한국일본문화학회 2022 日本文化學報 Vol.- No.94

        ユネスコ文化遺産への登録とともに「顕著な普遍的価値(Outstanding Universal Value:以下OUV)」が付与された特定国家の歴史的産物と無形行為は、社会のアイデンティティ(Identity)を具現する文化として継承され、このように普遍的価値が公認された有·形無形文化は保存と活用の対象である文化遺産となる。ただし、文化遺産に対する価値認識は主体が誰なのか、どのような観点で見るのかによって異なることもあり、これによって国家間衝突の要素にもなる。このような相互衝突要素を内在した文化遺産にユネスコが付与した人類のOUV解釈を巡るその違いが、国家間衝突現象につながることもある。日本は東アジアで西欧以降、最初にユネスコ文化遺産登録によって得られる経済的利益とソフトパワー(soft power)効果を経験した国だ。敗戦後の経済発展と国際社会における外交力の向上は、世界各国の文化財事業とともに行われたと言える。文化財関連事業を通じて国際社会で肯定的な効果を経験した日本は、その後自国内の地域活性化政策に文化遺産を積極的に活用することになる。日本は、ユネスコという「国際的承認性」を備えた機関が付与した「国際的認定」が呼び起こす国内観光広報効果を最も積極的に念頭に置き、地域創生政策を進めたのだ。つまり、ユネスコ世界遺産をめぐる日本の動きは、日本的価値に対する世界の認定、すなわち世界普遍性獲得の試みと解釈できる。本稿は、グローバル時代において日本が注目したユネスコ文化遺産のOUVが日本地域社会に持つ意味を明らかにし、これを活用した地域創生方案に注目する。そしてOUVの解釈差異によって、一国の特定文化遺産が国家間紛争に拡大する原因を究明するものである。

      • KCI등재

        세계유산교육의 연구 및 실천 동향과 최근 쟁점

        한송이(Han, Song Yi)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7 기전문화연구 Vol.38 No.2

        유네스코(UNESCO)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Outstand Universal Value)를 가진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을 세계유산목록에 등재시키고 보호·보 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세계유산교육이 등장하였다. 세계유산교육은 세계유산을 보호·보존하기 위한 ‘목적으로서의 세계유산교 육’과 세계유산을 교육적 소재로 활용하는 ‘방법으로서의 세계유산교육’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목적으로서의 세계유산교육을 첫째, 세계유 산의 교육적 가치, 둘째, 세계유산의 교육 콘텐츠화, 셋째, 세계유산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로 분류하고, 방법으로서의 세계유산교육을 첫째, 현장체험학습 장소로서의 세계유산교육, 둘째, 교과 교육 소재로서의 세계유 산교육, 셋째, 가치 교육의 매개로서의 세계유산교육으로 나누어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세계유산은 풍부한 교육적 가치를 가지고 있지만 학교 현장 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세계유산교육을 교육과정에 반영 하고자 세계유산교육의 최근 연구동향과 주요 쟁점을 살펴보았다. UNESCO is trying to list on and protect the world cultural and natural heritage which ha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A way of these efforts, World Heritage Education(WHE) has started. WHE can be divide to ‘WHE as a purpose’ and ‘WHE as a means’. ‘WHE as a purpose’ is intended to protect World Heritage and ‘WHE as a means’ uses World Heritage as a means in the curriculum. This study considers precedent studies of WHE. In this study, ‘WHE as a purpose’ is categorized as Educational Value of WHE, Developing Educational Contents for WHE or Educational Program for WHE. And ‘WHE as a means’ is categorized as Field study location, Educational subject matter or Teaching materials of the value education. World Heritage has a wealth of educational values, but is not widely used in schools. Therefore this study is to cosider the current research trends and primary lssues of WHE to reflect WHE in curriculum.

      • KCI등재

        양주 회암사지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방향성 연구

        신희권 백산학회 2022 白山學報 Vol.- No.124

        As a result of more than a dozen excavations from the late 1990s to the present, the Yangju Hoeamsa Temple site has revealed that it is a representative zen temple site built with th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from the late Goryeo to the early Joseon Dynasty. Since 2016,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Yangju City have been promoting research on the inscription of ‘Yangju Hoeamsa Temple Site’ as a World Heritage Site, and in January 2022, it was added to the World Heritage Tentative List. In order to be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it must meet the inscription criteria required by UNESCO, and must be recognized for it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combined with authenticity and integrity. In this process, it is also essential to establish a plan and system for the complet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property. The site of Hoeamsa Temple consists of nine serial heritages, including the site of the main building of the central ministry and the monuments of the high priests related to Hoeamsa. These elements are evidence that clearly shows the 200 years of transmission and development of the zen buddhism of Goryeo that led to the Joseon Dynasty, and are examples of concretely proving the spatial organization system of Seonjong temples, and can be considered to have outstanding universal value. In this article, regarding the direction to take for the inscription of the Hoeamsa Temple site as a World Heritage Site, the feasibility of component and zo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inscription criteria, whether authenticity and integrity are met, the possibility of comparativ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heritage sites, conservation management plans, and other considerations matters were reviewed and opinions were presente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value of the Hoeamsa Temple site in Yangju will be in-depth comparatively studied in various aspects such as archaeology, architecture, and Buddhism, and the authorities concerned will actively support it so that the Hoeamsa Temple site can be inscribed as a UNESCO World Heritage Site. 양주 회암사지는 1990년대 후반부터 최근까지 십여 차례가 넘는 발굴조사 결과 고려 말부터조선 전기에 이르기까지 왕실의 지원을 받아 중창된 대표적 선종 사원 유적임이 밝혀졌다. 문화재청과 양주시는 2016년부터 ‘양주 회암사지’세계유산 등재 연구를 추진하여 2022년 1월에 세계유산 잠정목록으로 등재하였다. 세계유산에 등재하기 위해서는 유네스코에서 요구하는 등재 기준을 충족하여야 하고, 진정성과 완전성이 결합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야 한다. 이 과정에서 유산을 온전히 보존 관리하기 위한 계획 수립 및 체제 확립 또한 필수적이다. 회암사지 유적은 중심 사역의 주요 건물터와 회암사 관련 고승들의 기념물 등 9개의 연속유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 요소는 고려의 선종이 조선으로 이어진 200여 년의 전승과 발전을확연히 보여주는 증거이며, 선종 사원의 공간 구성 체계를 구체적으로 입증하고 있는 사례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글에서는 회암사지 유적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구성 요소와 구역 설정의 타당성, 등재 기준의 적정성, 진정성과 완전성의 충족 여부, 국내외 유산 비교 연구가능성, 보존 관리 계획 및 기타 고려사항을 검토하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향후 양주 회암사지 유적의 가치를 고고, 건축, 불교 등 여러 측면에서 깊이 있게 비교 연구하고관계 당국이 적극적으로 지원하여 회암사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성곽유산의 특성 분류와 세계유산 등재경향분석 -세계유산 잠정목록 및 등재 동아시아 성곽유산을 중심으로-

        김영수 ( Young Soo Kim ),송인호 ( In Ho Song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values, characteristics and the world heritage listed tendency of walls in East Asia. Walls in East Asia are similar by the geographically adjacent, type, form and materials, etc. Thus to demonstrate the differentiation is not easy, but walls heritage of a tentative list or listed on the UNESCO World Heritage were discriminated by the evaluation criteria of world heritage. Hidden problems are not to be described the differences by the consistent manner. So we need efforts to separate the distinction and originality of wal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eritage. As the method of this study, we reviewed the terminology associated with the wall and then have examined the following four aspects a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heritage category. 1)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purpose, 2)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the walls(the length of wall), 3)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topography, 4) Classification according to materials and technology(construction method). And we have analyzed the tendency of OUV(Outstanding Universal Value) of the world heritage listed wall. Also we examined the value basis of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presented by each heritage. In the future, we should complement the following two aspects of the wall heritage in East Asia for comparing the exact value. first, we ought to come up with a system that we can easily comp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similar walls heritage. Second, we have to make every effort to describe the walls heritage by considering OUV evaluation criteria to be able to share with people all around the world.

      • KCI등재

        부여 송국리유적 세계유산 등재과정의 문제점과 추진 방향

        이기성(Yi, Kisung) 호서고고학회 2021 호서고고학 Vol.- No.50

        부여 송국리유적은 한국의 중서부에 위치한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 지난 40여년간 26차 이상의 발굴 조사가 이루어졌다. 발굴 조사에서는 100여 기 이상의 집자리, 수혈, 방어시설, 무덤, 목주열 등이 확인되어 당시 도작 농경을 경제적 기반으로 하는 청동기 시대 대규모 마을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또한 주변에는 많은 수의 고인돌, 석관묘 유적 등이 위치하고 있어 청동기시대 사회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부여 송국리유적으로 대표되는‘송국리문화’는 멀리 일본까지 전파되어 일본 야요이문화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점들이 세계 유산의 기본적 전제 조건인‘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송국리유적의 범위와 전모를 아직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개별 구성 요소의 성격이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는 점, 주변유적의 조사가 미비한 점 등 세계유산 등재를 위해서는 아직 미흡한 부분이 적지 않다. 적어도 10년 이상의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 조사, 학술연구, 홍보, 지역주민과 연계된 활동 등이 필요하다. 단기간의 발굴조사, 정비 복원만을 통해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것은 무리한 작업이다. 가장 중요한 점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송국리유적과 부여군내 선사유적이 가지고 있는 역사적 가치를 명확히 규명하고 이를 국내외로 널리 알리는 것이다. 세계유산 등재라는 목표점을 설정하고 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송국리유적의 체계적이고 일관된 조사, 보존, 활용이 이루어지는 것에 보다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부여 송국리유적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 과정에서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는 이후 선사시대 유적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에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Located in the mid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Songguk-ri Site in Buyeo-gun is the most prominent historic site in Korea from the Bronze Age. Since its discovery in 1974, more than 26 seasons of excavation have been conducted for the recent four decades. Through the excavations, more than 100 items of pit dwelling, defense facility, tombs, and rows of wooden poles have been discovered, and they portray a life in a large village based on rice farming. The site is surrounded by many dolmen and remains of stone tombs, which describe a Bronze Age society. The Songguk-ri culture traveled as far as Japa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Yayoi culture in Japan. These meet a basic prerequisite of world heritage, that i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However, some elements are lacking to qualify the site as world heritage, including that the full scale and scope of the Songguk-ri Site have yet to be identified,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many individual elements of the site remain unclear,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surrounding site is in an incipient stage. At least 10 years of steady investigations, academic research, promotion and activities engaging community residents are needed. Short-term excavation, refurbishment and restoration efforts alone are insufficient to qualify the site as world heritage. The most important task is to elucidate historical value of the Songguk-ri Site and other prehistoric remains in Buyeo-gun in diverse methods, and promote the findings at both home and abroad. More emphasis should be put on ensuring systematic and consistent investigation of the Songguk-ri Site as well as thei20r restoration and utilization with a clear goal of establishing the site as world heritage. This calls for a mid-to-long-term planning regarding archeological and local community activities carried out in Buyeo-gun.

      • 고령 장기리 암각화로 본 한국 선사고대인의 신앙과 민속

        장장식 한국암각화학회 2017 한국암각화연구 Vol.21 No.-

        현존하는 고령 장기리 암각화는 청동기 시대에서 초기 철기시대에 행해진 의례상관물(儀禮相 關物, Rite of correlative)로서의 성소(聖所)이다. 유적은 제단이고, 암각화는 제단화(祭壇畵, altar piece)이다. 이와 관련된 정견모주신화와 전설을 검토할 때, 장기리 암각화 유적은 다른 암각화 유적보다 우위를 독점한‘큰 성소·중심 제단’로서의 위상을 가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일종의‘선사문화의 고형적 정체성’을 지닌 장기리 암각화에 대한 인식이 집단의 규모 와 지역의 확대에 따라 알터(지명)에서 가야산으로, 그리고 마침내 대가야 건국신화로 전개된 것으로 보인다. 의례적인 측면에서 장기리 암각화 유적에서 신년의례와 같은 정기적 의례가 행해지고, 기우제 (Rain calling Rites)와 같은 비정기적 의례가 행해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물’과 관련된 수 변유적(水邊遺蹟)이라는 점과 암각화의 상징성을 고려할 때, 정기적·비정기적인 기후의례(氣 候儀禮, Climatic ritual)를 행한 성소로 추정할 수 있다. 이 글에서 심도 있게 다루지 못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 첫째,“암각화 표현과 의례와의 관계성”이다. 바꿔 말하면 암각화 제작 과정과 관련된 의례 의 시점(視點) 문제이다. 둘째, 제사 집단의 규모와 방식에 대한 문제이다. 이는 첫째와 관련시켜 검토해야 한다. 셋째, 유적의 역사문화경관(History and Cultural Landscape)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넷째, 암각화 유적의 선사문화적(The Prehistoric Culture) 가치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 문제 이다. 넓은 의미에서 암각화는 한반도만의 문화 현상은 아니다. 인류가 살아왔던 지역마다 그들이 지나가고 거쳐 간 발자국처럼 여려 곳에‘선사시대의 유적’또는‘당대의 사물[세계]과 인식의 상징’이라는 이름으 로 존재한다. 이른바 인류의 보편적인 사고에 의해 형성된 문화현상이기 때 문에 탁월한 보편적 가치(Outstanding Universal Value)를 담고 있다. 일반의 암각화를 이런 시각에서 접근하는 것이 가능한데, 지금까지 논의한 고령 장기리 암각화는 다른 암각화와는 달 리 향유집단의 문화적 맥락을 타진할 수 있고,‘대가야’라는 역사적 실체가 후속하고 있다는 점 에서 탁월성을 가진다. 이는 장기리 암각화가 지닌 하나의 장점이다. 끝으로, 장기리 암각화의 보존과 지속가능한 전승이 현재의 문화적 가치로 소환될 수 있는 자 격을 갖는다. 그리고 문화사 또는 문화적 맥락이라는 통시적 인식을 기반으로 장기리 암각화가 지닌 장소자산성(Character of Place asset)의 활용성을 위해 ‘장소로서의 문화유산’에 대 한 탐구가 적극 시도되어야 한다. 이것은 국보 승격이라는 목표를 위해 힘써야 할 방향성 중의 하나이다. The extant petroglyph in Janggi-ri, Goryeong is a holy place that represents the rite of correlative conducted from the Bronze Age to the early Iron Age. The remains are an altar and the petroglyph is the altar piece. Compared with myths of Jeonggyeon moju and a legend related to this, it has been presumed that the remains of this petroglyph was a position of advantage over other remains as a “big holy place and main altar”. The recognition on the petroglyph in Janggi-ri, Goryeong containing characters of “solid identity of prehistoric culture” spread from the altar to Gayasan Mountain, and National Foundation Myths of Gaegaya according to the spread of community scale and region, Furthermore, it has been presumed that the regular rites like a new year rite was held in the remains of the petroglyph in Janggi-ri and rain calling rites was held here irregularly. Considering the remain near the waterside and the symbolic character of the petroglyph, the remain can be presumed as the holy place for regular and irregular climatic ritual. Parts that weren’t dealt deeply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1. The relation of the expression of the petroglyph and rites 2. The matter on the scale and method of ritual group 3. The qualitative research on th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of the remain 4. The active evaluation on the prehistoric cultural value of the remain The petroglyph is not a cultural phenomenon appeared only in the Korean peninsular in a wide sense. Each region has ‘the remain of the prehistoric times’ or ‘a symbol of recognition and things of those days’ like footprints passed through the ancestors. It contains an outstanding universal value due to the cultural phenomenon formed by the universal thoughts of humankind. The general petroglyph can be approached in a point of view, but the petroglyph in Janggi-ri not like other petroglyphs enables us to examine a cultural context that the historical substance of Daegaya was followed. This is one of merit that the petroglyph in Janggi-ri contains. Lastly, the preservation and sustainable transmission of the petroglyph in Janggi-ri are very important to recall a cultural value today. Research on ‘cultural heritage as a place’ should be conducted for the petroglyph in Janggi-ri which contains character of place asset based on a diachronic recognition. This is one of direction that we make efforts to promote it to the national treas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