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평양방언과 무순방언의 음운특징 비교 연구

        장성일(Chang Sung il)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논총 Vol.19 No.-

        This thesis is aim at comparing and contemplation the common poin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North, South Pyongyang patois which considered to be the origin of northwest dialect and northwest dialect widely used in Fushun. Because the indigenous characteristic of northwest dialect has been changed a lot through the Cultural Language Propagation Movement. The language materials used in the thesis were collected by observing and surveying the Korean-Chineses' language difference and choosing informers from the old level (over 60 years old) and the youth level (over 30 years old) whose native place is Pyongyang Province now live in Fushun district, Liaoning province, which has the second population of the Korean-Chinese whose native place is Pyongyang Province. And the survey listened and checked the language directly that every social stratums such as the middle-aged and aged people, teachers, young students, doctors, nurses, residents, broadcasters and instructors are using. Then observed the natural utterance induced by the informer or their unconscious talk then confirmed the alterations and the transformations of the swing. In general, the traditional swing characteristic of northwest dialect is kept more perfect in Korean-Chinese district than that in the mainland, as for the northwest dialect in the mainland, while it still have kept part of traditional characteristics but it becomes almost cultural-language character. The change can be regard as a result that the Cultural Language Propagation Movement lasted for decades in North Korea to make the dialect became destructive.

      • KCI등재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규정을 통해서 본 언어 정체성 구축과 차별화 방식 연구

        안미애 ( Ahn Mi-ae ),홍미주 ( Hong Mi-joo ),백두현 ( Paek Doo-hye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6 No.-

        이 논문은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을 채용한 북한의 문화어 규범이, 국어사에서 일반적이었던 ‘두음법칙’을 위배하면서까지 남한의 어문 규범과 다른 방향을 선택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에 주목하고, 그 원인을 ‘언어적 차별화를 통한 언어 정체성의 구축’이란 관점에서 규명한 것이다. 본론에서 언어를 통한 정체성 형성의 의미, 문화어 규범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과 그 제정 배경 및 이 규정과 조선시대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세종 이래 나타난 조선시대 ‘正音’ 의식의 현대적 변용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북한은 남한 발음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면서 북한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상징으로 어두 ㄹ, ㄴ 실현 규정을 도입하였다. 셋째, 북한이 시행한 언어 정책에 의해 현실 발음과 괴리된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이 북한 사회에 어느 정도 정착되었다. 넷째, 인위적 성격이 명백한 어두 ㄹ 규정은 역사적 전통을 가진 어두 ㄴ 규정보다 북한의 현실 발음에서 확고하게 정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조선시대에 평안방언이 ㄷ구개음화의 미실현을 통해 언어적 정체성을 드러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평안방언이 세종대왕이 세운 ‘正音’을 지향하며 그들의 언어 정체성을 형성하였듯이, 북한은 국가적 언어 정책 차원에서 문화어 규범에 어두 ㄹ, ㄴ의 표기와 발음 규정을 도입한 것이다. 북한에서 시행된 어두 ㄹ, ㄴ의 표기법과 발음 규정은 그 결과가 귀로 들리는 북한말의 특징을 형성하였고, 남한말과 쉽게 구별되는 북한말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 북한 문화어 규정의 ㄹ, ㄴ 표기 및 발음 규정이 북한 지역의 언어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 이것이 갖는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밝혀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why the phenomenon of ㄷ palatalization arises in contemporary Standard North Korean language despite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Pyeongan dialect spoken in the vicinity of Pyeongyang, and to understand why spelling rules regarding word-initial ㄹ and ㄴ have recently been included in language policy[in socio-linguistic aspects]. Previously, the language policy of Standard North Korean rejected unrealized ㄷ palataliz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yeongan dialect. North Korean language policy has now introduced a new rule to realize ㄹand ㄴin word-initial position. Such a rule stands in marked contrast with the rule of word initials, one of the strongest rules in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tive of North Korea for introducing the realization of word-initial ㄹand ㄴas a rule is underpinned by one crucial extra-linguistical factor, namely the ‘linguistic discrimination to construct linguistic identity’. In other words, to establish its own linguistic identity, North Korea sought to diverge linguistically from South Korea. The motive for implementing the realization of word-initial ㄹ and ㄴ parallels the one for rejecting the realization of the ㄷ palatalization by the Pyeongan dialect speakers during Chosun dynasty. Thus, in order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such new rules, North Korea has repeatedly revised the rules of Standard North Korean since 1948 and consistently promoted their language policy. As a result, the implementation of the rule regarding word-initial ㄹ and ㄴ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emporary Munhwa-eo and Standard North Korean.

      • KCI등재
      • KCI등재

        평양 지역어의 음운 체계와 음운 현상

        소신애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2 언어와 정보 사회 Vol.45 No.-

        This paper discusses the vowel system, consonant system, and related phonological phenomena of the Phyengyang subdialect after the mid-20th century. The properties of the Phyengyang subdialect identifi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change to the six vowel system is almost complete. Second, /ʦ/ is mostly realized as alveolar allophone(=[ʦ]), but in front of /i/, palatal allophone(=[ʧ]) and an alveolar allophone coexist. Third, the palatalized forms and non-palatalized forms coexist. Fourth, vowel palatalization does not occur. 본고는 20세기 중엽 이후 평양 지역어의 모음 체계와 자음 체계, 그리고 관련 음운 현상에 대하여 논의한다. 본고에서 확인한 평양 지역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6모음 체계로의 변화가 거의 완료 단계에 이르렀다. 둘째, /ㅈ/은 대부분 치조 변이음(=[ʦ])으로 실현되나, /ㅣ/ 앞에서는 경구개 변이음(=[ʧ])과 치조 변이음이 공존한다. 셋째, 구개음화형과 비구개음화형이 공존한다. 넷째, 구개모음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