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직접전단시험기의 개발 및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김용필(Yong-Phil Kim),이영균(Young Kyun Lee),이성국(Sung Kook Lee),엄정기(Jeong-Gi Um) 한국암반공학회 2011 터널과지하공간 Vol.21 No.3

        단층대, 파쇄대 또는 풍화대가 발달한 암반은 실내시험을 위한 시료 성형이 어렵다. 기존에 현장에서 수행된 직접전단시험은 갱도 내벽의 수직반력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현장직접전단시험기는 터널내부 또는 노천의 현장상태 암반에서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장직접전단시험기의 주요 구성은 전단하중 반력판 및 하중전달판, 유압실린더 시스템, 로드셀, 다단계 전단상자, 전단상자 고정장치, 수직하중 반력판 및 하중전달판, 마찰저항 감소용 롤러 등이다. 공시체는 각주형의 블록으로 최대 크기는 400×400×460 ㎜이며 현장에서 형성하는 방법 및 절차가 제시되었다. 개발된 시험기의 현장적용성 평가를 위하여 연구지역에 대한 지질공학적 조사 · 분석 연구를 통하여 성능시험을 위한 공시체 형성에 적합한 위치가 선정되었다. 현장적용 결과 개발된 현장용 시험기는 암석의 강도 및 변형과 관련하여 필요한 대부분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성능을 확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It is very difficult to prepare a lab. test specimen from weak rock masses affected by faults, highly fractured zone or weathered zone. In conventional method of in situ direct shear test a rock block is sheared inside galleries, where reactions for the hydraulic jacks are available. A new in situ direct shear test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in this study to perform the test inside galleries as well as open pit conditions. The apparatus is composed of normal and shear reaction plates including load transfer plates, hydraulic cylinder systems, load cells, multistage shear boxes with fixing devices, and needle rollers. Maximum size of the test block is 400×400×460 ㎜, and procedures of the test block preparation has been suggested. To explore the field applicability of in situ direct shear test apparatus, proper test block site was investigated by extensive geological field survey. In situ direct shear test has been successful in producing most of information related to strength and deformability of the weak rock.

      • KCI등재

        대형다짐시험 및 표준다짐시험을 이용한 파쇄암 성토재의 다짐특성 연구

        정재형 ( Jae-hyeung Jeoung ),류상훈 ( Sang-hun Ryu ),최동엽 ( Dong-yub Choi ),박광식 ( Kwang-sik Park ),황성필 ( Sung-pil Hwang ) 대한지질공학회 2016 지질공학 Vol.26 No.4

        신축되는 공항은 미래 항공수요를 선점하고 주변지역 공항들과의 경쟁에서 앞서나가기 위해, 고품질의 활주로를 건설하고자 체계적으로 활주로 하부지반 건설에 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여객계류장 운영시 하부 연약지반의 잔류침하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시공관리하기 위하여 기존의 표준다짐시험의 단점을 보완하는 연구를 하고자 하였으며, 직경 100 mm 이하의 성토 재료를 사용한 4개소 현장에서 성토재료를 채취하여 표준다짐시험(KS F 2312), 대형원형몰드 다짐시험, 물치환 현장밀도시험(ASTM D 5030)을 수행하였다. 현장밀도시험과 표준 실내다짐시험의 상관관계를 회귀분석 하면, 유의수준(P-value) 0.05에서 신뢰할 수 없는 값을 나타내었으며, 현장밀도시험과 대형 실내다짐시험의 회귀분석 결과 상관계수(R)가 0.8878로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설계 및 시공에 사용되는 최대건조밀도를 평가할 때 성토재료의 최대치수를 고려하여 다짐시험방법이 선택되어야만 현장여건이 충실히 반영되어 전체적으로 균질한 품질의 시공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new airports apply the systematic runway foundation construction to build the high quality runways in order to take the leading position to win future aerial demands and stay ahead of competitors. This study is intended to supplement the weakness of existing standard compaction test to minimize residual settlement of lower weak foundation during operation of passenger berthage. The fill material was sampled from 4 construction sites using the fill material with diameter of 100mm or less, and the standard compacting test (KS F 2312), large circular mold compacting test, and water-replacement field density test (ASTM D 5030) were conducted. The regression analysis of correlation of the field density test and the standard indoor compaction test showed the unreliable value at P-value of 0.05, and th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ield density test and the large indoor compaction test showed the high correlation with R value of 0.8878. It is judged that the construction of overall uniform quality can be assured as the site condition is truly reflected only if the compacting test method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maximum size of fill material when evaluating the maximum dry density used in design and construction.

      • KCI등재

        초등 임용2차시험제도 개선을 통한 교원양성 현장성 강화 방안 탐색 : 의사 면허 실기시험제도와 비교를 중심으로

        임수진(Lim, Sooji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1 열린교육연구 Vol.29 No.6

        이 연구는 의대 양성과정 및 의사 면허실기시험 분석을 통해 초등교원의 현장성 강화 방안을 탐색하여 초등 임용2차시험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가장 대표적인 전통 전문직종인 의사 양성과정 중 현장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의사면허 실기시험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초등 2차임용시험 개선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의대 양성과정과 실기시험에 대해 분석하고 의대생, 공중보건의, 임용시험 응시생, 저경력 초등교사, 임용시험 전문가 등을 포함한 9명의 면담자와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의대에서 그렇듯 현장성 강화를 위해 현장경험을 갖춘 교수요원과 실습학교 확보, 교직과목 담당교수들의 실습 참여, 실습 담당 교수와 실습 담당 교사 간의 협력 체제 구축, 예비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 및 임용2차시험에서 실기 비중 확대 등이 보완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의대 면허실기시험에서와 같이 임용 2차시험에 대한 구체적 지침을 마련하고 이를 공개하며 2차 시험의 변별력을 높이고, 이에 대한 준비를 위해 교원양성 교육과정 내에서 실습을 강화하고 실습과 교대 내 교육과정 연계를 긴밀하게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the 2ndsection of the practical test system for doctor’s licenses. This shall be done by improv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navigating ways to strengthen the usefulness of the teachers through the analysis of medical school training cours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actical doctor s license test, which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ield ability among the most representative traditional professional doctors training courses, the study intends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2nd appointment test for elementary teachers. To this end, medical school training courses and practical tests were analyz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interviewees, including medical students, public health doctors, appointment test takers (pre-service teachers), elementary novice teachers, and appointment test experts. As in medical school, the analysis of interviews suggests that securing professors with practical school and fiel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practice by professors in charge of teaching,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professors and teachers, strengthening pre-service teachers practical skills, and expanding the proportion of practical skills should be prepared. It also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practice within th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and closely establish links between practice and in-shift curriculum to prepare for the second examination of medical school licenses.

      • KCI등재

        교원의 인식으로 본 역사과 임용시험 문항에서 ‘현장 적합성’ 강화의 필요성과 방향

        유득순 역사교육연구회 2023 역사교육 Vol.168 No.-

        The Recruitment Examination aims to select teachers necessary for the schoo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cruitment Exam questions to measure the abilities needed in the school field. Even though the exam system has been improved several times, the content of the evaluation elements has not changed. The questioning principles were also insufficient to reflect the suitability of the school field. Therefore, I looked into the need to improve the suitability with the school field in the Recruitment Exam questions and to understand the specific conten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had more than 1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passed the Recruitment Exam, worked at national or public schools, and had experience working at an educational practice school. Three implications were obtain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m. Firs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teacher’s abilities needed in the school field’ in the exam questions asked. Its capabilities are organizing and designing history classes, understanding pedagogy content knowledge based on subject knowledge, developing evaluation instruments, and providing feedback. Second, it is necessary to revise and supplement the Evaluation Content Standard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examiners and secure and utilize human resources. Also, improving the Recruitment Examination questions will help strengthen the field suitability of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n addition, as well as selecting excellent teachers,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so that teachers who pass the test can adapt well to the school field. 임용시험의 목적은 학교 현장에 필요한 교사를 선발하는 데 있으므로, 임용시험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평가 요소는 ‘학교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이며, 이를 측정할 수 있는 문항이 출제될 필요가 있다. 몇 차례에 걸쳐 역사과 임용시험 문항의 유형이나 체제가 바뀌며 형식적인 개선은 이루어졌으나 평가 요소, 즉 내용적 측면의 변화는 부족하였다. 또한 출제 원칙으로 제시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도 현장 적합성의 반영은 미흡하였다. 이에 임용시험 문항에 현장 적합성을 강화할 필요성을 알아보고, 현장 교원과의 면담을 통해 그 구체적인 모습을 확인해 보았다. 사전 인터뷰를 거쳐 본 면담에 참여한 교원은 임용시험을 거쳐 국・공립학교에 근무하면서 10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졌고, 교생 지도를 연속적・체계적으로 운영하는 학교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이들이다. 이들과 연구 주제에 관해 면담을 진행하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교에서 필요한 교사의 능력은 수업의 구성・설계 능력, 교과 지식을 토대로 한 교수내용지식, 평가 도구 개발과 피드백 제공 능력 등이며, 이를 임용시험 문항의 평가 요소로 반영하여 현장 적합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출제 원칙으로 제시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채점관의 역량 강화와 인력 활용을 통해 임용시험 채점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본고에서 다룬 임용시험 문항의 개선은 교사 양성과정의 현장 적합성 강화와도 맞물려 있다. 또한 임용시험을 통해 우수한 교사를 선발하는 것만큼, 시험을 통과한 교사들이 안정적으로 현장에 적응하고 교육활동을 펼칠 수 있도록 돕는 제도의 개선과 환경의 정비도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토석류 발생량 평가를 위한 현장시험 방법

        송병웅(Byungwoong Song),윤현석(Hyunseok Yoon),김성문(Seongmoon Ki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3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4 No.7

        국내에서 최근 수년간의 토석류 피해가 발생된 이후에 많은 학자와 기술자들이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지형의 광역지역에서 발생하는 토석류의 위험도에 대한 명확한 평가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광역지역에서의 토석류 발생량 및 확산 범위를 산정하기 위하여 SINMAP이라는 프로그램을 많이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입력정수를 산정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SINMAP에서 필요한 입력정수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수행할 수 있는 시험 방법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에 의하면 투수량 계수, 흙의 점착력, 흙의 밀도, 흙의 내부마찰각과 토층의 심도가 중요한 설계정수임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한 현장조사방법으로 시험굴조사, 블록시료 채취, 현장 밀도시험, 오거보링, 지표투수시험, 공내전단시험 및 동적콘관입시험 등이 수행 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추가적으로 실내에서의 물리 및 역학시험 수행 등을 통하여 현장시험과 실내시험과의 비교 ? 검토를 수행하면 입력정수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토석류 발생이 예상되는 상부계류는 급경사지이므로 장비투입이 불가능하거나 투입이 가능하더라도 상부계류까지 진입도로 개설 및 관련 인허가 시간이 필요하므로 장기적으로는 경량장비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fter debris flow caused damage during recent years, many scholars and engineers have thrown their effort into analyzing risk from debris flow in Korea. But it is hard to predict damage by debris flow taken place in wide area. Recently, SINMAP program is widely well used to estimate the amount of debris flow and its" range. In order to make frequent use of i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selection of accurate input parameters. In-situ experiments, which are avaliable in the mountain, is to be suggested to get dependable input parameters for SINMAP. Those are permeability, cohesion, density, friction angle and thickness in SINMAP. To get those, test pit, block sampling, in-situ density test, auger boring, permeability test on ground surface, borehole shear test and dynamic cone test and so forth were selected. In addition,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will be increased through comparing with those by laboratory tests. Hence, the experiments are hard to enter the sites without temporary road and, if possible, licensing and many times are needed, too. Small size experiments are indeed necessary to get accurate parameters.

      • KCI등재

        현장 시험시공을 통한 대나무 쏘일네일링공법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방윤경(Yoonkyung Bang),양영훈(Younghoon Yang),서지원(Jeeweon Suh),유남재(Namjae Yoo),김홍택(Hongtaek Kim)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5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6 No.3

        본 연구에서는 대나무 쏘일네일링공법(Bamboo Soil Nailing System)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현장 시험시공 및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대나무의 공학적 특성 시험과 현장계측 및 현장 인발시험 등을 수행하여 제안된 공법의 실용화를 위한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시험시공의 적정성 판단을 위해 실험조건을 반영한 수치해석을 통해 현장시험 계측결과와 비교?검증을 수행하였다. 현장계측 및 유한요소해석결과, 정량적 수치에서 차이를 보였지만 발생변위의 형태와 쏘일네일링공법간의 발생 변위량 차이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비교적 높지 않은 굴착지반에서 대나무 쏘일네일링공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으며, 설계 예를 통해 대나무의 직경 변화에 따라 소요의 안전율을 만족하는 대나무 쏘일네일링의 설계 및 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is study, a newly modified soil nailing technology using bamboo is developed. And field tests were performed to confirm applicability of bamboo soil nailing system. For the practical use of bamboo soil nailing system, laboratory tests, field instrumentations and pullout tests were also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pplicability. The results of field measurement through field tests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es for verifying the field construction. As a result, the results of comparing with the field measurement and numerical analyses shows the similar behavior characteristics. Based on this study, applicability for bamboo soil nailing systems were confirmed for the case of comparatively low scale nailed-soil excavation wall. And it is expected that the bamboo soil nailing system can be used as satisfactory reinforcement technique taking the place of existing steel reinforcement soil nailing system. Hereafter, it needed the research for the applicability for the various types of excavation condition, also the active practical application of bamboo soil nailing system is needed.

      • KCI등재

        현장시험을 통한 알칼리성 실리카졸 주입재의 적용성 및 주입효과에 대한 연구

        김영훈(Kim, Younghun),이진규(Lee, Jinkyu),양형칠(Yang, Hyungchil),천병식(Chun, Byungsik)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2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3 No.8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알칼리성 실리카졸 그라우팅재의 적용성 및 주입효과를 규명한 것으로서 연구에 사용된 그라우트재는 3차원겔 형성재인 알칼리성 실리카졸 그라우팅재와 규산나트륨 그라우팅재에 대한 공학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실내시험을 실시하여 강도특성 및 환경영향성을 검토하였으며, 현장시험 등을 통해 차수성과 주입효과를 검토하여 현장적용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내시험결과 알칼리성 실리카졸의 일축압축강도는 규산나트륨에 비해 약 5배 정도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고 용탈시험결과 용탈되는 원소의 총량도 극히 작아 친환경적인 재료임이 입증되었다. 현장시험결과 동수층에서도 상당한 투수계수 저감효과를 확인하였고, 시방기준인 10<SUP>-5</SUP>cm/sec보다 낮은 투수계수를 확보하였다. 주입확인시험결과 페놀프탈레인 반응시험, 전기비저항탐사에서 주입효과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have investigated the application and the injection effect of the alkaline silicasol grouting material(which is) recently developed. To compare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the alkaline silicasol which is formed with 3D-gel and the sodium silicate, it have studied the strength and environmental effects through the laboratory test, and field application was investigated with a review of the injection effect and waterproof through the field test. As a result of the laboratory test, unconfined compression strength of alkaline silicasol was 5 times more than sodium silicate. As a result of the leaching test, a total amount of the eluviated elements was very small, it considered the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As a result of the field test, considerable reduction of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t the hydraulic layer was confirmed, and it could secure that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showed a lower than standard value of 10<SUP>-5</SUP>cm/sec.

      • KCI등재

        전단파속도와 지반공학적 현장 관입시험 자료의 상관관계 도출

        선창국,김홍종,정충기 한국지진공학회 2008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2 No.4

        다양한 탄성파 시험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전단파속도(V_S)는 주로 지진공학 분야에서의 내진 설계 및 내진 성능 평가를 위한 대표적 지반 동적 특성으로 강조되어 왔다. 일반적인 지반공학적 부지 조사 기법의 지반지진공학적 활용을 목적으로, 표준관입 시험(SPT)과 피에조콘관입시험(CPTu)을 국내 여러 부지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시추공 탄성파시험과 함께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시험 자료들의 통계학적 모델링을 통해 전단파속도와 표준관입시험의 타격수(N 값)및 선단저항력(q_t), 주면마찰력(f_s)과 간극수압계수(B_q)로 구성되는 피에조콘관입 자료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고 전단파속도 결정을 위한 경험적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비록 일반적인 지반공학적 관입시험과 시추공 탄성파시험의 대상 변형률 수준이 상이하다 할지라도, 본 연구에서 제안된 상관관계들은 국내 토사 지층의 예비적 전단파속도 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hear wave velocity(V_S), which can be obtained using various seismic tests, has been emphasized as representative geotechnical dynamic characteristic mainly for seismic design and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engineering field. For the application of conventional geotechnical site investigation techniques to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standard penetration tests(SPT) and piezocone penetration tests(CPTu) together with a variety of borehole seismic tests were performed at many sites in Korea. Through statistical modeling of the in-situ testing data, in this study, the correlations between V_S and geotechnical in-situ penetrating data such as blow counts(N value) from SPT and piezocone penetrating data such as tip resistance (q_t), sleevefriction(f_s), and pore pressure ratio(B_q) were deduced and were suggested as an empirical method to determine V_S. Despite the incompatible strain levels of the conventional geotechnical penetration tests and the borehole seismic tests, it is shown that the suggested correlations in this study are applicable to the preliminary estimation of V_S for Korean soil layers.

      • KCI등재

        암반소켓된 소구경 현장타설말뚝의 정재하시험과 양방향재하시험 분석법 비교연구

        송명준(Myungjun Song),송영훈(Younghun Song),정민형(Minhyung Jung),박영호(Youngho Park),박재현(Jaehyun Park),이주형(Juhyung Lee),정문경(Moonkyung Chu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3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4 No.9

        이 논문에서는 정재하시험과 양방향재하시험의 하중-침하거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인접한 위치에서 직경 480mm인 암반에 소켓된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고 각각 정재하시험과 양방향재하시험을 실시하였다. 양방향재하시험 해석법 중 기존의 탄성압축량을 고려하지 않은 등가하중곡선법은 정재하시험 결과와 비교할 경우 침하량을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정확한 하중-침하 곡선 산정을 위해서는 반드시 탄성압축량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기 제안된 여러 탄성압축량을 고려한 등가하중곡선법들을 정재하시험 결과와 비교검토한 결과, 충분한 적용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정재하시험과 양방향재하시험의 지지력을 비교한 결과, 양방향재하시험은 말뚝재료의 극한강도를 반영하지 못하고 지반의 극한지지력만을 평가하므로 반드시 재료강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여야 한다. In this study, each top-down load test and bi-directional load test has been performed on the 480mm diameter of two rock socketed drilled shafts, which are located next to each other, and the results have been compared. The result shows that the settlement from the equivalent load-settlement curve of bi-directional load test is smaller than one from top-down load test, because elastic is not considered in equivalent load-settlement curve of bi-directional load test. Therefore elastic shortening should be considered to obtain appropriate equivalent load-settlement curve. Three existing methods used to obtain equivalent load-settlement curve with consideration of elastic shortening has been compared with the result of top-down load test. The result shows that those existing methods are sufficiently applicable to the design. In addition,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op-down load test and bi-directional load test shows that bi-directional load test was found to overestimate bearing capacity because it does not consider pile body failure.

      • KCI등재

        화강풍화암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주면마찰력 산정에 대한 IGM 이론의 적용

        홍순택(Hong Soon Taek),이종인(Lee Jong IN),신영완(Shin Young Wan),이승호(Lee Seung Ho) 대한토목학회 201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31 No.6

        풍화암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 예측에는 최근 미국 FHWA에서 제안된 IGM 설계법이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GM 이론을 적용하기 위하여 시험시공 현장에서 지반조시를 실시하고 교란여부 거칠기 상태를 측정한 결과 점성 비교란 매끄러운 조건으로 지반을 분류하였으며 일축압축강도(qu) 측정이 불가능한 화강풍화암 구간에서 정재하시험 및 하중전이시험과 N값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qu값을 예측할 수 있는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본 시험시공을 통한 연구 결과 화강풍화암에서 IGM 이론을 적용하여 현장타설말뚝의 지지력 산정에 대한 설계방법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design method of IGM proposed by FHWA to predict bearing capacities of drilled shaft socketed in weathered granite has been used generally. In this study site investigations were performed in a pilot test site and disturbance and roughness were measured. Geotechnical properties were assorted as cohesive material and undisturbed and smooth surface. A simple relationship was proposed to predict unconfined strength (qu) of weathered granite using static load test results load transfer test results and N value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gn method to estimate bearing capacities of drilled shaft could improve IGM's theory for weathered granite from thi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