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독립운동사의 ‘새로운 인식’을 반영한 전시 내러티브 변화 -독립기념관 상설·기획전시 사례를 중심으로-

        조은경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24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 No.85

        This study attempt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research and historical exhibition as a factor influencing wartime narratives and messages through the case of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which performs both research and exhibition functions. As a research method, we first looked at the new research trend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o convey the universal values contained in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to identify the meaning and status of world history, followed by the cases reflected in the permanent and planned exhibitions of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The ‘new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hich has emerged since the mid-1990s, has expanded and advanced into various research topics. This was a process of examining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beyond the scope of Korean history and ‘rediscovering’ the essence and universal values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at had not been discovered because it was immersed in ‘national independence’.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results reflecting the “new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led to the demand for popularization of academic achievements through exhibitions, which was reflected in the 3rd exhibition replacement master plan of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Based on this, the four exhibition halls, which have been replaced since the fourth hall in 2017, have embodied the main theme, “peace and empathy,” according to the functions and themes of each hall. While the fourth hall, which is an emotional hall, focused on conveying the universal valu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second, third, and sixth halls, which are the main halls, expand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context of world history among the exhibition narratives. Meanwhile, the exhibi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the Allies” series, which was held three times from 2021 to 2023 as a special exhibition for the Liberation Day for the Allied Powers, was an attempt to materialize a new perspective that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was with the Allied Powers” through a special exhibition and to inform the general public for the first time. The three special exhibitions conveyed a common message, but in the detailed composition of the exhibition,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joint anti-Japanese wars with China,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ted Kingdom were found and differentiated. Regarding the exhibition of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which was intended to supplement the perspective of world history and convey the universal valu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by reflecting the new perception of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visitors responded, “It was good to know the new content, but it was somewhat difficult.”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changed through the third exhibition replacement, there were also questions about the attributes of the Allied Powers’ “imperialism”. As such, “gap and tension” occurred in the process of realizing the history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rom a global and universal perspective as an actual exhibition, but this can be supplemented by deepening research achievements such as finding specific cases and referring to exhibition cas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memorials and museums around the world. As a result, we hope that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which is set to mark the 80th anniversary of liberation and the 40th anniversary of its opening, will leap forward as a memorial hall that not only Koreans but also foreigners can sympathize with. 본 연구는 전시 내러티브와 메시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역사연구와 역사전시와의 상관관계를 밝히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연구와 전시 기능을 함께 수행하고 있는 독립기념관 사례를 통해 이를 규명해보고자 했다. 연구방법으로는 한국독립운동에 담긴 보편적 가치를 전달하고 세계사적 의미와 위상을 규명하려는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의 새로운 연구동향을 우선 살피고, 이어서 독립기념관 상설·기획전시에 반영된 사례를 검토했다. 1990년대 중반부터 등장한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의 ‘새로운 인식’은 다양한 연구주제로 확장되며 심화·진전되었다. 이는 한국사의 범주를 뛰어넘어 세계사적 맥락에서 한국독립운동을 살피고 그간 ‘민족독립’에 몰두해 발견하지 못했던 한국독립운동의 본질과 보편적 가치를 ‘재발견’하는 과정이었다. 한국독립운동사의 ‘새로운 인식’을 반영한 연구성과의 축적은 전시를 통한 학문적 성과의 대중화 요구로 이어져 독립기념관 제3차 전시교체 마스터플랜에 반영되었다. 이를 토대로 2017년 제4관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교체 완료된 4개 전시관에는 각 관의 기능과 주제에 따라 대주제인 ‘평화·공감’을 각관의 특성에 맞게 구체화했다. 감성관인 제4관이 독립운동의 보편적 가치 전달에 주력했다면 주제관인 제2, 3, 6관은 전시 내러티브 가운데 세계사적 맥락에서의 한국독립운동사 관련 내용을 확충했다. 한편 연합국인 중국, 미국, 영국을 대상으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세 번에 거쳐 광복절 특별전으로 개최된 「연합국과 함께 한 독립운동」 시리즈 전시는 ‘한국의 독립운동이 연합국과 함께 했다’는 새로운 관점을 특별전을 통해 구체화하고 일반 국민들을 상대로 처음으로 알린 시도였다. 3번의 특별전은 공통의 메시지를 전했지만 세부 전시 구성에서는 중국, 미국, 영국과의 공동 대일항전에서 보이는 역사적 특징을 찾아 차별화했다. 한국독립운동사 연구의 새로운 인식을 반영해 세계사적 관점이 보완되고 독립운동의 보편적 가치를 전달하고자 한 독립기념관 전시에 대해 관람객은 ‘새로운 내용을 알게 되어 좋았지만 다소 어려웠다’는 반응을 보였다. 제3차 전시교체를 통해 변화된 전시 내용과 관련하여 연합국의 ‘제국주의’ 속성 등에 대한 문제제기 등도 있었다. 이처럼 세계사적, 보편적 관점의 한국독립운동사 연구가 실제 전시로서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간극과 긴장’이 발생했지만 이는 구체적인 사례발굴 등 연구성과의 심화, 그리고 세계 근현대 기념관·박물관의 전시사례 참고를 통해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로서 광복 80주년, 개관 40년을 앞둔 독립기념관이 내국인뿐 아니라 외국인도 함께 공감하는 기념관으로 도약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항일운동의 성지 섬 독립기념관 분원 설립 연구 - 소안도, 울릉도와 독도, 제주도를 중심으로 -

        이웅규 ( Lee Woong-kyu ) 한국도서(섬)학회 2022 韓國島嶼硏究 Vol.34 No.1

        본 연구는 소안도, 울릉도와 독도, 제주도 등에 섬 독립기념관 분원을 설립하는 정책을 제안하였다. 섬 독립기념관 분원의 설립이나 프로그램 개발도 중요하지만, 우리 국민의 일상생활 거주공간에서 항상 마주치는 눈높이에 위치한다는 점이 중요하며, 언제든지 가족과 함께 드나드는 곳에 마주치게 하는 항일운동 및 독립운동 일상화의 시공간이 있어야 한다는 정책적 당위성이 더 중요하다. 이는 항일운동과 독립운동이 특정한 날, 특정한 사건에 의해 촉발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일상생활 전반에서 매일 매일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획기적인 변화를 추구할 때 ‘항일운동의 일상화’라는 가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우리나라 국토 전체가 독립운동의 현장임에도 불구하고 그 흔적이 남아있지 않은 상황에서 천안지역의 독립기념관만을 중심으로 독립 및 항일의 의지를 다지기보다는 섬 지역뿐만 아니라 화성, 안동 등의 지역에 산재해 있는 독립기념관도 분원으로 적극적으로 개발하거나 설립하여 국토의 균형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필요가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기획되었다. 본 연구가 소안도, 울릉도와 독도, 제주도 등에 섬 독립기념관 분원을 설립하자고 제안하는 내용은 거대한 분원을 설립하자는 의미가 아니다. 규모의 문제가 아니라 내용의 차원에서 접근하자는 것인데, 이런 소규모의 분원 설립은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 또 하나의 항일운동이자 독립운동의 참모습일 수 있기 때문이다. 전국적인 규모의 독립기념관 분원 설립을 통해 생활 속의 독립의식 및 평화 의식을 고취할 수 있으며, 사회 저변에 한국인의 연대 의식을 강하게 뿌리내리게 하는 기초 토양이자 철학적 성지가 될 것이다. 그중에서 제일 먼저 섬 독립기념관 분원을 설립하자고 제안하는 이유는 ‘섬’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고 전 세계적으로도 이런 유사한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다는 점을 상징화하여 항일 및 독립운동의 브랜드화가 가장 적절한 지역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가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제안의 배경에는 ‘섬(도서)’ 이라는 낙후되고 소외된 지역으로서의 부정적인 이미지에서 벗어나 항일독립운동의 성지로서의 이미지 변화를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꾀하자는 의미에서 추진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을 중심으로 집중하였다. In this study, a policy was proposed to establish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branch offices on Soando, Ulleungdo, Dokdo, and Jeju Island. The establishment of a branch of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or program development is important, but it is imperative that it is located at the eye level that we always meet in the daily living space of our people, and the time and space of the daily life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that we encounter with our families at any time The political justification that there should be is more important. This can have a tangible effect of 'the dailyization of the anti-Japanese movement' when the anti-Japanese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are not triggered by a specific day or event, but are pursued for epochal changes so that they can occur naturally every day in our daily life. In addition, despite the fact that the entire country was the sit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no traces remain of it. Rather than strengthening the will for independence and perhaps anachronistic anti-Japanese sentiment centered on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in the Cheonan area, instead of reinforcing the will for independence and anti-Japanese warfare, it is not only in the island area but also in Hwaseong, Andong, etc. This study was planned in the sense tha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evelop or establish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as a branch, contributing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al land and 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The content of this study's proposal to establish branch offices for the Independence Hall of the Islands in Soando, Ulleungdo, Dokdo, and Jejudo does not mean establishing a large branch office. The idea is to approach this from the level of content, not the issue of scale, because the establishment of such a small branch can be another anti-Japanese movement with various meanings and the true fa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wide branch of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can inspire a sense of independence and peace in everyday life, and it will become a philosophical holy ground and foundational ground for Korean solidarity to take root strongly in society. Among them, the reason for proposing to establish a branch of the Island Independence Hall is that it is the most appropriate area for branding of anti-Japanese and independence movements by symbolizing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similar cases around the world in consideration of the peculiarity of an 'island'. In this respect, this study proposes. Also, in the background of this proposal, it was promoted in the meaning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through changing the image as a holy place for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way from the negative image of an 'island' as an underdeveloped and marginalized region. For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provided the main focus.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 intention is to preserve historical records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s against imperial Japan and not to create hostility towards contemporary Japan.

      • KCI등재

        미국에서 광주학생독립운동 지지 운동

        김재기(Kim, Jaigi)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2021 국제문화연구 Vol.14 No.1

        The year 2021 marks the 92nd anniversary of G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which is considered as the ‘big thre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2nd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Th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broke out in Gwangju in November 1929, 10 years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is considered as the largest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lthough students took the lead of independence movement, it was a holistic national movement that posed not only school issue but also colonial education, Japanese colonial rule issue, and national liberation. It started from teenage students of Gwangju but has spread to nationwide such as Seoul, Pyeongyang, Gyeongsang, Gyeonggi, Chungcheong, Gangwon, Pyeong-an, Hamgyeong and so on. It was nationwide and worldwide scale of independence movement as has spread to China, Japan, the Soviet Union, the United States, Mexico, Cuba and so on. So Government has commemorated November 3rd as ‘Student’s day’ since 1953, until the Park Junghee regime abolished it in 1973. This paper, firstly, deals with the support of G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from the United States. Second, it examines supporting activities of ‘Support Association for Gwangju Students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newly organized for support. Third, this research discusses ‘Korean Student Federation of North American’ and ‘Korean Women’s Patriots Association, which preexisted.

      • KCI등재

        익산지역 독립운동사적지 현황과 과제

        정성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3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ad endlessly continued from the end of the pre-modern Korean history to the last day of the Japanese colonial times. Iksan region was not an exception of the extremely earnest longings and struggles. Currently, there are 84 persons of merit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dicating that there were various aspect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region. This study aim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the historic plac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Iksan region and their application in order to raise the recognition on the local history and to apply the historic site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a result, among 17 historic sites for the research, there are five lost places, six transformed places, one original recovered places, three original conserved places, and two damaged places. The suggestions for promoting to study about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for applying them as cultural industrial source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rehensive academic researches on the Independent Movement in Iksan region should be conducted. That is, collecting the sources and publishing their collection shall be prioritized. Second, it is necessary to combine storytelling about people and scenes of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with media, and to reproduce them as various cultural contents. In addition, there are abundant sources of storytelling including Lee, Kyu-hong and the volunteer[Righteous] corps, Moon, Yong-ki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raising public sense by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the Buddhadharma and other students and social movements in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in Iksan region. Third, it is to apply them as sites for cultural tourism and history education. Applicable or verified historic sites may be set a tour course, and if they are linked with the existing historic sites and can attract tourists as tourism sources,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economic values.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Larchiveum focusing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ksan is not only an old city with a thousand years' history but also a modern city form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having various cultural heritages from the ancient,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Now, in order to show the modern and contemporary Iksan, it necessitates to use Larchiveum as the space for exhibitions, cultural activities, researches, and archiving through its establishment. That is, the establishment of Larchiveum will be the settlement of the center of history of the Independent Movement as a cultural complex in all the areas in Jeonbuk as well as Iksan region. 우리나라 독립운동은 국권(國權)이 흔들리기 시작했던 구한말에서 일제통치의 마지막 날까지 끊임없이 지속되었다. 독립에의 처절한 열망과 투쟁은 익산지역도 예외는 아니었다. 현재 익산지역의 독립유공자는 84명으로 다양한 성격의 독립운동이 전개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 인식 재고와 독립운동사적지 활용을 위해 익산지역의독립운동 사적지(史跡地) 현황과 그 활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사대상사적지 17개소 중 현재 멸실 5, 변형 6, 원형복원 1, 원형보존 3, 훼손 2 개소로 정리된다. 독립운동사 연구를 진작시키고 이를 문화산업으로 활용하기 위한 모색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익산지역의 독립운동에 대한 종합적 학술조사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곧 자료수집과 자료집 발간이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독립운동사의 인물과 경관을 주제로 한 스토리텔링을 영상매체들과 결합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재생산해 가야 할 것이다. 더구나 익산지역의 독립운동사는 의병의 이규홍, 3·1운동의 문용기, 불법연구회의 민중의식 고취, 학생운동과 사회·운동 관련 등 스토리텔링 자원이 매우 풍부하다. 셋째, 문화관광 및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활용가능하거나 고증된 사적지는 탐방코스화 하고, 기존의 유적지와 연계하여 관광객을유치하여 관광 자원화하면 경제적 가치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넷째, 근·현대사중심의 라키비움(Larchiveum) 설립이 필요하다. 익산은 천년의 고도이자 일제 식민지 시기에 형성된 근대도시로 고대와 근·현대의 다양한 문화유산을 가지고 있다. 이제 근·현대사의 익산을 알리기위해 라키비움을 설립을 통해 전시, 문화활동, 연구, 기록물보존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곧, 라키비움 설립은 복합문화공간으로써 익산지역뿐만 아니라 전북의 모든 지역까지 아우르는 독립운동사의 메카로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3·1운동과 국내 독립운동

        박걸순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0 東洋學 Vol.47 No.-

        3·1 movement is evaluated as the biggest turning point and a good mov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t is from that 3·1 movement had the streamlets get together of secret society struggles to make a big river of total independence movement after 1920s. 3·1 movement made the opportunity to expand the participant clas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o diversify the ideology and the methods. 3·1 movement was the highest authority i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It makes the independence movement after that considerably distinguished. The independence movement cannot help but be influenced by external conditions like the imperial Japan’s policy or the change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but 3·1 movement was the epochal event which changed the map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 ourselve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unfolded confronting with the imperial Japan’s policy quickly. They had to have the characteristic of secret society thoroughly during the Japanese military rule age of terror and they tried to make the best use of permissible space during cultural politic age of deceiving. When the suppression on Korean people was getting stronger as the imperial Japan expanded and strengthened its war of invasion like Manju invasion, Sino-Japanese War and World War provocation, they had to become more underground but embodied after glorious restoration foreseeing the defeat of the imperial Japan. In this process, they sought for the connection with external independence movement.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under direct reign of the imperial Japan had great different conditions with external independence movement. Despite of this,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unfolded with all its power and with various forms. We can classify it into subject of movement as the farmer, labor, student, young generation and women movement and into the class of movement as social movement, economic movement and cultural movement; the social movement can include feminist movement and equity movement, the economic movement can include Mulsan-Jangryo Woondong(Movement of Local Products Encouragement) and Consumers’ Cooperative Activities and the cultural movement can include the study of culture and heritage of Korea, media, education, art and religion movement. The subjects and the classes often had their own independent areas but there were many cases duplicated or complicatedly unfolded. Like this, the reason that the aspects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have many characters is from the multiplicity of ideology, the diversity of the method and strategy.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consistently unfolded after 3·1 movement tried to connect with exter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eventually it became the power to get the independence. 3·1운동은 한국독립운동사에서 가장 커다란 분수령이자 독립운동의 호수로 평가된다. 그 까닭은 3·1운동이 1910년대 비밀결사 투쟁의 세류를 모아 1920년 이후 총체적 독립운동이라는 대하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3·1운동은 독립운동 참여 계층을 확대하고 이념과 방법론을 다양화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3·1운동은 한국독립운동사의 최고봉이었다. 따라서 그 이후의 독립운동은 이전과는 확연히 구분된다. 독립운동은 일제의 식민지 통치 방식이나, 국제정세의 변동 등 외적 조건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으나, 3·1운동은 우리의 힘으로 독립운동의 지형도를 바꾼 획기적인 것이었다. 국내의 독립운동은 일제의 식민지 통치 방식에 기민하게 대응하며 전개되었다. 일제의 공포적 무단통치기에는 철저한 비밀결사의 형태를 지닐 수밖에 없었고, 기만적 문화정치기에는 일제가 허용하는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고자 하였다. 일제의 만주침략과 중일전쟁, 세계대전 도발 등 침략전쟁이 확대 강화되며한민족에 대한 탄압이 더욱 기승을 부리자 독립운동은 다시 지하화 하되, 일제 패망을 예견하며 광복 이후를 구상하였다. 이 과정에서 꾸준히 국외 독립운동 세력과의 연계를 추구하였다. 일제의 직접 통치하에 놓여 있던 국내의 독립운동은 국외의 독립운동과는 커다란 조건의 차이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 독립운동은 다양한 형태로 총력적으로 전개되었다. 운동 주체를 기준으로 하면 농민·노동자·학생·청년·여성운동으로, 운동 계열을 기준으로 하면 사회운동·경제운동·문화운동등으로 대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세분하면 사회운동에는 여성운동과 형평운동이, 경제운동에는 물산장려운동과 협동조합운동이, 문화운동에는 국학·언론·교육·예술·종교운동이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운동 주체나 계열은 독자적인 영역을 지니기도 하지만, 중복되거나 복합적으로 전개되는 경우도 많았다. 이처럼 국내 독립운동의 양상이 복합성을 지니는 것은 이념의 다원성과, 방법과 전략의 다양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3·1운동 이후 부단히 전개된 국내 독립운동은 국외 독립운동과 연계를 시도하였으며, 결국독립을 쟁취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 KCI등재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중국 동북(만주)지역 확산과 한인 학생·민족운동 세력의 호응

        장세윤 한국근현대사학회 2020 한국 근현대사 연구 Vol.94 No.-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refers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driven by Korean students that started with the collision of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on November 3rd, 1929, triggering nationwide and international student protests up until March 1930. It is regarded as one of the three main Korean Independence Movem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long with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in 1919 and the June 10th Movement in 1926.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is considered to have intensified other Korean independence or liberation movements, and therefore, holds a significant meaning. However, we tend not to evaluate it accordingly to the contribution it made. In particular, mo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better understand its effect on overseas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s or Korean liberation movements. That is why I reviewed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in regard to activities carried out by students and liberation groups from January to March 1930 in Yanbian and Manchuria (North-eastern area of China) regions in China, and intended to figure out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showed a high participation rate in which schools from 12 districts(92.3%), 81 counties(37.2%), 1 province [Iland](50%) among 13 districts, 218 counties, 2 provinces participated from October 1929 to March 1930. The movement also affected movements in mainland China, Manchuria, Maritime Province of Russia, Japan, and the United States. It is believed that overall 280(or 320) schools in-and outside of Korea joined the movement. Thus, it is no exaggeration to see it as a ‘nationwide’ as well as an ‘international’ scale independence(liberation) movement. In particular, the level of response and support from schools and students through protests in overall north-eastern area(Manchuria) of China including Lungjing, Yanbian, and Jilin, Fengtien, and Harbin were stronger than generally known. Moreover, it is identified that a number of liberation groups and leaders actively responded to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Therefore, Gwangju Student Independence Movement can be considered as a medium that boosted diverse student and social movements in Yanbian and Manchuria. Furthermore, the movement significantly affected other liberation movements and armed struggl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in the 1930s. ‘광주학생독립운동’은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의 한·일 학생 충돌과 학생시위를 시작으로 1930년 3월까지 전국적으로, 나아가 해외지역까지 확산·전개된 학생운동을 의미한다. 3·1운동 및 6·10만세운동과 함께 일제강점기 3대 독립운동의 하나로평가되고 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은 그 이후의 독립운동 혹은 민족해방운동을 격화시키는 도화선이 되었다. 따라서 그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지만, 우리는 그에 상응한정당한 평가를 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해외 학생운동이나 민족운동의 발전과관련된 내용은 앞으로 더욱 심층적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필자는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전개 및 확산 양상을 주로 1930년 1~3월에 중국 연변(延邊, 북간도) 및 만주(중국 동북지방) 전역에서 전개된 학생들의 호응 활동과 관련 단체들의 동향을 개략적으로 검토하고 그 특성과 의의 등을 종합하고자 했다. 검토 결과 중국 龍井과 연변지역, 나아가 吉林·봉천(현재 瀋陽)·하얼빈 일대등 전 중국 동북지역(만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보다 훨씬 강력하고 큰 호응과지지, 많은 학교와 학생들의 동참 시위가 있었던 사실이 확인되었다, 또한 많은민족운동 단체와 지도자들도 광주학생독립운동에 적극 호응하였다. 결국 광주학생독립운동을 매개로 중국 연변지역이나 중국 동북(만주)지역의 각종 학생운동, 사회운동이 더욱 고양되고, 나아가 광주학생독립운동이 이 지역의 향후 민족운동이나1930년대 항일무장투쟁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독립운동사연구』50집 간행(1987~2015)의 성과와 연구사적 의의

        박걸순(Park, Geol-sun)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15 한국독립운동사연구 Vol.0 No.51

        1987년 개소한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가 그해 8월부터『한국독립운동사연구』를 발행하여 28년 만인 2015년 5월 제50집을 발행하였다. 그간『한국독립운동사연구』에는 모두 214명의 국내외 연구자가 참여하여 550편(부록 60편 포함 610편)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연 면수는 23,908쪽, 연 발행부수는 54,450부에 달한다. 『한국독립운동사연구』수록 논문의 경향성은 한국근현대사의 연구사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주제별 연구는 인물, 일제 침략·식민지 지배정책사, 독립운동단체 순인데, 이들 논문이 전체 수록 논문의 40.8%나 차지하는 것은 학계의 연구경향을 여실히 보여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나 독도영유권 문제, 해외지역의 독립운동도 꾸준한 연구경향을 보이며, 일본 역사교과서 문제와, 한국민족주의와 역사인식 등 주제가 새롭게 등장하는 양상을 보인다. 특히 국내 지역의 독립운동사와 자료연구가 급속히 활성화되는 것은 발전적 양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독립운동사의 중요 주제인 3·1운동과 의병·위정척사운동은 급격히 퇴조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한국독립운동사연구』는 28년의 역사를 통해 한국근현대사 관련 양대 학회에서 발행하는 학술지와 함께 한국근현대사연구를 대표하는 ‘3대 학술지’라 평가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유사 성격을 지닌 일반 학회와는 차별화 된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논문집으로서의 위상을 더욱 강화하여, 학계를 선도하는 가장 권위와 공신력을 인정받는 논문집으로 발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여 논문집을 보다 다양하고 일관성 있게 구성해야 한다. In May, 2015, the Institut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of Independence Hall of Korea issued the 50th volume of its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after 28 years since the first volume in August, 1987 when the Institute was established. Total 214 researchers home and abroad published 550 papers(610 when 60 appendixes are included) in the Journal whose annual number of pages was 23,908 and whose annual number of issues published was 54,450. The tendency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was the research histo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tself. The research topics went through the order of figures, Japanese invasion and history of Japanese colonial ruling policies, and independence movement groups. The papers on those topics accounted 40.8% of the entir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which clearly shows the research trends of the academia. There was also a consistent research trend in the topics of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ownership of Dokdo, and independence movements in foreign countries. An emerging trend of topics includes the issue of Japanese history textbooks and the nationalism and historical awareness of Korea. A developmental pattern was especially observed in the rapid activation of researches on the history and materials of independence movements in Korea. It was shameful, however, that there was a swift decline in the researches on March 1 Movement(3·1運動) and also Uibyeong(義兵) and Wijeongcheoksa Movement(衛正斥邪運動), two of the major topics in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Journal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has emerged as one of the three major journals on the researches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along with the other two published by two prominent societies on the subject in the course of its 28-year-old history. It is, however, tasked with reinforcing its status as a collection of dissertations issued by the Institute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tudies differentiated from other general societies of similar nature and evolving into a journal recognized for its authority and public confidence to lead the academic circles. It is thus needed to make mid and long term plans and organize the Journal in a more diverse and consistent fashion.

      • KCI등재

        제주지역 독립운동 사적지 활용방안

        강만익 ( Kang Man-ik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8 탐라문화 Vol.0 No.57

        최근 지방자치단체는 독립운동 사적지를 지역민의 정체성을 발견하는 장소로 이용하거나 역사문화 관광자원으로 삼고 있다. 이 글은 2017년 12월 말 현재 제주지역 독립유공자로 인정된 148명에 대한 현황분석과 그들의 활동거점인 독립운동 사적지의 활용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148명 독립유공자 공적개요를 중심으로 파악한 독립운동 양상은 국내항일운동(82), 일본방면활동(19), 3·1운동(18), 학생운동(18), 의병(4), 문화운동(4), 광복군(1), 애국계몽운동(1), 임시정부(1) 순으로 나타났다. 독립유공자 훈격 현황은 대한민국장, 대통령장, 독립장은 해당자가 없으나, 건국훈장에 속하는 애국장(21)과 애족장(79) 그리고 건국포장(21), 대통령표창(27)이 확인됐다. 148명이라는 독립유공자 수치는 『제주항일인사실기』(2005)에 기재된 독립운동인사 500여명의 30% 정도에 불과해 추가 자료발굴을 통해 독립유공자 지정을 확대했으면 한다. 제주지역 독립운동은 민족주의 계열에 속하는 의병운동, 법정사 항일운동, 조천 만세운동에서부터 시작해 1920년대 후반부터는 사회주의와 아나키즘 실현을 지향하는 독립운동이 전개되었다. 사회주의 계열에는 신인회, 신간회, 제주청년동맹, 제주야체이카, 제주적색농업조합이 대표적이며, 무정부주의를 표방했던 아나키즘 계열에는 우리계(宇利契)가 있었다. 제주지역 독립운동 사적지를 가지고 다크투어리즘을 활용한 역사관광상품 개발, 항일독립운동 아카이브 구축, 스토리텔링과 콘텐츠 개발, 청소년 보훈캠프 등 활용방안이 필요하다. 이 글이 제주지역 독립운동사 연구를 유도하고, 현재 방치되고 있는 독립운동 사적지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independence movements carried out by 148 persons of distinguished service to independence in Jeju region and suggests a method to utilize independence movement historical sites.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issues for further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of December 2017, there are 148 people recognized as the person of distinguished service to independence in Jeju region, and they account for only 30% Third, it is necessary to find materials to prove the activities of independence activist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ut in experts specialized i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and to find materials on the persons who participated in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Cultural Movement, New Education Movement and others but failed to be recognized as the person of distinguished service to independence.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find materials about Kang Pyeong-guk, who was a female independence activist, Im Do-hyeon, who was a Jeju anti-Japan pilot, and the people involved in the Fishermen’s Struggle Against Japanese in Chujado Island. Fourth,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cogni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historic sites. It is necessary to brand the sites and make them ‘a place to visit’ or ‘a place to stay’ by revitalizing the entire sites rather than just to keep them as historic sites or cultural properties. Fif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history tourism products and services related to dark tourism, establish anti-Japan independence movement archives, develop storytelling and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and establish a youth patriot camp by utiliz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historic sites. Further, it is worth establishing the networks between historic sites and civil societies, fostering the commentators of anti-Japan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and linking the regeneration of old downtowns and the revitalization of villages in Jeju. Sixth,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role of Jeju anti-Japanese Memorial Museum. Approximately 350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re not yet recognized as persons of distinguished service to independence due to the lack of evidence. In order to help them to be recognized as persons of distinguished service to independence, Jeju anti-Japanese Memorial Museum should actively hold independence movement-related academic seminars,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independence movement researchers, and expand the employment of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specialists as curators, beyond performing facilities maintenance and repair. Finally, in order to protect and preserve Jeju independence movement historic sites, the following are needed: the active involvement of the residents in villages where historic sites are located; the participation of youth and students; and great efforts of civil societies, Jeju history research groups, Jeju Research Institute and Jeju Anti-Japanese Memorial Museum.

      • KCI등재

        이회영(李會榮)과 이상설(李相卨)의 독립운동론과 독립운동 비교

        박걸순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4

        Hoeyeong Lee and Sangseol Lee are related, and they are also friends who hav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is research examines and compares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ory and independence movement of these two figures to identify the common grounds and differences. Their initial direction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coincided as they both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foundation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First, Sangseol Lee disposed of his family’s fortune and fled the country in 1906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armed struggle. Sangseol Lee sold his land and house in Jincheon and Seoul to fund the independence movement. Disposition of Hoeyeong Lee’s properties is one of the most famous stories in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is was a result of directions given by Sinminhoe and his agreement with Sangseol Lee. Hoeyeong Lee and Sangseol Lee not only provided tremendous amount of funds to the movement, but also engaged themselves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y are representative examples of noblesse oblige . The gathering of Hoeyeong Lee and Sangseol Lee in 1908 at Vladivostok was important as it determined the future direction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However, the time and locational differences in their activities caused discordance in their approaches. Hoeyeong Lee accepted anarchism and became an anarchist because of the periodical and locational conditions that he encountered at the time. Hoeyeong Lee and Sangseol Lee had special relationships with Gojong (高宗). Since both planned and attempted Gojong’s asylum, it is difficult to assume that their identities were free from the idea of protection of and loyalty to the king. The fact that Sangseol Lee was chosen as the president of the Korean Liberation Army Government should be not interpreted that he repudiated his relationship with Gojong. However, Hoeyeong Lee’s recognition and identities regarding Gojong should be understood in a sense that he accepted anarchism and changed his thoughts after the death of Gojong and exile to Beijing. That is, Sangseol Lee had not deviated significantly from the identity around Gojong whereas Hoeyeong Lee had developed a new identity instead of being fixated by his initial ideas. 이회영과 이상설은 인척 간으로 죽마고우이자 동지로서 한국 독립운동사에서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이다. 이 글은 두 사람의 독립운동론과 독립운동을비교사적으로 고찰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명하고자 한 것이다. 이들의 초기 독립운동의 방략은 독립운동 기지 개척론으로 일치하였다. 먼저 이상설이 가산을 정리하고 1906년 망명하여 무장투쟁의 기틀을 닦았다. 이상설은 고향 진천의 토지와, 서울의 토지와 저택을 매각하여 독립운동 자금으로충당하였다. 이회영의 재산 처분은 독립운동사에서 가장 유명한 사례이다. 이또한 신민회의 방략에 따르고 이상설과 협의한 결과이다. 이회영과 이상설은 막대한 운동 자금을 지원하였을 뿐만 아니라 직접 독립운동을 실천한 노블레스 오블리주의 대표적 사례로 평가할 수 있다. 1908년 이회영과 이상설의 블라디보스토크 만남은 향후 독립운동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요한 회동이었다. 이회영은 이상설이 강조한 국제 정세를 이용한기회포착론을 귀국 직후 실천에 옮겨 나갔다. 그러나 활동의 시·공간적 차이는두 사람 간 사상과 방법론의 차이를 초래하였다. 이회영이 아나키즘을 수용하고 아나키스트로 전회한 것은 그가 처해 있던 시대적·지역적 조건의 차이에 따른것이었다. 이회영과 이상설은 고종과 특별한 관계를 지닌 인물이었다. 두 사람 모두 고종의 망명을 계획하고 추진하였다는 점에서 그들의 정체론이 보황주의나 근왕적 사고로부터 탈피하였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그런데 이상설이 대한광복군정부 정통령에 추대된 것을 두고 고종과 절연한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후이회영의 고종 인식과 정체론은 고종의 죽음과 베이징 망명 이후 아나키즘의 수용으로 변화하였다고 이해함이 타당하다. 즉 이상설이 고종을 중심으로 한 정체론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었던 반면, 이회영은 당초의 정체론에만 고착되지 않고 새로운 정체론을 지닐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일제의 ‘요시찰’ 감시망 속의 재일한인유학생의 2⋅8 독립운동

        윤소영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7

        1919년 2월 8일 도쿄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 재일한인유학생들이 결행한 2ㆍ8독립운동은 일반적으로 ‘3ㆍ1운동의 기폭제’ 역할을 했다고 평가되고 있지만, 정작 2ㆍ8독립운동의 전모에 대해서는 불분명한 점이 많이 남아있다. 이 연구는 2ㆍ8독립운동이 일제의 감시망 속에 운동의 주체들이 과감하고도 교묘하게 독립운동을 감행했다는 점을 주목하면서 2ㆍ8독립운동을 재검토한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ㆍ8독립운동의 주체들은 평소 신국가의 이념으로써 미국의 민주주의를 주목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인식에 확신을 부여한 것은 도쿄제국대학 교수인 요시노 사쿠조의 민주주의 사상이었다. 마침 1918년 초 윌슨이 전후 세계질서의 기준이 민족자결주의가 되어야 함을 천명하고 1918년 11월 11일 제1차세계대전이 종결하게 되자, 도쿄 한인유학생들은 윌슨이 활약할 파리강화회의를 이용하여 한국민의 독립에 대한 의지를 국제사회에 천명하는 것이 긴급하다고 판단하여 독립운동을 결심하게 되었다. 둘째, 2ㆍ8독립운동 결행이 가능했던 것은 1916년 설립된 장덕수 등의 신아동맹당, 각종 학회 활동을 통해 유학생들의 인적 네트워크가 이미 구축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송계백은 조선에 건너가 와세다대학교 선배인 송진우, 현상윤을 만나 자신들의 계획을 전달했고 이 계획은 일본 유학생 출신인 최남선, 최린에게도 자극을 주었다. 장덕수와 조소앙은 상하이로 망명하여 신규식, 김규식 등과 의기투합하는 한편 도쿄의 후배 최팔용 등과 교감하고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도쿄 유학생들은 1910년대 조선기독교청년회관에서 개최된 각종 강연회와 웅변대회, 체육행사 등을 통해 언제든지 신속하게 뜻을 모아 단체행동을 결행할 수 있는 조건도 갖추고 있었다. 게다가 미주, 상하이, 블라디보스토크 등지의 독립운동세력과도 서로 정보를 주고받으며 일정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와 같은 조직적 기반이 2ㆍ8독립운동의 추진동력이 될 수 있었다. 셋째, 2ㆍ8독립운동의 구체적인 운동방법론을 살펴보면, 운동주체들은 모두 일경에 의해 ‘요시찰인물’로 사찰을 당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상황을 교묘히 피하고 이용하면서 각각의 역할분담을 정하여 체계적으로 2ㆍ8독립운동을 준비해 나갔다. 최팔용이 운동의 전체를 지도했으며 이광수는 북경에서 귀국하여 중국의 독립운동가들의 활동계획을 전달하는 한편 독립선언서 작성의 대임을 맡고, 이를 완성했다. 송계백은 선언서를 갖고 교묘히 조선으로 건너가 국내 세력이 3ㆍ1운동을 결행하는 데에 큰 자극제 역할을 하는 한편 유학생 출신 정노식에게 거금 3000원을 받아와 운동의 동력을 마련했다. 백관수는 선언서 인쇄를 책임졌다. 유학생들은 일제의 감시망을 따돌리기 위해 ‘위장술’을 벌이며 운동의 지도부가 활동할 수 있는 여지를 만들었다. 2월 8일을 거사일로 정한 이유는 학우회 정기총회를 명분으로 많은 학생들이 참석할 수 있도록 하고, 일본제국의회 회기 동안에 그들이 평소 이상으로 여겼던 가장 민주주의적인 방식으로 일본 의회에 조선독립을 청원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2ㆍ8독립운동은 대한제국의 전제정치를 종식시키고 민주주의 이념 아래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신세대의 사상과 의지와 준비된 행동의 결정체였다. On February 8, 1919, the 2.8 Independence Movement, which was attended by Korean students at the Korean Young Men’s Christian Association in Tokyo, was generally regarded as the "initiator of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but there are many unclear points about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he 2.8 Independence movement. This study reexamined the structure of 2.8 Independence Movement, I would like to note that the 2.8 independence movements were meticulously crafted in the Imperial Japanese police watchdo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e 2.8 independence movement were paying attention to American democracy as the ideology of the new nation. It was the democratic thought of Professor Yoshino Sakuzo, a professor at the Tokyo Imperial University, who gave confidence in this recognition. In early 1918, Wilson declared that the standard of postwar global order should be national self - determination, and on November 11, 1918, World War I finally concluded. Prior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which Wilson will be active in, Korean students have determined that it is imperative to infor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bout aspirations of Korean independence. Second, it was possible that the 2.8 independence movement was possible because the human network of international students had already been established through the activities of various associations such as New Asia alliance party which Jang Duk-soo organized. Song Gye-bag came to Korea and met with Song Jin-woo and Hyun Sang-yoon, senior students of Waseda University, and delivered their plans. The plan also stimulated Choi Nam-seon and Choi Lin who were studied in Japan. Jang Duk-soo and Jo So-ang exiled to Shanghai and interacted with Shin Gyu-sik and Kim Gyu-sik.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of Tokyo were able to collect their wishes and take part in group activities at any time through lectures, speech contests and sports events held at the Korean Christian Youth Center in the 1910s. In addition, the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of the Americas, Shanghai, Vladivostok, and so on, had a certain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Such an organizational basis could be the driving force of the 2.8 independence movement. Thirdly, despite the fact that most of the students were being inspected by the Japanese police as a 'Supervised person', they decided to avoid the situation and use each role to prepare the 2.8 independence movement systematically. Choi Pal-yong led the whole movement, and Lee Kwang-soo came back from Beijing, conveyed the plans of independence activists of China, fulfilled and wrote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and Song Gye-bag deliberately crossed over to Korea with the declaration and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domestic movement to promote the 3.1 movement. He also received 3,000 won from Jung No-sik to prepare the movement for the movement. Baek Kwan-su was responsible for printing the declaration. Korean students made a "camouflage" in order to overthrow the Japanese surveillance network and allowed the leadership of the movement to act. The reason for choosing Feb. 8 as the junior affair was because many students were allowed to attend the regular session of the school society and they sought to appeal to the Japanese parliament for the independence of Korea in the most democratic way. Thus, the 2.8 independence movement was a crystallization of the thought and will of the new generation and the prepared actions to end the tyranny of the Korean empire and build a new nation under democ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