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서울 京畿地域의 退溪門人과 그 性格

        황위주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본고는 서울 경기지역 퇴계 문인의 실상과 그 성격을 집중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서울 경기지역 퇴계 문인들이 그 수에 있어서는 경상북도 지역 다음으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들이 대체로 퇴계 이전에 이 일대에서 강학 활동을 해 온 사림파 선배 학자들의 학맥과 깊이 연계되어 있었고, 수적 비중에 비하여 퇴계와의 학문적 친연성은 상대적으로 대단히 미약하였으며, 전체적으로 학자형 보다 관료문인적 경향성이 농후하였음을 밝혔다. 이런 특징 때문에 서울 경기지역 문인들은 퇴계가 세상을 떠난 이후 곧 이어 전개된 당파와 학파의 복잡한 분화 관계 속에서 동문으로서의 결속력과 동질성을 상실하고 점차 기호지역 우율학맥 중심의 서인 노론계의 중심 세력 혹은 그 일원으로 편입되었으며, 광해군 당시의 북인집권기를 거치면서 사실상 학통이 거의 단절되었다. 이 때문에 이후에 출현한 근기남인학파는 서울 경기지역 자체의 퇴계학맥을 계승하는 바탕 위에서 성립된 것이 아니라 영남지역 주류학맥과 다시 재접목되어 나타나는 특이한 형국을 드러내게 되었던 것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Toegye(退溪)'s students who lived in seoul-Kyungki area and that general distinguishing marks. in result, I find out some interesting facts. (1) the number of students was less than kyungpook district, but more than all the rest districts, almost occupied 20%(64person) of total students(310person). (2) they generally had an important mutual relation with academic tradition of Sadefu(士大夫) who former times of Toegye(退溪) actived in environs of seoul-kyungki area. (3) even if it were so, the scholastic compactness with Toegye(退溪) was very relaxed as compared with importance in number. and the student of bureaucratic-literary type were in generally more than the person of scholar type (4) because of like these inclination, passing by the times of king Guanghae(光海), they failed to present a united front, step by step disguised themself as central force or member of West party(西人) against East party(東人) or South party(南人). (5) for this reason, the school of Kenki South party(近畿南人) which was appeared in the times of king Sukzhong(肅宗) not placed on the academic tradition of seoul-kyungki district, but placed on the academic tradition of youngnam district which had been scholastic center of Toegye(退溪)'s school.

      • KCI등재후보

        16-17세기 초반 퇴계 문인의 서원 건립 활동

        권시용 ( Kwon Shi-yong ) 한국서원학회 2019 한국서원학보 Vol.8 No.-

        이 논문은 퇴계 이황과 그 문인들이 조선시대 서원의 확산에 기여한 점을 살펴본 것이다. 퇴계 이황은 지방에서 성장하고 있는 의욕적인 신진사림들에게 참다운 성리학 공부를 시켜 성리학적 향촌질서를 구축하고, 이를 발판으로 다가올 사림의 시대를 준비하려 했다. 그리고 이를 위한 대안으로서 서원에 주목했으며 그의 문인들과 더불어 서원 보급에 노력하였다. 퇴계문인들은 출세주의ㆍ공리주의에 매몰된 관학에 대한 비판 위에서 참다운 성리학 공부를 위한 공간으로서 서원의 가치를 인정하고 스승인 퇴계의 서원 보급에 동참하였다. 필자가 확인한 바에 의하면, 모두 56명의 문인들이 43개소의 서원 건립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이들이 주로 활동하였던 임진왜란 이전까지만 보면 전국적으로 건립된 서원의 절반 이상에 이들이 관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지방관으로 나간 문인들의 서원 건립이 두드러진다. 모두 17명의 문인들이 지방관으로서 22개 소의 서원 건립에 관여하였다. 초기 서원건립에 있어 지방관의 역할이 상당하였음을 고려하면 각 지역으로 부임해 나간 이들의 서원 건립 노력은 조선 서원의 확대ㆍ보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이 분명하다. 특히 경상도 지역에는 광해군대까지 건립된 서원의 55.2%에 퇴계 문인들이 관여하였으며, 임란이전까지는 70%의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경상도 지역의 서원 건립에 있어 퇴계문인들의 역할이 절대적이었음을 나타낸다. 그 밖의 지역에서는 경상도에 비해 퇴계문인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대부분 임란 이전에 관계한 사례였다. 이처럼 퇴계와 그의 문인들은 조선에서 서원제도가 도입되던 시기에 그 보급과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Seowon(書院) establishment activities of the Toegye's students(退溪門人) involved in distributing Seowon based on the Toegye's theory of Seowon. Toegye intended to prepare for the coming era of Sarim(士林) by teaching Sung Confucianism to new powers in Sarim and establishing Sung Confucian(性理學) order in the local areas. He considered Seowon system as a distinctive means for his intention and strove to distribute Seowon along with his fellow scholars. This study indicates that 56 students of Toegye's participated in Seowon establishment in 43 places. Thi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half of the total number founded nationwide before the Imjin War(壬辰倭亂). In addition, it was proved that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eowon establishment in Kyeongsang area(慶尙道). Toegye's stdents made efforts to found Seowon not just at the very places where they lived but where they served as local officials and the latter, especially, came to remarkable results showing that 17 students as local officials founded Seowon in 22 places. They initiated the discussion about founding Seowon, encouraged local people to join the establishment activity , and provided them with administrative, financial support. They kept on supporting after completing Seowon through taking part in academic trainings(講學) and engaging in running Seowon. These facts tell us that they did play an essential role in introducing and spreading Seowon in the early Chosun Dynasty. In conclusion, Seowon establishment activities of the Toegye's students made its way to succeeding and developing the Toegye's theory of Seowon which was aimed at the academic training and moral cultivation of Sarim.

      • KCI등재

        퇴계 문인의 서원 보급 활동

        채광수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3 No.-

        This article is the study on how early Seowons dispersed and expanded through the activities of those Toegye writers. From the reign of King Myeong-jong to King Gwanghae-gun, the Toegye writers directly and indirectly involved in Seowon with the participation of a total of 56 persons in 43 places. Among them, Lee Jeong, Hwang Jun-ryang, Park Seung-im and Jeong Goo who had significant communication with Toegye is taken as the subject of review in this article. Lee Jeong undertook for establishment of Seoak Seowon in Gyeongju and Okcheon Seowon in Suncheon to process even for the finite parts in stipulation with his teacher. The former grew into Seowon that represented Bunam of Gyeongju and the later became a turning point for the growth of Sarim as well as establishment of Neo-Confucian study order in the region. Hwang Jun-ryang worked as a local government officer and engaged in important roles in early Seowon establishment activities involving reconstruction of Sinryeong Hyanggyo (local school), establishment of Baekhak Seodang, repairing of Danyang Hyanggyo, leading major repairing of Youngbong Seowon of Seongju and establishment of Gonggok Seodang and Nokbong Jeongsa. The fact that he was mentioned the most with the outcome on education projects at the place where Toegye established may be attributable to such a foregoing situation. Park Seung-im was most passionate writer for the Seowon dispersion movement that he was in the same context with Toegye's view toward Seowon with respect to the perception on needs of Park Seung-im, such as, the interests on Sosu Seowon and Isan Seowon to manage the enshrinement of Toegye, establishment of Gicheon Seowon in Yeoju, provision of foundation to establish Jeongsan Seowon in Yecheon. After passing of Toegye, Jeong Goo who was the most enthusiastic to the establishment of Seowon worked hard for rebuilding and founding Seongju Cheongok, Hyeonpung Dodong, Eomseong Wungok, and Andong Imcheon Seowon. As such, the writers lead the establishment of Seowon with Toegye actively supporting them generally showed in early time of Seowon expansion. Seowons enshrined and devoted for Toegye who had great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and expansion of Seowon in Korea were flourished to be 31 places nationwide. The core part of Toegye enshrining Seowon would be the most in the type of enshrining together with those writers. Such Seowon dispersion movement of Toegye has been handed down by his writers in a way of great contribution for Seowon to establish as one of the education and enshrining institution for the Joseon society. 본고는 초기 서원이 어떤 방식으로 보급・확산되었는지 퇴계 문인들의 활동을 통해 다룬 연구이다. 명종 대부터 광해군 대 까지 퇴계 문인들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한 서원은 43개소에 총 56명이 참여하였다. 이중 퇴계와 소통이 많았던 이정, 황준량, 박승임, 그리고 정구를 본고에서 검토의 대상으로 삼았다. 이정은 경주 서악서원과 순천 옥천서원 설립을 추진하며 스승과 세밀한 부분까지 협의하면서 진행하였다. 전자는 경주 府南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성장했고, 후자는 지역의 성리학적 질서 확립은 물론 사림 성장에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황준량은 지방관에 나아가 신령 향교 중창・白鶴書堂 설립, 단양 향교 수리, 성주 迎鳳書院 중수 주도 및 孔谷書堂・鹿峰精舍 설립 등 초기 서원설립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퇴계가 지은 그의 행장에서 교육 사업에 대한 성과를 가장 많이 거론한 것도 이 같은 사정에 기인한다. 박승임은 서원 보급 운동에 가장 열성적인 문인으로 소수서원에 대한 관심을 비롯해 이산서원에 퇴계 제향 주관, 여주 沂川書院 설립, 예천 鼎山書院 창건 기반 제공 등 박승임의 서원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퇴계의 서원관과 맥이 닿아 있었다. 퇴계 사후 서원 설립에 가장 적극적이었던 정구는 성주 천곡, 현풍 도동, 음성 운곡, 안동 임천서원 중건 및 창건에 힘썼다. 이처럼 문인들이 서원 설립을 주도하고, 퇴계가 적극 지원해주는 모습은 서원 확산 초기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 한국 서원 확산과 발전에 크게 기여한 퇴계를 제향 및 추향된 서원은 전국에 31개소를 헤아린다. 퇴계 제향 서원의 핵심이 바로 문인들과 합향 된 형태가 가장 많았다. 이와 같이 퇴계의 서원 보급운동은 그의 문인들에 의해 계승되어 서원이 조선 사회에 하나의 교육・제향 기관으로 자리 잡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 KCI등재

        一般論文 : 차퇴계시(次退溪詩)를 통해 본 퇴계시의 계승 양상과 의미

        이명숙 ( Myeong Suk Le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0 동양문화연구 Vol.5 No.-

        퇴계시는 농암 이현보로부터 시작하여 만구 이종기에 이르기까지 조선 중기 이후에 꾸준히 차운되어 왔다. 그리고 107명의 작가가 284제의 작품으로 퇴계시를 차운하였다. 영남 지역 작가 가운데 퇴계 문인인 황준량의 차운시가 53제, 권호문의 것이 26제, 구봉령의 것이 21제나 된다. 이들은 모두 퇴계 생전에 활발히 교유했던 작가들이다. 또한 여타 지역의 문인도 퇴계시를 차운하였는데 서울·경기 지역, 충청지역, 강화도에 이르기까지 각 지역의 문인들이 사승관계와는 상관없이 퇴계시를 차운하고 있다. 이를 통해퇴계시가 영남 지역뿐만 아니라 여타 지역에까지 영향을 미쳤음을 알수 있다. 이처럼 퇴계시는 영남 지역을 넘어서 전국적으로 여러 문인들에 의해 꾸준히 차운되었다. 이는 차운시를 통해 퇴계에 대한 흠모의 정을 표출하고, 퇴계의 정신을 계승하려고 했기 때문으로 파악할 수 있다. From Nongam, Lee Hyun-bo to Mangu, Lee Jong-gi, Toegye`s poetry has been consistently used rhythms since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And 107 writers have used rhythms of Toegye`s poetry with 284 pieces. Among writers in Yeongnam area, Hwang Joon-ryang as the Toegye school wrote 57 pieces of Chaun Poetry; Kwon Ho-moon 25 pieces; Gu Bong-lyeong 21 pieces. They all are the writers who kept company with lively in his living years. Also writers in other areas have used rhythms and writers in each area, ranging Seoul and Chungcheong area to Ganghwa Island have used rhythms without his followers. This goes to show that Toegye`s poetry has an effect not only Yeongnam area but also other areas. Like this, Toegye`s poetry has been consistently used rhythms by various writers beyond Yeongnam area into all over the nation. With Chaun Poetry, they expressed their affection of adoration about Toegye and we could find out that they tried to succeed the spirit of Toegye.

      • KCI등재

        『退溪集』의 體裁와 그 意味

        鄭錫胎(Jung Suk-Tae) 한국동양철학회 2009 동양철학 Vol.0 No.33

        『退溪集』은 우리나라 古文集의 표본이 된 문집이다. 이『退溪集』은 그 이전까지의 문집과는 달리 書簡이 중심이 된 문집이다. 『退溪集』 이전까지의 문집에서 書簡은 散文의 한 종류로, 작품성이 높은 일부 것들만 수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退溪集』에서는 書簡이 양적으로 문집 전체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도 비중 있는 것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書簡의 비중이 크게 높아지면서, 『退溪集』에서는 그것을 對方人物을 기준으로 ‘時賢.知舊.門人.家人’의 네 부류로 분류해서 편집하였다. 時賢은 당시의 名士들이며, 知舊는 실제 벗을 포함한 친분을 갖고 교류한 인물들이며, 門人은 당시 退溪學團을 형성한 제자들이며, 家人은 집안사람들이다. 이 네 부류에는 退溪가 활동하던 당대의 주요인물들이 대부분 망라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에게 보낸 書簡 내용에는 학문적인 것에서부터 정치ㆍ사회ㆍ문화 전반에 걸친 그 시대의 주요한 관심사가 대부분 망라되어 있다. 한 마디로 退溪는 書簡을 매개로 당대 조선의 전 지성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면서, 정치.사회.문화.학술 전반에 걸친 주요 관심사를 화두로 소통한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을 전면에 부각시켜 편집된 문집, 다시 말하면 書簡이 중심이 된 문집은 작품과 그 창작활동이 중심이 된 전래의 문집이 아닌, 인간과 인간관계가 중심이 된 문집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退溪集』의 경우, 書簡의 경우에만 書簡 왕래가 있는 인물들과 그들과의 관계가 중심이 되어있는 것이 아니다. 다른 詩文 작품에서도 그들과의 관계가 중심이 되어 있다. 『退溪集』이 간행된 이후 그 체재를 따른 우리나라 古文集에서는 이러한 면이 더욱 두드러진다. 조선후기에 이르면, 문집이 그 문집의 저자와 그 저자를 중심으로 복잡하게 얽힌 채 역동적으로 움직여가는 인간관계의 망을 보여주는 하나의 작품으로 읽히는 경우도 흔하게 발견하게 된다. 우리나라 고문집의 상황이 이와 같다면, 앞으로 古文集을 읽을 때 그와 같은 측면에 특히 초점을 맞추어서 읽어야 할 것이다. 『T'oegye Work Collection』 is a literary collection mainly consisting of letters. The literary collections prior to 『T'oegye Work Collection』 generally treated letters as a kind of prose and included those with high literary values. But the letters not only account quantitatively for two thirds of the entire 『T'oegye Work Collection』, but the vast majority of them are qualitatively outstanding. Likewise, as the letters outweighed the other forms of literary works in 『T'oegye Work Collection』, it compiled them on the basis of who received his letters by dividing them into the four categories of ‘sages, close acquaintances, pupils, and family members.’ Sages were celebrated individuals at that time; close acquaintances were those with whom T'oegye had a friendly contact, including his friends; pupils were those who had been taught by T'oegye and formed the T'oegye academic circle; and family members were literally his family members. Most of the influential figures at a time when T'oegye was actively engaged in social activities were contained in the four categories. And the letters which T'oegye sent them dealt with almost all the significant concerns at that time as to the whole aspect of politics, society, and culture, not to speak of academic issues. In short, T'oegy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ntire intelligent community of then Chosun by using letters as a medium and communicating with them by treating major concerns as prime topics regarding politics, society, culture, and academy. His work collection, which was compiled with those aspects emerging at the front, has no choice but to be described as a collec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human beings, not a traditional collection focusing on works and creative activities. In particular, in case of 『T'oegye Work Collection』, his relationship with those who got in touch with him was handled as a supreme matter not only in the field of letters but in the fields of other poetry and prose works. After the publication of 『T'oegye Work Collection』, the ancient work collections in Korea, following its system, became more famous for those characteristics.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un Dynasty, it is frequently found that a work collection was read as a kind of work to show the complicated and entangled human network, which was dynamically moving ahead while focusing on its author. If it is all about what Korea’s ancient work collections genuinely are, we have to read them, giving special focus on every aspect as soon as when we start doing so from now on.

      • KCI등재

        『退溪集』의 編刊 經緯와 그 體裁

        鄭錫胎 영남퇴계학연구원 2008 퇴계학논집 Vol.2 No.-

        『退溪集』은 退溪가 서거한 한 해 뒤인 辛未年(1571년)에 遺文을 輯錄하기 시작하여 庚子年(1600년)에 처음 간행되기까지 무려 30 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輯錄本인 初本 『退陶先生集』에서 문집 草 稿本인 中本 『退溪先生集』 원 텍스트, 中本 『退溪先生集』 원 텍스 트에서 中本 『退溪先生集』 重校本, 中本 『退溪先生集』 重校本에서 문집 中草本, 문집 中草本에서 문집 定稿本, 곧 定本 『退溪先生文 集』이 만들어지는 참으로 복잡한 편집 과정을 거쳐 간행되었다. 詩에 있어서는 退溪가 직접 刪節까지해둔 手錄本이 존재했기 때문 에, 그것에 의거해서 문집을 內集·別集·外集으로 나누어 저작 순서 대로 편집하는 방침이 그 편찬 초기부터 이미 정해졌다. 그리고 문집의 체재와 편차는 『朱子大全』의 것을 준용하되, 書簡만은 『朱 子大全』의 內容中心의 분류 편집 방식을 따르지 않고, 그것에서 한발 진전된 人物中心의 분류 편집 방식, 다시 말하면 書簡의 與 答人物을 그 內容도 함께 고려해서 時(時賢)·知(知舊)·門(門人)·家 (家人)의 네 부류로 나누어 편집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이러한 편 집 방식은 重校작업을 주관한 鶴峯金誠一과 西厓柳成龍이 처음 적용하였고, 최종 편집자였던 月川趙穆도 그대로 따랐다. 그 점이 『退溪集』이 『朱子大全』과 가장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고, 『退溪集』 간행 이후 그 체재와 편차를 따른 우리나라 고문집의 주요한 특징 이기도 하다. 이처럼 書簡에서 진전된 편집 방식을 마련하고서도, 『退溪集』은 정작 西厓柳成龍이 草本을 가지고 판각했다고 비판할 만큼 그 초간본인 庚子本은 편집상 많은 문제를 안고 간행되었다. 전란을 겪은 뒤라서 출간을 서둘렀다면, 수정 보각 과정에 의당 바로잡았어야 한다. 하지만 그렇게 하지 못하여 추후의 改刊과정 에도 여전히 수정되지 못했고, 기존의 체재와 편차를 고수하려는 강한 관성 때문에 그대로 남겨진 채 계속 유통되었다.

      • KCI등재후보

        牛溪 成渾 문인 조사에 의한 牛溪學 계승성 연구

        이형성 한국공자학회 2012 공자학 Vol.23 No.-

        Trying to make himself completely fused with the truthful justice, Seong Hon valued the realization of Li (理: the universe itself, the principle of things) in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With this academic character of his, he made efforts to realize moral politics. Such idea of his largely influenced the literary people of his age and his followers. The literary people of his age, however, rather contributed to overcoming of national crisis trying to build their minds firmly by personal practice than Neo-Confucianism style theoretical learning; and his followers tried to enhance the academic position of Neo-Confucianism or explore new academic fields while being passionate to restore the collapsed social order. The academic tradition of such literary men and followers were resulted in seven groups roughly: those who did their best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by fidelity; those who argued for enforced peace or resistance against such enforced peace; those who worked on the policy for reform; those who left their official jobs to live in retirement studying; those who tried to enhance the academic position of Neo-Confucianism; those who accepted the Study of Toigye to negotiate with their learning; and those who explored new academic fields. 사제(師弟)의 관계는 학문(學問)이란 매개를 통해 이루어지고, 그 제자들이 바로 ‘문인(門人)’이다. 그 문인들이 스승의 학문적 영향이나 학문의 갈래에서 주장을 달리하는 양상이 있다면 ‘학파’라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학파의 범주 설정은 매우 어려운 면이 있으나, 그 문인에 대한 선차적 조사가 잘 이루어지고 연구된다면 학파 설정에 적지 않은 보탬이 될 것이다. 본 글은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인조사에 의한 우계학 계승성 연구이다. 성혼은 부친 성수침(成守琛)의 학문적 영향을 받아 형이상학적 성리학 공부보다도 체인(體認)과 함양(涵養) 공부에 매진한 면이 강하였다. 뒷날 그는 성리학을 탐구하면서 리(理)와 기(氣)의 관계를 이분적 경향을 지향하면서, 리의 발현성 중시로 나아갔다. 학문적 경향이 토대한 그의 경세론은 군주를 일깨워 도덕적 정치가 실현되도록 하였다. 그의 이러한 학문과 경세론은 문인과 후학들에게 영향을 많이 끼쳤다. 하지만 그의 초전 문인들은 당면한 국난를 극복하는데 노력하다 보니, 자연 리기론 탐구가 적었고 마음의 확립을 위한 체인․실천궁행 공부에 강구하는 면이 많았다. 성혼의 초전 문인에게서 학문적 영향을 받은 재전 문인 즉 그의 후학들은 양란(兩亂)으로 인한 사회질서 회복에 적극적이면서도 학문적으로 주자학의 위상을 높이면서 율곡학(栗谷學)과 퇴계학(退溪學)을 절충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새로운 학문분야도 탐구하면서 시대적 소명의식을 갖기도 하였다. 연구에서 ‘문인조사’는 성혼에게 수학한 인물을 최대한 포함하면서 그 문인들에 대한 1차적 자료에서 언급한 것으로 토대로 인물을 조사하면서 또한 저술 여부도 고찰하였다. 그리고 ‘우계학 계승성 연구’의 주 내용은 주로 성혼의 초전 문인의 조사에 의한 우계학 계승성을 살펴본 것이고, 재전 문인인 후학들은 결론에서 간략하게 언급하는 정도임을 밝힌다.

      • KCI등재

        투고논문 : 우계(牛溪) 성혼(成渾) 문인 조사에 의한 우계학(牛溪學) 계승성 연구

        이형성 ( Hyung Sung Lee ) 한국공자학회 2012 공자학 Vol.23 No.-

        사제(師弟)의 관계는 학문(學問)이란 매개를 통해 이루어지고, 그 제자들이 바로 ``문인(門人)``이다. 그 문인들이 스승의 학문적 영향이나 학문의 갈래에서 주장을 달리하는 양상이 있다면 ``학파``라 명명할 수 있을 것이다. 그 학파의 범주 설정은 매우 어려운 면이 있으나, 그 문인에 대한 선차적 조사가 잘 이루어지고 연구된다면 학파 설정에 적지 않은 보탬이 될 것이다. 본 글은 우계(牛溪) 성혼(成渾)의 문인조사에 의한 우계학 계승성 연구이다. 성혼은 부친 성수침(成守琛)의 학문적 영향을 받아 형이상학적 성리학 공부보다도 체인(體認)과 함양(涵養) 공부에 매진한 면이 강하였다. 뒷날 그는 성리학을 탐구하면서 리(理)와 기(氣)의 관계를 이분적 경향을 지향하면서, 리의 발현성 중시로 나아갔다. 학문적 경향이 토대한 그의 경세론은 군주를 일깨워 도덕적 정치가 실현되도록 하였다. 그의 이러한 학문과 경세론은 문인과 후학들에게 영향을 많이 끼쳤다. 하지만 그의 초전 문인들은 당면한 국난를 극복하는데 노력하다 보니, 자연 리기론 탐구가 적었고 마음의 확립을 위한 체인·실천궁행 공부에 강구하는 면이 많았다. 성혼의 초전 문인에게서 학문적 영향을 받은 재전 문인 즉 그의 후학들은 양란(兩亂)으로 인한 사회질서 회복에 적극적이면서도 학문적으로 주자학의 위상을 높이면서 율곡학(栗谷學)과 퇴계학(退溪學)을 절충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새로운 학문분야도 탐구하면서 시대적 소명의식을 갖기도 하였다. 연구에서 ``문인조사``는 성혼에게 수학한 인물을 최대한 포함하면서 그 문인들에 대한 1차적 자료에서 언급한 것으로 토대로 인물을 조사하면서 또한 저술 여부도 고찰하였다. 그리고 ``우계학 계승성 연구``의 주 내용은 주로 성혼의 초전 문인의 조사에 의한 우계학 계승성을 살펴본 것이고, 재전 문인인 후학들은 결론에서 간략하게 언급하는 정도임을 밝힌다. Trying to make himself completely fused with the truthful justice, Seong Hon valued the realization of Li (理: the universe itself, the principle of things) in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With this academic character of his, he made efforts to realize moral politics. Such idea of his largely influenced the literary people of his age and his followers. The literary people of his age, however, rather contributed to overcoming of national crisis trying to build their minds firmly by personal practice than Neo-Confucianism style theoretical learning; and his followers tried to enhance the academic position of Neo-Confucianism or explore new academic fields while being passionate to restore the collapsed social order. The academic tradition of such literary men and followers were resulted in seven groups roughly: those who did their best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by fidelity; those who argued for enforced peace or resistance against such enforced peace; those who worked on the policy for reform; those who left their official jobs to live in retirement studying; those who tried to enhance the academic position of Neo-Confucianism; those who accepted the Study of Toigye to negotiate with their learning; and those who explored new academic fields.

      • KCI등재

        佔畢齋 金宗直에 대한 退溪 李滉의 評價

        鄭錫胎(Jung Suk-Tae)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佔畢齋金宗直은 文章을 한 사람이지 道學을 한 사람이 아니다.”라는 退溪李滉의 말은 그가 만년에 자신의 기존 생각을 바꾸어서 점필재 김종직을 평가한 말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말은 점필재 김종직을 學者가 아닌 文人으로 수정해서 평가한 말로 인식되어, 퇴계 이황 사후에 전개된 이른바 道學의 時代에 점필재 김종직을 우리나라 道學의 歷史에서 그 위상을 대폭 축소시키는 주요한 근거로 활용되었다. 또 지금도 변함없이 점필재 김종직이라는 인물을 평가하는 주요한 근거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관련자료를 실증적으로 검토해보면, 퇴계 이황의 이 말은 점필재 김종직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려는 일부 사람들이 퇴계 이황이 일정하게 제한된 상황속에서 상대, 곧 주로 제자들의 일시적인 물음에 답한 말을 그 자신들의 입장에서 적절하게 潤色한 것, 그렇게 해서 퇴계 이황을 의빙한 것이지, 퇴계이황의 本意와는 상관없는 말임을 알 수 있다. 도리어 퇴계 이황은 일생 동안 변함없이 점필재 김종직을 존경하면서 그가 우리나라 도학의 역사에서 큰 공헌을 한 인물로 높이 평가하는 한편, 그가 주로 거주했던 밀양에 그의 서원을 세우는 데 몹시 적극적이었음을 확인해볼 수 있다. 퇴계 이황의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평가의 晩年定論, 다시 말하면 점필재 김종직에 대한 퇴계 이황의 본의는 그가 1550년 경술년 50세와 1551년 신해년 51세에 처음 짓고 난 다음 만년까지 계속해서 개고했던 閒居次趙士敬具景瑞金舜擧權景受諸人唱酬韻十四首제12수와 和陶集飮酒二十首·其十六두 수의 시에 잘 드러나 있다. “Jeompiljae Kim Jong-Jik was not one who studied neo-Confucianism but one who practiced literature." This is a widely known new perspective on Kim by Toegye Yi Hwang during his later years, which is just opposite to what he had in mind in his earlier years. Interpreted as Toegye's assessment of Kim Jong-Jik as a literary man, not as a scholar, his comment served as a critical justification for substantially diminishing Kim's presence in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that bloomed after the death of Toegye Yi Hwang during the Chosun Dynasty. However, an empirical study on related documents points otherwise. Yi Hwang's remarks were made in a specifically confined situation such as his disciples questioning him about Kim Jong-Jik whom they were inclined to underestimate. Simply put, parties standing against Kim Jong-Jik made their own interpretations of what Yi Hwang said, but these were not exactly the inner thoughts of Yi Hwang about Kim Jong-Jik. Contrary to the perception, Toegye Yi Hwang had deep respect for Jeompiljae Kim Jong-Jik throughout his life and ppreciated him for being the big man behind the history of neo-Confucianism during the Chosun Dynasty. Related literatures also indicate how ardent he was about building a memorial hall for him in Milyang where Kim Jong-Jik resided most of his lif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