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설의 형식을 구현하는 텅빔과 채움 -이청준의 「소문의 벽」론-

        송기섭 ( Song Ki-seob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1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2 No.-

        이청준은 『씌어지지 않는 자서전』에서 소설이 ‘자기 진술’임을 단언한다. 소설이 그러한 진술의 형식에 불과하다면, 서사담론은 결국 동일자의 의미로 환원되고 말 것이다. 언술행위 주체를 작가로 고정시키려는 이 위험한 논리의 다른 편에 「소문의 벽」이 놓인다. 이 작품은 이청준이 고안한 가장 고유한 소설의 형식에 의해 제작된다. 그것은 결정론으로 구조화된 틀이 아니라 진실을 찾는 모험의 과정으로 구현된다. 그것이 이청준의 소설이 지닌 비결정성을 낳는다. 결국 진술의 형식은 ‘소문의 벽’을 통해 이청준이 도달하고자 한 ‘진술의 자유’를 위한 탐색을 말한다. 진실 찾기 과정으로 얽고 짜는 사건들은 전짓불이나 소문의 형상들에 의해 매개된다. 전짓불과 소문들이 제기한 불일치의 사건은 단순히 권력이나 어떤 절대 상징에 맞서는 진실 말하기를 함의하지 않는다. 전짓불과 소문이란 물질성의 공간소는 현실을 재구축할, 현실에 형식을 부여하는 매개의 결여 혹은 과잉을 드러내는 일종의 왜상이다. 그것들은 부재하는 텅 빈 기호에 다름 아니다. 이청준의 소설들은 그것들이 빗금처진 대상임을, 곧 텅 빈 공동(空洞)임을 현시한다. 모방의 질료로서의 공간소는 소설의 형식에 기입되면서 비물질성의 기호가 된다. 그것들은 텅 빈 구조로 무수한 채움을 향해, 자유로운 향유의 대상으로 열려 있다. 이 비어있음과 채움이 반복되어야 소설의 형식이란 허구 내러티브는 가동된다. 작가의 기능이자 독자의 수용, 그리고 소설 텍스트의 본질에 관한 내적 목적은 오직 이러한 구조에서만이 실현된다. 「소문의 벽」이 재현한 소설의 형식은 바로 그 내적 목적을 응용한 역동성을 지닌다. 여기서 서사의미는 무수하게 도래할 시간의 몫이 된다. 이청준에게 소설의 형식은 진실 탐구의 사유를 생성하는 이 텅 빈 위치 혹은 장소에서 구현된다. All forms reflect reality. There are rules of reflection here. Novel creates a form to capture the truth. The form of the novel has this form of principle. Such a form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meaning. Just as he gives a form to reality, Lee Chung-joon gives a form of novel to the reality and history he faces. Lee Chung-joon affirms that the novel is a ‘self-statement.’ Such a form of statement becomes a form of the novel. Narrative discourse is accepted as the voice of the author. If so, the meaning of the novel will be reduced to the writer's logic. The wall of rumor is produced in the form of a novel designed by Lee Chung-joon. It is embodied as a process of adventure in search of truth. That gives rise to the indecisiveness of Lee Chung-joon's novel. Eventually, the form of a statement becomes a hidden truth, not a voice of the author. Lee Chung-joon explores 'freedom of statement' through the form of a novel. Events entangled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truth are mediated by images of flashlight beam or rumors. Flashlight beam and rumors are not simply truth-telling against power or any symbol. It is in the search for the truth. It is in the opening of its epic meaning. The form of novel that builds The wall of rumor has an internal purpose. The space element, which is flashlight beam and rumor, reconstructs reality and gives it a form. They reveal a lack or excess of mediation They are a kind of anamorphosis. Lee Chung-joon's novels show that it is an empty cavity. The spaces become symbols of immateriality as they are written in the form of novel. They are an empty structure. And they await a myriad of fillings. This emptiness and filling builds the form of the novel.

      • KCI등재

        이청준 초기 소설에서 나타나는 남성 동성사회성 연구 -소거된 여성 젠더를 둘러싼 비대칭적 삼각형을 통하여

        박인성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structure of male homosociality that works behind the discourse structure of Lee Chung-Joon's early novels and its operation. The male narrators and characters in Lee Chung-joon's novel, which appear to be in conflict with oppressive reality, perform intentional symbolic relocation to overcome the division within themselves. In this process, when attention is paid to ties with other men on behalf of the symbolic father, and to the symbolic relationships that make up such ties, women are the object of trading, or are used as a convenient tool to conceal their inner division, or even their role. After doing so, it seems to be gradually marginalized and disappearing from the text center. First of all, this article examines the use of the symbolic triangle composition of male-male-female within Lee's early text. "Discharge" is a transformation of the Oedipus triangle and suggests a circular composition using women as a medium. In the process of repeating the Oedipus composition to overcome division and to restore male function, 'I' and 'Jun' are in a kind of conspiracy relationship, and 'Yun' nurses are a convenient medium for collusion between such men. to be. We then look at how these triangles deform and work a bit more delicately. In the "A pregnant Man" and "A Fool and an Idiot”, men in a complex sense of incompetence within the male society use women's divisions to overcome their own divisions. At this time, women are conveniently broken down into objects of hate or seduction, and as the exhibition of women's divisions and incompetences, they hide the inherent divisions of men. Lastly, within two series, "An Introduction to Sociology of Language" and "Namdo saram", where the early texts of Lee Chung-joon are collective, women lose or become marginal. Finally, it is denatured and placed and used as if it is no longer related to the center of text or symbolic reality. Just as women did not exist from the beginning, as Lee Chung-joon's novel goes through the search process of artistic form, the combination of art and ethics of text seems to be completed in a degeneration way. However, if we reconsider the process critically, we can see that women have a key position to read Lee Chung-Jun's text as a hitter who cannot always disappear completely. 본고의 목적은 이청준 초기 소설의 표면적인 담화 구조 이면에 작동하는 남성 동성사회성의 구조와 그 작동방식을 밝히는 것이다. 억압적 현실과 갈등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청준 소설의 남성 서술자 및 인물들은 자기 내부의 분열을 극복하기 위해 의도적인 상징적 재배치를 수행한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상징적인 아버지를 대신하는 다른 남성과의 유대, 그리고 그러한 유대를 구성하는 상징적 거래 관계에 주목할 경우, 여성은 거래의 대상이거나 자신의 내적 분열을 감추는 편리한 도구로 활용되거나 더 나아가 그 역할을 다하고 나면 차츰 주변화되어 텍스트 중심으로부터 사라지는 것처럼 보인다. 우선 본고는 이청준의 초기 텍스트 내부에서 남-남-여의 상징적인 삼각형 구도의 활용을 살펴본다. 「퇴원」은 오이디푸스 삼각형의 변형이면서, 여성을 매개물로 활용하는 원형적인 구도를 제시한다. 분열의 극복과 남성적 기능의 회복을 위해 오이디푸스적 구도를 반복하는 과정 속에서, ‘나’와 ‘준’은 일종의 공모적 관계에 있으며, ‘윤’ 간호사는 그러한 남성 간의 공모에 편의적으로 제공되는 매개물이다. 이어서 이러한 삼각형의 변형되면서 조금 더 섬세하게 작동하는 과정을 살핀다. 「아이 밴 남자」와 「병신과 머저리」에서 남성 사회 내부에서 복합적인 의미로 무능력한 상황에 놓인 남성들은 스스로의 분열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성의 분열을 활용한다. 이때의 여성은 편의적으로 ‘혐오’나 ‘유혹’의 대상으로 쪼개지는데, 이러한 여성의 분열과 무능력을 전시함에 따라서 남성의 내재적 분열을 감추게 된다. 마지막으로 이청준의 초기 텍스트들이 집대성된다고 말할 수 있는 두 개의 연작 〈언어사회학 서설〉과 〈남도 사람〉 내부에서는 여성이 육체성을 상실하거나 차츰 주변화된다. 최종적으로는 탈성화되어 더 이상 텍스트의 중심이나 상징적 현실과는 무관한 것처럼 배치되고 활용된다. 여성이 마치 처음부터 존재하지 않았던 것처럼, 이청준 소설이 예술적 형식의 탐색 과정을 거쳐 나갈수록 텍스트의 예술 및 윤리의 결합은 탈성화된 방식으로 완성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 과정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할 경우 여성은 언제나 온전히 사라질 수 없는 타자로서 이청준 텍스트를 읽어낼 수 있는 핵심적 위상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환상성 연구 : ‘모성’ 추구 양상을 중심으로

        김소륜(Kim, So Ryun) 구보학회 2008 구보학보 Vol.3 No.-

        지금까지의 한국 문학은 환상을 리얼리즘의 영향권 아래 종속시키고자 노력해왔다. 때문에 이청준 소설에 있어서의 환상성은 작품 내에 나타난 다양한 인물과 공간, 그리고 소재적인 특징에도 불구하고 본격적인 논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왔다. 이청준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세계는 눈에 보이지 않는, 현실 이면의 감추어진 세계이다. 환상은 이러한 현실 이면을 비춰주는 효과적인 통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이청준 소설에 나타난 환상성은 단순한 현실도피 혹은 현실을 위협하는 수단이 아닌, 현실을 유지하기 위한 화해의 몸짓으로서 구체성을 갖는다. 그런데 이때의 화해는 모든 것을 포용하는 어머니의 이미지를 통해서 접근된다. 어머니는 남성인 아들이 긍정적인 정체성을 형성하도록 이끌어주는 타자의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는 이청준의 소설 전체를 관통하는 서사원리를 ‘환상성’으로 삼고, 작품 내에서 추구되는 모성 이미지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해 보았다. 우선 Ⅱ장 ‘유보적 환상과 상실된 모성’에서는 이청준 소설 전반기(1965~1974)에 해당하는 작품 가운데 「배꼽을 주제로 한 변주곡」을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 시기에는 주로 외부로부터 갑작스레 유입된 환상 앞에서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못한 채 망설이는 주체가 등장한다. 이는 환상의 효과로 제기되는 주저함이나 망설임을 통해 ‘결정불가능의 상태’에 몰릴 수밖에 없던 당시 사회 분위기를 반영한다. 따라서 그 속에서 개인은 본인이 의도하지 않은 거대한 사회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어느 것도 선택할 수 없는 유보적 자세를 취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주체의 수동성은 상실되어 찾을 수 없는 어머니를 통해 강조된다. Ⅲ장 ‘도피적 환상과 분열된 모성’에서는 이청준 소설의 중반기(1975~1984)에 해당하는 작품 가운데 「흐르지 않는 강」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진다. 이 시기에 드러난 환상은 광기나 정신분열을 겪는 인물들이 추구하는 ‘도피적 환상’이 주를 이룬다. 이는 정치․사회적인 메커니즘과 그 횡포에 대한 인간 정신의 대결 관계가 심화되던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한다. 이에 주체는 자신의 모든 것을 이해하고 보듬어줄 어머니를 강력하게 추구하게 된다. 그러나 조건 없는 사랑을 베푸는 모성과 개인의 욕망을 우선시하는 모성의 이미지가 분열된 상태로 존재하기에 주체는 현실로부터 일탈할 수밖에 없다. Ⅳ장 ‘초월적 환상과 성화된 모성’에서는 이청준 소설의 후반기(1985년 이후)에 속하는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진다. 이 시기의 작품에는 외부 세계의 변화로 인해 어쩔 수 없이 희생을 강요받은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러나 그들은 주어진 현실에 굴복하지 않고 능동적으로 삶을 반성하며, 보다 나은 미래를 구축해나간다. 이때 새로운 세계의 구축은 새 생명을 출산하고 양육하는 어머니의 신성한 이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 어머니는 피폐한 현실 속에서 주체의 상처를 치유하고 온전한 성인으로 성장하도록 인도한다. 또한 주체가 몸담고 있는 세계 역시 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로써 아들은 타자와 나를 구분짓는 이분법적인 세계를 벗어나, 자신뿐만 아니라 자신을 구원한 어머니마저 구워하며 현실 속에서 환상을 이루어낸다. 이처럼 본고에서 ‘환상성’을 통해 리얼리즘의 영향권 아래 폄 Lee’s work hardly shows any serious and specific debates in spite of various characters , space and uniqueness of the fantastics factors which can be found in his work. Lee’s ultimate concept of the world is hiding under what we call it reality. Thus the fantastics in Lee’s work can be an important passage to reveal Lee’s works which are mainly describing the world beyond reality. The fantastics that Lee pursues, is not means of escapism or destroying reality, but the gesture of making peace in order to survive. This peace is made through the image of an accepting and forgiving mother. Because the mother is accomplished by helping his son forms positive identity. Therefore the whole concept of Lee’s work is fantasy and can be categorized with three time periods. In chapter II, In The subject’s reserved fantastic and the loss of the maternity, The study focused on Lee’s early period’s (1965~1974) work called “The variations on the subject of belly button”. This work can reflects in those days of hesitation and vacillation leading the status of impossible decision making by the fantastic effects. In those status, the individuals can deduce the reserved attitude due to the social situation. Characters lost their directions and sucked into the swirl of confusion. The world filled with confusion can control the conscience of the character which can lead the character in his work. The subject’s passivism is objectified and brought out by his lost mother. In chapter III, the escape fantastics through the disrupted maternity is examined on Lee’s middle period’s (1975~1984) work called “A river that stands still”. This period shows humanity against the oppression of political and social mechanism. Characters from Lee’s try to escape from reality by revealing their madness. The fantastics in this period has antagonistic relationship with reality and the subject’s deviation is emphasized on seeking for understanding and comforting mother. The maternity with unconditional love and the maternity with prioritize individual desire force reality separate from the fantastics. In chapter IV, the transcendental fantastics through consecrated maternity is studied on Lee’s late period’s (after 1984) work called “A mythological island”. The characters are forced to be sacrificed by the changes from the outside world, they are not submissive and keep trying to make better future for themselves. Constructing new world is accomplished by the image of giving birth and bringing up their children. Mother can guide the subject to be a complete grown-up from the cruel world. Therefore, son can be free from dichotomy and achieve the fantastics in reality by rescuing not only himself but the mother who saved him. The fantastics can be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face up to reality and expressing the writer’s awareness who pursuits to reconcile with the world. The reconciliation with the world through the fantastics can be more evidently suggested by son pursues his mother. As mother and son forever. The fantastics redeeming the world filled with violence and confrontation is accomplished by mother giving a birth to a baby. However, Lee’s work has been mostly dominated by father and his repressed son. Therefore, this thesis provides the opportunity to retrace his work with priority given to father and son to mother and son through the concept of the fantastics. Futhermore, it would be certain to remark that nearly 40years of Lee’s works traced by the subject awareness and methodology with diachrony would achieve the literal significance. Lee chung-joon has been leading a stirring life towards his work nearly 40years and not published a single inferior work. Hence, studying Lee chung-joon’s works and his literal tasks would provide an important formality for illuminating Korean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 KCI등재

        화폐로 인한 불안과 환상의 의미양상 연구

        조미영(Cho, Mi-Young) 우리문학회 2016 우리文學硏究 Vol.0 No.49

        이청준은 1965년 등단해 2009년 타계하기 까지 43년 동안 방대한 작품 활동으로 한국 문학사에 한 획을 그은 소설가이다. 특히 이청준 문학에 주목을 요하는 이유는 그의 작품이 활자화에 그친 것이 아니라 영상으로 재탄생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와 관련된 논문들은 9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초기 연구는 매체의 차이에서 오는 서사기법 비교 연구에 한정지어 졌으나, 후반부로 오면서 매체의 차이에서 오는 해석의 차이를 논하는 분석으로 연구 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지금까지 이청준의 작품이 영화로 제작된 것은 총 9편인데, 작품성과 대중성을 인정받은 작품으로는 남도사람 연작을 원작으로 한 임권택의 <서편재>(1993), 「벌레이야기」(1985)를 모티프로 삼은 이창동의 <밀양>(2007)이다. 이 두 작품은 이청준 소설의 영화화에 관련된 연구 업적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청준 작품은 공통적으로 외형적인 현실 묘사 이면의 세계에 초점을 맞추는데, 특히 ‘불안’은 그의 문학을 관통하는 주요 키워드이다. 이에 본고는 이청준 소설을 마지막으로 영화화한 윤종찬의 <나는 행복합니다>(2009)와 원작 「조만득 씨」(1971)를 분석대상으로 삼고자 한다. 두 작품의 공통점은 현대사회의 병증의 기인으로 불안과 화폐를 내세우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본고는 두 작품에서 주인공의 내적 갈등을 야기 시키는 불안과 화폐의 관계, 그리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환상이 각 작품에서 어떤 결말을 유도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돈과 권력의 지배 아래, 돈도 없고 권력도 없는 가난한 소시민 계층이 자신이 처한 현실을 탈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선택한 환상이 두 작품에서는 각기 다른 결말을 유도한다. Lee Chung Joon is a writer who marked a new era in Korean history of literature though works produced on a grand scale over 43 years from 1965 to 2009 when he passed away. In particular, Chung Joon Lee’s literature is still in the spotlight to this day because that the works are not only limited to print but is haver been re-created as movies. Treatises, related to the filming, of Chung Joon Lee’s fictions have been continuously written since the end of the 1990s. The early stage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comparisons of narrative techniques in relation to the different mediums, but the scope was later expanded to analgesis dealing with discrepancies in the interpretations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se mediums. Chung Joon Lee’s works commonly focus on the inner world of an external reality in particular, “anxiety” is a main key word that appears in his literature. A total of nine films have been produced from Chang Joon Lee’s works. “I am Happy” is a work by director Yoon Jong Chan, and is a film version of the novel “Mr. Jo Man Deuk”. This thesis categorizes the narrative factors of the two works into photos, characters, and background and analyzes them. Through this, it is learnt that despite being narrative works with the same story line, the two pieces differ from one another through changes made to the story. This paper aims analyze “I am Happy”(2009) by Jong Chan Yoon which is a film version of a work of fiction by Chung Joon Lee, and the original “Mr. Jo Man Deuk” and to study the idea of money as a source of anxiety, which is the point of the story,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illusion required to overcome this anxiety.

      • KCI등재

        비화밀교」에 나타난 ‘밀교’ 의식의 의미

        강숙영 한국비평문학회 2020 批評文學 Vol.- No.76

        Lee Chung-joon has taken a pilgrimage to explore the truth of life and literature through his lifelong writing. In this process, he incorporated various philosophies and religious ideas from the East and the West into his works. In addition, “Biwhamilkyo” is also a work that checks the middle of Lee Chung-joon's literature. Through this work, Lee Chung-joon thinks about how the work of writing can affect the realities of life. The title of the work, “Biwha(secret fire)” and “milkyo(secret religion)” should be read in this perspect. Lee Chung-joon chose “Fire” and “Darani” as the subjects of this work because the ritual of esoteric buddhism which has been closely related to our customs. Esoteric buddhism was performed by the ruling forces as a means of praying for the country from that were introduced during the mid-Silla period. As smuggling became a political means, the original meaning of this religion for the people was tarnished. It made the power of priests who leading the ritual and nations stronger. This power is passed down from master to his successor by giving a ‘conversation topic’. Even after esoteric buddhism loses its meaning of protecting the country, the rite of this religion remains in place in the public by combining with shamanism, the traditional faith of the Korean people. This is the reason why Lee Chung-joon used the idea of “fire,” “darani” and “conversation topic” as motifs of this story. And he thinks that the death of the “baby warrior” in the narrative was not due to failure in the “silence” of keeping secrets, but because it did not exceed the limits of conception beyond the conservative logic of established power. The author reveals through writing that the embers(=baby warrior) will be revived and eventually explode into real world and active forces by the power of the people. 이청준은 평생의 글쓰기 작업을 통하여 삶과 문학의 진리를 탐구하는 구도자의 길을 걸었다. 이 과정에서 그는 동·서양을 망라하는 철학과 종교 사상을 작품 속에 녹여 내었다. 이것은 이청준이 소설의 재현이라는 형식이 인간 인식의 틀을 확장하는 데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를 사유하는 방편이기도 했다. 이청준이 「비화밀교」의 소재로 ‘불’과 ‘소리(진언)’, ‘공안’을 선택한 것은 우리의 전통 풍습과 결합하여 토착화된 ‘밀교(密敎)’라는 배경이 있었기 때문이다. ‘밀교’는 ‘비밀불교’의 줄임말로써, 붓다의 말씀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현교(顯敎)’과 대비되는 개념이다. 의례를 중시하는 밀교에서 ‘불’과 ‘진언(眞言)’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애초에 밀교는 중생의 현세적 행복을 기원하는 민중성을 바탕으로 출발하였다. 하지만 밀교는 우리나라에서 호국 수호의 방편으로 활용되면서 권력에 복무하게 된다. 조선 시대 이후 통치 수단으로써의 지위를 상실한 이후에도 밀교는 무속신앙과 결합하여 민중의 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한다. 이것이 이청준이 「비화밀교」에서 제왕산 풍습의 모티프로 ‘불’과 ‘진언’, ‘공안’의 형식을 사용하게 된 연유이다. 밀교의 민중성과 현세적 성격을 바탕으로 읽을 때 이 작품의 주제는 용서와 화해가 아닌 자유와 해방이 된다. 「비화밀교」에서 이청준은 밀교의 모티프를 통해 대중의 구원과 현세적 행복의 기원이라는 종교 본연의 의미를 왜곡시키고 자신의 권력을 수구하려는 사제 도덕의 모순을 그려나간다. 이 작품의 화자는 설화 속 ‘아기 장수’의 죽음이 ‘드러남’에 대한 두려움에 의해 저질러졌으며, 그것은 기성 권력의 도덕을 넘어서지 못한 인식의 한계 탓이었음을 사유한다. 이로써 작가는 불씨(아기장수)가 장화대와 종화주로 상징되는 ‘감춤’의 수구 논리를 넘어서 민중에 의한 현실적이고 능동적인 자유의 힘으로 폭발할 것임을 ‘불’과 ‘진언’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예언하고 있다.

      • KCI등재

        이청준의 『남도사람』 연작 고찰 - ‘이야기의 생태’에 주목하여

        김은경 이상문학회 2023 이상리뷰 Vol.- No.20

        본고는 이청준의 남도사람 연작을 여로형 소설로 규정한 가운데, 여로에 나선 인물의 목적이 과거지대의 삶에 대한 탐색에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논의를 시작하였다. 작품 내에서 이러한 목적은 가려진 삶에 대한 ‘스토리’를 청취하는 것으로써 달성되며, ‘스토리’의 청취는 그 청취자의 삶에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귀결되어 또 다른 이야기를 생성하게 될 것임을 예견토록 한다. 본고는 이와 같이 ‘스토리’가 삶과의 관계에서 생명력 있게 작동하는 양상을 ‘이야기의 생태’로서 규정한 가운데, 이를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과정에서 남도사람 연작이 삶과 문학의 일치를 추구하는 이청준의 문학관을 소설로써 자족적으로 구현하고 있는 작품군임을 입증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이야기의 생태’가 남도사람 연작이 형식적으로 나타내 보이는 주요한 특질인 중층구조의 발생론적 연원이 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한편, 본고는 ‘이야기의 생태’를 작동하고 있는 남도사람 연작이 ‘인지의 플롯’을 취하고 있다는 점을 밝혔다. 여로에 나선 인물은 ‘스토리’를 청취하는 과정에서 ‘사실확인’ 혹은 삶의 단면에 대한 ‘깨달음’에 이르는 바, 이는 그가 여행의 목적을 달성함과 아울러 변화함을 의미한다. 본고는 이러한 연작의 전개양상을 ‘인지의 플롯’으로 규정한 가운데, 이를 이끌어가는 스토리텔링 메커니즘에 대한 세부적인 논의를 하고 있다. While defining Lee Chung-joon's series of The Men of the South as a novel of the travel fiction, this paper began the discuss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the person who is on the journey is to explore life in the past. This purpose within the work is achieved by listening to a 'story' about a hidden life, and listening to the 'story' results in a change in the listener's life. It is predicted that this change will create another story. This paper defines the aspect in which 'story' operates with vitality in relation to life as 'the Ecology of Stories'.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this 'Ecology of Stories' in detail, it was possible to prove that the series of The Men of the South is a group of works that self-sufficiently embodies Lee Chung-joon's view of literature seeking unity between life and literature through novels, not discourse. It is also argued that this 'Ecology of Stories' is the origin of the layered structure, which is the main characteristic of Lee Chung-joon's novel.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series of The Men of the South, which operates 'Ecology of Stories', takes a ‘Plot of Cognition.’ In the process of listening to the "story," the person who goes on a journey reaches ‘fact-checking’ or ‘enlightenment of a meaning of life’, which means that he changes as he achieves the purpose of his trip. This paper defines the narrative development pattern of this series as a 'Plot of Cognition', and discusses the storytelling mechanism that leads it in detail.

      • KCI등재

        연작소설의 구조미학 - 『서편제』 연작을 중심으로-

        배경열 배달말학회 2010 배달말 Vol.47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Chung-joon Lee's serial novel Seopyeonje from the mythic and anthropological standpoint. In the analytical process I will try to grasp a structural clue to Chung-joon Lee's way of novel writing in which he seeks life's truth and mystery hidden in appearance. The results are as follows. Han (Regret). an axis of this novel, is subconsciousness which discontinuous absurdities of life and death are internalized into and an earnest wish to reach perpetuity which can be attained through the sublation of Han. Life is composed of numberless contradictory oppositions. The boy's primal experience is composed of endless oppositions. They include temporal and spatial denotations, such as sky(sun)/earth, sea/land, grave/farm, this world/the world beyond, etc. A paradigm of binary oppositions composes the world of Han and thus life itself is all regretful. To sublimate Han with and through song is the way to the highest sense of sound. Singing is symbolic of a decisive action which transcends life's absurdities and returns to the ontological essence of the regretful life. The decisive action causes an irony in which the singer loses her sight and adheres to song more desperately to the highest sense of sound as the pressure of hunger and poverty is getting tougher. It is because the singer should realize the ultimate value through singing. The ultimate value is perpetuity which is achieved though replacements. The male singer takes the place of his dead father, the daughter takes the place of her mother who died after hard labor, Thus, the relation between the male singer and the daughter takes the place of the relation between dead father and dead mother. Besides, stepson takes the place of the dead male singer which is left vacant and the relation of brother and sister takes the place of the relation of father and daughter. Society remains permanently through these inversions and replacements. This is the mythical and verbal existence which is realized through singing. The mythical and verbal existence realized in the family community is extended to the village community in ‘A Wander in Seonhakdong’. Thus, the ultimate value of which is symbolic can be said to be ‘the true value’ of the novel and the first motive which gives life to the characters of the novel. Therefore, this ultimate value is the very power which puts in motion the language as the media of the narrative and what is revealed in such language is the mythic structure of the novel Seopyeonje. 우리 소설 문단에서 주목되는 연작소설의 형태가 등장한 것은 60년대 후반쯤이다. 연작소설의 증대는 소재가 안고 있는 갈등의 증폭 때문에 단편 형식이 파괴된 현상이다. 그러기에 연작의 증대는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갈등의 정도에 비례한다. 그리고 연작소설의 정착이 가능해진 것은, 연작소설 탄생을 위한 문단외적 제약이 상당 부분 해결되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근대 문학 내지 현대 문학의 전통 확립, 발표 매체의 안정성과 지속성, 단행본 발간을 위한 문화적 풍토의 조성 등의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었다. 또한 작가들이 세계를 바라보고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에도 변화가 왔다. 어느 정도 장기적 계획을 세워 작품을 구상하고 오랜 기간 동안 그것을 연재 발표한 후, 단행본으로 출간하는 일이 가능해진 것이다. 연작소설은 바로 이 같은 변화의 시대에 각광을 받게 된 중간적인 형태로서, 여러 편의 독립된 삽화들을 모아 더 큰 하나의 이야기가 되도록 결합시켜 놓은 소설이다. 따라서 연작소설은 단편소설의 형식으로서는 감다하기 어려운 과제들을 놓고, 장르 확대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등장하였다.

      • KCI등재

        이청준의 「시간의 문」에 나타난 시간은유 연구

        임보람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0 감성연구 Vol.0 No.21

        이 글의 목적은 이청준의 소설 「시간의 문」(1982)에 나타나는 시간은유가 작가의식을 고찰하는데 적합한 언어임을 살펴보는 데 있다. 이로써 이 글은 시간은유의 패턴을 분석하여, 이 은유가 수사적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했다. 이 목적을 위해 레이코프와 존슨의 개념적 은유를 입론으로 삼았고, 은유가 상상적 구조로서 그 소설의 상황들에 적용할 수 있는 이상화된 모형을 제공해줄 수 있기 때문이라는 마크 존슨의 주장에 뒷받침을 얻었다. 또한 은유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풍부하게 해준다는 마크 존슨의 주장에 힘입어, 이글은 시간은유가 인물들의 심리를 보다 밀접하게 살필 수 있는 기능을 지니고 있다는 전제에서 논의를 시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 글은 작가 이청준이 시간은유를 형상화하기 위해 ‘시간은 문‘의 은유를 제시하였다고 가정하였다. 작가는 ‘문’의 ‘열다’의 속성을 ‘문’에 사상시켜 시간의 개념을 규정하였다. 그래서 시간이라는 추상적 개념은 ‘문’의 열림에 의해 ‘흐름’의 이미지 도식을 갖게 됐다. 그리고 이 도식을 소설 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형상화하기 위해 시간을 ‘사진 속에서의 시간’으로 한정했다. 따라서 ‘사진’, ‘시간’, ‘문’은 서사의 중심축을 이루는 모티프로서 서사 전체를 이해하는 데 관여된 요소들을 수렴시키는 구심표지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시간의 문’의 은유패턴은 각각 ‘사진-문’, ‘사람-문’으로 나타났음을 밝혔다. 이상으로 이 글은 「시간의 문」에서 작가 이청준이 자기 실종까지 감행하면서 자신과 타자의 시간을 중첩 시켜 타자와의 관계망을 만드는 유종열이라는 인물을 제시함으로써, 이 겹의 시간이 만인이 공유할 수 있는 미래의 시간으로 흘러가도록 시간은유를 활용하고 있음을 밝혔다. 이로써 이글은 이청준이 문학적 상상력을 통해 타자들과의 진정한 만남을 가능하게 하는 시간을 생성할 수 있는 윤리적 모형으로 시간은유를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글은 이청준이 「시간의 문」을 창작할 당시 고통스러운 현실에 작가로서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시간은유를 활용하였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have intended to the pattern of time metaphor, which appears in Lee Chung-jun’s novel “The Door of Time”(1982). This article was intended to analyze the pattern of time metaphor and it reveals that this metaphor is being used as a rhetorical strategy. For this purpose, the conceptual metaphors of Reicoff and Johnson were used as a proponent and it was supported by Mark Johnson’s claim that metaphor, as an imaginary structure, could provide an idealized model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circumstances of the novel. In addition, on the back of Mark Johnson’s claim that metaphor provides a rich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Eagle began the discussion on the premise that Time metaphors has the ability to look more closely at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Drawing upon these facts, the article assumes that author Lee Chung-jun presented a metaphor for 'Time is Door' to represent time-metaphor. The author defined the concept of time by thinking about the nature of ‘Open’ in 'Door'. So the abstract concept of time has been given the schematic image of 'flow' by the opening of ‘door’. And in order to shape this schematics more specifically in the novel, I limited the time to “time in the picture.“ Therefore, ‘photos’, ‘time’ and ‘door’ are the motifs that form the central axis of the narrative and have become centripetal markers that converge the elements involved in understanding the whole narrative. In the process, the metaphor pattern of “The Door of Time” revealed that it appeared as “Photo-Door” and “People-Door,” respectively. In "The Door of Time," the article revealed that writer Lee Chung-jun is using time-consuming time to make sure that this overlap of time flows into the future time that everyone can share by presenting a character named Yoo Jong-yeol, who even goes missing and creates a network of relationships with the others. Therefore, Eagle could see that Lee Chung-joon was offering a reason for time as an ethical model that could create time that would enable real encounters with hitters through literary imagination.In conclusion, Eagle "The Door of Time," Lee is painful reality, as a writer, to respond to the creation time and with metaphor as well as a transition strategy. Be alleging.

      • KCI등재

        가부장제로부터의 탈주와 희망의 광장 -이청준의 「겨울광장」을 중심으로

        최언희 한국현대소설학회 2019 현대소설연구 Vol.- No.75

        This article will focus on female scriveners in the 「Winter Square」, a short novel by Lee Chung joon, and approached the social historical aspect of the 1970s to explain the meaning of short story and tries to grasp the writer's consciousness. From his first novel 「discharge」 in 1965, 「the unwritten Autobiography」(1969), into the 70’s, 「Wall of Rumors」 (1971), 「Mr. Cho Man deuk」(1976), 「A Wonderful Missing」(1979), and 「Winter Square」(1979), all of which are mentally ill. In the Lee’s short story about ‘Mental Abnormalities’ before 「Winter Square」, the main character is mostly a male intellectual. However, while 「discharge」 and five other main characters are men, 「Winter Square」 deals with the mentality of the female lead. In previous discussions, the characters of the short story, which deals with ‘mental abnormalities’, are characterized by childhood anxiety and personal experience of Lee Chung joon. However, the main character of 「Winter Square」 is a woman and it is considered difficult to handle in the extension of the preceding discussion. This article approaches the social historical aspect of the 1970s to explain its meaning and tries to grasp the writer's consciousness. This is also that previous discussions neglected. And also, It is noteworthy that 「Winter Square」 published in the late 70s. During this period, the square was blocked by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which took power through the 5.16 military coup. 「Winter Square」 is reporting on this coercive power system and writing down the hope that the oppressed people will regain their freedom. Inthatsense, thetitle 「Winter Square」 appears to be meaningful, and indicates that the main character is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gaining life’s hope on his own at the square. This artcle tries to analyze the fantasy of main character based on Deleuze and Guattari. And then, tries to re-examine the critical perception of' Lee Chung joon’s patriarchy in keeping with the times of the 70s. Finally, this article hopes to explain what the square is like and what the symbolic meaning of it is. 본고에서는 이청준의 단편소설 「겨울광장」에서 여성서사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주목하여 주인공을 통해 나타나는 당대 현실에 대한 이청준의 비판적 의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소설 제목의 함의를 고찰하려고 한다. 70년대 이청준의 소설에서는 개인에게 고통을 주는 병의 구체적인 증상을 보여주었다. 70년대 말에 발표된「겨울광장」은 개인에게 고통을 주는 병의 증상과 그 원인을 밝히고 있다는 것은주목할 만하다. 4.19 로 잠시 민주화의 가능성을 보였던 광장은 5.16군사쿠데타로 집권한 박정희 정권으로 하여 개인권력의 장으로 봉쇄된다. 당시의 국가는 근대화와 경제발전이라는 미명 하에 대중에게 고통을 인내할 것을 강요한다. 이청준의 소설 「겨울광장」은 이러한 강압적인 권력체제에 대해 고발하고 억압 당한 대중들이 다시 자유를 가능케 할 수 있는 광장을 되찾는 바램을 적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겨울광장」이라는 제목은 의미심장한 것으로 보이며 주인공이 광장에서 스스로 삶의 희망을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탐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이청준의「가수(假睡)」에 나타난 소설미학

        황 경(Hwang, Kyeo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8 No.2

        한국소설사에서 이청준만큼 소설 미학적 문제들을 소설 안으로 끌어들여 치열 하고 집중적으로 서사화한 작가는 많지 않다. 이청준의 소설이 반복적으로 자기 반영적 메타서사로 나아가는 맥락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이청준 소설의 상호텍스 트적인 분석을 통해서 그의 소설 미학 전반에 대한 이해가 진행되어야 한다. 이글의 분석 대상인 「가수(假睡)」는 이청준의 자기반영적 소설 중에서도 특히 그의 소설론이 중층적으로 집약되어 있는 소설이라 할 수 있다. 「가수」는 이청준의 여타의 소설이나 산문, 작가 후기 등에 진술되어 있는 문학론과의 연관적 검토와 이해 없이는 그 전모가 쉽게 해명되지 않는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두 개의 서사, 내부서사인 주영훈의 이야기와 주영훈의 이야기를 추적하고 해석하는 외부서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 글은 소설 「가수」의 ‘격자소설’ 형식에 주목하면서 안과 밖의 서사가 근거하고 있는 소설론적 구조와 논리를 분석한다. 요컨대 「가수」는 개인의 내적 진실을 드러내는 것이 소설의 몫이라는 이청준의 소설미학을 그대로 드러내면서, 자기 증거의 형식이 아닌 한 어떠한 소설쓰기도 온전한 실체와 진실에 도달할 수 없다는 이청준의 일관된 미학적 논리를 보여준 다. 또한 소설은 결코 영구불변의 절대 계율이 되어서는 안 되며 끊임없는 자성과 변화의 과정 속에 있어야 한다는, 그것이 ‘소설의 운명’이라는 이청준 소설론의 핵심적 사유도 내포하고 있다. There are not many writers who portray fictional aesthetic problems into novels and fiercely and intensively narrate them in Korean novels. In order to elucidate the context in which Lee s novels repeatedly lead to self-reflective meta-narratives, Lee s interpretation of the novel s aesthetics should proceed through a cross-textual analysis of novels. The subject of analysis of this article, Gasu“ is a novel in which Lee s novels, especially his novels, are concentrated in layers. Gasu“ is a novel that can not be easily understood without a thorough review and understanding of the literary theory stated in other novels, prose, late writings of Lee Chung–joon. This work consists of two narratives, an inner narrative by Ju Yeong Hoon and an external narrative that traces and interprets Ju Yeong Ho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lattice novel form of the novel Gasu“ and analyzes the novelist structure and logic on which the in and out narratives are based. Through this, I try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and aesthetic logic of Lee s self – reflective nar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