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비트겐슈타인의 논리 자율성

        변영진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18 No.2

        I think, ‘the autonomy of logic’ Wittgenstein says in the 5.473 of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means ‘the autonomy of linguistic logic(Sprachlogik)’. In my position, the autonomic logic consists of two types of linguistic logic. The first linguistic logic is ‘the syntax of the logical constants’, by which Wittgenstein determines the tautology of logical proposition without the aid of primitive propositions. The second linguistic logic is ‘the syntax of names’, by which the meaningfulness of elementary proposition is determined. Therefore, ‘Wittgenstein’s autonomy of logic’, i.e. ‘the autonomy of linguistic logic’ would mean ‘the autonomy of linguistic grammar’. In addition, I will argue that ‘the grammar of logical constants’ is essentially necessary, but ‘the grammar of names’ is arbitrary. The point of the difference is that the former is dependent on the world, more accurately on the scaffolding of the world, and the later is independent of all reality. 이 글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이 『논리-철학 논고』 5.473에서 말하는 ‘논리 자율성’이 ‘언어 논리(Sprachlogik)의 자율성’을 뜻함을 주장할 것이다. 그리고 자율적 논리를 두 가지의 언어 논리로 구분할 것이다. 그 첫 번째 언어 논리는 ‘논리상항들의 구문론’인데, 비트겐슈타인은 그를 통해 논리적 명제의 동어 반복을 근본 법칙의 도움 없이 규정한다. 그리고 두 번째 언어 논리는 ‘이름들의 구문론’으로, 그를 통해 요소 명제의 뜻 있음이 규정된다. 이에 따라 ‘비트겐슈타인의 논리 자율성’ 즉 ‘언어 논리의 자율성’은 ‘언어 문법의 자율성’을 의미할 것이다. 나아가 ‘논리상항들의 문법’이 본질적으로 필연적인 반면, ‘이름들의 문법’은 자의적임을 논증할 것이다. 그 차이점의 핵심은, 전자가 세계, 보다 정확히 말해 세계의 틀에 의존하지만, 후자는 모든 실재로부터 독립적임에 있다.

      • KCI등재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유형 이론

        박정일 ( Jeong-il Park ) 한국논리학회 2018 論理硏究 Vol.21 No.1

        잘 알려져 있듯이,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철학 논고』에서 러셀의 유형 이론을 명시적으로 비판한다. 그렇다면 러셀의 유형 이론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의 요점이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답하기 위하여 나는 철학적인 측면과 논리학적인 측면에서 유형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논리-철학 논고』에서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적 구문론은 말하자면 러셀의 유형 이론에 대한 대안이다. 논리적 구문론은 『논리-철학 논고』의 표기법의 기호 규칙들이며 특히 형성 규칙들이다. 비트겐슈타인의 말하기-보이기 구분은 논리적 구문론의 가장 근본적인 근거이다. 비트겐슈타인은 러셀의 유형 이론에 대한 비판과 함께 논리적 문법의 임의성(자의성)과 선험성으로 나아간다. 유형 이론에 대한 이러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은 결국 프레게와 러셀의 논리학관에 대한 도전이다. 논리학은 세계에 속하는 일반적인 진리나 특성들을 다루지 않으며, 논리학을 이루는 동어반복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As is well known, Wittgenstein criticizes Russell’s theory of types explicitly in the Tractatus. What, then, is the point of Wittgenstein’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I will consider the theory of types on its philosophical aspect and its logical aspect. Roughly speaking, in the Tractatus Wittgenstein’s logical syntax is the alternative of Russell’s theory of types. Logical syntax is the sign rules, in particular, formation rules of notation of the Tractatus. Wittgenstein’s distinction of saying-showing is the most fundamental ground of logical syntax. Wittgenstein makes a step forward with hi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to the view that logical grammar is arbitrary and a priori. Hi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is after all the challenge against Frege-Russell’s conception of logic. Logic is not concerned with general truth or features of the world. Tautologies which consist of logic say nothing.

      • Multi-model-based interactive authoring environment for creating shareable medical knowledge

        Ali, T.,Hussain, M.,Ali Khan, W.,Afzal, M.,Hussain, J.,Ali, R.,Hassan, W.,Jamshed, A.,Kang, B.H.,Lee, S. Elsevier Science Publishers 2017 Computer methods and programs in biomedicine Vol.150 No.-

        Objective: Technologically integrated healthcare environments can be realized if physicians are encouraged to use smart systems for the creation and sharing of knowledge used in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s (CDSS). While CDSSs are heading toward smart environments, they lack support for abstraction of technology-oriented knowledge from physicians. Therefore, abstraction in the form of a user-friendly and flexible authoring environment is required in order for physicians to create shareable and interoperable knowledge for CDSS workflows. Our proposed system provides a user-friendly authoring environment to create Arden Syntax MLM (Medical Logic Module) as shareable knowledge rules for intelligent decision-making by CDSS. Methods and materials: Existing systems are not physician friendly and lack interoperability and shareability of knowledge. In this paper, we proposed Intelligent-Knowledge Authoring Tool (I-KAT), a knowledge authoring environment that overcomes the above mentioned limitations. Shareability is achieved by creating a knowledge base from MLMs using Arden Syntax. Interoperability is enhanced using standard data models and terminologies. However, creation of shareable and interoperable knowledge using Arden Syntax without abstraction increases complexity, which ultimately makes it difficult for physicians to use the authoring environment. Therefore, physician friendliness is provided by abstraction at the application layer to reduce complexity. This abstraction is regulated by mappings created between legacy system concepts, which are modeled as domain clinical model (DCM) and decision support standards such as virtual medical record (vMR) and Systematized Nomenclature of Medicine - Clinical Terms (SNOMED CT). We represent these mappings with a semantic reconciliation model (SRM). Results: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he creation of shareable and interoperable knowledge using a user-friendly and flexible I-KAT. Therefore we evaluated our system using completeness and user satisfaction criteria, which we assessed through the system- and user-centric evaluation processes. For system-centric evaluation, we compared the implementation of clinical information modelling system requirements in our proposed system and in existing systems. The results suggested that 82.05% of the requirements were fully supported, 7.69% were partially supported, and 10.25% were not supported by our system. In the existing systems, 35.89% of requirements were fully supported, 28.20% were partially supported, and 35.89% were not supported. For user-centric evaluation, the assessment criterion was 'ease of use'. Our proposed system showed 15 times better results with respect to MLM creation time than the existing systems. Moreover, on average, the participants made only one error in MLM creation using our proposed system, but 13 errors per MLM using the existing systems. Conclusion: We provide a user-friendly authoring environment for creation of shareable and interoperable knowledge for CDSS to overcome knowledge acquisition complexity. The authoring environment uses state-of-the-art decision support-related clinical standards with increased ease of use.

      • KCI등재

        NPI licensing and the logic of the syntax-semantics interface

        Yusuke Kubota,Robert Levine 경희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1 언어연구 Vol.38 No.2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xplicit syntax-semantics interface of NPI licensing in Hybrid TLG. Hybrid TLG is a version of categorial grammar that inherits properties of both lexicalist and derivational variants of generative grammar, and it has been shown in our previous research (summarized in Kubota and Levine 2020) that it offers elegant analyses for a number of complex phenomena at the interface of syntax and semantics (especially in the domains of coordination and ellipsis) that turn out to be highly problematic for other grammatical theories. In the present paper, we extend our work to NPI licensing and report on some initial results suggesting that the flexible and systematic architecture of Hybrid TLG turns out to be successful in this domain too. Specifically, our approach captures interactions between NPI licensing (or polarity sensitivity) and other complex phenomena at the syntax-semantics interface including the scopal properties of modal auxiliaries, Gapping, and VP fronting.

      • KCI등재

        카르납의 의미론에 대한 역사-비판적 분석

        문장수(Moun Jean-Sou) 대한철학회 2012 哲學硏究 Vol.12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카르납의 의미론에 대한 전체적 내용과 이것이 가지는 역사적 의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잘 알다시피, 카르납은 논리실증주의의 토대를 마련한 자이다. 따라서 논자는 이 연구를 통해서 논리실증주의의 역사적 의의와 그 한계를 동시에 해명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논자가 특히 강조하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첫째로, 카르납은 논리적 체계들의 가능근거를 최초로 논리적으로 해명하려고 노력했다. 종전까지의 대부분의 논리학자들은 논리적 법칙들의 가능근거를 인간의 선험적 인식의 가능성에서 찾으려고 했다. 그러나 카르납은 이를 철저하게 통사론적으로 해결하려고 했다. 둘째로, 카르납은 소위 검증원리를 도입하여, 진술의 의미는 그것의 검증조건이라고 주장하면서, 문장은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을 때만 의미를 가진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검증원리는 종전의 다양한 형이상학적 진술들을 무의미한 것으로 제거할 수 있게 했다. 셋째로, 카르납은 수학적 명제의 가능성의 원리를 논리적 구성에서 설명하는 논리주의를 지지하지만, 종전의 외연 계산적 논리주의를 보완 수정하면서, 내포 계산적 논리주의를 도입하는 독창성을 보였다. 이러한 장점과 독창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의 의미론은 완전하고 철저한 구성주의를 구축하지는 못했다. 왜냐 하면, 그의 구성주의는 아직 유명론적 입장을 지지하기 때문이다. 즉 논리적 체계들이 선험적 능력에 근거한다는 형이상학적 입장을 부정하지만, 언어적 기호의 산물인 것처럼 주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논자는 논리는 언어적 기호의 산물이기 이전에 행동의 조작적 구조들에 근거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말하자면, 카르납의 유명론적 구성주의는 행동적 구성주의 및 조작적 구성주의에로까지 확장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Through this study, I would like to discuss the historical meaning of Carnap’s semantics. The broad field of semantics is divided into three groups; the first is syntax, the second semantics, and the third pragmatics. The narrow field of semantics is divided into two subjects; the theory of reference(denotation, extension) and the theory of meaning(connotation, intension). But Carnap, cutting across these categories, distinguish between descriptive semantics(the empirical investigation of natural languages) and pure semantics(the analytic study of artificial languages). In the Logische Syntax der Sprache, Carnap held that philosophical problems are really problems of syntax. In this book, He outlined a general structure for characterizing the syntax of any language whatsoever. This consists of the formation rules and transformation rules of the language, together with a number of concepts that can be used in characterizing the language. But Introduction to Semantics outlined changes in Carnap’s view since publication of the Syntax. He now believed that certain concepts hitherto regarded as syntactical are basically semantical. These include range, extensionality, analytic, synthetic, contradictory, implication and equivalence. So, the task of philosophy is semantic analysis. In order to eliminate pseudo problem in philosophy, He supposed the principle of verification. This asserts that the meaning of a statement is given by the conditions of its verification and that a statement is meaningful if and only if it is in principle verifiable. But later, the demand that all scientific concepts be explicitly definable in terms of observables is replaced by the weaker requirement of reducibility or confirmability. But by these changes I would like to consider him as a constructivist. The formal systems are not structures a priori, but constitution systems a posteriori.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논리와 형이상학

        변영진 ( Young Jin Byun ) 한국논리학회 2013 論理硏究 Vol.16 No.3

        이 글은 비트겐슈타인이 『논리-철학 논고』에서 어떤 언어 논리와 또 어떤 형이상학을 제시하는 지 다룰 것이다. 필자는 궁극적으로 어떻게 그가 언어 논리로부터 형이상학을 근거 짓는 지 밝히려고 한다. 비트겐슈타인이 언어의 한계를 ‘언어 내에서’ 그으려 할 때, 그 언어 논리는 언어의 논리적 구문론이다. 그리고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적 구문론에 대한 사상을 세계의 본질에 대한 이해, 형이상학으로 확장시킨다. 언어(문장)가 가져야 하는 논리적 형식은 세계의 형식(또는 세계의 본질)이고, 그것은 오로지 언어의 논리적 구문론과 더불어서만 확정될 수 있다. 그러나 논리적 형식(세계의 형식)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말 되어질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을 말하는 명제는 ‘뜻’ 없고, ‘아무것도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적 형식(세계의 형식)이 뜻 있는 문장에서 ‘오로지 드러날 수 있다’고 표현한다. 비트겐슈타인이 언어 논리(논리적 구문론)로부터 근거 지으려 하는 형이상학은 신비적일 것이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oblem, which logic of language and which metaphysics Wittgenstein suggests in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I will ultimately show how he bases the metaphysics on the logic of language. The logic of language by which Wittgenstein sets the limit to the language ‘in the language’ is the logical syntax of the language. And Wittgenstein extends the idea of the logical syntax to th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the world, i.e. to the metaphysics. The logical form the language(proposition) must have is the form of the world(or the nature of the world), and it can be determined only together with the logical syntax of the language. But what is the logical form(form of the world) ‘cannot be said’, since the proposition saying it is devoid of ‘sense’ and ‘says nothing’. Therefore Wittgenstein expresses that the logical form(form of the world) ‘can only be shown’ in the proposition that has sense. The Metaphysics Wittgenstein wants to base on the logic of language(the logical syntax) must be mystical.

      • KCI등재

        유다서의 구문과 구조적 특성

        송영목 한국신약학회 2018 신약논단 Vol.25 No.1

        유다서는 한 때 ‘신약 성경 가운데 가장 간과되어온 책’이었지만, 최근에는 다양한 방법론을 동원하여 비교적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요한서신과 요한계시록 사이에 위치한 유다서는 비록 분량은 짧지만 내용은 풍성하고 중요하다. 그런데 아직까지 유다서의 구문과 구조의 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계 연구는 거의 없다. 유다서의 구문분석이 문장 안에서 단어들의 의미적 상호관련성을 밝힌다면, 담론분석을 통한 구조분석은 문장들과 단락들 간의 관련성을 저자의 사고구조의 흐름을 따라 찾아낸다. 이 글은 이런 연구의 틈을 메우는 문학적이고 문예적인 해석에 해당한다. 구문분석은 유다서의 459개 단어들의 특성을 도표로 밝힌다. 그리고 구조분석은 본문비평, 담론분석 그리고 수사적 분석을 포함한다. 이 글을 통해 유다서는 기독론에 근거한 교회론적 권면을 이원론적으로 그리고 치밀한 구문과 구조는 물론, 다양한 수사적 기법을 통해 전개하고 있음이 증명된다. 이런 구문과 구조적 특성을 통해서 유다는 독자들로 하여금 정체성의 경계선을 강화함으로써 거짓 선생들을 경계하도록 목회적으로 권면한다. In 1970’s, the epistle of Jude was regarded as the most neglected book in the New Testament. Recently the situation has changed since multiple methodologies have been applied to this epistle. Though the epistle of Jude located in between the Johannine letters and the book of Revelation is very short in quantity, its message is fruitful and deep. Until now, the combined study of syntactical and structural analyses on the epistle of Jude is sparse. To fill this research gap, the following steps are undertaken: (1) syntactical analysis showing the interrelationship of all the 459 words in Jude, and (2) structural analysis including textual criticism, discourse analysis and rhetorical analysis. By these analyses it becomes clear that the author Jude unfolds his logical argument based on the Christological ecclesiology in rhetorical devices as well as in a well organized syntax and structure.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syntax and structure in this epistle, Jude pastorally encourages his readers to reject the false teachers by strengthening their identity boundary.

      • KCI등재

        비트겐슈타인과 윤리

        변영진 한국윤리학회 2019 倫理硏究 Vol.127 No.1

        이 글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언어철학과 연관하여, 그 전·후기 윤리관에 접근한다. 우선 그의 언어사상이 일관적으로 철학적 문법론에 있다고 볼 것이다. 전기의 철학적 문법론은 논리적 구문론이고, 후기의 그것은 언어놀이인데, 필자는 후기의 철학적 문법론이 전기사상의 오류극복 결과라 생각한다. 그리고 각각의 언어사상이 적용된 전·후기 윤리관의 특징과 그 관계를 살펴볼 것이다. 특히 후기의 윤리관이 전기의 그것에 비해 우월함을 지적할 것이다. 전기 논리적 구문론에 따르면 ‘좋음’에 대해서는 다만 소극적으로 침묵에 머물러야 한다. 하지만 후기 언어놀이에 따르면 ‘좋음’에 관해 적극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나아가 전기의 『논리-철학 논고』와 후기의 『철학적 탐구』에서 드러나는 언어사상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윤리관에 적용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강의록들을 분석한다. 전기의 윤리관은 “윤리학 강연”으로, 후기의 윤리관은 “강의 1932/33”의 해석으로 밝히겠다. In this article, I investigate the early and late ethics of Wittgenstein from the view of his philosophy of language. First of all, the premise is that his thoughts of language are constantly in philosophical grammar. I think, the philosophical grammar of the early period is logical syntax, and the later one is language game. And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s of the pre and post ethical views to which both language thoughts of Wittgenstein are applied. In particular, I insist that later ethics points out superiority to that of the first. According to the logical syntax, you should passively silent on the goodness. However, according to the language game, you can actively express the goodness. In the research method, the lectures are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how the thoughts of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and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are applied to ethics. The early ethics is revealed in the "A Lecture on Ethics", and the latter in "Lecture 1932/3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