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전문가, 시민, 방문객 의식 비교연구

        이한석(Han-Seok Lee),도근영(Geun-Young Doe)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는 부산항의 미항만들기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항만경관을 인식하는 사람을 전문가, 시민, 방문객으로 구분하고 부산항 항만 경관에 대한 각 그룹의 의식을 비교분석하는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내용으로는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해 세 그룹이 가지는 의식특성을 알아보고 그룹들 사이에 존재하는 의식차이를 분석하며 항목별로 구체적인 의식 차이점을 살펴봄으로서 그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항 항만경관의 개선 대책을 제시한다. 연구결과 전문가, 시민, 방문객은 부산항 항만경관에 대한 의식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히 전문가그룹은 시민 및 방문객 그룹과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의식차이를 보이고 있는 반면에 시민과 방문객그룹 사이에는 의식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향후 항만경관의 개선 및 평가에서는 전문가와 일반인의 의식차이를 고려하여 두 그룹을 구분하고 각각의 견해를 비교분석하여 적절한 의견을 항만경관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is is a first and basic study for making Busan port more attractive. The study is intended to clear up the situation and problems of landscape of Busan port area from the viewpoint of landscape experts, citizen and visitors. To reach the goal an attitude comparative study has been conducted using a same questionnaire between landscape experts working in Busan city, Busan citizen and visitors to Busan port area. In questionnaire, firstly the situation of the whole landscape of Busan port area has been asked. The contents of questions on the situation of port landscape are satisfaction about port landscape, harmony between cityscape and portscape, images of portscape, effects of 25 portscape elements on portscape, problems of portscape, and ways of improving portscape. Secondly, each respondent has given answers freely on how to make Busan port area more attractiv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several important differences of attitudes towards Busan portscape between experts, citizen and visitors. Especially there are some distinctive differences between attitudes of experts and citizen but the attitudes of citizen are similar to those of visitors. At the end of the study some proposals for making an improvement of Busan port landscape have been sugges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is attitude comparative study.

      • KCI등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rt Landscape Potential Evaluation Indexes

        Taeyeol Jung,Kummi Park 전북대학교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5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9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항만 고유의 기능 및 특성과 지역의 정체성을 접목하여, 그 가치를 평가 할 수 있는 항만 경관 잠재력 평가지표 도출 및 중요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항만 경관 잠재력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 및 문헌분석 후 하위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둘째,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객관적으로 평가 할 수 있는 상위지 표 기준을 도출 하여 상위 평가지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그 평가지표를 기준으로 계층 모형을 구축하여 항만관련 분야 의 공무원(해양경찰), 공기업(항만공사), 설계기관(엔지니어링), 학계(교수, 연구원)의 전문가 집단 70명을 대상으로 평가 지표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방법으로는 응답자 속성을 알기 위해 SPSS 20.0.ver을 활용하여 빈도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항만의 경관 잠재력 평가지표를 도출하여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알기 위해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분석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Expert Choice 11.5.ver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항만 경관 잠재력 상위 평가지표 4개(항만의 기능, 항만의 경관자원, 파급효과, 지속가능) 와 하위지표 12개(항만의 규모, 항만의 접근성, 항만의 이용실적, 자연자원, 인문자원, 시점자원, 랜드마크자원, 항만의 시설자원, 배 후 세력권, 홍보 기회, 지자체 역량, 수요예측)를 도출하였다. 둘째, 상위지표는 항만의 기능과 항만의 경관자원이 상대적 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하위지표는 항만의 기능은 항만의 접근성이, 항만의 경관자원은 자연자원이, 파급효과는 배후 세력권이, 지속 가능은 지자체 역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종합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 결과 항만의 접근 성, 자연자원, 배후 세력권, 랜드마크 자원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항만 고유의 정체성을 반영한 항만 경관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combined the uniqu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orts in our country with local identity, and derived port landscape potential evaluation indexes to appnaise the importance of the inherent characteristicsand natural landscape.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first, preceding researches and literatures were examined to develop port landscape potential evaluation indexes, and then low evaluation indexes were derived. Second, through interviews with professionals, high level evaluation indexes were selected after deriving high level index criteria needed for objective evalu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indexes, a hierarchy model was established, and a survey regarding evaluation indexes was performed targeting civil servants (maritime police), public enterprise (Port Authority), designing institutes (engineering), and 70 researchers and professors (academic world). For the survey,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20.0.ver, and Expert Choice 11.5.ver, which is normally used for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 and it was used to learn the importance and priority after deriving port landscape potential evaluation index. The study results are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mportance, it has been shown that 4 high level indexes (port functions, port landscape resources, Ripple Effects, and s ustainability) and 12 low level indexes (port size, port accessibility, port use results, natural resources, cultural resources, viewpoint resources, landmark resources, port facility resources, background sphere of influence, promotion opportunity, competence of local government, demand prediction). Second, as a result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low level indexes, port accessibility of port functions, natural resources of port landscape resources, background sphere of influence of ripple effects, and competence of local government of sustainability turned out to have high importance.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rehensive importance and priority, port accessibility, natural resources, background sphere of influence, and landmark resources turned out to have relatively high importance and priori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mprehensive importance and priority, port accessibility, natural resources, background sphere of influence, and landmark resources turned out to have relatively high importance and priority From this point,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recommended to build a port plan reflecting on its unique identity.

      • 부산신항 항만경관향상방안 연구

        이한석,강영훈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추계

        세계적 물류환경의 변화와 항만에 대한 정부 및 시민의 인식변화에 따라 항만개발에 있어 기존의 물류 중심적 기능뿐만 아니라 경관적인 측면에서의 검토가 중요한 요소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부산신항만을 중심으로 항만경관의 중요요소인 친수공간, 녹지, 랜드마크, 색채, 야간경관에 대하여 북컨테이 너부두와 남컨테이너부두로 지역을 구분하여 현황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부산신항만경관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각 경관요소별 개선 방안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개선방안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부산신항의 경관개선을 유도하고 향후 미항으로서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그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연안경관 개선을 위한 항만재생 방안 - 부산항의 항만기능 재편을 중심으로 -

        배경완 ( Bae Kyungwan ),하경준 ( Ha Gyoung-jun ),박형준 ( Park Hyung-jun ),정주철 ( Jung Ju-chul ) 한국경관학회 2017 한국경관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부산항의 노후한 항만기능 및 경관을 복원하고 항만과 배후지역 간 갈등 해결을 통한 조화로운 미항 조성을 위한 단기(항만기능 재편) 및 장기적인(미항 기본구상) 방향성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부산항의 배후지역은 항만과 함께 발전하여 그와 관련된 산업과 항만을 이용하는 선박, 선박과 관련된 산업시설이 주거지와 공존하고 있다. 그러나 항만시설 노후화 및 관련시설의 부정적 영향이 도시민들의 민원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항만 공간에 대한 새로운 가치창출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미항조성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야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항으로서 중요한 요인인 경관을 중심으로 배후지와 항만이 조화롭게 공존하기 위한 기능재편 방안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부산항의 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미항 조성에 있어서 부정적인 시설의 현황 및 주변지역과의 갈등문제를 파악하였다. 둘째, 경관개선을 위한 항만기능의 공간 재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조사(인터뷰, 설문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셋째, 부산항이 겪고 있는 문제를 비슷하게 경험한 해외 항만재생 사례(문헌고찰, 현지답사, 인터뷰)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적으로 부산항을 미항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예부선 및 선박수리 시설에 대한 관리 및 이전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기적 비전과 계획수립을 통해 이전 부지 및 이전 이후 유휴지에 대한 단계적인 개발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old port functions and landscapes of Busan Port and to find a harmonious port of harbors through resolving conflicts between ports and hinterland. The hinterland of Busan Port is developed along with the harbor, and industrial facilities related to ships and vessels coexist with the residence. However, the deterioration of port facilities and the negative impacts of related facilities have led to the complaints of urban residents, and the increase in demand for new value creation in the port space has led to interest and necessity for beautiful port.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ways to coexist harmoniously with the port and hinterland focusing on the landscap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port.

      • KCI등재

        부산 북항 재개발지역 경관계획에 관한 연구

        이한석(Han-Seok Lee),정원조(Won-Jo Ju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0 No.6

        This study is to propose guidelines on waterfront landscape planning for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area. In Korea,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is the first one which aims to make old port area into citizen-friendly waterfront. It is expected that many ports will be redeveloped soon after this urban waterfront remaking project. This is the basic research to lay groundwork for waterfront landscape planning at port redevelopment area. We analyze good examples of general landscape plans for port redevelopment area through case studies and suggest the problems and important elements for making landscape plan of Busan North Port area. Also we propose guidelines for making waterfront landscape plan of the redevelopment area at Busan North Port. 본 연구에서는 부산 북항 재개발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항만 재개발지역의 경관계획 특성을 알아보고 해외 항만재개발지역에서 경관계획사례를 살펴본 다음 북항 재개발지역의 경관현황을 분석하여 경관계획을 위해 선결해야 할 과제를 도출하고 마지막으로 경관계획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부산북항재개발사업에서 색채계획을 통한 경관조성방안

        권소현(So-Hyun Kwon),이중우(JoongWoo Lee) 한국항해항만학회 2012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6 No.8

        국내 최초로 대규모 항만재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부산북항재개발 사업에서도 항만도시의 경쟁력을 위해 국가차원에서의 경관계획을 반영하고 있으며, 해양도시 이미지 개선 및 가치향상의 과정에서 고유의 자연, 역사, 문화적 자원과 함께 각종시설, 건축물, 상징물, 생태녹지대의 상황과 특성에 맞는 경관조성에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부산의 경관의 특성을 분석하고, 부산시도시디자인계획(2010), 특히 색채계획과 해외의 경관색채계획의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부산북항재개발 사업에서 색채계획을 반영한 경관조성방안을 다루었으며, 그 결과는 향후 다른 재개발사업에서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In the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which is the first large scale port redevelopment project in this country, it adopted the national landscape plan for competitiveness of port city. Furthermore, it includes many efforts on landscape formation in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ocean city image and enhancement of its value, which fits for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nature, history, and culture resources, together with all facilities, structures, symbols, and eco green belt. Firstly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Busan landscape, Busan city design plan(2010), especially coloring plan, together with the case study of landscape color plan for foreign countries. From the basis of this analysis, it was proposed a landscape enhancement strategy in the Busan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through the coloring plan an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would be used for the basic data for other redevelopment project.

      • KCI우수등재

        항만 배후 주거지역의 이미지 분석을 통한 경관성 제고

        강윤원(Kang, Youn Won),김종구(Kim, Jong Gu),금윤전(Keum, Yun Geon) 대한토목학회 2021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41 No.5

        부산은 경사진 구릉지에 고밀화 된 불량 주거지가 여전히 많이 남아있으며, 특히 항만 배후지역에 주로 입지하고 있어 항만 시설과 관련된 계획들로 인해 경관적, 생활적, 환경적 영향을 많이 받는다. 특히 부산 동구 일원의 주거지는 북항재개발 지역이 조망되며, 현재 주거환경개선사업이 계획되어 있는 곳으로 경관적 변화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 동구 구릉지의 불량 주거지역을 대상으로 환경개선사업 전, 후 경관 이미지에 대한 분석 및 예측(SD분석 및 요인분석)을 통하여, 정비사업으로 인해 지역의 경관적 이미지가 정리, 정돈된 이미지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한편으로는, 지역이 가지고 있던 고유한 안락감이나, 생동감 등의 이미지는 다소 잃을 것으로 예상되어, 지역 고유의 이미지를 보존하되, 노후화로 인해 인접지역과의 경관적 괴리감은 줄일 수 있도록 물리적 시설의 올바른 계획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Busan still has a lot of densely populated poor residences on sloping hills, especially in the area behind the port, which is heavily affected by plans related to port facilities. In particular, the residential area of Dong-gu, Busan, is expected to see the Bukhang Redevelopment Area, and the landscape change is expected to be significant whe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s currently planned. In this study, the landscape image analysis and prediction (SD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of the poor residential area of Dong-gu, Busan is expected to be able to organize, organize the image of the area.

      • 항만 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양위주(Wii-Joo Yhang),구본아(Bon-A Gu) 한국항해항만학회 2007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 No.추계

        본 연구는 항만경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것으로 부산의 북항을 연구 대상지로 설정하였다. 선호 요인은 SD요법을 통해 도출되었고, 북항의 시각적 선호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북항의 시각적 선호요인으로 역동성, 안정성, 쾌적성, 보건성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4개의 선호요인을 이용한 시각적 선호도 분석 결과, 역동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북항선호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북항 경관의 창출 및 관광객을 위한 항만 이미지 조성에 역동성을 고려한 항만경관계획과 관광 매력물로써의 개발을 통해 북항경관의 시각적 질 관리를 추진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isual preference of the port landscapes for North port in Busan. Preference related variables came from Semantic Differential(SD) method and then were conducted by the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as don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and factors. The result found 4 factors, including dynamics, stability, pleasantness and healthiness. Much importance was placed on dynamics among them. Therefore building port landscapes and their image attracting viewers should consider dynamics in terms of port landscape plan and user attraction development for visual quality management.

      • 부산 북항재개발 항만시설물 경관계획

        이한석,김경인,강영훈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춘계

        본 연구에서는 부산 북항재개발지역 항만시설물을 대상으로 친수성과 경관향상을 위해 경관계획을 실시하였다. 경관수로를 중심으로 방파제, 호안, 등대 등 항만시설물을 대상으로 시민에게 열린 친수공간을 계획하고 주변 녹지 및 수역과 조화되는 경관계획을 실시하였다.

      • KCI등재

        부산 북항 항만경관의 시각적 선호도 분석

        양위주(Wii-Joo Yhang),구본아(Bon-A Gu),윤기항(Yuhn, Ky Hya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2 No.3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isual preference of the port landscapes for North port in Busan. Preference related variables came from Semantic Differential(SD) method and then were conducted by the factor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as done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ference and factors. The result found 4 factors, including dynamics, stability, pleasantness and healthiness. Much importance was placed on dynamics among them. Therefore, building port landscapes and their image attracting viewers should consider dynamics in terms of port landscape plan and user attraction development for visual quality management. 본 연구는 항만경관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한 것으로 부산의 북항을 연구 대상지로 설정하였다. 선호 요인은 SD법을 통해 도출되었고, 북항의 시각적 선호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북항의 시각적 선호요인으로 역동성, 안정성, 쾌적성, 보건성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4개의 선호요인을 이용한 시각적 선호도 분석 결과, 역동성 요인이 상대적으로 북항 선호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북항 경관의 창출 및 관광객을 위한 항만 이미지 조성에 역동성을 고려한 항만경관계획과 관광 매력물로써의 개발을 통해 북항경관의 시각적 질 관리를 추진해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