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퍼지셋 이상형 분석을 통한 지역관광발전 수준 비교 연구

        이현주(Hyun-Ju Lee),박경렬(Gyung-Yeol Park) 한국관광학회 2023 관광학연구 Vol.47 No.5

        이 연구는 지역관광발전지수의 결과값을 활용하여 퍼지셋 이상형 분석을 하고, 17개 광역시·도 지역관광발전지수결과를 퍼지 소속 점수화한 후 비교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퍼지셋 이상형 분석은 다양한 이상형에 소속된 정도와 수준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이상형에 포함된 소속 점수의 크기도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지역관광발전지수 영역으로 제시된 관광수용력, 관광소비력 및 관광정책역량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7개 광역시·도 지역관광발전 3가지 범주(관광수용력, 관광소비력 및 관광정책역량)는 8개의 퍼지셋 이상형으로 유형화되었고, 3가지 범주가 모두높은 이상형 유형인 CAP*SPE*POL(Ⅰ유형)에는 전남(0.77222), 강원(0.63537), 경기(0.58426), 제주(0.56939), 경북(0.54878) 및 충남(0.50000)이 포함되었다. 반면, 3가지 범주가 모두 낮은 이상형 유형인 cap*spe*pol(Ⅷ유형)에는 대전(0.93826), 대구(0.86454), 광주(0.86438), 세종(0.86152), 울산(0.73138) 및 부산(0.54422)이 포함되었다. 17개 광역시·도중 35.3%(6개 시도)는 긍정 범주인 Ⅰ유형에 35.3%(6개 시도)는 부정 범주인 Ⅷ유형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관광정책 분야에서 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을 탐색적으로 제시하였으며, 퍼지셋 이상향 분석이 관광지역간비교연구에 있어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유용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erformed a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using the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index data. Specifically,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index values of 17 key regions were converted into fuzzy-set affiliation scores, so each region can be compared with one another.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helps to identify the degrees and levels of how regions are affiliated to different ideal types and to compare the relative sizes of affiliation scores within each ideal type. This study closely examined tourism carrying capacity (CAP), tourism spending power (SPE), and tourism policy competency (POL) values that constitute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s 2019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index. The analysis generated eight fuzzy-set ideal types. Type I, which scored high in all three domains, included Jeonnam (0.77222), Gangwon (0.63537), Gyeonggi (0.58426), Jeju (0.56939), Gyeongbuk (0.54878), and Chungnam (0.50000). On the other hand, Daejeon (0.93826), Daegu (0.86454), Gwangju (0.86438), Sejong (0.86152), Ulsan (0.73138), and Busan (0.54422) belonged to Type VIII which scored low in all three domains, included. Type I (positive category) covered 35.3% (6 regions) of all regions, while another 35.3% (6 regions) were in Type VIII (negative category). This study presented an explorative application of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in the field of tourism policy and, thereby, demonstrated how the methods can be useful in comparing tourism regions and deriving theoretically grounded policy implications.

      • KCI우수등재

        원자력 발전정책의 변동요인 비교연구 - 퍼지셋분석을 중심으로 -

        용태석 ( Taeseok Yong ),이은국 ( Eunkook Lee ),박대민 ( Daemin Park ),김지혜 ( Jihye Kim ) 한국정책학회 2019 韓國政策學會報 Vol.28 No.1

        후쿠시마 원전사고라는 동일한 사건에 대해 국가별로 상이한 정책변화가 나타나는 원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국가별 원전정책 변동요인을 비교분석하는 것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을 바탕으로 퍼지셋 이상형분석과 퍼지셋 질적비교분석방법론을 적용하여 국가별 원전정책 변동요인을 살펴보았다. 우선 퍼지셋 이상형분석을 통해 분석대상국가의 유형을 환경규제압력, 에너지안보, 경제적 요인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정책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퍼지셋 이상형분석에 따른 국가유형별 정책변화결과를 보완하기 위해 퍼지셋 질적비교분석(fsQCA)을 실시한 결과, 원전에 대한 국민의 사회적 수용성이 원전확대정책의 충분조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온실가스 감축압력이나 원전수출여부, 정책확산 등은 결합조건에 따라 상이하게 원전확대정책을 야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범위 수준의 국가를 대상으로 질적비교분석방법을 적용해 원전정책 변동을 분석함으로써 원전정책 비교연구의 폭을 넓혔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가 있다. 또한 원전정책 변동의 인과적 복잡성을 제시했다는 정책적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향후 원전정책 변동에 대한 체계적 분석모형 구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hat causes different nuclear power policy responses to the same incident such as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The question, underlying the analysis of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the factors that may have affected countries to implement changes in its nuclear power policy since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To answer the question,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and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methodologies were used under a historical institutionalism perspective. First, through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the ideal type of the target countries for this analysis was configured by using three dimensions, which are defined as, respectively: C (regulatory pressure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S (energy security), and E (economic factor). The ideal types were constructed and was followed by a subsequent evaluation regarding policy changes of respective countries categorized within each ideal type. As a complement to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fuzzy-set qualitative comparison analysis was employed to further assess the policy change results derived from each country classifications. After examining the combinations of causal conditions that provoke the expansion of nuclear power policy, it was observed that the public’s social acceptability serves as a sufficient condition that affects the expansion of nuclear power policy. On the other hand,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condition, conditions respective to international pressure from greenhouse gas emission regulations, the participation in nuclear-power component exports, and the policy diffusion of expanding nuclear power policy, provoked varying results regarding the expansion of nuclear power policy. This study has theoretical significance in that it has broadened the comparative study of nuclear power policy by analyzing the nuclear power policy change of 20 medium-sized countries by applying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And the study proposes the causal complexity of nuclear power policy change holds political meaning,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analysis model upon future nuclear power policy changes.

      • KCI등재

        서울시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유형 및 특성 연구 - 퍼지셋 이상형 분석의 적용 -

        이경미 ( Lee Kyung Mi ),정원오 ( Joung Won Oh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1

        본 연구는 서울시의 사회적경제를 생태계 관점에서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과 차이점을 파악함으로써, 서울시 사회적경제의 현재를 진단하고 발전 방향을 전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정된 사례에 대해 유형화하고 소속의 정도에 대한 차이를 평가할 수 있는 퍼지셋 이상형 분석(fuzzy-set ideal type analysis)을 연구방법으로 사용했다. 그리고 사회적경제에 참여하는 두 주체의 역량인 `민간의 네트워킹 역량`과 `지방정부의 정책 추진 역량`을 지표로 삼아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분석했다. 각 지표는 전자의 경우 민민네트워크의 결집력과 주도성, 정치력을 하위요소로 구성하고, 후자의 경우 사회적경제 행정의지와 민관 네트워크 형성 방식, 사회적경제 인프라 구축 정도를 하위요소로 구성하여 측정했다. 그 결과, 서울시의 사회적경제 생태계는 2개의 지표가 나타내는 4개의 이상형과 12개의 세부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4개의 전형적인 유형(민관 협력형, 민간 주도형, 자치구 주도형, 주체 빈약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서울시 사회적 경제 생태계 유형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경제 생태계의 형성 정도는 유형별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이 잘 되는 유형과 아닌 유형의 차이를 검토함으로써 사회적경제 생태계가 형성되기 위한 결정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회적경제 생태계 조성이 잘 되는 유형의 공통점을 분석함으로써 민민네트워크의 역량이 어느 수준까지 강화되어야 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기존에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던 사회적경제의 환경적인 측면인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체계적으로 유형화하여 비교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공공의 이익과 가치실현을 추구하는 사회적경제의 본질이 지역에서 실현되고 지속 가능하도록 정책을 설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current social economy in Seoul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thereof by classifying the social economy in Seoul into specific types in terms of a social economy ecosystem and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which allows the researcher to classify a limited number of cases into types and evaluate even the degree of each case`s membership in the given type. And the two main indicators used to decide the types of social economy ecosystems in 25 boroughs of Seoul are the private sector`s capability for networking and the borough government`s policy drive. The properties used to calculate one of the indicators, the private sector`s capability for networking, include the unity, initiative, and political influence of private-sector(nongovernmental) networks. The properties used to measure the borough government`s policy drive include the government`s commitment to the social economy, the forms or modes of public-private networks, and the availability of infrastructure. This led to categorization of the social economy ecosystems in Seoul into four ideal types of a two-by-two matrix and twelve subdivided types with four typical types (“public-private partnership,” “private initiative,” “borough initiative,” and “no clear leading acto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and degree of social economy ecosystems differ significantly by type. Second, the analysis of why the social economy ecosystems thrive in some type and not in others reveals the decisive factors behind the formation and success of social economy ecosystems at the borough level. Third, the analysis of the commonalities of thriving social economy ecosystems reveals the extent to which the capability of private-private networks should be reinforced. This study marks a rare instance in the literature, providing systemic analysis and typology of the often-neglected environmental aspects of the social econom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feasibility and sustainability of local social economy policies toward making those policies better serve the public interest and values.

      • KCI등재후보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Fuzzy-set Analysis Method in Social Science: Beyond the Border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ies

        허태욱 한국NGO학회 2018 NGO연구 Vol.13 No.2

        This study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Fuzzy-set Analysis method in social science, which combines a case-based qualitative method with a variable-driven quantitative method, and look at social diversity through comparative studies. The Fussy-set Analysis method as QCA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can deal with existing case studies and intermediate cases that regression analysis can not address (15~50 cases). It consists of Fussy-set Multiple Conjunctural Analysis and Fussy-set Ideal Type Analysis. The former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use and effect as a necessary condition or a sufficient condition, through the technical processes: ‘Calibration’, ‘Operation’, ‘Evaluating set relations’ and ‘Reduction’. The latter analyzes the degree of belonging to each ideal type and the direction of the time series change by converting to the fuzzy membership score of continuous value between 0 and 1. In short, the fuzzy set analysis will allow active penetration into the areas covered by the variable-centric approach. It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blind spot that the existing methodologies could not deal with and at the same time it can overcome these weaknesses.

      • KCI등재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17개 시도별 교통수단정책 분석 - “보편주의 하에서의 표적화”를 중심으로

        이동석 국회입법조사처 2018 입법과 정책 Vol.10 No.3

        장애계 내부에서도 보편적 교통정책인 저상버스와 선별적 특별교통수단에 대한 선호가 다르고, 실제 각 시도별로 두 정책의 집행수준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보편적책과 선별적 정책이 상호보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해서는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17개 시도별로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교통수단 정책의 현황을 유형화를 통해 비교분석하고, 퍼지셋 이상형 분석을 사용해 보다 이상적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17개 시도는 사회통합 모형, 보편정책 우선 모형, 장애인 표적화 모형, 미발달 모형과 같은 4개 이념형에 고루 소속되어 있었으며, 유형에 속하는 정도와 다른 유형에 속하는 정도까지 파악하여 8개의 실제형으로 구분되었다.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 중 사회통합 모형에 전형적으로 속하는 지방자치단체는 없었으며, 오히려 미발달 모형에 전형적으로 속하는 지방자치단체는 7개 시・도에 이르렀다. 이에 따라 각 시도별로 현재 속한유형에 따라 보편적인 저상버스 도입 또는 선별적인 특별교통수단의 도입 확대가 필요하고, 특히 미발달 모형에 속한 7개 시・도의 경우 지자체장의 의지를 높이고 장애인 이동권보장을 위한 투자를 대폭 확대할 필요가 있다. Disability communities have different preferences for low floor bus and selective special transport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ir belief in selectivism and universalism. Each province also executes different policies based on selectivism and universalism. However mutual complement between the policy based on universalism and the policy based on selectivism is necessary to achieve mobility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y.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to analyze comparatively the transportation policy for persons with disability of 17 provinces in Korea and to give the suggestions for improvement. Fuzzy set ideal type analysis method is used to achieve this goa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7 provinces typically belong to one of the 4 ideal types such as social inclusion type, universal policy first type, targeting persons with disability, and non-developmental type. And 8 real types are derived. No province belongs completely to the social inclusion type which means the high development of the both policies based on universalism and selectivism. On the other hand, 7 provinces belong to the non-developmental type which shows under developed state. Consequently, many efforts such as the increase of governors will and budget are generally necessary to improve the means of transport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y in universalism and selectivism.

      • KCI등재

        대륙복지국가의 활성화정책 추이에 관한 퍼지 집합 이념형 분석, 2000-2007

        김종일 ( Jong Il Kim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0 사회보장연구 Vol.26 No.2

        대륙복지국가의 활성화정책은 2000년대에 들어 본격적인 궤도에 진입하였다. 이 연구는 대륙복지국가 4개국의 활성화정책 추이와 그 의미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분석방법으로는 퍼지집합의 이념형 분석을 사용하였다. 활성화정책 관련 세 가지 핵심요소인 소득보장의 관대성, 노동시장정책의 적극성, 고용보호의 엄격성을 퍼지집합으로 전환한 뒤 이것에서 얻은 8가지의 활성화정책 유형 중 대륙 유형과 사민주의 유형을 중심으로 각국의 변화 추세를 살펴보았다. 연구는 각국의 소속 점수가 어떻게 바뀌었으며 그것이 갖는 의미와 변동 원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독일과 프랑스의 활성화정책은 기존의 대륙 유형을 유지하였고 네덜란드는 사민주의 유형으로 전환되었음이 밝혀졌다. 벨기에는 특정 유형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독일과 프랑스의 활성화정책은 경로의존적 변화를 보인 것으로 볼 수 있으나 최종 결론에 이르기 위해서는 활성화의 미시적 요소에 대한 분석을 곁들여야 할 것이다. 반면에 네덜란드는 경로이탈적인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결론을 지을 수 있다. Continental European welfare states launched their activation policies in the 1990s. The 2000s have seen their activation ever more consolidated. However, research works on continental welfare states are notedly scarce compared to Anglo-Saxon or Nordic countries. This paper intends to bridge the gap. Its primary focus is on the pattern of Continental activation policies since 2000. A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has been utilized to analyze the activation trends. We first identified three core concepts of aspects of activation policies, i.e., income generosity, labor market policy activism, employment protection strictness. We then constructed empirical indicators, criteria for qualitative breaking points, and procedures for translation of raw data into fuzzy membership values. Finally we examined membership scores for each country in the three fuzzy sets. The result shows that Germany and France maintained fairly well their previous Continental type while the Netherlands and Belgium did not. The Dutch case confirms the general conception that the country has been changed into something other than a Continental welfare state. However, this claim needs to be put into a wider perspective because this paper only focuses on the nexus of income security and labor markets. Accordingly the path dependence thesis also needs to be tested in a comprehensive frame of analysis. For now a modest conclusion could be drawn.

      • KCI등재

        정부 역할의 유형과 정부 성과 -OECD 국가를 대상으로 퍼지 셋 분석의 적용-

        김태일 ( Taeil Kim ),박상현 ( Sanghyun Park ) 한국정책학회 2013 韓國政策學會報 Vol.22 No.1

        본 연구에서는 OECD 선진국 22개 국가들을 퍼지셋(fuzzy set) 이상형 분석을 적용하여 유형 분류하고 각 유형별 정부 성과를 비교하였다. 유형 분류의 기준으로는 정부 규모와 역량을 설정하였으며, 규모의 크고 작음과 역량의 높고 낮음에 따라 2×2=4개의 유형(유능한 큰 정부, 유능한 작은 정부, 무능한 큰 정부, 무능한 작은 정부)으로 분류하였다. 정부 규모는 정부지출로, 역량은 세계은행의 6개 거버넌스 지표로 측정하였다. 정부 성과는 경제적 측면에 초점을 두고 경제성장률과 재정수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 경제적 성과에는 정부 규모보다 역량이 훨씬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규모에 상관없이 정부 역량이 높은 정부는 역량이 낮은 정부보다 경제성장률도 높고 재정수지도 건전했다. 정부 역량을 통제한 경우를 보면 경제성장률은 작은 정부가 약간 높고 재정수지는 큰 정부가 다소 건전한 경향이 있지만 큰 차이는 아니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향후 한국이 경제성장과 재정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복지지출, 혹은 정부지출을 늘리려면 정부 역량을 높여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classified 22 OECD developed countries with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and compared government economic outcomes of each type. The criteria for typology are the size and the capacity of government. We classified 22 countries into four types: big competent government, small competent government, big incompetent government, and small incompetent government. Measurement indicators are the general government expenditure for government size, the World Bank’s Worldwide Governance Indicators(WGI) for government capacity, the economic growth rate and budget balance for economic outcomes. The results presented that the government capacity is more important than the government size on the economic outcomes. Regardless of the government size, the government with high capacity showed a higher economic growth and a relatively sound fiscal balance than the government with lower capacity. Based on the results, we argue that if Korean government wants to increase the welfare expenditure without negative effects on economic outcomes, Korean government should enhance the government capacity.

      • KCI등재

        Comparing the Arrangements of Govern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OECD Countries: Coupled or Decoupled?

        ( Taewook Huh )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9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4 No.1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o what extent govern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D) empirically appear compatible in the thirtyfive OECD countries through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and identify which ideal types appear coupled or decoupled, and then reveal which countries belong to the coupled types or to the decoupled types. In short, twenty-two countries (including Sweden (fuzzy score, 0.953), Denmark (0.920), Finland (0.914), Norway (0.911) in Type 1 (G*S, ‘strong G-S coupled countries’); and Turkey (0.906), Greece (0.833), Mexico (0.828) in Type 4 (g*s, ‘lite g-s coupled countries’) are in line with the accepted conventions regarding the compatible relationship between governance and SD. On the other hand, the rest of thirteen countries (including USA (fuzzy score, 0.815), Luxembourg (0.721), Australia (0.660) in Type 2 (G*s, ‘G-s decoupled countries’); and Slovenia (0.728), France (0.644), Czech Rep. (0.625) in Type 3 (g*S, ‘g-S decoupled countries’) may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of governance and SD is in fact experiencing tensions in the national contexts. These findings are characterized by the substance (of SD) and procedure (of governance) divide. Considering the results,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a of reflexivity or reflexive capacity.

      • KCI등재

        Comparing the Arrangements of Govern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OECD Countries: Coupled or Decoupled?

        허태욱 서울대학교행정대학원 2019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34 No.1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o what extent governanc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D) empirically appear compatible in the thirtyfive OECD countries through the fuzzy-set ideal type analysis, and identify which ideal types appear coupled or decoupled, and then reveal which countries belong to the coupled types or to the decoupled types. In short, twenty-two countries (including Sweden (fuzzy score, 0.953), Denmark (0.920), Finland (0.914), Norway (0.911) in Type 1 (G*S, ‘strong G-S coupled countries’); and Turkey (0.906), Greece (0.833), Mexico (0.828) in Type 4 (g*s, ‘lite g-s coupled countries’) are in line with the accepted conventions regarding the compatible relationship between governance and SD. On the other hand, the rest of thirteen countries (including USA (fuzzy score, 0.815), Luxembourg (0.721), Australia (0.660) in Type 2 (G*s, ‘G-s decoupled countries’); and Slovenia (0.728), France (0.644), Czech Rep. (0.625) in Type 3 (g*S, ‘g-S decoupled countries’) may indicate that the relationship of governance and SD is in fact experiencing tensions in the national contexts. These findings are characterized by the substance (of SD) and procedure (of governance) divide. Considering the results, this study focuses on the idea of reflexivity or reflexive capacity.

      • KCI등재

        A Qualitative Study of Policy Adoption in Korean Local Governments

        Eunmi Lee(李殷美) 한국정책과학학회 2015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9 No.2

        본 연구는 질적비교분석(QCA: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을 이용하여 지방정부의 정책채택 요인을 검정하였다. 정책채택에 관한 내적·외적 요인을 모두 고려한 통합모형을 중심으로 정책결정요인의 질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정책채택의 사례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분석한 결과, 2003년부터 2012년 사이, 조례를 채택한 129개 지방자치단체의 특성은 인구가 많은 도시지역이거나, 재정력이 높은 지역이 조례를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변수인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성향은 조례채택 당시 집권여당 여부와 지방의회의 높은 집권여당 비율이 결합조건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방정부에서 주로 재정을 기반으로 한 보수정권일 경우 해당 조례를 채택하는 양상을 보였다. 정책채택을 유형화해 본 결과, 자전거 정책을 채택한 지자체의 경우, 재정기반·보수·선도형, 비보수·선도형, 보수·지체형 또는 보수·선도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는 지방정부의 정치적 성향이 정책채택에 주요 결합요인인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한국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정책채택요인과 채택유형을 질적 비교분석(QCA)함으로써 분석결과는 지방정부간 특이성을 비교 가능하게 한다. 이는 정책결정자들의 합리적 정책결정과 채택에 있어서 정책의 특성과 지역별 특이성에 대한 고려가 수반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olicy adoption behavior of Korean local governments using the Ordinance for Revitalization of Bicycle Usage as an example. More specifically, the paper i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 What are the causal conditions of policy adoption in Korean local governments? Using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QCA), the configurations of policy determinants could be found out. For the analysis, pooled time series data are generated by updating and combining the existent data sets between 2003 and 2012. Based on the data set, this study employs both fuzzy set and fuzzy set ideal type analysis in QCA to compare complex causal conditions and categorize the types of policy characteristics. The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causal combinations of the policy adoption are as follows: the policy adoption is affected by political factors and categorized with mainly conservative type. The results show the various configurative explanations for policy adoption by systematic comparisons in Korean local govern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