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지역정착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정주신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1 공공정책연구 Vol.28 No.2

        현재 한국에는 2만5천명 정도의 북한이탈주민이 정착하고 있으며, 계속 숫자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이들이 한국에 잘 정착하는 것은 정부의 기초 정착금을 기본으로 하기보다는 지자체의 실질적인 대응과 지원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정착의 의미는 크므로 이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지자체 역할이 증대할 수밖에 없다. 이 글의 관점은 국가의 정착금 지원과 달리 지자체(대전광역시)가 북한이탈주민을 지역에 잘 정착시키고자 하는 관심과 배려가 앞서야 한다는 데에 연구 목적을 둔다. 다시 말해서 북한이탈주민이 지역정착을 함에 있어, 지자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하되 지역적응센터 기능과 지역민의 관심을 제고시키는 데서 이 논의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지자체-지역적응센터-지역민 관심 등 3자 관계를 효율적으로 어떻게 연관 짓느냐가 관건이라 할 수 있다. 즉 지자체의 역할론은 북한이탈주민이 지역에 정착하는데 어느 정도 주도적인가에 달려 있으며, 또한 정부의 정착지원 이후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정착을 위해 도모해야 할 과제가 무엇인가를 파악하는 척도가 될 것이다. 결국 대전광역시는 그 산하의 자치구와 지역단체 및 기관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을 잘 관리하는 것,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예산편성을 실제 수효에 맞게 편성하고 형식에 그치지 않아야 된다는 것, 북한이탈주민과 지역민과의 만남의 장을 상시 운영하고 지역민과의 유대감을 제고하는 것, 대전시와 하나센터 및 고용센터와의 연계체제로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자리 창출을 하는 것, 북한이탈주민지원협의회의 역할과 기능강화로 낭비적인 것을 지양할 것 등에서 역할을 찾아야 할 것이다. Now, 25,000 North Korean defectors settled down in South Korea. With a continuously increasing number of such cases, their smooth settlement would require the local government's substantial response and support rather than the central government's basic resettlement funds. In this regard, the local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long as they are living in the region in which they want to live, its local government has no choice but to play a bigger role. The study suggests that the local government(Daejeon City) should be concerned and care about the smooth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region while the nation supports them with resettlement funds. In other words, the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focuses on a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in the local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at the same time, promotes the function of the centers for regional adaptation and arouses local residents' interest. In particular, what matters is to effectively connect the relationships between local government-centers for regional adaptation(Hana center)-local residents' interest. In other words, the role theory of the local government depends on how much it plays a leading role in the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region. The role of the local government would be the barometer of what should be done for the local settl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after the government's support for their settlement. In conclusion, Daejeon City will have to find its role in the following sense: a good manage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a network with its autonomous regions, regional groups and organizations; a budget compil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meeting their actual number and being more than just formality; a regular operation of the meeting place for North Korean defectors and local residents, and an improvement in fellowship with local residents; a job cre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through the linkage system of Daejeon City, Hana center and job center; a mitigation of wastes by reinforcing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council supporting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 on.

      • 우리나라 지방의회의 예·결산심사권에 대한 검토

        홍종현(Jong Hyun Hong) 한국재정법학회 2023 재정법연구 Vol.9 No.-

        On this paper, the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asures to actualize the right to review the budget and settle accounts of local councils at each stage of financial operation after examining major issues at each stage, such as budget compilation, deliberation and determination of the budget are reviewed. To this end, alternatives are proposed by reviewing laws and precedents in connection with major cases to solve procedural and practical problems raised in the budget and settlement review process of local councils. By identifying the problems raised in the budget planning, deliberation, and confirmation stage and comparing them with the budget-related systems in Germany and France, we sought ways to substantiate the authority of local councils in the budget planning, deliberation, and confirmation stage. We sought ways to introduce and operate under the current legislation in Korea while relatively examining the efforts of local councils in Japan to strengthen their right to review the budget and settlement. Although the budget bill and the ordinance bill are distinguished under the Korean financial system, unlike the problems caused by the adoption of budget illegality in the National Assembly, disputes over local council resolutions are likely to be judged judicial through institutional litigation under the Local Autonomy Act, which can resolve disputes or conflicts over ordinances (related to finance). This means that the meaning and function of financial laws can be expressed in the realm of local autonomy, and on the other hand, it is a proof that the conflict between local councils and local government heads has not been resolved politically. To solve this problem, the local financial system itself should be reorganized or practically operated, such as practical application of budget principles, introduction of budget ordinanceism, introduction of a pre-budget consultation system, improvement of the supplementary budget system, advancement of the supervision and control system of budget execution, conversion of the Special Committee on Budget and Accounts in charge of budget and settlement review to a Standing Committee, strengthening the link between settlement review and budget review, and realizing settlement review to come up with fundamental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such as settlement review based on performance evaluation data such as administrative evaluation results, and denial of settlement. It will be possible and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autonomy and accountability of local finances through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local councils’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administrative audit power, autonomous organization and personnel rights, as well as improving the budget and settlement system itself. 본 논문은 지방재정제도를 예산의 편성, 예산안의 심의ㆍ확정, 예산의 집행 및 결산 등 각 단계별 주요 쟁점을 살펴본 후에 재정운영의 각 단계에서 지방의회의 예·결산심사권을 실질화하기 위한 법제도적 개선방안을 분석·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지방의회의 예·결산심사과정에서 제기되는 절차적ㆍ실질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법령, 판례 등을 주요사례와 연계하여 검토함으로써 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예산안의 편성 및 심의ㆍ확정단계에서 제기되고 있는 문제점들을 확인하고, 그 해결을 위해 독일과 프랑스의 예산 관련 제도와 비교함으로써 앞으로 예산안 편성 및 심의ㆍ확정단계에서 우리 지방의회의 권한을 실질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고, 일본 지방의회가 예·결산심사권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비교법적으로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의 현행 법제 하에서도 도입·운영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재정제도 하에서 예산안과 조례안을 구별하고 있지만 국회에서 예산비법률주의를 채택함으로써 나타나는 문제와 달리 지방의회의 의결을 둘러싼 분쟁은 지방자치법상 기관소송을 통해 사법적 판단을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지방자치단체장의 예산안편성권과 지방의회의 예산안심사권 사이의 충돌, (재정과 관련된) 조례를 둘러싼 분쟁 내지 갈등을 해결할 수 있고, 중요한 의미를 갖는 판례들이 일부 축적되어 있다. 이는 한편으로는 지방자치의 영역에서 재정법의 의미와 기능이 발현될 수 있다는 의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장 사이의 갈등이 정치적으로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산원칙의 실질적 적용, 예산조례주의의 도입, 사전예산 협의제도의 도입, 추가경정예산제도의 정비, 예산집행의 감독·통제체계의 고도화, 예산·결산심사를 담당하는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상임위원회’로의 전환, 결산심사와 예산심사의 연계성 강화, 행정업무평가결과 등 성과평가 데이터에 기반한 결산심사, 결산의 불인정 등 근본적인 재발방지책을 마련하도록 결산심사를 실질화하는 등 지방재정제도 자체를 개편하거나 실질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즉, 예·결산제도 그 자체를 개선하는 것과 아울러 지방의회의 자치입법권, 행정사무감사권, 자치조직·인사권 등과의 종합적인 고려를 통해 지방재정의 자율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근대 상해 월계축로 문제에 대한 중국 지방 당국의 대응-내지 문제를 중심으로-

        김승래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3 사총 Vol.108 No.-

        This research’s goal is to make explanation about the reason of relative difference of the number of extra-settlement road built upon two areas, between north and west of the foreign settlement of Shanghai. The separation of Chinese and Foreigners was main policy when the British settlements were established after the Treaty of Nanking, including Shanghai. Though, after refugees from the Taiping rebellion pouring into the settlement, dividing policy of Chinese and foreigners in Shanghai could not be maintained anymore. This made Qing accept the situation and allow Chinese people to live in the settlement. However, Qing officials did not just renounce the concept of separation of Chinese and foreigners, but rather changed their concept. The original concept was to limit foreign people inside the border of foreign settlement. Rather than simply abandon this policy, the border of Shanghai prefecture(Shanghai xian)became new limit to foreigners. This change made some influential gap in this area, because local Chinese administrators allowed foreigners to live or make their own business at there, if there were no big problem. This was also possible because the investment of foreigners made economical profit in those area. In result, relatively more extra-settlement road was ‘allowed to built’ here, even though there were also many negotiations between Qing local officials and foreign representatives. In contrast, the situation totally changed after the Revolution of 1911, New officials from the new government had no such dividing policy. Furthermore, they tried to support local Chinese cities developing around the foreign settlement of Shanghai. These supported local Chinese city governments expanded their influences over the area which foreigners had already expanded over the settlement border. From there, building local government’s authority had main priority between two sides, which resulting wide disapproval of building of extra-settlement road all around the foreign settlement. 본 연구는 상해 공공조계로부터 북부에 위치한 갑북 근린 지역, 그리고 서부에 위치한 법화 지역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월계축로의 수에서 나타나는 지역별 차이에 대하여 설명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남경조약의 결과 상해를 포함한 개항장에 영국 조계가 설립되었을 때부터 청은 외국인의 통제를 위하여 화양분거 방침을 취해왔다. 그러나, 태평천국군에 의한 전란의 영향으로 상해에서 대규모의 난민이 조계 안으로 유입되었기 때문에, 상해에서 화양분거 방침의 유지는 불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청은 중국인이 조계 내에서 외국인과 함께 거주하는 실질적인 화양잡거의 상태를 사실상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청의 관료들은 화양분거 방침을 그대로 포기하기보다는 이를 변형시켜서라도 유지하는 쪽을 택했다. 화양분거의 기본적인 개념은 외국인의 거주와 무역 등 활동을 조계 경계선 내부로 제한하는 것이었다. 조계 경계선 내에서 화양분거가 실패하자, 이 방침은 단지 경계선의 기준만을 조계 경계선에서 상해현의 경계선으로 변경하여 유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상해현 내에서 일종의 힘의 공백을 만들었는데, 왜냐하면 청 지방 당국이 지역 내 큰 문제로 발전하지 않는 한 외국인의 상해현 내 진출을 어느 정도 묵인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외국인의 투자로 지역 내 지주나 향신층의 경제적 이익이 어느 정도 만족되었기 때문이기도 하였다. 갑북 지역과 같이 국가가 직접 개입하여 보존해야 할 이권도 없었기에, 결과적으로 상해현 내 법화 지역에서는 훨씬 용이하게 월계축로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반면 1911년 신해혁명 이후에는 상황이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신정부의 새로운 관료들은 더 이상 화양분거와 같은 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없었다. 또한 이들은 조계 인근의 중국 지방 행정 기구의 발전을 지원하고자 하였다. 특히 상해에서 갑북의 행정 기구는 외국인들이 조계 경계선을 넘어 영향력을 확대해왔던 월계로 지구로 영향 범위를 넓혀왔으며, 결과적으로 조계 측과의 필연적인 관할권 분쟁으로 이어졌다. 이는 민족주의적 의식의 확산과 함께 민간 영역에도 영향을 미쳐, 점차 조계 인근에서 새로운 월계축로 실시가 매우 어려워졌다.

      • KCI등재

        일본의 COC+정책에서 지역지향교육이 지역애착과 지역정착에 미치는 효과

        李永俊(Young-Jun LEE),花田眞一(Shin-ichi Hanada ),엄창옥(Chang-Ok Um) 한일경상학회 2023 韓日經商論集 Vol.99 No.-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community-oriented education’ using the data of follow-up surveys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Japan’s MEXT had promoted the community-oriented education through twice COC and COC+ projects by mobilizing all local resources. It was consistent with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reform at local universities. Korean society can obtained some important implications from this research results for the local youth settlement polic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existing studies on local settlement were used to cross-section data, so dynamic changes could not be confirmed. This study can confirm the attitude changes in the local attachment and the local-employment settlement between those who received and did not receive the community-oriented education by using data from two times: May of freshmen, November of third grade. This study used DD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educational effect only appeared to be limited to the students coming from other regions rather than those within the region. Rather, we find out that local experiences such as volunteer activities and club activities increase the attachment to the loc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on local-employment of local youth, local industrial structure and job opportunities variables were more significant. The local employment opportunities were a direct factor in local employment decisions of local university students. Implications: The community-oriented education is not only a classroom-based local studies, but also a new approach to opportunities to contact the local community, such as volunteer activities in the region. The conclusions that regional experiences such as solving local problems, internship activities at local companies and local volunteer working increase local attachment are also meaningful in Korea’s regional policy. At the same time, it can be said that community-oriented education has a greater effective meaning i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than in universities.

      • KCI등재

        20세기 초 상해 공공조계의 보산현 확장 문제-1908년 확장 교섭을 중심으로

        김승래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4 사총 Vol.111 No.-

        The negotiation about extension of the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 had started when Shanghai Municipal Council formally asked to Shanghai Consular Body for cooperation. However, since French Concession also tried to extend its boundary into Xujiahui and Pudong, where many British and American company was located, French objected to extension of the Settlement. Moreover, Qing government never allowed to include Zhabei area into newly extended area of the Settlement, while they allowed the extension itself. In early 1908, there were constant clash between Shanghai Municipal Police and Chinese Police for jurisdiction of Zhabei area. This situation made great discontention among foreginers in the Settlement, which resulted into retrying settlement extension into Zhabei. British Consul- general Pelham Warren suggested to John Jordan, the British minister in China, that Chinese attempt to build municipal government in Zhabei is actually aiming to prevent extension of the Settlement into that way. Though the British Foreign Office and Jordan thought that developing the question of police jurisdiction into the settlement extension will not be so successful, and suggested that seeking status quo by negotiation is more preferable. However the Governor of Nanking, Tuan Fang, about the question of extension of the Settlement, made extension of 1899 into final one, so that no more extension of the Settlement will be allowed. Jordan explained about this view that China want to control foreigners in the area outside of the Settlement, while limit their privileges. Jordan never opposed to settlement extension itself, but he thought more possible way is to ask and negotiate to improve Zhabei’s new municipality. Finally, in the negotiation of extension of the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 in 1908, the question of the settlement extension in 1899, especially about the question of Zhabei area, was important point. From this, we could understand that the development of municipality in Zhabei had effectively blocked the influences of the Settlement to infiltrate into inner China. 1899년의 공공조계 확장과 관련된 교섭은 1896년 1월 공부국 동사회가 상해 영사단에 조계 확장과 관련된 협조를 요청하면서 시작되어, 1898년까지 지속하여 추진되는 과정에 있었다. 그러나 1898년 사명공소 사건을 계기로 프랑스 조계도 서가회와 포동 방면으로의 확장을 시도하면서, 영국 및 미국과 충돌하게 되었다. 한편 청은 조계측이 제안한 확장 범위의 대부분이 받아들여졌음에도 불구하고 보산현 방향으로의 확장안은 허용되지 않았는데, 이것은 갑북의 철도역이 외국인에게 장악당하는 것을 피하려는 목적이었다. 1908년 초가 되면 갑북의 월계로 구간에서 공부국 경찰과 중국 경찰의 반복적인 관할권 분쟁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조계 외국인은 갑북의 경찰 행정에 대해 큰 불만을 가졌으며, 이는 보산현 방면으로의 확장을 다시 시도 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국 총영사 펠햄 워렌은 영국 공사 조던에게 보산현 방향의 확장 필요성을 주장하며, 중국의 갑북 지방 행정 기구 설립 시도는 조계 확장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또한 중국협회는 보산현 내 외국인의 거주가 허용되어 있으며, 이들을 위한 적절한 경찰 서비스의 제공을 위하여 조계의 확장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영국 외무성과 조던 공사는 경찰 관할권 문제를 조계 확장으로 연결하는 것은 설득력이 떨어지는 방법이라고 보고, 실력 행사보다는 통상적 협의 절차에 따른 현상 유지를 추구해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양강총독 단방은 조계 확장 요구에 대한 답변에서 1899년의 조계 확장을 최종안으로 확정하고, 보산현의 중국 경찰은 차차 개선될 것이라고 보았다. 여기에 대해 조던은 중국 측이 외국인의 특권 확장을 저지하고자 하는 한편, 조계 외부에 거주하는 외국인을 통제하고자 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조던은 조계 확장의 가능성은 열어두면서, 방법론상으로 우선 갑북의 시정 운영 개선을 요구하는 것이 순서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이처럼 1908년의 교섭에서는 1899년의 조계 확장과 그 교섭 내용에 대한 인식이 중・서간의 인식 차를 가져온 중요한 지점이었다. 또한 갑북에서 지방 행정 기구의 운영과 발전은 조계 경찰과의 관할권 분쟁 등을 통하여 조계 행정의 영향력이 좀 더 내지 깊숙한 곳까지 침투하는 것을 저지하였으며, 나아가 조계 확장의 저지에도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中西部地域 無文土器時代 中期聚落의 一樣相

        안재호(Jae-ho Ahn) 한국상고사학회 2004 한국상고사학보 Vol.43 No.-

        湖西地域에서 발굴된 中期의 무문토기 취락유적을 대상으로 각 취락의 구조와 성격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地域共同體 속에서 大小單位의 취락은 각각의 기능이 分業化된 하나의 유기적인 관계로 결합되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하였다. 즉, 주거지 규모의 차이를 단순한 가족 구성원의 다수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구성원의 신분이나 사회적 위치로 파악한다면, 취락내에서 큰 규모의 주거지는 그들의 신분적 기능을 엿볼 수 있는 특정한 위치에 입지한다. 그리고 중대형의 주거와 주변유구와의 관계를 통하여 墓祀 집단의 烏石里遺蹟과 수확된 식료의 貯藏과 관리의 機能이 강한 大興里遺蹟 그리고 耕作集團으로서 阮北里遺蹟을 모델화하였다. 이에 반하여 寬倉里B구역遺蹟은 4개의 소취락으로 형성된 거점취락으로서, 묘사, 토기생산, 농경활동, 저장 등으로 分業化된 소취락의 複合型에 해당한다. 취락기능의 분업화는 靑銅器, 石器, 玉, 土器 등의 專門工人集團의 발생과 儀禮를 관장하는 特定個人 또는 특정집단의 출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영남지방의 경우 특정개인은 前期 末경에 나타나지만, 분업취락의 성립은 역시 中期에나 가능할 것이다. 이 特定個人의 취락은 中核취락으로 발전하며, 그 이후 中期後半에는 分業的 취락으로 地域共同體가 형성된다고 추정하고 싶다. I inquired into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each settlement, which was the middle Bronze age of settlement remains, excavated at the choong-chung province. It seems high feasible that the settlement of the great and small sizes in local public community connected as a kind of organic relation. So to speak, the difference of residing size isn't fixed by number of the family, but it is fixed by the social position or stand, if so, the great size residing in a settlement is located into the specific location, where we can look for their social position. And,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middle large residing and circumference remain structure, Osuckee remains is model as group which is manage to ceremony, supervise graves, and manufacture of burial accessories, Daehungnee remains which was competent of storage and management of harvested provisions, and Wonbuknee remains which was cultivation group were modeled. Whereas, as a point settlement, being consist of four small residing, Ghwanchangnee B restrict was small settlement complex of dividing works such as manage to ceremony, protecting graves, and manufacture of burial accessories, product pottery, storage, cultivation. Specialization of function of settlement is closely connected with specific individual who is take charge of ceremony or specific group and professional craftsman group who manage of bronze ware, stone aware, jade, and earthen ware. In case of southeastern district, specific individual appeared at the end of former term but Specialized settlement's completion will be possible at middle term as I was expected. I'd like to presume about this settlement of specific individual will develop into point settlement, and later, the latter of middle term it will be formed local community as divide settlement.

      • KCI등재

        청년의 취업선호가 지역정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엄창옥 ( Changok Um ),나주몽 ( Jumong Na ),백경호 ( Kyungho Baek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1 지역개발연구 Vol.53 No.2

        청년 일자리 부족과 노동시장의 미스매치 문제는 지역에서 수도권으로의 청년 유출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청년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지금까지 지역에서는 한편으로는 지역전략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청년 일ㆍ경험 지원 정책을 실시하며 노동시장의 미스매칭 해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청년유출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지역노동시장의 미스매칭으로 인한 청년유출문제를 지역청년의 취업선호에서 찾고자 하였다. 다시 말하자면 지역청년의 취업선호에 맞는 지역노동시장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지역청년의 지역정착을 유도할 수 있다는 관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청년의 취업선호를 조사하고, 이 취업선호의 어떤 요인이 청년들의 지역정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광주, 대구, 강원의 청년을 대상으로 조사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선호의 어떤 요소가 지역정착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를 보면, ‘자신의 기능과 능력 활용’, ‘회사의 규모와 지명도’, ‘직무의 사회적 의미’, ‘능력중시 회사’, ‘전근이 없거나 한정된 지역 내에서의 전근’ 요인이 지역정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설명변수가 강원에 비해 대구와 광주에서 적극적 정착에 더 큰 영향을 주었으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이 적극정착에 영향을 더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방자치단체가 청년들이 지역 내에서 사회ㆍ경제적 역할을 키우고, 능력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을 제공할 경우 청년의 지역정착이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Lack of employment opportunities for youth and job mismatch are the main reasons for the problem of youth outflow from the region to the metropolitan area along with the youth unemployment problem. In order to reduce the outflow of youth, local governments are actively implementing policies to support youth work experience and trying to resolve the mismatch, but the achievements are not showing well.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work-experience」 policies based on youth job preferences and reduce mismatches successfully, the possibility of youth settling in the local area will increase. Based on these predictions,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youth job preferences on local settlement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OLR). The survey data of youth in Daegu, Gwangju, and Gangwon was used in this analysis process. As a result, factors such as ‘use of one's own skills and capabilities’, ‘the size and reputation of the company’, ‘social meaning’, ‘capacity-oriented companies’, and ‘areas with no commuting or limited commuting’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local settlement of youth. There was a som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from region to region. the job preference factors of youth in Daegu and Gwangju had a greater influence on local settlement compared to youth in Gangwon. It is thought to reflect the geographical factor that Gangwon is close to the metropolitan area.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the older group, the more males than females had an influence on local settlement. This means that if local governments provide various ways for youth to develop their social and economic roles and utilize their abilities within the region, the local settlement of young people can increase.

      • KCI등재

        연안정주지 특성에 관한 연구

        권도헌(Kwon, Do-Heon),이석환(Lee, Seok-Hw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3

        연안정주지에는 다양한 유·무형의 지역자산이 있으며 환경적으로도 민감한 곳이다. 연안정주지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지역자산에 대한 가치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해관계가 다양하고 첨예한 주민에 대한 고려 또한 미 흡하다. 그 지역의 상황과 주민의 요구 및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연안정주지를 개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연안 정주지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사회적·경제적·문화적 부문을 함께 고려하지 않은 물리적 환경 개선 위주의 연 안정주지 개발은 지역주민의 소외와 갈등, 그리고 그 지역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장소성 상실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재생의 관점에서 연안정주지의 구성요소 및 유형을 구분하여 부산지역 어항(漁港) 일대의 연안정 주지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는 연안정주지의 공간적?물리적 재생뿐 아니라 다양한 생활환경을 포함한 지역 문화 (전통성과 지역성) 보존, 지역 경제 활성화, 그리고 지역 공동체의 강화 등을 포함한 통합적 재생의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며, 연안정주지의 매력과 경쟁력,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Coastal settlements have a diversity of tangible or intangible local assets and are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The value of tangible or intangible local assets is often overlooked and there is no enough consideration for the inhabitants who have a various and acute stake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coastal settlements. The development of coastal settlements without consideration for the local circumstance, resident’s needs, and local characteristics makes it difficult to achieve sustainable regeneration. There are also alienation, conflicts, and the loss of a authentic sense of place because of physical oriented development without regard to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aspects. This research defines the components and types of coastal settlements and draws the characteristics of them around the fishery ports in Busan in the aspect of sustainable regeneration. It will be the important methods for an integrated regeneration including not only spatial and physical regeneration but also social and economic regeneration which has the preservation of local culture with living conditions, local economy activation, and community building. It will also provides the bases of sustainable development, attractiveness, and competitiveness of coastal settlements.

      • KCI등재

        漢城百濟期 據點都市의 構造와 機能 - 羅城里遺蹟을 中心으로 -

        이홍종,허의행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4 百濟硏究 Vol.60 No.-

        The large settlement Hanseong Baekjephase on the riverine terrace of the river Guem, Naseong ri, Sejong City, exhibiting the distinguishable layout of the residental area from the previous typical settlement patterns, was excavated. It shows the presence of the plotted space by the ditches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road, the building structure with the ditch inside and three to four houses built on the standing poles, and sunken floor features. The large size of the district with various types of building on the large area leads to the assumption that it might have been categorized as the urban area. What constitutes the city include the private residential sector, place and facility for economic and pastime activities and public space, all of which are present in the Naseongri site. The Naseongri site with the such practical function, might have developed with the interactive network with the adjacent local settlements. Five settlement patterns under the Nasungri’s political influence are identified. They are the settlements in charge of agricultural production(Songda-mri, Daepyeongri A·B settlements), one of redistribution of the products(Seok-amri), and the settlements for storage and management (Wolsanri Hwanggol). Such assoc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se settlements might have been a driving force in formation of the Naseongri. In particular, it is assumed that the Seoksamri settlement might have led the construction of the Naseongri urban area. The reason is likely that new political and economic nodal point in this region must have been required for interactive relations with the Baekje’s main ruling class. Thus the Naseongri was selected for new center due to its location of the riverine terrace which is suitable for transportation and redistribution of the products, and it might have played a major role as the local center. 세종시 나성리의 금강 하안단구에서 기존의 주거 형태와는 전혀 다른 한성 백제기의 취락 형태가 확인되었다. 도로의 좌우측에 구로 구획한 부지를 마련하고, 내부에 주구를 갖춘 건물지와 그 주변으로 3~4동의 고상식 건물, 수혈유구 등을 배치하였다. 이러한 취락 형태는 그간 알려진 백제시대 취락과는 전혀 다르다. 구획의 규모와 형태가 상당하고, 내부에 다양한 건물을 배치하면서, 넓은 면적의 부지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일반 취락과는 다른 형태, 즉 도시라는 관점에서 유적을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는 사회·문화적인 요소와 물리적인 요소가 있는데, 고고학에서는 집주와 생활을 위한 사적인 거주시설, 경제와 여가활동을 담당하는 장소 및 시설물, 공적 공간의 시설물로 이들을 파악하는데, 나성리 유적은 이 모두를 만족시키고 있다. 이처럼 나성리유적은 도시의 기능을 갖추고 있는데, 그 과정에는 주변 취락과의 유기적인 조직망을 형성하면서 가능하게 되었을 것이다. 나성리 유적의 영역권에 속하는 취락으로는 전체적인 발굴조사 결과를 종합한 결과, 5개 취락군이 관찰된다. 일반농경생산취락(송담리, 대평리 A·B 취락군), 초기에 물류를 담당했던 취락(석삼리 취락군), 저장 및 관리를 담당한 취락(월산리 황골취락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연합체에 의해 나성리유적이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나성리도시의 건설을 주도한 집단으로 석삼리취락을 상정해 보았는데, 당시의 사회 구조 변화에 따른 백제 중앙과의 유기적 관계를 위해 새로운 정치 경제적 거점지의 확보가 지역 내에서 요구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결국, 교통 및 물류 수송에 유리한 안정적인 나성리의 하안 단구가 최적의 입지로 선택되면서 거점도시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나간 것으로 판단하였다.

      • KCI등재

        지역문학 연구의 방법과 방향 -조선후기 근기(近畿) 지역 국문시가를 예로 하여

        김창원 ( Chang Won Kim ) 우리어문학회 2007 우리어문연구 Vol.29 No.-

        This study is to find out methods of researching local literature through Korean poems from areas close to Seoul during the latter part of Chosun and set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minor-themes. I mentioned about why there needs local-cultural viewpoints in introduction. First, I pointed out the fact that today`s studies on literatures need to overcome modernity models and history-oriented big argument based on internal development theory of western culture. Furthermore, all literatures are regional and local literature thus literature studies without considering locality are abstract in most cases or might be exaggerated. In the following chapter, I looked at how we should understand the locality. I pointed out that locality forms and it is not a fixed entity, locality is always formed with relationships with other regions, locality is based on administrative regions but does not bound by it and there exists variety even within the same region. I have looked at detailed methods of recognizing locality through examples from areas near Seoul during the latter part of Chosun. I especially paid attention on the fact that locality is formed through continuance and accumulation of special mechanism of movements and settlements by aristocrats. And, from those points, I mentioned the fact that farm villas of aristocrats from areas near Seoul can be an important route in understanding the locality. Next, I looked at literatures that require prior attention in studying local literatures. Retirement literature including Retirement Discussion is the first subject of studying local literatures and what kind of literatures were developed prominently from a certain region and that a work of explaining those within regional relationships is required in priority. From detailed research contents and methods, local Korean poems from areas near Seoul during the latter part of Chosun were divided into world, farms and exile and presented tasks and methods to be studied in the future from the point of view of local literature. I expect many facts that were not revealed from existing literature history will be discovered when these research themes are performed proper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