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十抄詩』를 통해 본 羅末麗初 한시 수용 양상

        김은정 한국한시학회 2012 韓國漢詩硏究 Vol.20 No.-

        This paper aimes to first investigate the characters of ShibChoSi(十抄詩) as selected poem books. In ShibChoSi which was published by an unknown editor in early Goryeo(高麗) dynasty are contained the poems in seven word style of Chinese verse by 30 mid and late Dang(唐) dynasty poets including 4 Shilla(新羅) people. It contains 300 poems by selecting 10 poems from each of 30 poets. We compared the rules of versification of those poems with those of other late Dang dynasty poems. As a result we verified that there is not much difference in the two rules. Next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in those poems in ShibChoSi we find that they have the social and interacting characters among intellectuals of the times. This kind of characteristic of the contents is seen as the customary usage of the seven word style poems at that time. Here we reconsidered especi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ShibChoSi and Gwageo (科擧, state examination for the high ranking public officials). Up to now the purpose of compiling ShibChoSi was vaguely inferred as related to Gwageo in early Goryeo, but that inference doesn't seem valid because the subject of Gwageo at that time was mainly five word style poems. Further the purpose of ShibChoSi is seen to prepare the newly appointed officials from Gwageo for the socially interacting poems in the royal feasts or in the meetings of intellectuals. The 40 verses of the four Shilla poets contained in it follow the obvious character of social and interacting nature of ShibChoSi. Therefore the principal motivation for accepting Chinese poems in late Shilla and early Goryeo times is seen to use them to enter the public offices. As a result the literary achievement of Chinese poems of Shilla in ShibChoSi is inherently limited. On the other hand with all the above limitations we cannot deny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ShibChoSi which shows the historic starting point of the Chinese poems in Korea by accepting the genre of Chinese poems. The existence of the material itself not only shows the early aspect of the history in the Sino-Korean poems but also the acceptance and application of the newly imported style of Chinese poems and the historic development of the literary enjoyment with it. 본고는 한시 수용의 첫 단계라 할 수 있는 신라 말의 시인 崔致遠, 朴仁範, 崔承祐, 崔匡裕의 칠언율시 40수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목적으로, 이들 시편이 수록된 『十抄詩』의 성격을 밝히고자 하였다. 고려 초 생몰년 미상의 儒者가 편찬한 시선집 『십초시』에는 신라 시인 4인을 포함한 中晩唐 시인 30인의 칠언율시 각 10수씩이 수록되어 있는데, 본고는 우선 거기에 수록된 시편의 율격적 특성을 中晩唐 시편과 비교‧고찰하였다. 그 결과 대체로 만당과 비슷한 양상을 띠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내용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는데, 주로 응수‧창화적 성격을 지닌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상의 특징은 칠언율시라는 시형이 갖는 관습적 효용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본고에서는 『십초시』와 科擧制와의 상관성을 재고하였다. 그간 『십초시』의 편찬 목적을 막연히 고려 초에 시행된 科擧制와 연관시키고는 하였는데, 고려의 과거제에 부과된 시형이 5언시였으므로 이러한 주장은 타당하지 않다. 오히려 『십초시』는 이미 과거에 급제한 인물이 궁정 연향이나 문인들 간의 사교 모임에서 짓게 되는 응수‧창화시를 준비하는 목적으로 편찬된 것으로 보인다. 또는 예비관료로서 그러한 詩作을 준비하였던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그러한 성격을 지니는 『십초시』에 수록된 신라 한시 40수는 응수‧창화성이 강할 수밖에 없다. 『십초시』의 편찬이 과거 급제 이후의 사교활동에 필요한 한시 창작 능력의 함양이라는 다분히 현실적 목적으로 이루어졌고, 여기에 수록된 시편이 모두 그러한 성격을 지니는 것이 사실인 것이다. 나말여초에 한시를 수용한 기제 역시 관로 진출에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십초시』 소재 신라 한시의 문학적 성과는 태생적으로 한정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까닭에 후대 시선집에 선발된 신라 한시가 불과 12수에 지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한시 양식을 수용하여 활용한 한국 한시사의 출발을 확인시켜주는 『십초시』의 문학사적 의의를 부정할 수는 없다. 자료의 존재 자체가 우리 한시사의 초기 모습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한시 양식의 수용과 활용의 양상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무엇보다도 시편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시인의 내면이 투영될 수밖에 없었을 것이므로, 서정시로서의 한시를 창작하고 향유할 준비가 이미 되어 있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시의 문학교육적 가능성과 활용 방안 탐구

        신윤희 ( Shin Yunh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4 No.-

        본고의 목적은 한시의 문학교육적 가치 제고를 통해 문학교육에서의 한시교육 방향과 한시 작품 활용 방안을 큰 틀에서 제안해 보는 데 있다. 문학교육에서 한시 작품은 작품이해를 통해 문학적 소통을 추구하기보다 한국문학의 범주와 문학사적 갈래를 설명하거나 국문시가 이해를 위한 보조 자료로 활용되는 데 그치고 있다. 이는 전통 시가관에 근거한 고전시가의 교육과 연구의 관행과, 한시의 외국어 문학으로서의 한계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시에는 기록문학으로서 선인들의 고결한 정신적 세계가 고스란히 담겨있으며 이는 문학교육적 측면에서 충분히 가치 있는 부분이다. 그러나 노래 우위의 전통 시가관에 따라 노래의 기능이 탈각된 외국어 문학으로서의 한시는 국문학의 범주 안에서 국문시가에 비해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 과정에서 한시의 정신적 측면의 교육적 가치가 간과되어 온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한시의 문자시로서의 역할과 기능에 주목하며 한시의 문학교육적 가치가 문자에 응축된 고결한 정신세계에 있음을 피력하였으며 더불어 한시의 창작 원리와 이에 기반한 여러 표현 전략들은 작품 내에 넉넉한 독자의 공간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을 아울러 지적하였다. 이에 한시에 내재된 선인들의 고양된 정신세계와 그 세계 속으로 독자를 초대하는 한시의 창작 원리와 표현 전략이 문학교육으로서의 한시교육의 주요 내용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요지이다. 한시의 ‘생각하는 시의 영역’에 집중할 때, 독자는 작품 속에 마련된 사유의 공간을 누비며 선인들의 정신과 만나고 자신의 세계와 충돌하여 드러난 진실을 목도하며 새로운 통찰과 전망을 발견하는 의미 있는 문학 소통을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위축된 한시교육 역시 그 활로를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new directions for Korean-Chinese poetry education in literary education and ways to use Korean-Chinese poems within a large framework. The use of Korean-Chinese poems in literature education is very limited.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cause lies in the limitations that Korean poetry has as foreign language literature and the teaching and study practices of Korea classical poetry that are based on traditional poetry views. Korean-Chinese poetry was recorded and passed down with the noble spiritual world of the ancestors kept intact. That spirit is a significantly valuable part in terms of literary education. In addition, Korean-Chinese poetry has ‘a place that makes readers think.’ It is based on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creating Korean-Chinese poetry. When teaching Korean-Chinese poetry, we should make an active use of this place to make readers think. In this place, the reader can experience the noble spirit of the ancestors and discover new prospects. Through this paper, the educational value of Korean-Chinese poetry could be revealed and the education of Korean-Chinese poetry revitalized.

      • KCI등재

        學習者 中心의 能動的 漢詩 鑑賞을 위한 敎授-學習指導 方案 - 六色思考帽技法을 중심으로-

        송성립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4 No.-

        Han-shi(classical poet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soften referred to as the most beautiful flower in Chinese Literature. Thuswhen students learn Han-shi, they must not only learn the contents butalso try to fully appreciate the beauty of the poems. This can be attainedby learners’ first-hand participation in the processes of the interpreting,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This paper introduces to you “A Learner-centered, Active Han-shiAppreciation Teaching Method” to help students experience appreciatingthe poetry on their own. At the stage of ‘preparation’, students first learnthe basic knowledge about Han-shi, and at the stage of ‘Han-shiinterpretation & recitation’, they interpret a poem while increasing theirunderstanding of it, before, at the stage of ‘appreciation By Six ThinkingHats Theory’, they begin trying to truly appreciate it; they closely inspectobjective facts and subjective feelings, positive parts and negative partsin the poem. This promotes thei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appreciation in respect of the entire poem. At the stage of ‘organization’,students write about their total appreciation based on all these preceding processes. Through a series of appreciating processes, students will have afirst-hand experience in Han-shi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Theywill be able to understand Han-shi critically and acquire facility to enjoyit aesthetically. 漢詩는 한문 문학 중 가장 아름다운 꽃이라 불린다. 따라서 학생들이 한시를 배울 때, 시의 내용 뿐 아니라 시의 아름다움까지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은 학습자들이 직접 한시를 해석하고, 이해하고, 감상하는 실제적인 활동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들이 직접 한시를 감상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한시 감상 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단원의 도입부에 ‘감상을 위한 준비’ 단계를 통해 감상 태도를 정립하고 한시에 대한 기본 지식을 쌓는다. 개별 작품에 들어가서는 ‘도입’에서 동기 부여 및 시에 대한 배경 지식을 익히고, ‘漢詩 해석과 암송’ 단계에서 3차에 걸친 시 번역 및 해석과정을 거쳐 시에 대한 이해를 더한다. ‘육색사고모기법을 통한 漢詩 감상’단계에서는 본격적인 시 감상이 이루어진다. 시 속의 객관적 사실과 주관적 느낌,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시 전체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와 감상을 한다. ‘정리’ 단계에서는 앞서 이루어진 漢詩 감상 경험을 바탕으로 감상문을 쓴다. 일련의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한시 텍스트 자체를 충분히 살펴보고 감상할 기회를 갖게 된다. 지속적인 토론과 발표 과정을 통해, 한시에 나타난 내용․시상의 전개방식․형식과 표현미 등 한시의 다양한 측변을 감상할 수 있는 안목을 지니게 되며, 자기의 감상으로 정리할 기회를 갖게 된다. 이를 통해 한시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독자로 성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경험을 얻게 된다.

      • KCI등재

        學習者 中心의 能動的 漢詩 鑑賞을 위한 敎授-學習指導 方案 : 六色思考帽技法을 중심으로

        宋成立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4 漢字 漢文敎育 Vol.34 No.-

        漢詩는 한문 문학 중 가장 아름다운 꽃이라 불린다. 따라서 학생들이 한시를 배울 때, 시의 내용뿐 아니라 시의 아름다움까지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것 은 학습자들이 직접 한시를 해석하고, 이해하고, 감상하는 실제적인 활동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들이 직접 한시를 감상하는 경험을 할 수 있게 하는 방법으로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한시 감상 지도 방안’을 제안하였다. 단원의 도입부에 ‘감상을 위한 준비’ 단계를 통해 감상 태도를 정립하고 한시에 대한 기본 지식을 쌓는다. 개별 작품에 들어가서는 ‘도입’에서 동기 부여 및 시에 대한 배경 지식을 익히고, ‘漢詩 해석과 암송’ 단계에서 3차에 걸친 시 번역 및 해석과정을 거쳐 시 에 대한 이해를 더한다. ‘육색사고모기법을 통한 漢詩 감상’단계에서는 본격적인 시 감상이 이루어진다. 시 속의 객관적 사실과 주관적 느낌,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시 전체에 대해 종합적인 이해와 감상을 한다. ‘정리’ 단계에서는 앞서 이루어진 漢詩 감상 경험을 바탕으로 감상문을 쓴다. 일련의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은 한시 텍스트 자체를 충분히 살펴보고 감상할 기회를 갖게 된다. 지속적인 토론과 발표 과정을 통해, 한시에 나타난 내용·시상 의 전개방식·형식과 표현미 등 한시의 다양한 측변을 감상할 수 있는 안목을 지니게 되며, 자기의 감상으로 정리할 기회를 갖게 된다. 이를 통해 한시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독자로 성장할 수 있는 구체적인 경험 을 얻게 된다. Han-shi(classical poetry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is often referred to as the most beautiful flower in Chinese Literature. Thus when students learn Han-shi, they must not only learn the contents but also try to fully appreciate the beauty of the poems. This can be attained by learners` first-hand participation in the processes of the interpreting, understanding and appreciating. This paper introduces to you “A Learner-centered, Active Han-shi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to help students experience appreciating the poetry on their own. At the stage of ‘preparation’, students first learn the basic knowledge about Han-shi, and at the stage of ‘Han-shi interpretation & recitation’, they interpret a poem while increasing their understanding of it, before, at the stage of ‘appreciation By Six Thinking Hats Theory’, they begin trying to truly appreciate it; they closely inspect objective facts and subjective feelings, positive parts and negative parts in the poem. This promotes thei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in respect of the entire poem. At the stage of ‘organization’, students write about their total appreciation based on all these preceding processes. Through a series of appreciating processes, students will have a first-hand experience in Han-shi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They will be able to understand Han-shi critically and acquire facility to enjoy it aesthetically.

      • KCI등재

        漢詩敎育 評價의 現況과 課題

        金經益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6 漢字 漢文敎育 Vol.41 No.-

        이 글에서는 한시 교육 평가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관련 연구 성과와 한문과 교육 과정에서 한시교육에 해당하는 내용을 검토하였다. 한시교육평가의 현황은 한문과의 대표적인 대단 위 평가인 대학수학능력시험 ‘한문’ 영역의 한시 평가 문항과 학교 단위에서 이루어지는 평가 문항 및 도구를 살펴보았다. 이론적 검토와 현황 분석은 한시교육 평가의 방향을 모색하는 토대가 될 것 이다. 한시 교육 평가 관련 연구는 주로 한문 교과서 소재 한시 평가 문항 분석, 문학 교육 평가, 교육과 정 분석, 한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 등에 대한 것이 대표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글에서는 한시 교육의 전반을 살펴 한시 교육의 평가의 방향으로 첫째, 한시 교육의 목표 점검 을 통한 한시 평가 방향 모색, 둘째, 학생의 문학적 경험을 표현할 수 있는 평가, 셋째, 교육과정 실행 차원에서의 한시교육 관련 교육과정 재구성, 넷째, 한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에 대한 논의의 구체화 등을 제시하였다. For the purpose of preparing a theoretical foundation on Chinese Classic Poetry education evaluation, contents on the Chinese Classic Poetry education in the Chinese Classics subject curriculum and related study results were reviewed. In regards to the present condition of Chinese Classic Poetry education evaluation, Chinese Classic Poetryy evaluation questions in the ‘Chinese Classics’ area of scholastic aptitude test, an major unit evaluation of Chinese Classics subject, and evaluation questions and tools used in school unit were reviewed. The theoretical review and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will become a foundation for searching for a future direction of Chinese Classic Poetry education evaluation. In regards to studies on Chinese Classic Poetry education evaluation, they mostly consisted of analysis of questions on Chinese Classic Poetry in Chinese Classics textbook, evaluation of literature education, analysis of curriculum and Chinese Classic Poetry text level and scope. Overall Chinese Classic Poetry education was reviewed in this study to present followings as a direction of Chinese Classic Poetry education evaluation. First, search for a direction of Chinese Classic Poetry evaluation through the inspection of Chinese Classic Poetry education goal. Second, evaluation that can express students’ literary experience. Third,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related to Chinese Classic Poetr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implementation level. Fourth, specification of a discussion on the level and scope of Chinese Classic Poetry text.

      • KCI등재

        한시 화답문화의 국어교육적 가능성 탐구

        정소연(Chung, So-yeo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5 No.-

        본고는 한문교과에서의 한시교육이 아니라 국어교과에서 한시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탐구이다. 한시를 짓거나 읽을 기회가 거의 없는 현대사회에서 한시 해독이나 한시 쓰기 활동을 하는 것은 국어과 교육에서 거의 불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고전시가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 하는 한시의 국어교육적 적용을 위해서는 작품 텍스트를 단편적으로 접근하는 시각이 아니라 한시 갈래 전체의 특성을 문화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한시 갈래가 가지는 두드러진 문화적 특징 중의 하나는 한시를 지어서 상대방에게 주거나, 받은 이가 다시 시를 지어주는 화답문화이다. 화답시(和答詩)를 짓되 상대방의 운자를 따라 짓는 차운시(次韻詩)나, 하나의 작품을 함께 창작하기도 하는 연구(聯句) 등의 방식은 의사소통행위로서 언어 내외적인 의사소통기능을 가진다. 그러므로 자구 해독이나 압운, 용사, 평측 등의 작품 분석에만 치중하면 한시 교육의 가능성이 좁아지지만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한시 화답문화에 주목하게 되면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위한 문학교육, 나아가 국어교육의 길이 열린다. 구체적 방법과 기대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적 측면에서는 학습자가 화답의 과정이 되는 작품들을 엮어서 배움으로써 소통의 과정을 알고, 화답시를 지을 대상 작품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적극적인 청자로서의 태도를 기대할 수 있으며 시를 분석 대상으로서의 물성(物性)보다는 발화자와의 대화인 인간성(人間性)으로 대할 수 있다. 화답시의 대상 작품을 선정하는 순간에는 위로와 치유를 체험하고 시인과의 소통을 경험하여 지식으로서의 한시가 아닌 소통의 주체에 주목하는 소통과정과 소통행위로서의 한시로 인식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둘째, 생산적 측면에서는 한시에 한글 자유시로의 화답시 짓기, 한시에 행수를 고정한 한글시로의 화답시 짓기, 한시에 화답한 다른 학습자들의 시에 화답시 짓기 등을 통해 소통의 과정을 알고 효과적인 소통의 전략을 배우며 자신이 처한 관계적 문제를 해결하는 지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한시가 삶과 동떨어진 것이 아니라 효용적 가치를 가진 존재로 인식하며 학습자간의 소통의 기회를 마련하고 상호 이해와 유대감, 공동체성을 함양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tudy the possibility of Korean education on Han-si, Korean classical poetry. For that, I access Han-si as a culture, not just text itself. So I pay attention to responding culture of Han-si as a communicative act, and approach in the viewpoint of communication theory. We can see the communicative features from responding poetry, bouts-rimes, co-creation. These creation cultures of Han-si are communicative acts which have sender and addressee, message, channel and feedback, etc. In the middle ages, creation of works in Korea, also in East Asia had been a communication act forming a bond of friendship and sociability. Today, it is meaningful as creative convention for the growth of communicative ability, community spirit and upright character in Korean education, for the expansion of literary culture in literary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awareness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fore, it is in need of "communicative" creation than creating action itself to increase communication competency in the field of Korean education.

      • KCI등재

        한시 학습 단계 설정을 위한 문제의 제기

        유영봉 한국한문교육학회 2005 한문교육논집 Vol.24 No.-

        There are some problems in the textbooks of classical Chinese in use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irst, poems in classical Chinese are not properly selected and arranged in accordance with the guidance of Ministry of Education. And another problem is that serious is big difference of level among poems. Even it could be discovered that impertinent poems and their explanations for students are given in the textbooks. Two methods are considerable to settle the problems. One is that textbook writers choose the poems in classical Chinese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levels and stages suitable to the students in the first place, then make a whole frame for the rest genres. The other is the operation of 'bank of poems in classical Chinese' leaded by Korean Society for Education of classical Chinese. If two methods are in harmony and goon smoothly, such problems mentioned above would be settled. 현행의 중학교 한문 8 종 교과서와 고등학교 한문 10 종 교과서는 한시에 관련하여 몇 가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먼저 제일 큰 문제는 교과서마다 교육부의 지침에 따른 한시의 형식에 따른 선택과 배열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모든 과목이 그렇듯이, 학습이란 일정한 단계를 필요로 한다. 단계의 확립은 교과서의 집필에도 용이함을 제공할 뿐만이 아니다. 종류가 많은 검인정 교과서의 경우, 적어도 외형적인 통일을 어느 정도 기할 수 있다. 연유에서, 본고는 중고등학교 한문 교과서의 체계적인 집필을 위해, 본문 가운데 보이는 도표로써 학습 단계의 설정을 제안하였다.그리고 현행 교과서들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교과서들마다 각각 제시하고 있는 시들 사이에는 매우 심한 수준과 편차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뿐만 아니라, 교과서에 수록하기로는 적절하지 못하다고 여겨지는 시들이 선택되고 있기도 하고, 어떤 교과서의 경우에는 밀도 있는 설명이 결여되었음이 눈에 뜨이기도 한다.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하나는 교과서를 집필하는 과정에서, 한시와 관련한 단원들을 중요시 여기고 우선적으로 배려해달라는 집필자에 대한 주문이다. 해당 교과서의 집필에 앞서, 900 자 혹은 1,800 자를 수용하고 있는 한시들 가운데 문학적 가치나 학습의 효용성을 선택한 다음에, 교육부의 지침에 적합한가를 검토하여, 그 수록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해달라는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한시 관련 단원의 내용과 체제, 형식을 최우선적으로 확보한 다음에, 산문과 관련한 나머지 대부분의 단원들을 나중에 구성한다면, 한시 관련 단원은 훨씬 밀도 있고, 문학성 높은 수업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다른 하나의 제안은 한국한문교육학회 주도의 ‘한시뱅크’ 운용이다. ‘한시뱅크’를 통해 학습 수준별로 배워야할 한시에 관한 대강의 윤곽을 긋자는 것이다. 그래서 각각의 교과서 집필자들이 ‘한시뱅크’를 통해 적절한 한시를 선택하고 참고하도록 한다면, 현행교과서들이 지니고 있는 한시 학습 단계의 편차는 물론이오, 選詩의 수준과 범주 문제가 어느 정도 바로잡힐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번역과 해설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까지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마저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열녀춘향수절가」의 한시(漢詩) 어구(語句) 활용양상 연구

        안순태 ( Soontae An ) 한국한시학회 2015 韓國漢詩硏究 Vol.23 No.-

        본고는 「열녀춘향수절가」에 漢詩 語句들이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 정리하고 분석하여 「열녀춘향수절가」에서의 한시 어구 활용 양상과 그 특징을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춘향전」은 대표적인 판소리계 소설이고 「열녀춘향수절가」는 「춘향전」의 대표적인 이본이다. 「열녀춘향수절가」에는 故事들이 매우 풍부하게 인용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漢詩 語句도 상당수 인용되어 있다. 이는 판소리가 폭넓은 향유층을 확보하고 있었던 만큼 민중의 요구는 물론 식자층의 요구까지 고려한 결과다. 「열녀춘향수절가」에서는 대체로 絶句, 律詩 등 온전한 형태의 한시가 아닌 語句 형태로 한시를 활용하고 있다. 이 한시 어구들은 原詩의 맥락을 고려하여 활용하고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비맥락적으로 활용한 예와 맥락을 고려하여 활용한 예로 나누어 살필 수 있다. 原詩의 맥락을 고려치 아니하고 한시 어구를 활용하는 경우는 관용적인 표현으로서 한시 어구를 활용한 예, 그리고 언어유희를 위해 한시 어구를 활용한 예 등이 있다. 관용적 표현으로서 한시 어구를 활용한 예는 작품 초반에 이몽룡이 광한루에 나가 바라본 풍경을 묘사하는 대목 등 주로 경관 묘사에 활용되고 있으며 언어유희를 위해 활용한 예는 사랑가 대목이나 기생점고 대목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 原詩의 맥락을 고려하면서 한시를 활용하는 경우는 작품의 분위기 조성에 기여하거나 原詩의 일부 구절을 활용해 새로운 시로 재구하는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별가 대목에서 이몽룡이 이별과 관련된 한시 어구들을 인용한 것이나 옥중 춘향이 꿈에 湘妃를 만나는 대목에서 한시 어구를 활용해 傳奇的 분위기를 조성한 것, 춘향이 이몽룡에게 쓴 편지에서 李白의 시구를 빌려와 새로운 작품으로 재구한 시를 덧붙인 것이나 잔치에서 이몽룡이 다양한 시를 변개하여 완성한 어사출두시 등이 그 예다. 「열녀춘향수절가」에서 인용하고 있는 한시 어구들은 대부분 『唐音』이나 『古文眞寶』 등 한시 초학자들의 교본에도 수록된 작품들이다. 작품에서 한시 어구들을 활용하되 대중성을 멀리 벗어나서는 안 된다는 제한이 있었기 때문이다. 판소리계 소설은 판소리에 기인하고 있으며, 판소리계 소설이든 판소리든 그 향유층의 폭이 상당히 넓었기에 폭넓은 향유층의 요구를 두루 충족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한시 어구를 활용한 결과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게 된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how phrases from Chinese poems were adapted in Yeolneochunhyangsujeolga and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aspects of their usages within the novel. Chunhyangjeon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pansori novels and the Yeolneochunhyangsujeolga is a representative different version of Chunhyangjeon. Yeolneochunhyangsujeolga abounds with anecdotes from old stories and with phrases from Chinese poems. This is thanks to the broad audience of pansori, which led the creators to aim on satisfying the varying taste of the highbrow as well as that of the general public. In Yeolneochunhyangsujeolga, Chinese poems are quoted by phrases, rather than retaining their original form as quatrains or eight-line verses. Such phras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phrases that are used in the context of the original poems or phrases that are used out of the original context of the poems. The examples of the phrases used within the original context include the usage of Chinese phrases as idioms and the usage of the phrases as puns. Chinese phrases as idioms are mainly used when depicting the scenery, such as in the part when Lee Mongyong goes to Gwanghallu and describes the view at the beginning of the story. Phrases from Chinese poems are used as puns in “Sarangga” and in “Gissang Jeomgo.” In addition, the original context of each poem is retained in passages which add to the atmosphere of the story or when parts of the original poem are reconstructed to be made into a new poem. In “Ibyelga” when Lee Mongyong quotes Chinese poems on parting and also in the part where Chunhyang meets Sangbi, a water spirit in her dreams, as she is in prison, the phrases from Chinese poems are adapted to create a romantic ambience. On the other hand, in Chunhyang`s letter to Lee Mongyong, passages from Li Bai`s poems are borrowed and added to create a new poem. Quotes from various Chinese poems are also modified in Lee Myongyong`s Poem as the king`s secret royal inspector, which he completes at a feast. The majority of the poems quoted in Yeolneochunhyangsujeolga could be found in beginner`s books such as Dang-Eum and Gomunjinbo since it was imperative to use Chinese phrases which do not fare far from the public appeal. This is due to the broad audience pansori attracts. Quotes from Chinese poems were used to satisfy the varying taste of the audience, and led to the various usages of such phrases.

      • KCI등재

        韓國漢詩 형성 과정 고찰

        김은정 국문학회 2014 국문학연구 Vol.0 No.30

        The old Korean songs are handed down by translation in classical chinese, and they have 4 lines of verse that is composed of 4 chinese letters each line. These form of verse reflected the form of old Korean folk songs, because ancient men distinguished between own songs and chinese songs. So chinese poems as lyrical verse were wrote by nuns who lived in China, otherwise chinese poems written in domestic had diplomatic purposes. The statute for chinese poetry was already accepted in ancient Korea. But chinese poetry wasn’t enjoyed as lyrical verse, because Hyang-ga(鄕歌) which was a traditional poetry of silla(新羅). Hyang-ga were competing and exclusive relationship with chinese poetry. Meanwhile, for though chinese poetry had different content and form each period, most poetry was always Sung-si(聲詩) which chanted by song. But as requisite for song was cast off in Sung(宋) dynasty, chinese poetry became Do-si(徒詩) without requisite for song. And Sino-Korean poetry was formated in this time, because chinese poetry was not chinese song any more. 우리나라의 상고시대 노래는 공통적으로 4언4구의 漢譯詩로 존재한다. 이 시형은 詩經體의 영향과 우리 민요의 기본형을 반영한 결과로 형성된 것이다. 즉 이른 시기에 자국 노래와 타국 노래를 구분하는 태도가 있었던 것이다. 한편, 최치원 이전의 抒情漢詩는 주로 중국에서 활동한 승려들에 의해 창작되었고, 국내에서는 目的性을 지닌 漢詩만이 창작될 뿐이었다. 그런데 국외 창작 서정한시뿐만 아니라, 국내 창작 목적한시 역시 주제구현에 충실하다는 점에서 문학적인 완성도가 높다. 또한 慧超의 『往五天竺國傳』 삽입시가 신라를 떠난 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에 창작되었다는 사실로서, 국내에 한시 양식이 수용된 이후 상당한 한시 창작 역량이 축적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시가 오래도록 서정양식으로서 국내에서 향유되지 못하였던 이유는 鄕歌로 대표되는 국내시가가 있었기 때문이다. 즉 한시와 향가는 서정양식으로서 서로 배타적인 관계에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한시가 서정양식으로 향유되기 위해서는 중국에서만 통용되는 요소, 즉 중국의 음률적 요소가 제거되어야만 하였다. 즉, 노래로 불리는 聲詩가 아닌, 가창의 요소를 제거한 徒詩의 성립을 기다려야만 한 것이다. 그리고 宋代에 詞 양식의 등장과 더불어 가창성이 탈각된 徒詩로서의 한시가 성립된다. 漢詩에 가창의 요소가 있는 한, 우리나라에서는 이를 타국의 노래로 인식하였으며, 서정양식으로서의 한시가 정착하는데 큰 장애로 작용하였다. 韓國漢詩가 說理的인 宋詩의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나, 송시가 여전히 聲詩였다면 한국한시 형성은 훨씬 후대로 미루어졌을 가능성이 크다. 徒詩이면서 說理的인 송시야말로 주제구현적 한시를 창작하였던 우리나라 시인들이 서정양식으로서 체화하기에 적절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불교계 여성한시에 보이는 불행감과 해탈 지향

        김상일(Kim, Sang Il)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1 No.-

        이 글은 17세기 전반기에 출현하고 20세기 초에 생산된 불교계 여성의 한시의 불행감을 분석하여 그 근원이 무엇이며, 또 그 극복 과정을 추적하여 그것의 제재적 특성을 구명한 것이다. 여성이 한시를 남겨 한국한시문학사에서 작가군을 이루기 시작한 것은 16세기 중엽부터였다. 그 작가로는 사대부가의 여성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양반들의 소실과 기녀 작가들도 한 무리를 형성하였다. 그런데 한시 작가로 불교계 여성이 등장한 것은 17세기 초였다. 광해군 때의 李禮順이 그이다. 이후 공백기를 거쳐 20세기 초에 慧定, 潭桃 등이 한시를 남겼다. 이처럼 불교계 여성들이 한시를 남길 수 있었던 것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같은 外侵을 거치며 달라진 조선후기 불교계의 변화와도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곧 선승들의 禪詩 문화와 講院 교육이 활성화되었기 때문이다. 조선후기 불교계의 모습은 20세기 비구니강원의 교육과정에도 연장되어 있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조선후기와 20세기초의 여승들 중에는 한시문 활용능력을 가진 이들이 적지 않았을 것이다. 이예순의 「自歎」시는 士大夫家의 부녀자로서 出家한 혐의로 의금부에 갇혔을 때 지은 것이다. 이 시에서 작자가 자신의 불행을 탄식한 것은 남존여비의 가부장적 국가 권력이 자신의 삶의 방식에 탄압을 가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화자는 국가권력의 폭압도 선불교적 각성[깨달음]으로 거듭난 자신을 가둘 수 없다고 한다. 여기서 세속인에게서는 보기 어려운 시적 자아의 당당한 형상을 볼 수 있다. 혜정과 담도의 한시에 보이는 불행감은 속세에 대한 미련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의 다른 한시 작품에서는 자신들의 정체성을 불제자로 의식하고 대승적 행위와 覺悟을 바탕으로 해탈을 지향하고 있음이 보인다. 요컨대, 이예순의 한시에 함축된 불행감이 남성중심의 유교적 가부장제 사회의 질곡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면, 혜정과 담도의 한시에 함축된 불행감은 세속적인 미련에 의한 것이란 점에서 서로 다르다. 그러나, 그들은 다른 시편에서 불승으로서 대승적 대중 구제를 염원하거나 또는 각오에 바탕을 둔 해탈을 지향하고 있는 점에서는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된다. This article studies on the women"s chinese poetry of belonged to particular topics and unfortunate feelings including their reasons. In 16C Mid, Women started to make groups of poetess in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literature. They are mostly women who is in Sadebu(士大夫) family and cocubine or Geisha. After in 17c, there are the poets who is in Buddhism. The representative poets are LeeYeSoon, HeyJung and DamDo. This means the change of Late Choseon Dynasty Buddhism related in the women Buddhist could write chinese poetry. The poem <Jatan(自歎)>, the only piece of LeeYeSoon, implied the impoundment for interrupting to enter the Buddhist priesthood. It states about unfortunate feelings by Confucian repression of the country power. However, these reperssions couldn"t limit hers life with the notice of Zen Buddhism. So, she could live in free while she didn’t care between the Buddhist priesthood and the mundane world. The poems, written by HeyJung and DamDo, implied the unfortunate feelings by the regrets of worldly pleasure what they couldn’t renounce. But their some pieces represented their identity as Buddhist with aiming Mahayanist life. In this way, LeeYeSoon"s piece is from unfortunate feelings by Confucian repression of patriarchal society. HeyJung and DamDo"s pieces, meanwhile, represent the unfortunate feelings by the regrets of worldly pleasure. However, their poem both include the consciousness of aiming Mahayanist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