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지역균형발전과 지방분권에 대한 공법적 고찰

        류성진 한국공법학회 2022 공법연구 Vol.51 No.1

        In Korea, more than 50% of the total population is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hich is only about 11% of the total land area, and indicators in various economic fields such as the number of large companies and gross domestic product are concentrated more than 90%. On the other hand, non-metropolitan areas, so-called provinces, are in danger of extinction due to continuous population outflow and worsening economic environment. These extreme imbalances in population, economy, society, and culture can lead to social division or conflict and never help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entire country. Therefore, the Constitution imposes a task on the state to develop the country in a balanced manner and pursue social integration in order to grow the national economy and create a living base. However, despite the continued implementation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the super-centrification of one pol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not been controlled. This is becaus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focused on distributed policies such as the relo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centered on the central government rather than reflecting the needs or circumstances of the region. Therefore, balanced development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converted to balanced development led by local government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normative basi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and change the perception that it is not the constitutional order only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other words, since different policies should be implemented for each reg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in a decentralized manner rather than centrally, and it means that local governments should now have a system with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olicy initiatives. At the same time,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play a role in distributing resources for balanced development fairly and objectively and transparently by region, which is tantamount to fulfilling the constitutional obligation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o this end, the strengthening of the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or the approach to decentralization should also be slightly changed. As in the previous discussion, although it may be conceptually distinguished, the relationship betwee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decentralization, which can be said to be the same, should be re-established. Here, decentraliz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securing essential means to guarantee basic human rights in life through balanced development, not decentralization for the completion of local autonomy. In particular, balanced local-led development requires a fundamental structural change in authority and finance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the responsibility is also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s. This not only expands the authority of local governments, but also strengthens the responsibility for the resulting differences and failures after the exercise of authority, and on the contrary, it transfers the authority of the central government, but it can be seen as easing or dispersing the responsibility and burden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local crisis is not just a local problem, but a task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ocial integration of the entire country. Therefore, in order to fulfill the constitutional obligation of balanced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efficient national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shift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a method led by local governments and boldly strengthen decentralization to support it. 우리나라는 국토면적의 약 11%에 불과한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에 전체 인구의 50% 이상이 몰려 있고, 대기업 수, 지역 내 총생산 등 각종 경제분야의 지표는 90% 이상 집중되어 있다. 반면에 비수도권 지역, 이른바 지방은 계속되는 인구유출과 경제환경의 악화 등으로 소멸의 위기에 처해 있다. 이러한 인구, 경제, 사회, 문화의 극심한 불균형은 사회분열이나 갈등으로 전이될 수 있으며 국가 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에도 결코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 헌법은 균형 있는 국민경제의 성장 및 생활기반의 조성을 위해 국토를 균형있게 발전시키고 사회통합을 추구하도록 하는 임무를 국가에 부여하고 있다. 그런데 그동안 ‘국토균형발전’ 또는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계속 시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수도권 일극의 초집중화는 제어되지 못 했다. 이는 지역균형발전이 정작 지역의 요구나 상황을 반영하기 보다는 중앙정부 중심으로 공공기관 이전 같은 나눠먹기식의 분산정책 위주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앙정부 주도의 균형발전을 지방정부 주도의 균형발전으로 전환해야 한다. 우선 우리 헌법상의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규범적 근거를 확인하고,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것만이 헌법의 명령이 아니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즉 지역별로 다른 정책이 시행되어야 하므로 균형발전을 중앙집권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분권적 방식을 통해 지역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이며 이제 지방정부가 지역균형발전의 정책이니셔티브를 가지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의미이다. 동시에 중앙정부는 균형발전을 위한 재원을 지역별로 공정하게, 그리고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배분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이는 지역균형발전이라는 헌법적 의무를 수행하는 것과 다름없다. 이를 위해서는 지방정부의 권한 강화나 지방분권에 대한 접근도 조금 달라져야 할 것이다. 기존 논의처럼 비록 개념적으로는 분별될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궁극적 목표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 지역균형발전과 지방분권의 관계를 다시 설정해야 한다. 여기서는 지방자치의 완성을 위한 분권이 아니라 균형발전을 통한 삶의 기본적 인권 보장을 위해 필수적 수단의 확보로서 분권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지방주도형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의 권한과 재정의 근본적인 구조 전환이 필요하며, 그 책임도 지방정부로 이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지방정부의 권한 확대뿐 아니라 권한행사 이후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차이나 실패에 대한 책임성을 강화하는 것이기도 하고 반대로 이야기하면, 중앙정부의 권한을 이양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중앙정부의 책임과 부담의 완화 또는 분산으로 볼 수도 있다. 지방의 위기는 단지 지방의 문제만이 아니라 국가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사회통합을 위한 과제이다. 따라서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과 국토의 효율적인 운영이라는 헌법적 의무를 수행하려면, 지역균형발전을 중앙정부에서 이제는 지방정부가 주도하는 방식으로 전환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지방분권의 강화를 과감하게 진행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국토의 균형개발에 있어 조례의 역할

        임현(Im Hyun) 한국행정법학회 2018 행정법학 Vol.15 No.1

        지방자치의 관점에서 국토의 균형개발에 대한 논의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국토의 균형 개발을 중앙정부가 주도적으로 중앙의 개입과 조정력을 강화하여 추진하는 경우 지방의 자율성과 자치권을 제한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지방자치단체가 중앙정부의 균형발전정책과 입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의 지역의 균형발전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지방의 자치법규인 조례에 근거한 균형발전의 추진은 중요성을 갖는다. 이 논문에서는 국토의 균형개발과 관련하여 가장 일반적인 적용범위를 갖는 지역균형발전 지원에 관한 조례 를 중심으로 국토균형개발에 있어 조례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는 국토균형개발에 관한 조례의 현황과 쟁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 개선방안 및 조례의 역할을 제시하였는데, 먼저 국토균형개발에 관한 정책과 입법 및 그 집행에 있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연계를 강조하였다. 또한 지역균형발전조례의 명확성과 지역균형발전사업 추진의 투명성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더불어 지역균형발전사업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방안과 기초지방자치단체 및 주민 참여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In terms of local autonomy, the discussion of balanced development of national territory has important implications.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could limit local autonomy if the central government takes the initiative in promoting central intervention and coordin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local governm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balanced development policies and legisla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ir regions. In this respect, it is important to push ahead with balanced development based on local legislation, local ordinance. The paper examined the role of the ordinance i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focusing on ordinances on support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 which has the most common coverage related to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More specifically, the roles of measures and ordinances were present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ordinances on support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First, this paper stressed the importance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policies on balanced development, and links to legislation and enforcement of them. It also insisted on the clarity of ordinances on support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the transparency of the promotion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In addition, the this pap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measures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projects and the participation process of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 KCI등재

        요인분석을 활용한 서울시 자치구/행정동의 지역균형지수 개발

        김동근 ( Dong-geun Kim ),박귀원 ( Kwiwon Park ),하소미 ( Somi Ha ),김도현 ( Dohyun Kim ) 한국품질경영학회 2021 품질경영학회지 Vol.49 No.3

        Purpose: Regional gaps and conflicts between regions due to Korea's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ization have become important issues, and the issue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t regional level has been discussed as the size of the region has increased recently. Although evaluation of regional balance was attempted through various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es, it is inappropriate as a standard for determining regional balance in Seou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objective evaluation methodologies and evaluation indicators for balanced 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Seoul, not existing city and national units. Methods: We looked at existing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es, and suggested a new regional balanced index reflecting regional development, backwardnes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Seoul using factor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th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 for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administrative dongs consists of two factors (regional revitalization, financial power) and three factors (commercial density, social security demand, regional retardness), respectively. Then the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 scores for 116 administrative districts and 423 administrative dongs are calculated by multiplying each factor by a weight obtained through experts’survey. Conclusion: The proposed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index can be used as an objective and quantitative basis for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within a city. Further research may include continuously adding new indicators that reflect the direction and scale of development.

      • KCI등재

        지역의 위기와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전환

        강남호 대한경영정보학회 2023 경영과 정보연구 Vol.42 No.2

        This study aims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for the effectiv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y that can overcome local crisis and achiev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the cases of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olicy of Roh Moo-hyun administration and Moon Jae-in administration (2005-2019) and then suggests policy directions for effectiv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The ways to improve them as follows. First, it proposes to should be strengthened the role and function of local era committees. Second, reformed special account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Third, reformed systems of regional innovation, Fourth, establish a youth-friendly innovation complex on small and medium-sized city. Fifth, responded preemptively to the extinction crisis of region and lastly reformed decentralization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This study describes a research method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the special accounts for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from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to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focusing on GRDP and population, which are key performance indicators of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Therefore, future research has the task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udget input and specific performance indicators of each government's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with a statistical model. 본 연구는 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는 효과적인 국가균형발전정책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2005-2019) 간의 국가균형발전정책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효과적인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개선하는 정책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시대위원회의 역할과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를 개편해야 한다. 셋째, 지역혁신체제를 개편해야 한다. 넷째, 중소도시에 청년친화형 혁신단지를 조성한다. 다섯째, 지역의 소멸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마지막으로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지방분권을 개혁해야 한다. 본 연구는 노무현 정부에서 문재인 정부에 이르는 국가균형발전 특별회계가 국가균형발전의 핵심성과 지표인 GRDP와 인구에 초점을 맞추어 국가균형발전에 기여한 바를 평가하는 연구방식을 택하고 있다. 따라서차후 연구에서는 각 정부의 각각의 국가균형발전 사업들의 예산투입과 구체적인 성과지표와의 관계를 통계적 모형으로 분석할 과제를 안고 있다.

      • KCI등재

        국가균형발전계획 수립절차의 실무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시·도발전계획을 중심으로

        김성록,김지석 한양법학회 2022 漢陽法學 Vol.33 No.4

        Governments in the past have been putting in efforts to resolve the issue of imbalance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as well as cities and rural areas by pursuing diverse policies for diverse balanced developments, such as enacting 「Special Act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and etc. However, centralization of metropolitan areas, and rural areas falling behind in comparison continued, which made it difficult to maintain the nation’s sustainable growth without achieving the policy objective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s.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projected medium and long term visions and goals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s onto the formulation of city/do development plans, and furthermore sought practical improvement measures in regard to the participation of local governments that possess autonomous rights in districts under jurisdiction. First, systematic procedures of collecting feedbacks from city/do must be established in regard to the guidelines, deliberations and voting that are required when formulating city/do development plans. Second, city/do/gu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systematically participate in the planning stages of the balanced development. Third, the effect of balanced development policy should be heightened by enacting ordinances that are related to the Special Act On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In case of developing plans for certain regions, there might be consistency issues in regard to other adjacent and higher plans that are based on other legislations. Therefore, the planning supremacy of metropolitan and local governments that have jurisdictions over corresponding regions should ultimately be strengthened. 그동안 역대 정부는 「국가균형발전 특별법」 제정 등 다양한 균형발전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 도시와 농촌지역 간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러나 수도권 집중화 현상과 지방의 상대적 낙후가 지속되면서 지역균형발전이라는 정책적 목표의 달성 없이는, 우리나라의 지속적 성장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배경하에 이 연구는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중장기적 비전과 목표를 시·도발전계획에 투영시키고, 나아가 관할 구역 내 자치권을 가진 기초자치단체의 참여방안에 관한 실무적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시·도 발전계획 수립 시 요구되는 지침, 심의, 의결 등에 있어서 시·도의 의견을 수렴하는 제도적 절차가 필요하다. 둘째, 균형발전에 관한 계획수립 절차에서 시·군·구 참여 기회를 제도적으로 보장해야 한다. 셋째, 「국가균형발전 특별법」과 연계된 시·도 조례 제정을 통해 균형발전 정책 효과를 높일 수 있어야 한다. 지역을 대상으로 수립되는 계획의 경우 다른 법령에 의해 수립되는 인접계획 및 다양한 상위계획과의 정합성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므로, 궁극적으로는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광역 및 기초지차단체의 계획고권을 강화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가균형발전정책의 변화를 위한 소고

        김우석 ( Kim¸ Woo Seok ),김형진 ( Kim¸ Hyeong Jin ) 한국거버넌스학회 2020 한국거버넌스학회보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의거하여 추진되고 있는 국가균형발전사업과 그 재원인 국가 균형발전특별회계를 면밀히 살펴보고, 국가균형발전사업의 계획·실행·평가·환류에도 불구하고 더욱 심화되고 있는 경제와 인구의 지역간 불균형에 대한 상세한 소고를 통해 대규모 국가균형발전사업의 필요성과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의 경제와 인구의 불균형이 나날이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규모 국가균형발전사업이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재정분권을 통해 국가균형발전특별회계의 상당 부분이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이양되는 만큼 국가균형발전프로젝트는 단순히 지역별 적정예산 안분으로 끝나서는 안되며, 국가적 차원에서 지역의 경제와 인구를 고려하여 보다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균형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대규모 국가균형발전사업의 추진방향 재정립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large-scal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rojects. To do this, look closely at th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roject, which is being promoted under th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Special Act, and the special account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Then make detailed comments on the imbalance between regions of the economy and the population that is getting worse despite the planning, implementation, assessment, and feedback of th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roject. As the economic and population imbalance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metropolitan area is increasing day by day, a large-scal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roject is needed to solve this. The current large-scale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project should not simply end with an appropriate budget division for each region, as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special account for national balanced development is transferred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local government through fiscal decentralization. In order to achieve balanced development in a true sense from a longer-term and macroscopic perspective at the national level, considering the regional economy and population,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direction of large-scale national balanced project.

      • KCI등재

        18대 국회 지역균형발전 관련 입법실태 분석을 통한 바람직한 입법 방향에 관한 연구

        김종업(金鍾業),김태훈(金泰勳),신원부(辛源富) 한국지방자치학회 2012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24 No.3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means supporting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all regions in their efforts to achieve their full potential. The development of every area in a country is desirable. The development of area leads to the prosperity of the people and proper use of material resources. Wide regional disparities existed between capital and non-capital areas. This study explored the legislative situation in relations to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during the terms of 18th National Assembly. The study found indisputable evidence. Roh"s government and the 17th National Assembly, after 2004, have been tried to solve a severe disproportion between regions. However. the results of Roh" government fall short of their expectations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contrast, the attitude of Lee"s government has been an interest and the 18th National Assembly also was very passive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s compared with Roh"s government and the 17th National Assembly. This study analyzed whole laws of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which included revision and legislative laws as an empirical research.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the legislative situation of the 18th National Assembly for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s the desirable legislative orientation for th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19th National Assembly.

      • KCI등재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관계 법령 개정 방향

        김수연 한국비교공법학회 2022 공법학연구 Vol.23 No.3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s the value explicitly oriented in our Constitution and the direction of national development. The Constitution stipulate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s a mandatory provision of the sta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s a task for survival that cannot be postponed any longer from the standpoint of local governments. This paper reviews the policy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so far and systematically proposes the enactment and amendment of laws and regulations. In this paper,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policies, which were typically promoted based on individual laws, were reviewed. ① Regional special zone system, ② Promotion of local relo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by establishing an innovative city, ③ Breaking away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etropolitan area through establishment of a special local government, ④ Supporting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operation of special accounting. The criteria for critical review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should be policies that strengthen regional autonomy, expand opportunities in the region, and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earch for balanced development based on regional autonomy”, the direction of recognizing the leading role of local governments, the support role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mutual partnerships, and the direction of establishing a mutual partnership with the central government Institutional devices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y can be invested in local governments. Specifically, the 「Regional Special Zone Act」 should be amended in a way to strengthen local participation, the 「Special Act on Balanced Development」 should be amended in such a way that various local governments can apply the comprehensive subsidy and the planning contract. and the 「Local Autonomy Act」 should be amended to reduce the Minister's intervention in special local governments and to make it possible to transfer state affairs to special local governments. 지역균형발전은 우리 헌법에서 명시적으로 지향하고 있는 가치이자, 국가의 발전 방향이다. 헌법은 지역균형발전을 국가의 의무조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지방의 입장에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생존을 위한 과제가 되었다. 지금까지의 정책과 전략을 다시 한번 점검하고, 체계적으로 법령 제‧개정 사항들을 정리하여 입법적 조치를 추진하여야 한다. 지역균형발전 정책에는 많은 정책들이 광범위하게 포함되겠지만, 이 논문에서는 개별 법률에 근거를 두고 대표적으로 추진되었던 ①지역특구제도, ②혁신도시를 설치하여 공공기관 지방이전 추진, ③특별지방자치단체의 설치를 통한 수도권 중심축에서의 탈피, ④균특회계 운용을 통한 지역균형발전 지원의 내용과 각 정책의 한계를 검토하였다. 비판적 검토의 기준과 개선의 방향은 지역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지역에 기회를 보다 확대하며, 지역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정책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정책적 비판점을 바탕으로 “지역의 자율성을 바탕으로 한 균형발전의 모색”을 기준으로 지방의 주도적 역할을 인정하는 방향, 중앙정부의 지원 역할과 상호 간의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는 방향, 중앙정부의 재정과 권한을 과감히 지방에 투입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지역특구법」은 지방의 참여가 강화되는 방안으로, 「균형발전특별법」에서는 복수의 지방자치단체가 포괄보조금의 적용, 계획계약의 적용을 받을 수 있는 방향, 「지방자치법」에서는 특별지방자치단체의 확대․활성화를 위해 행정안전부장관의 개입을 축소하고 국가사무의 이양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의 개정이 필요하다.

      • KCI등재

        참여정부 국가균형발전정책 성과 분석

        김형빈 한국행정학회 2008 韓國行政學報 Vol.42 No.3

        참여정부 국가균형발전정책의 핵심은 지방분권, 국가균형발전, 신행정수도 건설 등의 종합적 접근으로 인한 지방화 추진이고 다른 하나는 자립형 지방화를 위한 지역혁신체계를 구축하여 지방경제를 혁신주도 경제로 전환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참여정부 국가균형발전정책들이 목표했던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역균형발전에 가시적인 성과가 달성되었는지를 분석하였는데, 연구결과는 참여정부가 국정의 주요 과제로 선정하여 국가균형발전정책이 추구하였던 수도권완화와 지방의 균형적 발전이라는 목표는 총량적 측면에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지역내 총생산, 1인당 GRDP, 실업자 감소율, 수출액 및 건축허가면적, 제조업분야의 부가가치 성장효과 등은 부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지방균형발전 정책 수립시에는 첫째, 국토의 균형된 모습에 대한 명확한 목표 정립, 둘째, 지역적 특성과 장점을 지역 스스로 찾아서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지방 주도 거버넌스 구축, 셋째, 중앙의 권한 이양과 더불어 지방 스스로 경제 활성화 전략 수립 및 집행의 필요 등을 고려, 넷째,기존 국가균형발전정책과의 연계성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visible effects or results from the goals of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in the decentralization of the Metropolitan area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alysis shows that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policy of participatory government has failed to achieve policy goals. Several suggestion are made for policy-making and policy-implementation related to the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First, a definite, concrete conception concerning ‘balanced’ national development must be represented. Second, the region-driven governance, which pursues a region-specific development strategy that can revitalize the regional economy must be established. Third, some points (e.g. power diffus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 strategy building for economic revitalization and the implementation at the regional level) must be considered.

      • 지역순환형 자립발전전략

        이성근 ( Seong Keun Lee ),나중규 ( Jung Gyu Na ),최영은 ( Young Eun Choi ),임규채 ( Gyu Chae Im ),최용준 ( Yong Jun Choi ),이정미 ( Jungmi Lee ),홍근석 ( Geun Seok Hong ) 영남대학교 한국균형발전연구소(구 영남대학교 영남지역발전연구소) 2013 한국균형발전연구 Vol.4 No.1

        최근 우리나라의 지역개발이나 정책에 있어 과거의 중앙정부 중심, 물적 성장 중심의 개발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자립적 역량강화, 지역 간 연계협력, 융합화 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자치제가 실시되었으나 지방의 자치기반이 취약하여 지역간 불균형 발전이 심화되는 가운데, 박근혜정부의 출범과 함께 최근 국내외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지역발전의 패러다임에 직면하여 지방분권과 균형발전에 토대를 둔 지역 주도의 자립적 지역발전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시대적 요구와 필요성을 절감하고, 지역적 차원에서 창조경제에 기반한 새로운 지역발전 패러다임으로서 국민대통합과 지역균형발전을 지향하는 「지역순환형 자립발전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국내외 패러다임의 변화를 체계적 이론적 틀로써 통합하고 실질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것으로 지역을 중심으로 사람을 키우고, 청년을 살게 하고, 사람이 모이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전략으로서 선순환 전략과 자립전략을 제시하였다. 첫째, 지역순환형 자립발전의 토대가 되는 자립전략으로서 지역발전의 가치와 목적을 ‘지역역량강화(Competency)’. ‘연계협력(Cooperation)’, ‘융합(Convergence)’의 3C전략을 제시하였다. 둘째, 지역순환형 자립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선순환 진흥전략으로서 지역교육 진흥, 지역산업진흥, 지역문화예술진흥, 지역복지진흥, 지역창조와 재생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전략은 우수 인재양성을 통한 지역교육 진흥(振興)이다 교육부문 진흥을 통해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에 공급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다. 둘째,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지역산업진흥(振興) 이다, 즉 산업부문 진흥을 통해 청년일자리 창출 및 역동적 지역창출에 기여하는 것이다. 셋째, 지역문화와 예술 기반 구축 및 역량 강화를 통해 지방문화예술을 진흥해 나가야 한다. 넷째, 지역복지역랑 강화를 위한 지역복지 진흥(振興) 이다. 지역복지 진흥을 통해 지역 복지 예산 및 인프라 구축 등을 통해 서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복지역량을 강화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역창조와 재생을 통해 관련 인프라를 확충하여 국토의 고른 공간 창출을 진흥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Despite local government efforts for regional change, the local self-government based development is vulnerable to deepening disparities between regions. While confronting the paradigm of the latest changes in national and international development of the region that Park Geun-hye government f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concrete plans for achieving self-sustaining regional development based on decentralization and balanced development. To this end, with the demands and needs of the times, “The Self-Supporting Development Model of the Regional Circulation” is proposed which professes national unification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s a new regional development paradigm which is based on the creative economy utilizing the local dimension. Ultimately, this is for integrating a domestic and foreign paradigm shift as a systematic theoretical framework and practically applying that in the field. It intends to accomplish this by educating people in the area, making them live in the area, and gathering people into the area. In order to achieve it, we proposed a virtuous and self-supporting development model. Firstly, for tile self-supporting development of the regional circulation, the 3C strategy-Competency, Cooperation, Convergence, Convergence-is proposed. Secondly, in order to achieve self-supporting development as a strategy for promoting regional circulation, we proposed promotion of regional education,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local cultural arts, and community welfare for the creation and regeneration of the region. The first strategy is through promotion of local education by fostering talented people in the regional area. Secondly, by creating jobs for local industrial development and contributing to the creation of a dynamic region. Thirdly, by empowering the local culture and building up the cultural grounds, through promotion of local art and culture. Fourthly, local social welfare should be promoted through community welfare budgets and appropriate infrastructure in order to strengthen the regional social welfare power. As a result, people will benefit through welfare empowerment. Lastly, enhancing the infrastructure through the creation and expansion in the reproduction of the region. As a result of the effort in making a well-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t is expected a well-balanced space development for the whole coun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