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대문화를 통한 한국어 교육 항목 선정 연구 (중급) -상호문화적 접근으로-

        원티번 ( Nguyen Thi Van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상호문화적 접근으로 현대문화를 통한 한국어 교육 항목 선정에 대한 것이다. 전통문화는 중요하기는 하지만 한국의 현재의 모습 또는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현대문화도 중요하다고 본다. 또한, 현재 한국에서 사는 외국인 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많은 외국인은 한국에서 자신의 문화와 한국문화를 어떻게 융화할지는 것도 중요하다. 상호문화적 접근으로 한국 문화를 교육시키려면 한국문화와 다른 문화의 차이점 말고 공통점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하노이국립외국어대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항목을 선정해 본다. 현대문화 교육에 적합한 ‘정신문화 항목, 언어문화 항목, 예술문화 항목, 생활문화 항목, 제도문화 항목, 문화제 항목’으로 분류하고 세부 항목을 선정하고자 한다. 이 여섯 가지 항목 중 현대(동시대) 문화의 범위 안에 들며, 학습자의 요구가 높은 생활문화, 언어문화, 정신 문화, 예술문화, 제도문화의 5개 항목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본고는 베트남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 문화를 더 깊이 이해할 뿐만 아니라 한국어를 공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n selecting items for Korean education through modern culture with intercultural approach. Traditional culture is important but modern culture is more important when you want to understand about Korean’s nowadays. Moreover, foreigners living in Korea are going up all the time so how they harmonize their culture and Korean culture in Korea is an important thing, too. Through intercultural approach, if you want to educate Korean culture, you should focus on things in common between two culture, not the difference. This study's subject is the second-year students of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in Vietnam. This study clasified Korean modern culture into 6 small items such as moral culture, language culture, art culture, living culture, system culture and festival culture but acording to Vietnamese students’ demand, 5 items were selected. 5 items are moral culture, language culture, art culture, living culture, system culture. This study will help Vietnam students not only to learn about Korean culture but also can learn Korean more sufficiently.

      • KCI등재

        1950년대 한국 펜클럽과 아시아재단의 문화원조-세계작가회의 참관기를 중심으로-

        박연희 ( Park Yeon-he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0

        스탠포드대학 후버 아카이브에 소장되어 있는 아시아재단(The Asia Foundation)의 한국 펜클럽 파일을 정리해 1950년대 미국의 문화원조가 한국문학에 끼친 공과를 고찰했다. 아시아재단은 전후 아시아 지역의 개인 및 단체를 후원하는 미국의 민간원조 단체로서 국제 펜클럽(International PEN) 한국본부 설치와 긴밀한 관련이 있다. 무엇보다 콜롬보회의를 중심으로 아시아적 연대, 비동맹국가의 평화 촉구가 일어나고 ‘예술원 파동’ 이후 문인의 경쟁과 파벌의식이 공고해진 1954년 무렵부터 한국 펜클럽에 대한 재단의 원조가 시작되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요컨대 아시아 중심의 국제정세 변화 및 새로운 한국 문단권력의 형성 등과 맞물려 아시아재단 문화원조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 펜클럽은 아시아-서구-세계라는 분절된 도식에 한국(문학)의 좌표를 재배치하며 자유 아시아의 표상을 경유하지 않고 한국문학=전후문학=세계문학이라는 논리를 익숙한 틀로 만들었다. 특히 펜클럽 멤버 대부분이 식민지기 『해외문학』 동인이자 외국문학자였던 배경에서 비록 펜클럽이 문단 헤게모니에서 밀려난 문학단체였어도 전후 학술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며 한국문학에 영향을 미친 사실은 간과할 수 없다. 펜클럽 문인들을 중심으로 1950년대에 비교문학, 번역문학이 활성화되면서 세계문학 개념이 한국문학의 전망을 평가하는 중요한 이념과 가치로서 강조되었다. 이것은 펜클럽 세계작가회의 참가 등의 국제적인 문화외교를 통해 펜클럽 문인들이 한국문학의 후진성 내지 세계 주변부로서의 종속적인 위상을 역전시키는 새로운 경험이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emplate the merits and demerits of cultural support for the Korean literature in 1950s by organizing the reports of the Asia Foundation which have been housed in the Hoover Institution Archives in Stanford University. As a non-governmental aid organization in America which gave support to individuals and groups in Asian region after the war, the Asia Foundation was closely involv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headquarters of the International PEN. The effect of the cultural support of the Asia Foundation was maximized within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and, going hand in hand, the new formation of literary power in Korea. However, the Korean PEN Club had justified the schema that equated the Korean literature with world literature through the medium of the Korean War not borrowing the representation of free Asia from America. This self-recognition was impossible without a dramatically new experience which enabled the Korean writers to reverse the subordinating or dependent status as marginal and its backwardness of Korean literary circle by participating international and cultural diplomacy like the World Writers’ Congress.

      • KCI등재

        영문 한국사 교재 A Concise History of Korea에 보이는 비교사적 서술의 한계와 교육적 효용성

        최수정(Choi, Soojung),박현숙(Park, Hyunsook) 고려사학회 2023 한국사학보 Vol.- No.91

        한국에 대한 세계적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영문 한국사 교재의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과거에 다양한 영문 한국사 교재가 출판되었는데, 이들은 서로 다른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사를 글로벌 시각에서 설명하기 위해 비교사적 방법론을 채택한 Michael Seth의 A Concise History of Korea를 분석하여, 이러한 비교사적 접근법이 외국 학생들에게 ‘낯선’ 역사를 전달할 때 갖는 교육적 의의와 한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Seth는 비교를 통해 한국사가 유사한 세계사적 패턴을 따랐음을 보여주는 한편, 한국사의 특수성을 부각시키려고 하였다. 그러나 한국사 서술에 있어서 중국・일본・서양과의 비교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경향을 보여줌으로써, 중국중심주의・유럽중심주의・오리엔탈리즘 등이 투영되어 있다. 또한, 비교사적 서술 방식에 몰두함에 따라 사실 오류, 지나친 단순화 및 맥락을 간과하는 등의 경향을 보였다. 한국사 연구자들은 영문 한국사 교재들이 비교사적 방법론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비판적이지만, 비교는 이해를 돕는 중요한 서술 방식이기도 하다. 비교사적 방법론은 한국사를 일국사를 넘어서서 바라보게 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외국 학생들의 이해를 높이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영문 한국사 교재를 만들기 위해서는 비교사적 방법론을 포함한 다양한 접근법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가져야 한다. 또한 외국 학자들과의 협업을 통해 외국 학생들의 수준과 요구에 맞는 영문 한국사 교재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With the heightened attention Korea receives globally, there is even greater need for English textbooks on Korean history. Numerous English books on Korean history textbooks have been published, each possessing distinct advantages. This paper analyzes Michael Seth’s A Concise History of Korea, which adopts a comparative method to explain Korean history from a global perspective, 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values and limitations of this approach when conveying “unfamiliar” history to foreign students. Seth demonstrates that Korean history followed similar global historical patterns through comparison, while highlighting its distinctiveness. However, he also demonstrates a tendency to excessively rely on comparisons with China, Japan, and the West in his description of Korean history, which reflects Sinocentrism, Eurocentrism, Orientalism, and other biases. Moreover, his focus on the comparative methodology leads to factual errors, oversimplification, and overlooking of contexts. Even though Korean scholars are generally critical of using the comparative method to present Korean history in English, it is no doubt that comparison is a powerful learning tool that aids understanding. Taking a comparative method can provide a broader perspective on Korean history beyond a national context. Therefore, Korean scholars need to show openness toward various approaches, including the comparative method, in order to create English textbooks that would not only enhance understanding but also stimulate interest in Korean history for foreign students. In addition, Korean scholars need to collaborate with foreign scholars to develop English textbooks that meet the levels and demands of foreign students.

      • KCI등재

        한국의 마케팅史에 관한 소고 :

        문병준(Byeong-Joon Moon) 한국경영사학회 2010 經營史學 Vol.55 No.-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경영사 연구의 한 부문으로서의 한국의 마케팅 역사에 관하여 고찰하는 데 있다. 한국의 마케팅 실무의 역사에 관한 기존 연구들로는 우선 한국의 마케팅 경영주체의 뿌리로서 인식되고 있는 개성상인에 관한 연구, 조선 후기 상업사 연구,일제 강점기 상업사 연구 등 대한민국 건국 이전의 상업사 전반에 관한 연구를 들 수 있다. 또 다른 연구흐름으로 마케팅 실무를 기능별로 크게 유통과 광고로 대별할 때, 한국의 유통사 연구와 한국의 광고사 연구를 들 수 있다. 또한 한국의 마케팅학의 역사적 연구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한국의 마케팅 전반에 대한 역사적 고찰은 미흡한 상황이다. 김용기(1986, 188)교수는 경영사의 기능을 “경영이 겪은 모든 범위에 있어서의 방책, 통제 및 조직을 포함한 매니지먼트의 여러 부문의 기본적 변화가 가지는 뜻을 밝히고, 그변화가 어떻게 해서 또 무엇 때문에 일어났는가에 대하여 이해하게 한다. 그리하여 경영의 본질적자체가 무엇인가를 밝힌다”고 언급한 바 있다. 이를 한국의 마케팅 실무에 적용하면 한국 마케팅사는 한국의 마케팅과 관련된 전략, 실행, 조직 등 한국의 마케팅 매니지먼트 상에 일어난 변화는 무엇이고, 그 변화의 이유는 무엇이며, 그 시사점은 무엇인가를 밝히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한국 마케팅 매 니지먼트의 변화, 변화의 이유, 및 시사점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기존의 연구에 대한 문헌연구를 토대로 하여 한국의 마케팅사를 분석하였다. 우선 마케팅사 연구방법론을 논의한 후 마케팅의 원조적 성격을 띤 상업과 마케팅간의 개념적 체계관계를 논의한 후 상업사를 고대 한국부터 일제 강점기까지 분석하였다. 그 후 마케팅을 크게 전략적 마케팅, 유통, 광고로 대별하여 각 분야별 역사를 변화, 변화의 이유, 시사점을 각각 분석하였다. 그간 경영사 연구에서 다양한 경영기능별 역사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고, 마케팅 내에서도 광고나 유통 등 세부적 영역에 대한 역사적 분석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져왔으나 마케팅 전반의 역사에 대한 연구는 다소 미흡하였는데 본 연구가 이를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probes into the marketing history of Korea as a branch of the business history of Korea. Previous research on the Korean marketing history includes research on general commerce history before the foundation of Republic of Korea such as research on Kaesung Merchant (Kim 2002; Ko 2005), commerce history of the late Chosun dynasty(Ko 2001; Park 2008), commerce history in the Japanese colony era(Ko1997; Kim 1992; Chung 1997). Another research stream includes research on Korean distribution history (Shon 2009; Lee 1995; Lee and Sung 2005; Cho 2002) and research on Korean advertising history (Kim 2002; Song 2007). Moreover, research on the history of marketing thought in Korea (Moon 2009) is also noteworthy. However, research on the overall Korean marketing history is sparse. Kim (1986,188) denoted as follows; “The function of business history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fundamental changes in diverse areas of business including management policy, control, and organization and explain how and why they did happen. Thereafter, it verifies the fundamentals of business management.” If we apply it to Korean marketing practices, it can be summarized as probing into following issues; What are the changes of Korean marketing management including marketing strategies, implementations, and organizations? What are the reasons of the changes?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he changes?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be into the historic changes of Korean marketing management, reasons of the changes, and implications of the changes. Previous research on business history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the history of detail marketing functions including advertising and distribution. Nevertheless, research on history of Korean marketing as a whole is rare and this research is first study pursuing the objective. Korean marketing history as a section of Korean business history may contribute to the internal deepening and external extension of Korean business history research. In particular, previous research has developed business history without even cla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erce and marketing.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the marketing history research by ascertaining the conceptual relationship between commerce and marketing. It may also contribute to the marketing history study by exploring the history of strategic marketing in Korea and analyzing the history of marketing as a whole that includes strategic marketing, distribution, and advertising.

      • KCI등재

        한류의 경제적 파급 효과

        황인석(In-Suk Hwang),김봉(Bong Kim),안성아(Sung-Ah Ahn)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6

        본 연구는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관점에서 중국 대학생들의 한국 대중음악 만족도가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여기서 한국 문화상품이란 한국 대중음악과 직접 관련이 없는 한국 관광, 한국어, 한국 태권도를 의미한다. 결과에는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가 한국 대중음악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 대중음악 선호도는 한류 호감도, 한국 호감도,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류 호감도는 한국 호감도의 매개를 거쳐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류 호감도가 한국 문화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직접 영향은 한계적으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economic ripple effect of Korean wave(Hallyu). Specifically,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how the satisfaction of Korean popular music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culture products such as Korea tour,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martial art(Taekwondo). These products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Korean popular music.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satisfaction of Korean popular music leads to the preference for Korean popular music, which in turn improves the liking of Korean wave(Hallyu), the liking of Korea, and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culture products. It is also found that the liking of Korean wave(Hallyu)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culture products, which is mediated by the liking of Korea. However,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iking of Korea and th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culture products is shown marginally significant.

      • KCI등재후보

        우즈베키스탄 진출 한국대학 내 한국어 강사의 해외근무 동기 요인 이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B5A0710360)

        오주연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1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5 No.2

        본 연구는 우즈베키스탄에 진출한 한국대학 내의 한국어 강사들의 우즈베키스탄 근무 동기 요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인적자원 선발 과정에서 필요한 근무동기요인 뿐만 인적자원 유지 관점에서 필요한 한국어 강사 선발요인 및 장기간 근무할 수 있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어 강사들과 대학 조직 내 한국어 강사 선발 권한이 있는 경영층에 대한 반 구조화된 인터뷰를 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어 강사들의 우즈베키스탄 근무동기요인은 1) 해외경험과 한국어 강사 경력을 위하여, 2) 배우자 직장 등으로 거주하다 우연한 기회에, 3) 우즈베키스탄 학업 목적으로 거주하다 우연한 기회에 일자리를 제안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 내 한국어 강사 선발 권한이 있는 관리자에게 성공적으로 한국어 강사를 선발하는 데 필요 요인을 인터뷰한 결과 1) 한국어 교육 경험 및 한국어 교육 전공, 2) 한국어 강사 자격증, 3) 시범 강의를 통한 강의평가, 4) 교육에 대한 열정과 흥미, 5) 우즈베키스탄 문화 이해, 6) 새로운 문화 수용 태도로 나타났다. 한국어 강사를 선발 후 오랫동안 근무하는 데 필요한 요인은 1) 대학 조직의 관리자들의 외국인으로 한국어강사들의 대한 이해, 2) 한국어 강사들의 다른 문화와 시스템에 이해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해외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칠 강사를 선발할 때, 선발요인으로 참조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실무적 연구에 시사점이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tivation factor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to work in Uzbekistan. This study investigated not only the motivation factors required in the human resource selection process, but also the selection factors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needed from the viewpoint of maintaining human resources and working for a long time. To this e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managers who have the authority to select Korean language teachers in the university organization. Specifically, the motivations for Korean language instructors to work in Uzbekistan are as follows: 1) For overseas experience and career as a Korean language instructor, 2) For an accidental opportunity while living with a spouse, etc., and 3) For studying in Uzbekistan and being offered a job at an accidental opportunity. As a result of interviewing a manager, factors necessary to successfully select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re found as follows, 1) Korean language teaching experience and having the relevant degree for Korean language, 2) Korean language instructor certification, 3) lecture evaluation, 4) Passion and interest in teaching, 5) Understanding of Uzbekistan culture, and 6) Acceptance attitude about different cultures. The factors necessary to work for a long time are 1) University managers’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and 2) Korean language instructors understanding of different cultures and systems.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will be important results that can be used as selection factors when selecting Korean language instructors to teach Korean language to foreigners in the future,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

        아시아재단의 “Korean Research Center(KRC)” 지원 연구-사회과학연구도서관(1956)/한국연구도서관(1958)/한국연구원(1964)으로의 전개를 중심으로-

        정종현 ( Jeong Jong-hy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0

        이 글은 스탠포드대학교 Hoover Institution Archives에 보관되어 있는 아시아재단 서류를 중심으로 미국의 민간 원조기구 아시아재단의 ‘Korean Research Center’에 대한 지원을 분석한 연구이다. ‘Korean Research Center’는 사회과학연구도서관(1956. 6. 2), 한국연구도서관(1958. 10. 11.), 한국연구원(1962. 4)으로 그 이름이 변했지만,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기관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민간 시민사회의 육성을 통해 공산주의를 저지하고자 했던 아시아재단은 한국지부의 가장 중요한 조언자였던 백낙준의 제안을 받아들여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이화여대 총장으로 구성된 이사회와 한국인 스태프를 둔 ‘Korean Research Center’를 설립하였다. 센터장에는 콜로라도 주립대학에서 한일 관계로 박사학위를 수여받은 Dong Chun(董天)이 임용되었다. 이 센터는 미국과 유럽의 각종 도서와 정기간행물, 한국 관련 연구서, 마이크로필름을 구매 혹은 기증받고, 식민지 이래의 한국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대학교수와 연구자, 대학원생 등에게 제공하는 ‘도서관 봉사’를 중심으로 출발하였다. 이후 한국학 관련 연구자에게 지원금을 수여하여 그 결과물을 ‘한국연구총서’로 간행하는 연구 사업이 추가되었다. 이외에도 에드윈 라이샤워 등의 대표적인 동아시아 연구자들의 초청강연과 좌담회 등도 중요한 사업의 하나였다. ‘Korean Research Center’ 지원은 1950년대 아시아재단의 가장 성공적인 프로그램 중의 하나였으며, 한국의 학술사회에 대한 그 공헌은 정당한 역사적 평가를 받을 필요가 있다. This is a study that analyzed a support of the Asia Foundation as the U.S. Nongovernmental Aid Organization for ‘Korean Research Center’ focusing on documents of the Asia Foundation that are kept in the Hoover Institution Archives at Stanford University. ‘Korean Research Center’ is the terminology of commonly naming the substantially same institution, which had been changed its name into Social Science Research Library(Jun. 2, 1956), Korean Research Library(Oct. 11, 1958), Korea Research Institute(Apr. 1962). The Asia Foundation established Korean Research Center, which has Korean staff along with the board of directors comprising 4 university presiden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by accepting the suggestion of Baek Nak-jun who had been the most important adviser of a Korean branch. An executive director of the center was appointed Dong Chun(董天) who was granted a doctorate on Korea-Japan relationship at Colorado State University. This center made a start by having the core function as a library, which purchases or is donated several kinds of books and periodical publications in America and Europe, Korea-related research papers, and microfilm, collects even Korea-related materials, which were produced in Japanese, and offers those things to university professors, researchers, and graduate school students. After this, a research project was carried out side by side, which presents the support fund to a researcher and then publishes its output as ‘Korea Research Series.’ ‘Korea Research Series’ was a learned book at the best level of the day and is a program that has been continued even until now. In addition to this, a guest lecture by the representative East Asian researchers such as Edwin O. Reischauer was also one of the important projects. A support for ‘Korean Research Center’ was one of the most successful programs in the Asia Foundation of the 1950s. Its contribution to academic society in South Korea needs to get the fairly historical perspectives.

      • KCI등재

        1950년대 말 아시아재단 서울지부의 연구 지원 사례연구 -고황경·이만갑·이효재·이해영의 『한국농촌가족의 연구』를 중심으로-

        심혜경 ( Sim Hye-kyong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연구 Vol.0 No.49

        고황경·이만갑·이효재·이해영은 아시아재단 서울사무소의 지원으로 1963년 『한국농촌가족의 연구』(서울대학교출판부)를 출간했다. 이 글은 스탠포드대학교에 보관되어 있는 아시아재단 서류를 참고해, ‘한국농촌가족의 연구’의 연구 지원의 과정을 추적해 통해 아시아재단 서울사무소 연구 지원의 배경, 목적 그리고 성과를 분석한다. 이 서류에 따르면 고황경은 1958년 아시아재단 한국 지부에 연구제안서를 제출하고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했고, 연구비 뿐 아니라 연구와 관련된 해외 학회 참여, 해외 학술서 제공, 통계 기계 사용 등의 다양한 지원을 받으면서 1963년 연구를 마쳤다. 당시 아시아재단은 자유 아시아 지역 공동체 개발 기획을 갖고 있었다. 전후 한국사회를 지원하고자하는 해외의 원조기관들이 알기 힘들었던 당시 한국 농촌의 실정, 가족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사회과학적 조사였기에 이 연구에 대한 재단의 지원은 열정적이었다. 이들의 연구는 한국 사회를 실증적으로 조사한 첫 시도였을 뿐 아니라 한국 사회학에 미국식 구조기능주의 즉 사회조사방법론을 도입한 작업이기도 했다. 고황경 팀의 연구는 사회학 연구 진영에서의 후학 양성을 해 한국 학계에 기여하고 재단과 대학 간의 연구 협력의 실효성을 입증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확보하게 되었다는 성과를 내면서 아시아재단 한국지부 연구 지원의 성공 사례가 되었다. With the backing of the Asia Foundation Seoul office, Koh Hwang-gyong, Lee Man-gap, Lee Hyo-jae, and Lee Hae-yŏng published the Rural Family Life Survey(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Department) in 1963. By referencing Asia Foundation documents held at Stanford University, this paper traces the history of rural family life survey support and analyzes background details of research support offered by the Asia Foundation Seoul office in addition to its objectives and achievements. According to these documents, In 1958 Koh Hwang-gyong submitted a research proposal to the Korean office of the Asia Foundation that argued the necessity of research. Receiving various forms of support, not only research funds, but the ability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conferences, the provision of reports about international research, and the use of statistic machines, they completed their research with the publication of their book in 1963. At that time, the Asia Foundation had a free Asian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 Because this was a survey about the conditions of rural Korea that also compiled statistics about the family, two areas that had proven to be difficult to assess by international aid organizations who sought to support Korean society, this research received enthusiastic support from the foundation. Their research were not only the first attempt to empirically investigate Korean society, but also the introduction of American structural socialism, i.e., social research methodology in Korean sociology. The research conducted by Koh’s team contributed to Korean academia by helping to train junior scholars in the field of the social sciences, proving not only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foundation and universities, but also leading to the acquisition of objective knowledge about Korean society, and is therefore a successful example of support by the Korean office of the Asia Foundation.

      • KCI등재

        5․16에 대한 한국 기독교의 인식과 대응 – 한국기독교연합회(NCC)의 활동을 중심으로

        강성호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22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56

        May 16 raises the sharpest question in Korean modern history. This is because the view of Korean modern history varies depending on whether May 16 is regarded as a coup or a revolution. This difference is related to the polarization of the evaluation of President Park Chung-hee. The difference in evaluation surrounding May 16 provides a decisive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Korean modern history and further Korean society. In this regard, May 16 is like the litmus test paper of Korean modern history. When May 16 occurred, it was the The National Christian Council(NCC) that responded most quickly. Korean Christianity, including the NCC, vaguely recognized that May 16 contained the possibility of dictatorship, but expected massive social reforms to take place, with anti-communist systems established and corruption disappearing through May 16. Behind the support of Korean Christianity on May 16, there was a resonance for the fact that the human composition of the military forces was pro-Christian, the opposition to the scene regime that was usually perceived as a Catholic regime, and the theory of human reformation emphasized by the military forces. For this reason, even progressive Christian intellectuals took a cooperative attitude in the early days of the military administration. However, expectations for May 16 led to disappointment with several things. Above all, Korean Christianity considered that the issue of Lord`s Day, the core of collective identity, was greatly violated by military forces. The bigger problem was the conflict over the transfer of civil government. The biggest reason why Korean Christianity initially supported May 16 was that it believed that the military government would be temporarily implemented. From 1961 to 1963, support and expectations for May 16 turned into disappointment and distrust. This change in position served as a factor for Korean Christianity to participate in the Movement against th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and response of Korean Christianity to ‘May 16’ is difficult to dismiss as a simple problem of cooperation in ‘Coup’. 5·16은 한국 현대사의 가장 첨예한 질문을 던진다. 5·16을 ‘쿠데타’로 볼지 아니면 ‘혁명’으로 평가할지에 따라서 한국 현대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평가가 극과 극으로 나눠지는 것과 관련이 있다. 5·16을 둘러싼 평가의 차이는 한국 현대사, 더 나아가 한국 사회를 이해하는데 결정적인 단초를 제공한다. 이런 점에서 5·16은 한국 현대사의 리트머스 시험지와 같다. 5·16이 발생하자 가장 기민하게 대처한 건 NCC였다. NCC를 위시한 한국 기독교는 5·16이 독재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어렴풋하게 인지하고 있었지만, 5·16을 통해 반공 체제가 확립되고 부정부패가 사라지는 등 대대적인 사회개혁이 일어나기를 기대했다. 5·16을 지지한 이면에는 군부 세력의 인적 구성이 친기독교적이라는 점, 평소 ‘가톨릭 정권’으로 인식한 장면 정권에 대한 반발, 군부 세력이 강조한 인간개조론에 대한 공명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진보적 기독교 지식인들조차 군정 초기에 협력적인 태도를 취했다. 하지만 5·16에 대한 기대는 몇 가지 일을 계기로 실망으로 이어졌다. 무엇보다 한국 기독교는 군부 세력에게 집단 정체성의 핵심인 주일성수 문제를 크게 침해받았다고 여겼다. 더욱 큰 문제는 민정이양을 둘러싼 갈등이었다. 애초에 한국 기독교가 5·16을 지지한 가장 큰 이유는 군정이 일시적으로 실시될 것이라는 믿음을 가졌기 때문이다. 1961년에서 1963년으로 넘어오면서 5·16에 대한 지지와 기대는 실망과 불신으로 바뀌어갔다. 이러한 입장 변화는 한국 기독교가 한일회담 반대운동에 참여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즉, ‘5·16’에 대한 한국 기독교의 인식과 대응은 ‘쿠데타’에 대한 협력이라는 간단한 문제로 치부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 KCI등재

        미국 ‘제1세대 한국학자’의 해방 전후 한국 인식-조지 맥아피 맥큔의 Korea Today를 중심으로-

        김서연 ( Kim Seo-yeo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8

        이 글은 조지 맥아피 맥큔(George M. McCune, 1908~1948)의 저서 Korea Today에 나타난 그의 한국 인식을 다룬다. 맥큔은 종전 후 자신의 학문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미국 학계에 ‘제1세대 한국학자’로서 정착하고자 했다. 맥큔은 전쟁 전후 한국에 대한 미국의 관심을 환기하려 노력했다. 미국의 지역연구 흐름에서 한국에 대한 수요나 관심은 낮았지만, 맥큔은 한국학자로서 자신의 고유한 영역을 확보하려 노력했다. 그는 국무부 극동국에 한국문제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 개설을 제안했으며, 모교 버클리대학에서 사망하기 전까지 3년 동안 한국사·극동외교사·한국어 등을 강의했다. 또한 극동 관련 학술지(FEQ, FES, PA)에 한국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로 많은 글을 투고했다. 한편 그는 1882년 체결된 조·미 수교 관련 자료를 해제하기도 했다. Korea Today의 집필 및 출판은 단지 맥큔의 개인적 연구 경력뿐만 아니라 1940년대 미국 제도권 학계가 지역연구에 보인 관심과 맞물려있었던 것이다. Korea Today는 일종의 한국 관련 자료집의 성격을 갖고 있었으며, 해방 후 남북한의 정치·경제적 상황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다만 책의 구조상 남·북한의 대칭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전체적으로 남한의 상황과 미군정의 정책 분석이 서술에서 상당한 부분을 차지했다. 소련 및 북한 관련 자료의 부족으로 내용이 다소 불균형해진 점은 ‘미국 지식인’으로서 맥큔이 마주한 한계였다. 맥큔은 일제 식민통치의 경제적 착취성을 전제로 하되 한국 정치의 낙후성이 경제발전을 가로막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만 기존 선교사 출신들이 한국 정치의 분열성을 한국인의 기질과 연관시켜서 분석했다면 맥큔은 이를 능력의 부재가 아닌 경험 부족이라는 의견을 분명히 했다. 또한 한반도에 수립될 정치·경제체제에 대해서는 궁극적으로 자본주의 도입 후 산업화로의 이행 및 미국식 자유민주주의가 수립되어야 한다는 신념을 견지하며 미국 제도권 학계 지식인의 면모를 보였다. 한편 맥큔은 한국인들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통일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는데, 이는 한국인들에 대한 그의 심정적 공감이 반영된 것이었다. Korea Today는 한국에 관한 관심이 저조한 1950년대 초반에 발간되어 사람들의 흥미를 제고시켰으며, 한국학 연구의 공백을 메웠다. 또한 사료의 활용·검증 측면에서 ‘한국 전문가가 쓴 역사 개론서’라는 위상을 공고히 했다. 더불어 Korea Today의 간행은 미국 한국학의 출발 시점이 기존 연구자들이 제시한 1950년 초에서 2차대전 종료 직후로 당겨짐을 시사한다. 맥큔의 한국 인식은 미국 제도권 지식인의 사고와 한국·한국인에 대한 심정적 동조가 혼재되어있는 다층적 면모를 보인다. 맥큔의 한국 인식의 특수성이 유년기 한국 경험에서 나온다는 점으로 미루어보아, 맥큔과 유사한 경험이 있는 다른 ‘제1세대 한국학자’들의 한국 인식도 함께 살펴봐야 더욱 포괄적 분석이 가능하리라 생각한다. 이는 기존 친한·반한의 이분법적 틀을 넘어 맥큔과 같은 인물들이 가지는 다양한 정체성을 고찰하기 위함이다. This article examines George McAfee McCune’s view on Korea through his book Korea Today. After WWⅡ, McCune wanted to establish himself as a "first-generation Korean scholar" in American academia based on his academic expertise. Around war time, he put a lot of effort to make U.S. get interested in Korea. Although researches in the U.S. Area Studies had little interest in Korea, McCune tried to secure his own territory as a Korean scholar. He suggested to the Far Eastern Bureau in the State Department to open a new program for training experts in Korean issues, and lectured on Korean history, Far East diplomatic history, and Korean for three years before his death at his alma mater University of Berkeley. He also contributed many articles to the journal(FEQ, FES, and PA) on various topics related to Korea. Meanwhile, he published a book dealing with Treaty of Peace, Amity, Commerce and Navigation,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The publication of Korea Today was not only for as a historian, but also related with the interest of American institutional academia in Area Studies in the 1940s. In Korea Today he analyzed the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s of Korea, which was divided after after liberation. Even though the structure of the book requires a symmetrical analysis of the South and the North, overall, the analysis of the situation is mainly about the South Korea and the policy of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It was McCune’s limitation as an “American intellectual” that the contents were disproportionate because resources from the Soviet Union and North Korea were inaccessible for him. McCune argued that the economic exploitation of Japanese colonial rule on Korea wa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underdeveloped Korean politics was preventing economic development. According to McCune, however, if missionaries had lived in Korea long enough to analyze analyzed the divisiveness of Korean politics by linking it to the temperament of Koreans, it would be clear that it was not a lack of ability but a lack of experience. Regarding the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to be established on the Korea, he maintained his belief that ultimately, after the introduction of capitalism, the transition to industrializ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American-style free democracy should be established, which shows the aspect of intellectuals from the America’s institutions. Meanwhile, McCune argued that unification would be essential for Koreans to be happy, reflecting his emotional sympathy for them. Korea Today was published in the early 1950s when the U.S. academic interest in Korea was low, raising people's interest and filling the gap in Korean Studies. It also solidified its status as a “History book written by the Korean expert” in terms of the use and verific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addition, the publication of Korea Today suggests that the starting point of Korean studies in the U.S. will be moved from early 1950 to right after the end of the WWⅡ. McCune’s view on Korea shows a multi-layered aspect of the thoughts of intellectuals in the American institutional academia and the emotional sympathy for Korea and Koreans.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unique features of McCune’s view on Korea derived from his experience in Korea when he was young, it is necessary to analyze comprehensively the views on Korea of other "first-generation Korean scholars" who have similar experiences with McCune is necessary. This article to look beyond the existing dichotomy between pro-Korean and anti-Korean, and to examine the various identities of characters like McCu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