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영토 인식

        조남호 ( Cho Nam-ho )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국학연구원 2017 선도문화 Vol.22 No.-

        이 글은 독립운동가들 그 중에서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영토인식을 크게 단군조선의 영토, 백두산, 평양, 한사군, 발해, 울릉도·독도·제주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단군조선의 영토에 대한 독립운동사들의 인식은 대종교의 그것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측면에서 독립운동가들의 단군조선의 영토, 평양, 한사군 인식은 대종교의 그것과 밀접한 관현을 맺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이는 조선 후기의 단군조선의 영토·평양·한사군과 연결되어 있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단군조선의 북쪽은 흑룡강(김교헌·박은식·신채호·안확·신태윤·이윤재·장도빈·권덕규·정인보)등 대부분이고, 그중에서 대흥안령(안재홍, 단군교종지서)가 있고, 바이칼호수(정윤)도 있다. 남쪽은 황해북쪽(정윤), 춘천(권덕규), 한강(안재홍), 조령(김교헌), 남해(박은식), 현해(신채호), 제주도(장도빈)등 다양한 견해를 보인다. 동쪽은 대부분 동해(박은식·신태윤·안재홍)이고, 울릉도(장도빈), 더 나아가서 태평양(신채호)까지 라고 한다. 서쪽으로는 황해(박은식), 요하(김교헌·신태윤), 난하(장도빈), 연나라(신채호), 산서(안재홍)등 다양하다. 평양에 대하여. 김교헌·신채호·김윤경·정윤 등은 평양은 한반도 북부에 있는 것만 아니고 중국 요서지역에 있다가 점차로 요동을 거쳐서 한반도에 이르렀다고 한다. 패수도 마찬가지의 변화를 겪는다. 한사군도 대부부의 학자들은 중국 요동에 있었다고 하지만, 안재홍과 장도빈은 한반도내로 보았다는 점도 주목된다. 대종교 계열 학자들은 대체로 태백산을 묘향산이 아니라 백두산이라고 비정한다. 이는 단군조선과 긴밀하게 관련이 있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이들은 백두산 정계비에 특히 관심을 표출하였다. 발해를 한국사의 범주에서 인식한 것은 공통된 것으로 보인다. 울릉도·독도·제주도 인식에서 드러난 영해인식은 이윤재의 경우에서 보듯이 확고한 한국의 영토로 이들은 인식하였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종교 계열 학자들의 영토 인식은 한국 상고사의 인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단군조선을 정점으로 하는 역사인식 위에 다양시각에서 영토를 연구하였다. 대종교 학자들의 영토에 대한 다양한 주장들은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었다. This essay is the territory of Daejonggyo scholars. This essay has six parts. territory Tan Kun Cho Sun, Baek Du Mt, Pyung Yang, Han Sa Gun, Bal Hae. Ulleng island, dok do(island), Jeju island. Daejonggyo scholars have diversity on territory Tan Kun Cho Sun. It`s north is Heilong river in China that many scholar have insist, Baical Lake in Russia, etc. south is Hawang Hae Do, Chun Cheon, Han River, Jeju island in Korea. east is Dong Hae, Ulleng island, Tae Pyeong yang etc. west is Hawang Hae, Nan he and Liao he, Shan xi in China, etc. In location of Pyung Yang, many scholars insist that Pyung Yang exist in north china, several transfer to north korea now. In location of Han Sa Gun, many scholars insist Han Sa Gun exist in north china, but Ahn Je Hong·Chang Do Bin claim it exist in north korea. Daejonggyo scholars insist Tae Bae MT is not Myo Hwaeng MT, but Baek Du Mt. This Baek Du Mt have a meaning that is Tan Kun Cho Sun. Bal Hae is korea history by Daejonggyo scholars `Lee Yun Je` wrote at 「Kweguol Ahn Yong Bok, the diplomatic question of Cho Sun two hundred years ago around as the center `Dok island` that Ahn Yong Bok was explaining in matters of Japanese activities. Especially about `Song island`. This is just Dok island`. In addition to, `Kwon Duk Kyu`, `Kim Yun Kyung`, also exposed territory-sea consciousness around at the center `Je Ju island.`

      • 신라대학교 주변 백양산의 동물상

        노치권(외 6명) 신라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2012 自然科學論文集 Vol.22 No.-

        To study fauna of Silla University located in Mt. Baek-yang, we conducted six surveys from 29 May 2011 to 28 April 2012. We found five phyla 41 orders 197 species of animals inhabiting in this area: four phyla 27 orders 163 species of invertebrates and in vertebrates one order six species of fishes, three orders nine species of amphibians and reptiles, six orders 14 species of aves, and four orders five species of mammals. Of these species, some Korean endemic species were included: a fish of Rhodeus uyekii in a pond near main gate of this university, a frog of Rana coreana in a creek near a dormitory, and a rabbit of Lepus coreanus and a water deer of Hydropotes inermis in a grass region near a main stadium. A kind of hawk, Falco tinnunculus as a natural monument (animal) of no. 323-8, was observed on a building of medical and life science. A blue frog of Hyla japonica as a variation was found near a spring resort. Therefore, this area is considered an ecologically important area having a high animal diversity.

      • KCI등재후보

        인천지역 백제유적의 현황과 성격

        이희인 중부고고학회 2008 고고학 Vol.7 No.1

        인천은 지형적 특성을 기준으로 도서해안과 서남부내륙, 동북부내륙의 3개 지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리적 구분은 지금까지 발견된 백제유적의 분포현황과도 부합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향후 백제 뿐만 아니라 인천지역의 고고학적 자료를 해석하는데 판단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도서해안 지역은 인천지역에서 유적의 밀집도가 가장 높은 곳으로 유적의 입지와 출토유물의 양상에서 공통성을 보이고 있다. 문학산을 중심으로 하는 서남부내륙 지역은 일찍이 미추홀의 근거지로 주목받아온 곳이지만 타 지역에 비해 조사성과가 미비하기 때문에 자세한 성격을 파악할 수는 없다. 그러나 문학산 일대에 분포하는 10여 기의 고인돌과 최근 발굴된 청동기시대 취락의 존재로 미루어 보아 청동기시대부터 형성되었던 지역기반을 배경으로 하는 초기백제와 관련된 세력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동북부내륙지역에서는 주구묘와 토광묘, 大製소성유구 등 인천의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양한 유적이 분포한다. 이들 유적들은 이 지역에 상당한 규모의 백제관련 세력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알려주고 있다. 또한 검단지역에서 발굴된 청동기시대 주거지 30여 기와 지석묘 80여 기의 존재를 통해 볼 때 이 지역의 백제관련 세력들은 청동기시대부터 형성된 지역적 전통을 바탕으로 성립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The lncheon area can be divided into three geographical areas: westcoast and islands, southwest inland, northeast inland, These geographical areas are well supported by archaeological evidences, The cultural attributes can be a norm of archaeological data for lncheon as well as Baek-Je. The westcoast area shows the highest frequency of archaeological remains in Incheon, The sourhwest inland, particularly the MoonHak mountain, has been regarded as the core place of the Michuhol, but relatively has not been researched by many scholars. However, recent excavations revealed ten Bronze Ages Dolmen(Goindol) and setdement sites, These remains prove that the early Baek-]e can be related with aborigine society from the Bronze Age in the MoonHak mountain area. The northeast inland produced various artifacts such as jugu-Myo, Togwang-Myo, Dae-ong, and so on, These artifacts are possibly related with relatively well developed Baekle society, On the otherhand, over thirty senlemenr sires and eighty Dolmens of the Bronze Age have been found ar the GLIJ11--dan area, This data explains the Baek-je society had relations with aborigine culture which continued from the Bronze 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