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평창동계올림픽의 대테러관계법과 테러안전대책 방안

        김두현,김광현 한국스포츠학회 2016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4 No.3

        이 논문은 평창동계올림픽에 대한 테러의 관계법 및 환경을 점검 분석하여 성공적인 평창동계올림픽 개최가 될 수 있도록 문헌적 연구와 실무적 경험을 기초로 하여 대테러관계법의 발전과 테러안전대책을 강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 다. 첫째, 폭발물테러 등 불안전한 환경의 극복을 위해서는 테러방지법이 실효성 있게 적용 되어야 한다. 둘째, 상시법으 로 가칭 “스포츠안전통제조직의 안전기본법”의 제정과 경찰관직무집행법상 요인경호행위 및 경호구역 지정의 개정 등이 필요하다.셋째, 올림픽과 관련하여 국가중요시설, 다중이용시설 등 인적 ․ 물적 ․ 지리적 위해요소에 대한 정보의 수집과 분석을 통해 테러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해야 한다. 넷째, 적절한 대테러조직의 편성과 12개의 경기장(평창, 강릉, 정선) 임무분담 및 책임 그리고 정확한 경호대상의 판단과 전문소요인력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안전한 행사를 위한 4선 경호개념의 도입과 안전장비 및 시설의 첨단과학화와 통합화를 기해야 한다. 여섯째, 핵 등 최첨단무기 에 대응한 사드 등 장비구입과 배치 및 운영요원의 확보대책이 이루어져야 된다. 일곱째, 동계올림픽 개회식 등 주요행 사의 경호안전에 대한 총괄적 조정통제는 대통령경호실장과 국가정보원장이 실시하되 안전에 관하여 각 지역적 특성에 맞는 권한과 책임을 경찰청장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부여하여야 한다. 끝으로 대테러관계자의 경호 및 스포츠안전 관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교통통제나 차량2부제 등 국민에게 불편사항들을 사전홍보로 국민의 자율참여와 협조를 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ek for the countermeasures for the terror safety and the development of anti-terror law checking the terror related laws and the environment about the Pyeongchang Olympic Winter Game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the hands-on-experience in order to have a successful Olympic Winter Games. First, the Enactment of Anti-terrorism Law has to be applied effectively in oder to overcome unstable environment such as explosives terror. Second, as a formal law, the enactment of "Fundamental Safety Law of Sport Safety Control Organization" (provisional name) and the acts for VIP guard and the designation of guard area are to be revised by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Third, the possibilities for terror has to be prevented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information on the human, material and geographical risk factors for national major facilities and multi-use facilities which is related to Olympics. Forth, forming the adequate Anti-terror organization and the assignment and responsibilities on the 12 stadiums(Pyeongchang, Gangneung and Jeongseon) and the judgement of accurate protectee and securing the operation specialist are needed. Fifth, adopting the concept of 4-layer guard for safe event and facilities' modernization and integration have to be made. Sixth, the purchasing, installation and the securing the operational personnels for high-tech weapons like THAAD and so on for coping with nuclear weapon. Seventh, the overall controlling for the opening ceremony of Olympic Winter Games has to be done by the chief officer of the presidential security and the head of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But for the safety, it should be entitled to the chief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a local government head about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considering its regional characteristics. Lastly, to guard for the person in charge of anti-terrorism and the education for the Sport Safety Management have to be reenforced. And through prior notice to the nationals, voluntary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have to be induced for the traffic control and the 2-day car rotation system which will cause inconvenience.

      • KCI등재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과 사이버공격 -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사이버안전본부’설치를 위한 개념적, 규범적 접근 -

        최은하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6 경찰학논총 Vol.11 No.1

        일반적으로 ‘사이버공격’의 개념이 반드시 명확한 것은 아니나 그 보호대상 즉 평창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라는 목적에서 적절한 범위의 사이버공격에 관한 대책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도 평창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라는 특별목적을 위하여 - 사이버공격에 대한 좀 더 적극적인, 광의적 차원의 예방 개념적 설정을 하였다. ‘광의의 사이버공격’의 개념을 ‘협의의 사이버공격’과 사이버범죄를 행하기 위한 사이버상의 공격 이외에도 직접적인 사이버공격과 간접적인 사이버공격을 포함하는 차원에서 이를 재분류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2018 평창올림픽법과 기타 사이버공격관련 법령에는 평창올림픽에서의 사이버공격을 대비한 규정이 없다. 따라서 평창올림픽과 사이버공격에 관한 모든 규범적 관점은 원칙적으로 평창올림픽의 정상적 개최 및 원활한 운영을 유지하는 데에 그 초점을 맞추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II 사이버공격과 평창올림픽에서 그 기본개념을 재검토하고, III 평창올림픽과 평창올림픽 사이버안전본부에서는 국가안전과 관계된 정보통신망 뿐만이 아니라 광의의 사이버공격에 대비한, 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에 필요한 모든 공적, 사적 영역에서의 직・간접적인 사이버공격에 대한 방어대책이 예방적,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적인 비상체제 기구의 설치로서 콘트롤타워 즉, <평창올림픽 사이버안전본부>의 설치가 시급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향후 한시법, 특별법 또는 그 위임으로서 평창올림픽의 정상적 개최 및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사이버안전본부를 규정한다면, 그러한 평창올림픽 관계법령의 규범적 특징과 법령적용의 현실은 긍정적으로는 추후 일반법으로서 사이버테러방지법의 입법적 타당성을 충분히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Regarding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or the special purpose of the successful hosting of the event, this paper seeks to make some policy suggestions for the prevention of cyber attacks in a more active way and in a broad sense based on conceptual and legal search. The broad concept of cyber attacks include attacks on cyber crime and cyber for carrying out the narrow sense cyber attacks. In addition, it was reclassified in terms of cyber attacks, including indirect and direct cyber attack. The current law on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does not stipulate the prevention of cyber attacks in the Winter Olympic Games in Pyeongchang. The Article 3 of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is law just stipulates that the counter-terrorism・ contingency planning committee has <the counter-terrorism・ contingency planning headquarters> in order to handle practical business matters. This absence of legislation appears to be based on the viewpoint that the presidential instructions of 'the national cyber security management regulation' are enough to cope with cyber attacks. However, to prepare prevention measures of direct and indirect cyber attacks in every private and public area required for the successful hosting of the Olympic Games by preparing for cyber attacks in a broad sens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more comprehensive organization for the emergency system. Therefore, it is urgent to set up a control tower, that is, <the headquarters for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attacks (terrors) in Pyeongchang Winter Olympics>. If a future regulatory Cyber Security Division, because the view of legislative validity of cyber-terrorism Act to be able to raise sufficient.

      • KCI등재

        IOC의 "올림픽" 명칭에 대한 법률적 권리 연구

        오지윤 ( Ji Yoon Oh ),조광민 ( Gwang Min Cho ),김홍렬 ( Hong Ryol Kim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4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4년여 밖에 남지 않은 현 시점에 ‘올림픽’ 명칭이 국내에서 법적으로 어떻게 보호받고 있는 지 조사하기 위해 관련 법령·협약(올림픽 헌장, 상표법, 국민체육진흥법,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유치도시계약서, 마케팅플랜협약서 그리고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을 검토하였다. 실제‘올림픽’ 상표 등록 현황을 조사하기 위해 특허청의 특허 정보넷 키프리스를 통해 국내 올림픽 관련 상표 등록 현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자가 관련 업무 현업 마케팅 담당자로 근무 당시의 실제 경험 사례 자료를 소개함으로써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가장 기초적이지만 가장 중요한 ‘올림픽’ 명칭의 소유권과 관련 법적 정보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국제올림픽위원회, 평창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대한체육회, 그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 관계를 유지하면서 올림픽 자산이 지속적으로 보호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한다. 첫째, ‘올림픽’명칭은 IOC의 자산이며 국내에서 ‘올림픽’ 명칭의 사용은 법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둘째, 단독 ‘올림픽’ 명칭의 상업적 활용은 TOP 파트너사만의 권리이다. 셋째, ‘올림픽’ 명칭 사용을 승인 받지 않고 사용 시, 위반에 따른 법적 조치를 받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how the ‘Olympic’ designation is protected under Korean legal registration. The PyeongChang 2018 Winter Olympic Game is less than 4 years left but there are no previous studies on the ‘Olympic’ related intellectual properties (IP) rights in Korea. The laws such as Trademark Act,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Special Act on support, etc for PyeongChang 2018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were reviewed and the internet-base patent document search service (KIPRIS, owned by Korea Institute of Patent Information) was used to search the ‘Olympic’ IP applications, legal status information and trial information on ‘Olympic’ designations. Also, as the researcher worked at the Korean Olympic Committee as well as is working at the PyeongChang Organising Committee for the 2018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POCOG) as Marketing Manager, her experience was also shared in this study. Results from the study makes several contributions for the success of the PyeongChang 2018 as it provides the basic legal information on the ‘Olympic’ designation. First, the ‘Olympic’ and its related intellectual properties are owned by the IOC and it is fully protected in Korean legislation under the trademark act and Olympic Special Act. Second, the sole usage of the ``Olympic`` designation is only allowed to the TOP partners for the commercial purpose under the Host City Contract and Marketing Plan Agreement. Last, the breach of its usage without the approval from the IOC or POCOG can be punished by imprisonment or by a fine under the trademark Act and Olympic Special Act.

      • KCI등재

        평창 동계올림픽경기장 관리 위・수탁 운영을 위한 법제도적 검토

        강일원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9 스포츠와 법 Vol.22 No.3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the Paralympics were successful events acclaimed by the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IOC) and foreign media; It not only brought the flawless operation and good performance, but also resumed sports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by their joint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leagues and North joining South’s domestic competition and friendly matches, ultimately setting the stage of for peaceful restor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reasing role of and the need to expand facilities for National Sports Center, the Olympic Stadium has become a very beneficial legacy to satisfy the public request. If operated and managed efficiently, it will be able to accomodate the public desire and participation for physical activities as well as to meet the demand and requirement to create public sports facilities by local residents and governments. To maximize the use of the stadium after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Gangwon Province has investigated and analyzed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s that will affect various fields such as social, cultural, tourism and stadium facilities, and even sought to secure funds to establish a sustainable business model. Although local governments do have laws for the operation of stadiums depending on the sports facilities, it is highly positive that the Olympic Stadium with diverse functions and safety nets provided efficient way to operate the sports facility for a variety of programs. In the 1990s, when resident-friendly sports center project began, it was necessary to provide people with equal opportunities for sports activities by expanding the exercise space; however, now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increased level the public demands to make the facilities more convenient to reach from the living areas. It is time to develop a business model with diverse sources of revenue as well as an efficient management system for the stadium that reflects many different socio-economic environments, changes in life sports demand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Although Korea has laws and regulations for the operation of winter sports stadiums, it is expected to set the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for various issues specifically regarding the use of the Olympic venues to deliver not only sports function but also social, cultural, and artistic values and roles as a community space. 평창 동계올림픽・패럴림픽 대회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를 비롯하여 외신들까지 호평했던 성공적인 대회와 동계행사 사상 최대 규모, 무결점 대회 운영과 흥행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남북 체육교류를 재개함으로서 국제대회 공동 출전, 국내대회 북한 참가, 친선 경기 등 남북관계의 평화적 복원 기틀을 마련하였다. 최근 국민체육센터 역할 및 시설확충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이와 같은 올림픽 경기장은 범국민적으로 요구되어진 현실의 상황에서 매우 유익한 유산이 되었다.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관리되어진다면 국민들의 체육활동 욕구충족 및 참여도의 증가는 물론이고, 향후 공공체육시설 조성에 대한 주민의 수요와 지방자치단체의 공공체육시설 조성 요구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올림픽유산 관리를 위한 구체적 운영방안과 경기장 운영의 관리주체별 장・단점에 대한 검토 및 비영리법인 위탁방식에 의한 동계스포츠경기장 관리 위・수탁 협약서(안)에 반영되어야 할 고려사항을 제시하고자 한다. 강원도는 경기장 사후활용 극대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으로 평창 동계올림픽 이후 사회 문화・관광, 경기장 시설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남겨질 유・무형의 유산을 조사・분석하고,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방향 수립에 필요한 재원확보 방안까지 모색한바 있다. 이는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체육시설에 따른 경기장 운영 관련 법규를 마련하고 있지만, 올림픽이 개최된 경기장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기능과 스포츠 경기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망을 갖추고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기초로 한 체육시설의 운영과 관련된 효율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 할만하다. 결론적으로 올림픽 유산관리를 위해서 관리・운영 체계 구축방안으로 올림픽 경기장 시설별 효율적인 관리주체와 관리형식을 결정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하고, 관리주체 및 관리형식은 유산 유형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개정된 “스포츠산업진흥법”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비영리법인에 대한 위・수탁계약 시 다양한 수익사업(스포츠관련 상품 할인점, 레스토랑 입점, 지역 체육인을 위한 시설물 및 사무 공간 대여 등)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수익사업을 위한 시설물과 관련된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스포츠산업을 위한 국가의 지원정책을 실현하기 위해 “스포츠산업진흥법”을 제정한 만큼 스포츠산업의 부가가치를 가져오는 방안도 함께 다각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주민밀착형 국민체육센터 사업을 시작한 1990년대에는 기본체육시설이 부족하였음으로 공급 확대와 균형 공급을 목표로 지역주민들의 생활체육 공간 확충을 통한 균등한 체육활동 기회 제공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높아진 국민들의 요구수준을 반영하고 생활권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수요자 중심 시설공급정책으로 전환이 필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올림픽의 유산인 경기장을 사회・경제적 환경 및 생활체육 수요변화 및 각 지역별 특색을 적용할 수 있는 만큼 효율적 관리시스템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익구조를 창출할 수 있는 지속적인 비즈니스모델개발이 필요로 할 때이다. 동계스포츠경기장 운영 관리 조례 및 시행규칙이 마련되어 있기는 하지만, 스포츠 활동 기능 뿐 아니라 문화예술, 지역공동체 공간으...

      • KCI등재

        올림픽 앰부시 마케팅의 유형과 법적 규제

        오지윤 ( Ji Yoon Oh ),정새봄 ( Sae Bom Jung ),원도연 ( Do Yeon Won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4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9 No.6

        본 연구는 2010밴쿠버동계올림픽, 2012런던올림픽 그리고 2014소치동계올림픽 대회 기간 중 국내에서의 올림픽 앰부시 마케팅 사례를 통해 올림픽 앰부시 마케팅 유형과 관련 제재 법령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질적 연구로 연구자가 관련 업무의 현업 마케팅 담당자로 근무 당시 수집 및 분석한 자료와 대회 기간 중 집중 모니터링 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올림픽 앰부시 마케팅 유형은 올림픽 지식재산을 사용한 앰부시 마케팅 유형과 올림픽 지식재산권을 사용하지 않은 순수 앰부시 마케팅 그리고 대회 참가자(선수 등)를 활용한 앰부시로 나누었으며, 각 유형별로 상표법, 국민체육진흥법,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법에 관한 법률,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회 및 장애인동계올림픽대회 지원 등에 관한 특별법 등이제재 법령으로 검토되었다. 일부 법적으로 제재 할 수 없는 미등록된 상표 및 순수 앰부시 마케팅은 특별법의 개정안을 제안하며 공식후원사의 권리 보호 방안을 소개하였으며 특허청의 특허 정보넷 키프리스를 활용하여 올림픽 관련 상표 등록 현황을 분석하였다. 다양한 자료 조사를 통한 연구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올림픽 응용지식재산 일부는 상표등록이 되어있고 일부는 상표 등록이 되어 있지 않기에 더 완벽한 보호를 위해 추가적으로 등록 또는 특별법이 추가 개정되어야 한다. 둘째, 보통 명사들 간의 조합을 금지하는 조항이 특별법에 개정되어야 한다. 셋째, 대회 참가자들은 올림픽 헌장을 준수할 의무가 있으며, 대회조직위원회와 국가올림픽위원회는 올림픽 지식재산을 보호해야하고 위반에 따른 법적조치를 취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he typology of Olympic ambush marketing based on the Games in Vancouver 2010, London 2012 and Sochi 2014 in the non-hosting country, Republic of Korea. It also reviews respective laws (Trademark Act,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Special Act on support, etc for PyeongChang 2018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upon the types of the ambush marketing. The study also recommends how the laws shall amend for protecting the future ambush Olympic marketing.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is used as it analyzed the ambush marketing monitoring results conducted by the KOC and POCOG. The research defined three types of the Olympic ambush marketing: 1) Using Olympic intellectual properties 2) Using non-Olympic intellectual properties, and 3) Using images of the Olympic Games`` participants. For the usages on the Olympic/PyeongChang 2018 designations, Olympic rings and PyeongChang 2018 emblems are legally protected under the law. For the non-Olympic intellectual properties, the amendment on the Special Act on support, etc for PyeongChang 2018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is recommend for the success of the PyeongChang 2018 Games.

      • KCI등재후보

        동계올림픽 개최발표가 강원도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발전에의 시사점

        김주영 대한지방자치학회 2013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4 No.4

        올림픽과 같은 메가이벤트가 개최도시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분석은 많이 이루어졌 으나 상대적으로 메가이벤트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연구들은 많지 않았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동계올림픽 개최발표가 개최도시의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올림픽 게임의 개최나 개최발표는 개최도시의 주택가격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주택가격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니었다. 그것은 개최도시의 주택시장 여건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본 연구는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발표가 강원도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개최발표 전후의 5분기 동안 강원도 아파트 실거래가격을 구축하여 이중차분모형을 통해 개최발표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평창동계올림 픽 개최발표는 강원도 아파트가격을 2.2%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으며 올림픽 개최가 개최도시 아파트가격에 미친 순수효과는 18.8%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Compatibility of IOC Rules and Regulations with the national laws of South Korea - Relating to the Olympic Winter Games 2018 in Pyeongchang -

        김은경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7 스포츠와 법 Vol.20 No.4

        The 23rd Olympic Winter Games 2018 in Pyeongchang will be held from 9 February (Fri) ~ 25 February (Sun) 2018 in Pyeongchang as well as in Gangneung and Jeongseon with about 100 countries, 15 winter sports, and 102 games. In the meantime, a lot of preparation has been done for the Olympic Winter Games in Pyeongchang, which basically has been progressed based on the intent to realize the Olympic spirit and the unity of the world through sports and altogether founded on the IOC regulations. To defend this IOC regulation, the Republic of Korea enacted a support legislation for the successful hosting of Olympics called 'Special Act on Support for the 2018 Pyeongchang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The Pyeongchang Olympics Act)' as Law no. 11226 on 26 January 2016. This law underwent its 17th revision on 28 May 2016 and is continuing so up to the present. The IOC Charter enacts the Ground norm of the organization called IOC from legal perspective, and the authority of IOC is granted in accordance with the IOC Charter.Han, Hee-Won, A Study on the Olympic Movement and the Olympic System, Chung-Ang Lawreview, 2010(Vol. 12 Nr. 1), p. 318. Domestic law is enacted within the sphere of protecting the range of purpose pursued by the IOC Charter and the Olympics ideology. The legislation or revision of Olympics relative laws should consider that the legal status of the IOC Charter is not a constitutional legislation with a strong binding force bu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soft law. The IOC charter Article 2 regulates mission and role of the IOC, and the paragraph 8 of this article is specifically talks about its role "to protect clean athletes and the integrity of sport, by leading the fight against doping, and by taking action against all forms of manipulation of competitions and related corruption." However the Pyeongchang Olympics Act has no specific compliance regulation for this case. Only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has a symbolic regulation. There are no rules about the follow-Up utilization of Olympics Facilities. Fortunately, the Pyeongchang Olympics Act Article 7 also stipulates anti-terrorism and safety management policy. Act 6 of Pyeongchang Olympics Act regulates Korean Peninsula peace and the organization of unitary inter-Korean team. This regulation contains a peaceful meaning and complies with sportsmanship in the IOC Charter. It is evaluated as having more declaratory meaning than realistic aspect, but it seems to be a very crucial regulation since the resolu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conflict and the experience of mutual cooperation enhancement cannot be totally disregarded in the long journey to peaceful unification. Mainly focusing on Pyeongchang Olympics Act,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Support Act, this discussion analyzed its legal coherence with the IOC Charter as well as other related regulations in Korea. From the position of the host of a large scale international sports event, the regulation has been considered from various angles. It seems necessary to study problems and legislate the Sports Framework Act which will be applied after this Winter Olympics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 of the IOC charter, and hopefully the legislative suggestion will be reflected.

      • KCI등재후보

        대규모 국제행사 테러대책 발전방안

        전종섭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 2019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지 Vol.9 No.-

        각 국가는 올림픽·월드컵 등의 대형 국제행사를 유치하기 위해 막대한 비용을 투자하 고 있다. 이는 국가의 외교·정치 발전은 물론 관광·문화 등 소프트파워 성장과 경제적 이득 등으로 긍정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2000년 들어 체육·문화 등 많은 분야에서 대규모 행싸 개최가 급증하는 추세에 있다. 하지만 국제적인 이목이 집중되는 대규모 행사의 경우 테러단체의 집중 타깃이 되어 왔기 때문에 각 국가들은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여 안전대책을 강구하여 왔다. 이 연구는 대규모 국제행사에서의 안전활동을 수행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 개최된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운영된 대테러대책을 살펴보고 긍정적인 부분 과 부정적인 부분을 파악하여 발전적인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드론안전, 질병관리, 사이버대응 등 새로운 형태의 안전위협에 대비한 철저한 대책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예산 또는 기술적 한계 그리고 상상력 부족에서 나타난 문제점 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조직위와 정부 컨트롤 타워인 대테러안전대책본부와의 협력에서 다소 미흡한 점이 나타났다. 이에 기관들 간의 협조관계를 더욱 심화시키면서 책임 분담을 명확히 하는 MOU체결 및 민간안전인력활용 확대와 노하우 및 첨단장비, 사전교육 등의 발전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안티드론, 사이버대책, 질병안전, 민간경호·경비업의 발전 등이 이루어길 기대한다. Each country is investing enormous costs to attract large international sports events such as the Olympic and World Cup. This is because the positive ripple effect is due to the development of diplomacy and politics, as well as soft power growth and economic benefits such as tourism and culture. In 2000, large events held in many fields such as sports, conferences, and cultures have increased rapidly. However, in the case of large-scale events that attract international attention, terrorist groups have been the targets of focus, so each country has taken safety measures with an astronomical budg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conduct safety activities at large-scale international events. We will look at counter-terrorism measures operated at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held in Korea and identify the positive and negative parts and suggest developmental measures. As a result, thorough countermeasures against new types of safety threats such as drone safety, disease management, and cyber response were not made, and problems found in budget or technical limitations and lack of imagination were found. There was also a slight lack of cooperation with the organizing committee and the counter-terrorism headquarters, the government control tower. In this regard, cooperation between the institutions was further deepened, MOUs were established to clarify the division of responsibilities, expansion of the utilization of private safety personnel, and the development of know-how, advanced equipment, and advance education. We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the security industry.

      • KCI등재후보

        남북경협 활성화를 위한 북한의 법제 개선방향

        최은석 법무부 2019 統一과 法律 Vol.0 No.40

        National attention is rising as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ordered the removal of South Korean-built facilities at the Mount Geumgang Resort on October 23, 2019. As two Koreas entered a thaw in relations since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held in February 2018, the inter-Korean summit took place at the Inter-Korean House of Freedom on the South Korean side of the Joint Security Area (April 27, 2018) and announced the Panmunjeom Declaration. Amid a dramatic change in situations of the Northeast Asian region and especially as the Northeast Asia has emerged as a promising investment area with strong growth potential since the 1990s, those countries have announced their own development policy, focusing their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on it. Even though Pyongyang is still under punitive sanctions for conducting nuclear tests and firing missiles, this study assumed that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becomes possible as the UN and international communities ease sanctions on the North. It discussed how to improve North Korean laws to vitalize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also dealt with the conflict of laws regarding inter-Korean cooperation as well as how to amend and improve North Korean laws if South Korea establishes a tentatively-named 'Unified Special Economic Zone Law.' Therefore, timely analysis of North Korean laws is needed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legal and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It is also required to provide the North with support for legislation and laws to induce a continued change of law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mote the vitalization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2019년 10월 23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금강산관광지구를 현지지도하고 금강산에 설치된 남측 시설 철거를 지시하면서 남북경협 재개와 활성화에 국민적 잠재적 기대가 자못 크다. 남북관계는 지난 2018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 개최 이후 급격히 해빙기를 맞아 판문점 남측지역 자유의 집에서 제1차 남북정상회담(’18.4.27)을 갖고 「판문점 선언」에 전격 합의 하여 남북합의문을 성사시켰다. 최근 동북아는 매우 급변하는 양상이다. 특히, 동북아는 경제적 성장 잠재력이 큰 지역으로 1990년 이후 유망 투자지역으로 부상하면서, 관련국들은 독자적인 개발정책을 발표하며 물적·인적 역량을 집중하는 양상을 보여 왔다. 본고는 현재 북핵 실험 및 미사일 발사 문제로 대북제재가 진행 중에 있으나, 적어도 유엔 (UN) 및 국제사회로부터 대북제재가 완화되어 남북경협이 진행될 수 있는 수준으로 진전된 상황을 가정한 상황에서 논의의 전제를 두었다. 또한 논의 범위도 남북경협 관련 북한 법제 개선사항을 살펴보되, 북한의 남북경협 관련 법률 충돌과 개선방향 및 남한의 가칭 「통일경 제특구법」 제정 시 북한 법제의 개정방향을 다루었다. 북한에 대한 적시적 분석은 법·제도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도 필요하다. 그리고 북한의 법제 변화를 지속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는 북한에 대한 입법지원과 법제지원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남북경제 협력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평창 동계올림픽 여행상품 선호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선택 실험법 접근-

        류성옥 한국관광학회 2014 관광학연구 Vol.38 No.7

        The majority of mega sporting event organizers tend to show a substantial interest in the economic impacts of the expenditures by international tourists. Howeve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events is heavily dependent upon the enthusiastic and supportive participation of domestic tourists. 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assist the organizers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 Games to attract more domestic tourists. With a study sample of Korean skiers and snowboaders, this study also aims to examine their heterogeneous preferences for travel products associated with the Olympic Games. The choice experiment results suggested that the two potential domestic tourist groups segmented based on their levels of recreation specialization revealed different preferences for several travel product attributes. The highly specialized participants showed a higher preference for diverse travel opportunities to sightsee various tourist attractions near the host region; the casual participants placed a greater importance on more skiing and snowboading experiences. This study proposes several marketing strategies. 대다수 메가 스포츠 이벤트 선행연구들은 특정 이벤트가 개최 지역에 가져올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하거나 지역민이 관광객을 바라보는 태도를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췄다. 즉, 관광객이 어떤 종류의 여행상품을 구매한 뒤 개최지를 찾고 있으며, 특정 이벤트 여행상품을 구성하는 선택 속성 가운데 어떤 측면을 선호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직접 관람할 의사가 있다고 밝힌 국내 스키어와 스노보더를 대상으로 이동 교통수단, 숙소, 식사조건, 인기종목 관람 기회, 관광 프로그램 등 모두 8개의 선택 속성을 활용, 응답자들의 동계올림픽 여행상품 선호를 확인했다. 계량경제기법 가운데 하나인 선택 실험법을 적용한 본 연구는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을 토대로 응답자의 세분화를 시도한 점도 중요한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국내 스키어와 스노보더들은 레크리에이션 전문화 수준에 따라 평창 동계올림픽 여행상품 선호도에서 차별화된 패턴을 나타냈다. 예를 들어, 전문화 수준이 높은 스키어나 스노보더들은 개최지 인근을 돌아볼 수 있는 다양한 관광 프로그램을 선호했지만 전문화가 낮은 응답자들은 대회장 근처에서 스키나 스노보드 활동에 자주 참여할 수 있는 여행 상품에 강한 선호도를 드러냈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평창 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몇 가지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