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19-20세기 전환기 폴란드 농민 계층에서 나타난 음식 문화의 변화상 연구

        김용덕(Kim, Yong-Deog)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2 동유럽발칸학 Vol.14 No.1

        대외적 역학 관계 속에서 격동기를 보낸 폴란드에 있어, 19-20세기 전환기는 정치, 경제,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 시기였다. 전 부문에 걸쳐 현재 폴란드의 기본 골격이 바로 이 시기에 형성됐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폴란드 농민 계층의 식생활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음식 문화의 전통이 시대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지속되고 변천되었는지를 살피는데 있다. 19세기말까지 폴란드 농민 계층의 음식 문화는 당시 사회를 지배하던 가릭과 고유한 슬라브 전통에서 유래하는 관습으로,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들이 처해있던 경제 상황으로 인해 다른 사회 계급과 비교하면 열악한 상태에 놓여있었다. 이것은 당시 폴란드 농촌의 음식 문화가 자급자족의 원칙 아래 소비를 최소화하고, 그 결과 채식과 조식을 중심으로 하는 식단이 계절성을 띠며 매우 단조로웠던 것에서 기인 한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오면서 폴란드 농민의 음식 문화는 급격한 변화를 맞게 된다. 무엇보다 시장 경제의 지배 아래 구매품의 소비가 증가하고 음식이 제한을 받던 현상이 사라져버리며 중식 중심이라는 도시 스타일이 정착하게 된 것이다. 이런 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으로 농민 계층의 소득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생활수준이 높아지게 됨에 따라 가능해진 결과였다. 이제 폴란드의 농민 계층은 문화적, 사회적인 고립 상태에서 벗어나 새로운 요리를 받아들이는 등 음식에 많은 관심을 쏟으며 미처 깨닫고 있지 못하던 욕구를 충족시키려했다. 19세기까지 귀족, 시민 그리고 농민 계층 간에 존재하던 계급 차별성으로 인해 토속적 특성을 유지하던 폴란드 농민 계층의 음식 문화가, 20세기로 넘어오면서 전국적인 성격을 띠던 도시 모델을 추구하게 된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one aspect of Polish culture at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modern time to the current time. By considering the changes in the food culture among Polish peasants, it will show how the tradition of food customs continued and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historical events.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food culture of Polish peasants was influenced by the Catholics, who were ruling the society at that time and the tradition of Slav. Most of all, due to their economic conditions they were in, peasants were in inferior conditions compared to other social classes. Under the principle of self-sufficiency, they minimized their consumption. As a result, their menu was centered around vegetables and breakfast, and it was seasonal and quite simple. There were also strict rules and tabooed regulations that were imposed on traditional peasants’ food customs. However, in the 20th century, peasants food culture went thorough drastic changes. Under the influence of market economy, the consumption of products was increased and the restrictions on food started to disappear and city style of food culture centered around midday meal started to establish. These changes were possible as the income of peasants and the living conditions were increased. Now Polish peasants have gotten out of cultural and social isolation and started to accept new dishes. They try to satisfy their newly found interest in food. Until the 19th century, class discrimination among the nobility and the populace-peasants affected the tradition of peasant food culture. However, in the 20th century, peasants started to pursue a city model that has a nationwide characteristic of Poland.

      • KCI등재

        조지 포크가 경험한 1884년 조선의 음식문화

        박채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20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5 No.2

        This research is the first known to introduce and analyze food-related content among the records left by George Clayton Foulk (1856-1893), a naval attaché dispatched as part of a U.S. delegation to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Sketches and memos by Foulk provide important clues in understanding the food cultur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types of foods, table composition, and intervals between serving the nine rounds of food from the rural government office, which Foulk ate during his local trip, he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starter (‘preliminary table’ or ‘hors d’oeuvre’) before the main table and that it was served before the main dish.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