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세기 이백(李白) 시(詩) 번역 논쟁을 통해 본 이병기(李秉岐) 『이태백시선(李太白詩選)』 번역 특징 고찰

        申夏閏 ( Shin Ha-yoon ) 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語文學誌 Vol.0 No.72

        Through the argument of 聞一多 and Shigeyoshi Obata over the translation of Li Po poem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paper tries to point out the problems that we will think about today’s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For this purpose,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case of “The Works of Li Po” translated by Lee Byong-gi, a major achievement of the Korean translated poetry in the 20th century. Leaning on the reviews of the past critics, 聞一多 screened Li Po poem’s “Good” and “Bad” while choose Poetry. But When recalling that the original reader is clearly different from the translated poetry’s reader, the translator should take the reader into consideration. In the case of “The Works of Li Po” translated by Lee Byong-gi, it reflects the historical situation of Japanese colonial era, so 閑適 type poems longing for the hermit world beyond reality were dominant. Also, as it is a Korean translation, the poems related to Korean or Korean history were specially sel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of Li Po” translation cases, we could see that following vocabulary, word order, and vocabulary combination that fit the context of translated poem was more suitable for having poetic taste than being bound to the original vocabulary, word order, or vocabulary combination. And, it was desirable to translate a proper noun by omitting or solving it as necessary rather than relying on footnotes.

      • KCI등재

        가람 이병기의 신재효 연구와 신재효 위상의 확립

        조은별 ( Jo Eun-byeol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60 No.-

        본고는 가람 이병기(李秉岐, 1891~1968)가 국문학 연구에 있어 판소리 개작가(改作家) 신재효(申在孝, 1812~1884)에 특히 지대한 관심을 보였던 것에 주목하여 가람의 신재효 연구의 실제와 이에 따라 신재효의 위상을 확립한 양상을 살폈다. 김재철, 조윤제, 김태준, 정노식 등에 의한 초기 국문학 저술들이 대체로 신재효라는 인물을 단편적으로 다루었던 것과 달리 이병기는 신재효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가지고 오랜 시간에 걸쳐 신재효 판소리 가사들을 확보하고 정리해내었다. 『가람일기』에는 이병기가 1930년대 초반부터 1950년대 후반까지의 꽤 오랜 시간 동안 신재효의 생애를 조사하는 한편 신재효의 판소리 가사를 수집 및 정리하고 그 결과 6책 분량의 『신오위장본집』을 엮어낸 과정이 상세하게 드러나 있다. 이후 이병기는 자신이 수집한 자료들을 기반으로 해 『국문학전사』, 『국문학개론』 등 국문학 논저를 저술하고 신재효 판소리 가사 중 <가루지기타령>의 교주본을 출간하면서 신재효의 존재와 그의 판소리 가사에 중요한 가치를 부여한다. 신재효에 대한 이병기의 이 같은 천착은 초기 판소리 연구에서 신재 효라는 인물의 우뚝한 위상을 확립하였으며, 이는 후대 연구자들의 판소리 연구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pays attention to Garam Lee Byong-Gi(李秉岐, 1891~ 1968)'s interest about Pansori adaptor Shin Jae-Hyo and investigates substance of Garam's study about Shin Jae-Hyo. Most of early studies about Korean literature mentioned Shin Jae-Hyo fragmentarily, but Garam collected and arranged Shin Jae-Hyo's Pansori lyrics for a long time with great interest about Shin Jae-Hyo. Garam's investigation about Shin Jae-Hyo's life and process of publishing 『ShinOwijangbonjip』 are verified minutely by records of 『Garam's Diary』 from early 1930's to late 1950's. After this, Garam wrote books about Korean literature for example 『Gukmunhakchunsa』, 『Gukmunhakgaelon』 based on research materials he had collected and annotated < Garujigitaryeong > which is one of the Shin Jae- Hyo's Pansori lyrics, and published it. Thereby Garam gave worth to Shin Jae-Hyo's existence and his Pansori lyrics. Garam's interest in Shin Jae-Hyo established Shin Jae-Hyo's status in early study about Pansori, and had an important effect on later studies of Pansori.

      • KCI등재

        동향 : 가람(嘉藍) 이병기(李秉岐) 저작물에 관한 기초 연구

        이민희 ( Min Heui 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5 민족문학사연구 Vol.58 No.-

        가람 이병기는 시조시인일 뿐 아니라, 여러 매체를 통해 시조, 일기, 수필, 기행등의 문학작품과 방대한 양의 평론과 잡문, 저서 등을 남긴 저작자요 초기 국학자이다. 가람의 진면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가람 저작물 전체를 개관하는 일이 긴요한데, 그 동안 많은연구가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가람 저작에 대한 총량 파악과 그 실체를 본격적으로 조명하는 작업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가람전집 간행과 전체 저작물에 대한 목록화 등 자료 정리의 필요성이 이에서 요구된다. 이에 본고는 문헌자료 정리와 총량 파악, 그리고 가람 저작물의 성격과 관심사를 큰 틀에서 개관하고자 했다. 가람이 192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40여 년 간 지면을 통해 발표한 저작물은 총 774편을 헤아린다. 전작 저서가 12권, 주해서 8권, 번역서 및 선집 8권, 교육용 교재(교과서) 11권이 간행되었으며, 26종의 신문에 319편, 78종의 잡지 및 학술지에 271편의 글을 발표했다. 이를장르별로 나눠 보면, 창작 시조가 308편, 수필 및 기행문 80편, 문학 관련 각종 평론이 150편, 딱히 장르 귀속이 어려우면서 수필과 평론의 성격을 지닌 잡문이 130편, 한시를 번역한 번역시가 13편, 일본어로 쓴 글이 3편, 그리고 기타로 묶을 만한 저작물이 그 나머지를 차지한다. 신문과 잡지를 통해 발표한 저작물이 전체의 3/4에 이른다. 지면을 통해 발표한 글들을 통시적으로 조망해 볼 때, 시기별로 그의 관심사와 영역이 점차확대, 변모되어 갔음을 확인할 수 있다. 거칠게 말하자면 ‘시조 창작과 연구→한글 연구→ 국어교육 연구→시가 문학 및 고전문학 연구→문헌학적 연구→문학사 기술’로 그 연구의 폭과 깊이가 변모해 갔다고 할 것이다. 이에서 가람을 시조시인, 시조학자, 수필가, 교육자, 국어학자, 민족어 운동의 선구자, 고전의 발굴과 해제를 선도한 고전연구자, 문학사가, 서지학자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재평가할 필요가 있다. 여러 학문 분야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람을 이해하는 것이 관건이다.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서지학, 국어교육, 국어학 등 여러 학문 분야에서의 학제 간 종합 연구가 가능하다면 가람의 학문세계를 ‘가람학’으로 새롭게 정립해 본격적인 평가와 논의를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Garam(嘉藍) Lee Byong-gi(李秉岐, 1891∼1968) is not only the Sijo(時調) poet, but also the initial classic scholar of the country activated in various fields. He was presented in essay, travelogue such as works of literature and a massive amount of criticism and unsystematic writings, books etc. through various media. To understand Garam properly, it is first required to identify the contours of all works. Despite studies on Garam accumulated for a long time, operations to identify and understand the total amount of Garam`s work did not yet been achieved. That is why the complete works and the list of all works for Garam are needed to work up.This paper was purposed to survey the total amount of works, and from it to overview and identify academic interests of Garam briefly in a large frame. Garam announced a lot of works over 40 years through various media since the 1920s until the 1960s. You can see the total of 774 works. The 12 books, the 8 notes on a text, the 8 translations and anthologies, 11 educational materials(textbooks) were published. Total of 319 articles were published in 26 kinds of newspapers, and 271 articles have been included totally in the 78 magazines or journals. When divided by genre, creative Sijo 308 works, essays and travelogue 80, various reviews related to literature 150, and 130 semi-essays & semi-criticisms with no apparent genres, translated poetry 13, 3 articles written in Japanese, and other works might be accounted for the rest. works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correspond to 3/4 of total. We can judge contents of Garam`s Studies, while exploring the direction and methods of research for Garam through these basic materials. When we look at the works presented in chronological order, it can be checked that interests and capabilities of Garam enlarged and transformed little by little. That is why Garam can be re-estimated not only as a Sijo poet and Sijo specialist, but also as a essayist, educator, language scholar, a pioneer in the national language movement, classic researcher who leads the excavation and study of classics, researchers, writer of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philologist. There is a need to reassess about Garam and his academic results, through searching for total works universally. It is key to understand the Garam`s works, considering comprehensive disciplines in a various way. Garam`s study looks likely to hold that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bibliography, language education, Korean linguistics, etc. can be provided in a comprehensive interdisciplinary research.

      • KCI등재

        가람의 문학사 서술 시각과 방법 -『국문학전사』의 <고전문학사>와 <국한문학사>를 중심으로-

        이형대 ( Hyung Dae Lee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39 No.-

        본 논문에서는 근대주의적 시각에서 부정적으로 평가받은 『국문학전사』를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이 저서에서 국문학이란 국어로 이루어진 국민국가의 문학이자 민족문학으로 규정된다. 그러나 여기에서의 국민문학이란 과거의 자취가 아니라 건설되어야 하는 미래의 문학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인식은 시대구분의 다중성을 통한 열린 해석의 지향, 민족문학 내부에 존재하는 차이들의 존중과 소수자 문학의 발견으로 이어진다. 이런 점에서 『국문학전사』는 탈근대적 전망을 어느 정도 선취하였다고 할 만하다. 『국문학전사』가 획일적인 근대주의의 틀에서 다소 유연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인으로는 작품의 해석과 평가에 있어서 표현론적 요소나 수용미학적 관점을 다른 문학사보다도 풍부하게 견지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이처럼 이 논문에서는 근대주의 외부의 시선으로 『국문학전사』를 고찰하여 향후 문학사 기술에 이 저술이 무엇을 시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In this paper, I attempt to reinterpret 『Gukmunhakchunsa』 that has been evaluated negatively on the basis of the modernist view. In this text, "Gukmunhak" is defined as national literature as well as the literature of a nation-state written in its own language. The national literature mentioned is not a trace of the past but a concept which has to be built in the future. This meaning is connected with the multiple interpretation of periodization in history, the respect for the differences that exist in the national literature, and the discovery of minority literature. In this regard, I think that 『Gukmunhakchunsa』 has a post-modern value.

      • KCI등재후보

        ≪주역(周易)≫ 혁괘(革卦)를 이용한 동양고전읽기 교육에 관한 연구 - 거점 국립대학의 한 교재를 중심으로 -

        한만성 ( Han Mahnsoung )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건지인문학 Vol.- No.31

        이 논문은 인문학의 다양한 분과 연구를 ≪周易≫과 목록학을 방법론 삼아 통합하고자 하였다. 대학 인문 교양 교육용 교재에 실린 동양편 여섯 작품에 관한 목록학적 성과를 요약하였고, ≪周易≫ 주역의 “革”괘를 적용하여 혁신의 의미를 읽어내고자 시도하였다. ≪道德經≫에서는 ≪藝文志≫와 ≪經籍志≫의 저록을 비교 분석하였다. ≪史記≫에서는 130편을 선별하여 교육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古文眞寶≫는 조선시대에 전범으로 읽혔던 ≪詳說古文眞寶大全≫ 판본의 문제들을 요약하였다. ≪마음≫에서는 소세키가 어떻게 동양 고전의 세례를 받아 근대문학을 개척하였는지 ≪蒙求≫의 영향을 제시하여 논증하였다. ≪아Q정전≫의 루쉰은 고전 작품의 창의적 읽기와 쓰기로서 혁신의 화신으로 재확인되었다. ≪가람시조집≫에서는 가람이 고전을 발굴하고 조직해 낸 서지학자로서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integrate the study of various branches of humanities with “I-ching(周易)” and “bibliography” as a methodology. In the six installments of the Asian Classics, which was published in the textbook for the reading of the liberal arts at the university, efforts were made to summarize the bibliographical achievement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innovation by applying the “Hyuk(革)” code. The Do-deok-gyeong(道德經) was used to compare the lists of Ye-mun-ji(藝文志) and Gyeong-jeok-ji(經籍志). The sa-gi(史記) was selected to discuss the need for a screening list of 130 episodes. The Go-mun-jin-bo(古文眞寶) summarizes the issue of Sang-seol-go-mun-jin-bo-daejeon(詳說古文眞寶大全), a version that was read mainly during the Joseon Dynasty as a standard. In “The Mind,” the influence of Mong-gu(蒙求) was given as an example of how Soseki pioneered the path of modern literature under the baptism of classics. It was reaffirmed that Lu Xun of “The True Story of Ah Q” was the embodiment of innovation that demonstrated the innovative reading of classical literature in practice. In “GARAM collection of sijo poems” the focus was on Garam as a bibliographer who excavated and organized the class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