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학습 내용의 적정성 분석 -초등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한제준,권유지,오현석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3 현장과학교육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dequacy of content elements and systems in the earth and universe domain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wo main stages suchas comparative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In the comparative analysis stage,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the literature review, the adequacy of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was analyzed. We established three analytical perspectives such as selection, organization and the quantity and level of educational content by considering NGSS, KSES, TIMSS, and learning progressions. This research showed three results in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as follows. First, we figured out learning contents were relocated, reduced, newly introduced, merged and transformed as compared to the 2015 edition. Second, the learning contents were reorganized. Third, the new section titled ‘Earth and Sea’ was introduced reflecting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educ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guidelines of 2022 revis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ncorporate feedback from teachers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지구와 우주 영역의 내용 요소와 체계의 적정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는 크게 비교 분석 단계와 문헌 연구 단계로 진행되었다. 비교 분석 단계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문헌 연구 단계에서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학습 내용 선정과 조직의 적정성을 분석하였다. 교육내용의 선정, 교육내용의 조직, 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이라는 세 가지 분석 관점을 설정하였으며, NGSS, KSES, TIMSS, 학습발달과정 등을 고려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학습 내용이 이동, 축소, 신설, 병합, 변형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학습 내용이 재조직되었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의거 생태전환교육이 반영되어, ‘지구와 바다’ 단원이 신설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주요 내용 및 교과서 개발 방향

        윤지훈 한국한문교육학회 2023 한문교육논집 Vol.60 No.-

        This study attempted to roughly examine the direction and main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in mind at the outline level. First, the direction and focus of the revis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examined,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revis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cluding the "overview of the curriculum design." Personality' introduc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presents the necessity, role, or essence and significance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so that everyone who encounters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can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objective" was stated as the direc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the point of arrival for students to achieve, but it was intended to present feasible objective in the school field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the school field and the level of learners' Classical Chineses and Classical Chinese learning. The "content system" was designed to foster the ability to solve various and complex problems in life by integrating the subject's knowledge, functions, values, and attitudes. The "area" was set in two areas: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s" and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s." In the case of high school "reading Chinese classics" and "language life and Chinese characters" a separate area was not se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ubjects. The categories of the content system consisted of content elements and concepts and principles that must be known in the learning of the subject, the process and function of acquir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the values and attitudes that can be cultivated through the learning of the subject. The development method and statement method of "achievement standard" were also examined, and "achievement standard commentary" was developed only when misunderstanding or confusion may occur in the school field, or additional explanation or emphasis is required.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as exa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atus of textbooks in public education in Korea, that is, they serve as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본 연구는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주요 내용, 그리고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 염두에 둔 교과서 개발 방향 등을 개요 수준에서 대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개정 방향과 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관련 선행 연구 등의 분석을 통해 설정한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및 중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를 비롯하여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았는데, ‘성격’은 한문과가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한문 교육의 필요성 및 역할 혹은 본질과 의의 등을 제시함으로써 한문과 교육과정을 접하는 모든 사람이 한문과가 지닌 본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목표’는 한문과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학생이 달성해야 할 학습의 도달점으로 진술하되, 학교 현장의 요구와 학습자의 한자 및 한문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제시하고자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변화가 가장 큰 부분인 ‘내용 체계’는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교과의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등을 통합적으로 적용하게 하여 삶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내용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영역’은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일반 선택 과목 ‘한문’의 경우 ‘한자와 어휘’, ‘문장’ 2가지를 영역으로 설정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편제되는 고등학교 ‘한문 고전 읽기’와 ‘언어생활과 한자’의 경우는 개별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하여 별도의 영역을 설정하지 않았다. 내용 체계의 범주는 해당 교과목 학습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 요소 및 개념과 원리, 지식․이해를 습득하는 과정과 기능, 해당 교과목 학습을 통해 기를 수 있는 가치와 태도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성취기준’의 개발 방식 및 진술 방식을 살펴보았으며, ‘성취기준 해설’의 경우 성취기준 가운데 학교 현장에서 오해 및 혼동 등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거나 추가적인 설명이나 강조가 필요한 경우에 한해 개발하고,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은 영역 또는 해당 과목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별히 강조하거나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교수․학습 및 평가의 주안점을 기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과 ‘평가’ 개발 방식과 함께 교과서가 우리나라 공교육에서 갖는 위상, 즉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수업의 매개체이자 중요한 교수․학습 자료의 기능을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방향을 살펴보았다.

      • 국가 수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변천 연구

        조영남 ( Cho Young-nam ) 대경교육학회 2023 교육학논총 Vol.44 No.0

        이 연구는 국가 수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이 1차부터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약 70년 동안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특별활동과 재량활동을 통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때 신설되어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이어지고 있다. 특별활동은 1차 교육과정 때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까지 50년 넘게 편제되었다. 특별활동의 목표는 2차 교육과정 때 처음 제시되었고, 4차 교육과정 때 총괄목표와 하위목표 체계가 정립되었다. 6차 교육과정 때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의 5대 체제가 정립되어 일부 용어 변경과 체제 통합을 거쳐 2022 개정 교육과정까지 이어지고 있다. 시간 배당 기준도 다소 변동이 있었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 때 가장 많은 시간이 배정되었다. 안전한 생활 시수가 창의적 체험활동에 배당되었기 때문이다. 내용 체계는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로 가장 많은 변화를 겪었다. 2009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자율활동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자율·자치활동으로 변경되었다. 개념상 자율과 자치를 굳이 병립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다. 7차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25년간 대영역에 편성되었던 봉사활동이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동아리활동의 하위영역으로 편성되어 봉사활동의 위상이 약화될 우려가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평가가 하나의 체제로 독립되지 않고 설계 및 운영의 하위 체제에 배치되어 평가의 역할이 위축될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이 타당하고 합리적인 근거 없이 정부의 교육정책에 따라 임시방편적으로 개정된 측면이 없지 않다. 향후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 개정 시 시대정신과 학계 및 일선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를 체계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in the national curriculum. Extra-curricular activity was introduced in the 1<sup>st</sup>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07 curriculum.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was newly introduced in the 2009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22 curriculum. In the 6<sup>th</sup> curriculum, the system composed of characteristic, objective,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was established. In the 2015 curriculum, 6 core competences including creative thinking competence were introduced. In the 2022 curriculum, only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the 6 core competences was changed into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etence. The system of general objective and sub-objectives was established in the 4th curriculum and continued to the 2022 curriculum. The system of content has undergone the most changes. In the 2022 curriculum, the system of content was composed of autonomous·self-government activity, club activity, career activity. The merging of autonomous activity with self-government activity cannot be considered valid and rational. Service activity which was a large domain in the 2015 curriculum was placed in the sub-domain of club activity in the 2022 curriculum. So, the importance of the service activity will be weakened in school. It is recommended that the desirable human character, core competence, general objective and sub-objectives,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 are integrated more systematically. There is also a need for considering the spirit of the time as well as the voices of the academia and the educational field in the future revisions of the curriculum.

      • KCI등재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 역사 교과 고유성과 역사 탐구

        백은진(Eunjin Baek) 한국역사교육학회 2023 역사교육연구 Vol.- No.46

        본 연구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각론 체제와 역사과 교육과정의 체계를 돌아보며 향후 역사과 내에서 대안들을 내놓으려 애써야 할 쟁점들은 무엇인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이라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 속에서 체계적으로, 즉 낱낱의 부분이 일정한 원리에 따라 짜임새 있게 조직되어 있는가? 둘째,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은 최근 20여 년간 ‘역사교육학의 역사’, 특히 역사과 내 여러 논의와 연구 결과들에 비춰 타당하게 구성되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함양 교육과정을 표방하면서 역량의 총체성(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범주)을 강조하였다. 각 교과(목)의 내용 체계는 역량의 범주에 따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범주로 나누었다. 이때 ‘과정・기능’은 ‘교과 고유의 사고 및 탐구 과정 또는 기능’으로 정의하여 각 교과가 교과 고유성이나 탐구를 교과 나름의 원리와 방법으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영역’과 ‘핵심 아이디어’의 관계는 각 교과(목)에서 나름의 방식으로 설정할 여지가 있었고, 민주시민 교육이나 환경・지속가능발전 교육(총론 고시 이전의 ‘생태전환 교육’)과 같은 범교과 학습 주제를 각 교과(목) 교육과정에 어느 정도로 반영할지는 각 교과의 몫이었다. 그러나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은 역사 교과 고유성과 역사 탐구의 의미와 이를 가르칠 방법에 대한 체계성과 타당성 측면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역사과’는 ‘역사’를 중심으로 단일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공간이나 세력이라고 보기 힘들다. 오히려 여러 입장과 경향들이 더 나은 선택과 결정을 위해 서로 대안을 제시하고 토론, 설득, 실행하며 이론과 실천 영역 모두에서 검증을 거쳐야 하는 공간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할 듯하다. 그런 점에서 향후 역사 교과 고유성과 역사 탐구를 비롯하여 국가 교육과정의 주요한 쟁점들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역사과 내 소통적 연구가 중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history curriculum. The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First, is the 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organized systematically, that is, according to certain principles,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 system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econd, is the 2022 revised history curriculum appropriately structured in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especially in various discussions and research results within the fields of history educati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mphasized the totality of competencies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skill, and attitude) while claiming to be a competency development curriculum. At this time, 'process/skill' was defined as 'subject-specific thinking and inquiry process or skill' so that each subject could give meaning to subject-specific characteristics or inquiry with subject-specific principles and methods. In addi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ent' and 'key idea', each subject had room for setting in its own way. It is difficult to see the fields of history education as a space or force that can make a single decision centered on ‘history’. Rather, it seems reasonable to view it as a space where various positions and tendencies must go through verification in both theory and practice, suggesting alternatives, discussing, persuading, and practicing each other for better choices and decisions. In this respect, communicative research within the fields of history education is important to provide alternatives to major issu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including the subject-specific characteristic in history and historical inquiry.

      • KCI등재후보

        2022 개정 ‘사회문제 탐구’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특징

        이정우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현장수업연구 Vol.4 No.1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quiry on Social Issues',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issues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quiry on Social Issues'. The characteristics of 'Inquiry on Social Issues' were examined based on my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curriculum revisi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quiry on Social Issues' was newly established as a elective courses for career education in the field of social studies. It is designed to cultivate the ability to select a problem, identify the cause of the problem, and derive a soluti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quiry on Social Issues' was also r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 of revision pursued in the ‘chongron’ while maintaining the purpos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addition, the level of difficulty was lowered by reflecting the review opinions raised during the revision process, and modifications were made to allow a more specific approach to social issues. In other words, while maintaining the existing subject goal of 'cultivating learner-initiated social problem-solving ability based on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social problems', the number of areas and achievement standards was drastically reduced, and they were changed in consideration of the transition to a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changes in the type of elective courses. In addition, the contents were more easily modified tha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method of presenting social problems was adjusted, and as an elective courses for convergence, it was guided to approach social issues in an integrated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curriculum revision, the tasks to make 'Inquiry on Social Issues' well used in the classroom was proposed by dividing it into textbook development and class execution.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의 개발 방향과 특징,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의 개발 방향과 개발 과정에서의 쟁점,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의 특징을 교육과정 개정에 참여한 연구자의 경험 및 최종 결과물로서의 교육과정 문서 분석에 근거하여 살펴본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는 사회과 일반사회 영역의 진로 선택 과목으로 신설되었으며, 사회문제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공동체에서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사회문제를 탐구하고 궁극적으로는 학습자 스스로 사회문제를 선정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도출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사회문제 탐구’ 역시 이러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유지하면서 총론에서 추구하는 개정의 방향을 고려하여 개정되었다. 그리고 개정 과정에서 제기된 검토의견을 반영하여 난도는 낮추고, 사회문제에 대해서도 보다 구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수정이 이루어졌다. 즉, ‘사회문제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학습자 주도적 사회문제 해결 능력 함양’이라는 기존의 과목 목표를 유지하면서 고교 학점제로의 전환과 선택 과목 유형의 변화를 고려하여 영역과 성취기준의 수를 대폭 축소하였다. 그리고 2015 개정 교육과정보다 그 내용을 쉽게 수정하고 사회문제의 제시 방식을 조정하였으며, 융합 선택 과목으로서 사회문제에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안내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 개정의 취지에 맞게 ‘사회문제 탐구’가 학교 현장에서 잘 활용되도록 하기 위한 과제를 교과서 개발, 수업 실행 차원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 영역 성취기준 비교

        강경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3

        이 연구는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해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 영역의 성취기준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성취기준을 지식과 인지과정으로 이원 분석할 수 있는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대상은 2015 개정 『생명과학Ⅰ』과 『생명과학Ⅱ』, 2022 개정 『생명과학』, 『세포와 물질대사』, 『생물의 유전』의 성취기준이다. 모든 분석 대상 교과에서 개념적 지식을 이해하기 형태로 제시한 성취기준이 가장 많았다. 성취기준에 나타난 지식 차원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개념적 지식이 가장 많았고, 메타인지 지식이 가장 적었다. 인지과정 차원에 대한 분석 결과 모든 교과에서 ‘이해하기’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에는 ‘창안하기’가 제시된 점이 긍정적인 변화로 나타났다. 또한 2022 개정 교육과정 『세포와 물질대사』, 『생물의 유전』에서도 ‘평가하기’와 ‘창안하기’의 비중이 다소 높아진 점은 긍정적인 변화로 볼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생명과학 영역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성취기준에 나타난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변화가 더욱 강화되어 반영될 수 있도록 성취기준 설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Life science areas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In this study, Bloom’s revised taxonomy that can analyze achievement standards in two dimensions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was us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2015 revised 『Life Science I』 and 『Life Science II』, the 2022 revised 『Life Science』, 『Cells and Metabolism』, and 『Heredity of Living things』 achievement standards. In all analysis subjects,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form of understanding conceptual knowledge were the most common. When analyzing the knowledge dimension show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detail, conceptual knowledge was the most, and metacognitive knowledge was the lea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understanding' occupied the most weight in all subject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Life Science』, the suggestion of ‘creating’ was a positive change. In addi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ells and Metabolism』 and 『Heredity of Living things』, the fact that the proportion of 'evaluating' and 'creating' has increased somewhat can be seen as a positive chang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design of learning objectives so that the changes in the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shown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can be further strengthened and reflected in the course of developing life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KCI등재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 개발과 주요 특징

        임윤진,최유현,김성일,권석영,함형인 한국기술교육학회 2024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4 No.1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정부의 교육과정 개발과정에 따라 1차, 2차 연구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활용한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 전문가 협의회, 델파이 조사, 정책 협의회 등이다.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는 기술교사 양성기관의 교수, 그리고 현직 기술교사들의 참여가 이전의 교육과정에 비해 두드려진 것이다. 이러한 참여 및 논의의 결과로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의결과가 도출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은 2개의대영역(기술적문제해결과 혁신, 지속가능한 기술과 융합)으로 개발하였다. 둘째, 고등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은 일반선택과목에 기술․가정, 진로선택과목에 로봇과 공학세계, 융합선택과목에 창의 공학설계, 지식 재산 일반으로 구성 및 개발하였다. 셋째, 모든 교육과정은 변화된 내용요소인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로 구분하여 개발하였으며, 내용요소 간의 결합을 통해 성취기준을 개발하였다. 넷째, 고등학교 기술과 교육과정은 공학 분야의 성격을 강화하였고 고교학점제의 취지를 살리고자 하였다. 2022 개정 기술과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주요 특징은 향후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설명 자료이자 향후 교육과정의 모니터링, 차기 교육과정의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2022 revised technology and curriculum. The study was divided into primary and secondary research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curriculum development process.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literature research, expert consultation, Delphi survey, and policy consultation. One of the most important features of the 2022 revised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is that the participation of professors at technology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and current technology teacher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curriculum. As a result of this participation and discussion, the results of the 2022 revised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study were deriv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curriculum was developed into two major areas: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and innovation, and sustainable technology and convergence. Second, the high school technology curriculum was composed and developed with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s general electives, robots and the world of engineering as career electives, and creative engineering design and general intellectual property as convergence electives. Third, all curriculum were developed by dividing them into changed content elements: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skill, value/attitude, and achievement standards were developed through combination of content elements. Fourth, the high school technology curriculum strengthened the nature of the engineering field and attempted to preserve the purpos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development process and main features of the 2022 revised technology subject curriculum can be used as explanatory material for future curriculum implementation, monitoring of future curriculum, and basic data for the next curriculum.

      • KCI등재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교육 쟁점 분석

        강이화 한독교육학회 202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8 No.3

        본 논문은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을 초등교육에 초점을 두고 분석하여 국가 교육과정 개정이 초등 교육 현장에 주는 의미와 향후 개정에서 검토해야 할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검토하고 초등교육과 관련한 쟁점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총론의 차례 구성에서 기존의 II장, III장의 순서를 바꾸는 동시에 장 제목에서 기존의 ‘편성’ 용어 대신 ‘설계’로 수정하는 체제 변화를 주면서 국가 교육과정이 단위 학교가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의 기준이라는 점과 단위학교가 자율성을 발휘하는 교육과정으로 자리매김하고자 하는 성격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교육과정 편성・운영 기준의 세부 내용에서도 역시 ‘설계’ 중심으로 절 제목을 수정하고, 세부 내용에서 학습자에게 적합한, 학생의 필요와 요구를 반영한, 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갖추는 데 중심을 두는 교육과정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내용을 수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변화 가운데서 초등교육 관련 쟁점사항인 미래형 교육과정에 적합한 핵심역량 재구조화 필요, 안전교육 체계화 및 건강・신체활동 강화의 의미 검토, 학교자율시간 및 선택과목 신설을 통한 교육과정 자율화의 의미에 대한 쟁점을 탐색하고 추가 논의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the document system and content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ith a focus on elementary school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To this end, the critical issu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were discuss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hanged the order of Chapters II and III in the overall structure, and made a change by modifying its chapter headings uniformly with the word ‘design’ instead of the existing ‘organization’ term. It shows the nature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at school seeks to establish a curriculum autonomy. In the content of the standards for organizing and implementation the curriculum, the section title was revised to focus on ‘design’, and the content placed emphasis on equipping the student with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at is suitable for the learner and reflects the student's needs and demands. Among the change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e need to restructure the key competencies and Foundational Literacy appropriate for the future Education, the meaning of systemizing ‘safety education’ and strengthening health and physical activities, and the meaning of curriculum autonomy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school autonomous hours’. The issue was explored and the need for further discussion was suggested.

      • KCI등재

        2022 개정 도덕과 [윤리와 사상]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과 주요 내용 - 2차 연구 과정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중심으로 -

        이윤주,박언진,윤영돈,김철호 한국윤리교육학회 2023 윤리교육연구 Vol.- No.67

        2022 개정 도덕과 [윤리와 사상] 교육과정은 진로 선택과목으로서 변화된 위상을 반영하여 과목의 정체성을 더욱 확고히 하는 것을 개정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 총론과 위계성을 유지하면서 첫째, 진로 선택 과목으로서 위상 변화에 대한 대응, 둘째, 윤리 사상사 중심 접근법과 주제 중심 선택 접근법의 조화, 셋째, 변혁적 역량 및 학습자 주도성 구현을 개정 중점으로 설정하고 교육과정 개정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학술적 논의보다는 2차 연구 과정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통해 2022 도덕과 [윤리와 사상] 교육과정 개정의 1차 연구와 2차 연구를 마무리하면서 개정의 방향, 중점, 주요 내용들을 공유하고, 이를 통해 향후 [윤리와 사상] 교육과정 발전을 위한 제언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22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및 사회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사회과교육 내용을 중심으로

        조의호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3 한국초등교육 Vol.34 No.3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22 개정 통합교과 및 사회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사회과 교육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교육과정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분석을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22 개정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 사회과 교육내용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였고,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계성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전체적으로 학교급및 학년군별로 사회과 교육내용의 주안점이 차별화되면서 연계되는 경향이 있었다. 유치원 누리과정에서는 주변 사회 현상에 관한 관심에 초점을 두었고, 통합교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 대상의 확대와활동의 수준이 심화되었으며, 이는 3∼6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도 지속되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둘째, 유치원 누리과정부터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까지 비교적 연계가 잘 갖춰진 교육내용을 찾을 수 있었다. 다만, 영역별로 연계성의 양상과 그 특징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치원 누리과정부터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까지 계열성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일부 학년군에서만 등장하는 경우, 학교급이나 학년군에 걸쳐 생성과 소멸을 반복하는 경우, 교육내용의 범위와 수준이 역행함으로써 교육과정의 계열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있었다. 이와 같은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치원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통합교과 및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사회과 교육내용의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교급 교육과정 구성에 참고할 사회과교육의 주요 내용 요소가 담긴 기준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급 및 교과 간 교육과정의 형식적 체계를 통일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articulation between the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of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and the 2022 revised integrated and social studies curricula. The results suggest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development. F or analysis, parts related to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are extracted from the 2019 revised Nuri and the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a; the study formulates articulation analysis standards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First,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re was a tendency to be linked as the focus of the conten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school level and grade group as a whole. The kindergarten Nuri course highlights the surrounding social phenomena;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the target is expanded, and the level of activities is deepened, which was found to continue in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ird to sixth graders. Second, the study finds a relatively well-connected curriculum from the kindergarten Nuri course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fifth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However, the study observes differences in the aspect of articulation and its characteristics by area. Third, we confirm that the articulation was not secured from the kindergarten Nuri course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the fifth to six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or example, when appearing only in certain grade groups,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are repeated across school levels or grade groups; the scope and level of the curriculum are reversed; and the articulation of the curriculum is insufficiently secu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discussions, we suggest that the articulation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consider the kindergarten Nuri, elementary school integrated, and social studies curricula. First, formulating standards that contain the major content element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is necessary to refer to the composition of each school-level curriculum. Second, unifying and supplementing the formal system of the curriculum at the school level and between subjects are important initia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