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자인 큐레이팅의 세 가지 가능성과 그 출현 배경

        오창섭(Chang Sup Oh)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1

        큐레이팅은 기존의 창작물들을 일정한 목적을 위해 연구, 수집,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2차적 창작활동이다. 최근 전통적인 큐레이팅 영역에서는 디자인을 요구하고, 디자인 영역에서는 큐레이팅 능력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새로운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디자인 큐레이팅의 세 가지 이해 가능성을 제시하고, 그 가능성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배경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관련 주제를 다룬 문헌과 자료들을 바탕으로 논제를 비평적으로 서술하는 연구방법을 취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한 디자인 큐레이팅의 세 가지 이해 가능성은 첫째 디자인의 개념과 방법을 큐레이팅에 활용하는 움직임, 둘째 디자인 산물을 대상으로 하는 큐레이팅 활동, 셋째 큐레이팅의 개념을 디자인에 적용하는 움직임이다. 본 연구는 이 세 가지 디자인 큐레이팅의 내용을 연구범위로 취하고 있다. 연구결과 세 가지 디자인 큐레이팅의 등장 배경을 보면 다음과 같았다. 첫째, 디자인의 개념과 방법을 큐레이팅에 활용하는 움직임은 신자유주의 확장, 미술품과 미술관이 일종의 상품으로 존재하는 상황, 그리고 그에 따른 경쟁의 심화가 등장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두번째, 디자인 산물을 대상으로 하는 큐레이팅은 2000년대 접어들어 본격화되었다. 여기에는 문화적인 맥락에서 디자인을 바라보려는 움직임, 디자인 산물의 판매를 위해 전시를 활용하는 움직임, 상징자본 획득 수단으로 전시를 활용하는 움직임이 배경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세 번째, 큐레이팅의 개념을 디자인에 적용하는 움직임은 전통적 의미의 디자인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확장을 꾀하는 디자인계의 움직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저성장기에 접어든 경제상황, 산업구조와 환경의 변화, 그리고 이러한 변화에 따른 디자인계의 어려운 상황도 큐레이팅의 개념에 디자인이 주목하는 배경이었다. Curating is to research, collect, and classify existing creative works for a certain purpose. It is a secondary creative activity for making new value based on those three activities. Recently traditional curating activity focus on design, while design world thinks highly of curating ability.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will present three understandable possibilities of design curating and clarify with what those possibilities are concretely connected. For this study, I adopted method of study to critically narrate central subjects, based on literature and related materials. The three understandable possibilities of design curating that this study pres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vement for utilizing concept and method of design for curating, second, curating activity targeted at design product, and third, the movement for applying concept of curating to design. The range of this study includes these three design curatings. The backgrounds of three design curat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vement for utilizing design concept and method for curating was initiated by expansion of neo-liberalism, fine arts and art gallery as products, and intensifying competition for the products. Second, the curating targeted at design product was started in earnest from 2000, by the movement for understanding design in terms of culture, the movement for using exhibition for selling design products, and the movement for using exhibition as acquiring means for symbolic capital. Third, the movement for applying concept of curating to design can be regarded as new design expansion, departing from the traditional design. The current design began to pay attention to curating due to deepening economic recession,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and environment, and design world going downhill.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큐레이팅의 확장에 관한 논의들: 동시대의 역사적 징후로서 큐레토리얼

        권혁규(Kwon, Hyukgue) 서양미술사학회 2023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8 No.-

        큐레이팅이란 무엇인가? 이 질문은 ‘예술은 무엇인가?’ 하는 물음과 마찬가지로 시기, 주체, 범주를 가늠하기 어려운 고도의 추상성을 지닌다. 큐레이팅은 전시에만 국한되지 않고 출판, 공연, 스크리닝, 세미나, 워크숍은 물론이고, 레스토랑의 와인, 가판대 위의 화장품이나 신발, 유튜브의 음반 플레이리스트에까지 적용된다. 동시대 큐레이팅은 길거리 패션만큼 빠른 속도로 변하고 아랍의 석유만큼 흔한 것이 되었다. 오늘날 모두가 큐레이터이지만 동시에 그 누구도 큐레이터가 아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대체 큐레이팅은 무엇이며, 큐레이터란 누구인가? 최근 수십 년간 ‘큐레이팅’은 무한히 확장하고 분야를 넘어 범람했지만, 실제 큐레이팅에 관한 이론적 논의가 활기를 띤 것은 그리 오래지 않았다. 그 까닭은 큐레이팅에 관한 존재론적 질문들이 까다롭거나 추상적인 데에 있었던 것이 아니다. 오히려 큐레이팅 실천의 방법론, 계보와 역사, 그를 둘러싼 환경 등을 자체 고유한 담론의 주제로 삼지 않았던 연구 관행 탓이었다. 본 연구는 근 20여 년간 서구에서 압축적으로 전개된 큐레이팅에 관한 논의들을 정리하며, 1960년대 이전의 역사적 큐레이팅으로부터 1990년대 이후의 동시대 큐레이팅 실천을 아우르는 담론의 현재 지형을 살피고자 한다. 그리고 그 제반 논의로부터 미술사, 비평, 작가, 작품 및 사회와 큐레이팅이 맺는 관계를 확인하려 한다. 나아가 전통적인 큐레이팅과 반목하는 동시에 발전된 것으로서 ‘큐레토리얼’이 어떻게 여전히 동시대의 역사적 징후로 작동하는지 살핀다. 그리고 큐레토리얼이 오늘 이곳의 특수한 정치, 사회, 문화의 다층적인 틈을 확인하고 발견하는 매개적 동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려 한다. What is curating? The question has a high degree of abstraction that is difficult to gauge the time, subject, and category. Curating is not limited to ‘exhibition making,’ but also applies to publishing, performance, screening, seminar and workshop as well as wine recommendation list in a restaurant, shoes on stand, even song playlist in YouTube. Contemporary curating has changed at as fast a pace as street fashion and has become as common as oil in Arab. Everyone is a curator today, but at the same time no one is a curator. What is the curating, and who is the curator? In recent decades, “curating” has expanded infinitely and flooded beyond the art field, but it hasn’t been long since theoretical discussions on curating have been brisk. This study summarizes the discussions on curating, which have been developed in the West for nearly 20 years, and aims to examine the current topography of discourse that encompasses contemporary curating practices since the 1990s.

      • KCI우수등재

        소셜 미디어를 통해 유통되는 큐레이팅 저널리즘의 뉴스 양식 및 품질 연구 : 인스타그램에서의 <인사이트>와 <위키트리>를 중심으로

        박채림,윤영민 한국언론학회 2023 한국언론학보 Vol.67 No.5

        정보를 선택하고 가공하여 새로운 형태로 구성하는 큐레이팅 저널리즘(Curating Journalism)은 소셜 미디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탄생한 저널리즘이다. 소셜 미디어에서 유통되는 큐레이팅 뉴스는 다른 언론사의 뉴스에 일정한 기획과 재구성을 통해 보다 맥락적이고 균형적인 뉴스를 제공함으로써 기존 저널리즘이 갖고 있는 단순 객관보도와 편협한 정파보도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하지만 큐레이팅 뉴스가 기존 주류 언론의 뉴스를 베껴 쓰는 관행과 저작권 문제로 언론의 비판을 받고 있으나, 젊은 층 이용자들은 오히려 가치 있고 믿을 수 있는 뉴스를 충분히 소비하고 있다고 여기는 상황이다. 동시에 큐레이팅 뉴스와 기성 언론의 차이를 구분하지 못하고 큐레이팅 뉴스의 품질을 기준으로 전반적인 주류 언론의 취재와 보도 관행에 대해 비판하며, 나아가 전통 뉴스 미디어가 생산하는 뉴스를 불신하고 외면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다. 결국 큐레이팅 뉴스의 가치가 사회적으로 불투명한 현실 앞에 놓여 있음을 보여주는 상황에서, 큐레이팅 뉴스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문제점과 한계를 검토하여 개선 방향과 대안책을 제안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에서 유통되는 큐레이팅 뉴스가 내용적, 형식적 차원에서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공정성과 심층성을 기준으로 큐레이팅 뉴스의 품질 수준을 확인했다. 이를 위해 인스타그램에 <인사이트>와 <위키트리>가 게시한 뉴스들을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내용적 측면에서 큐레이팅 뉴스는 시의성, 근접성, 흥미성의 뉴스 가치를 중심으로 방송과 연예, 스포츠와 같은 문화 관련 주제를 주로 보도하며, 연성화 경향이 강했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역피라미드 구조와 스트레이트 유형의 뉴스가 가장 많이 보도되었고, 대부분 이미 공개되어 있는 정보를 중심으로 뉴스가 작성되었다. 공정성 측면에서 큐레이팅 뉴스의 전체 취재원 수는 평균적으로 1.22개였고, 취재원 유형으로는 타 언론사 보도 및 방송사 자료가 가장 많았다. 큐레이팅 뉴스의 절반 이상은 완전히 단일 관점에 해당되었으며, 허핀달-허쉬만 지수 측정을 통해 특정 보도의 주제에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심층성 측면에서 큐레이팅 뉴스의 분석력은 과정과 결과만을 포함한 채 사안의 원인이나 전망을 제시하지 않았고, 뉴스의 깊이 역시 사건 중심의 과정과 결과만을 보도하는 이벤트 중심의 뉴스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또한 익명 취재원보다 투명 취재원이 많이 활용됐지만, 익명 취재원을 사용했을 경우 해당 취재원에 대한 설명이 뉴스에 제공되는 경우가 적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했을 때, 소셜 미디어상의 큐레이팅 뉴스가 연성화되고 흥미 위주의 보도로 이용자들을 자극해 클릭을 유도하는 것은 더 큰 자극이라는 악순환 고리로 이어지게 만들어 저널리즘의 가치를 하락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무분별한 복제를 통해 큐레이팅 뉴스의 생산이 이루어진다면, 결국 국내 언론 환경 전반에 ‘약탈적 뉴스’라는 퇴행을 불러올 것이다. 큐레이팅 저널리즘의 발전과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서는 생산 구조, 유통 구조, 소비 구조라는 보다 복합적인 단계에서 해결책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The practice of curating journalism, encompassing the selection, processing, and organization of material into novel formats, has gained prominence alongside the increasing impact of social media. The curating news disseminated on social media was anticipated to address the shortcomings of oversimplified, unbiased reporting and biased journalism in traditional media by offering a more comprehensive and impartial news experience. This would be achieved by ongoing strategic planning and restructuring of news content sourced from various media platforms. Nevertheless, this phenomenon frequently disregards copyright laws as it centers on the act of replicating news articles from established media sources. Furthermore, younger users perceive these replicated articles as both valuable and reliable. They are also unable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 between curating news and traditional news, criticize the overall mainstream media and reporting practices based on the quality of curating news, and even distrust the news produced by traditional news media. Consequently, the significance of curating news is confronted with a socially obscure actuality, thereby necessitating an evaluation of its present state, identification of its challenges and constraints, and the formulation of potential avenues and alternative remedies. Henc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attributes associated with the curating news on social media platforms, specifically focusing on the aspects of content and formality. Additionally, it undertakes an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curating news by evaluating its fairness and depth. To this end,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news posts from <Insight> and <Wikitree> on Instagram.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In terms of content, curating news prioritized timeliness, proximity, and interest as news values with a primary focus on culture-related topics such as broadcasting, entertainment, and sports, with a strong tendency toward soft news. In terms of formality, the news reports predominantly employed inverted pyramid structures and straight news. Notably, most of the news was based on publicly disclosed information. In terms of fairness, curating news typically cited an average of 1.22 sources, with other media reports being the most commonly referenced source types. Moreover, over half of the curating news had a single viewpoint, and the Herfindahl-Hirschman index showed a concentration of coverage on specific topics. In terms of depth, curating news mainly offered an analysis of the process and result of events but often lacked the provision of cause and prospect on the issues, leading event-centered news to prevail. Furthermore, despite the higher prevalence of transparent sources compared to anonymous sources, the news articles seldom included justifications or rationales for the utilization of anonymous sources. Therefore, the aforementioned findings indicate that the practice of selectively curating news content on social media platforms and the utilization of attention-grabbing news stories to engage users may result in a detrimental loop that undermines the value of journalism. If curating news is carried out by thoughtless duplication, it will ultimately result in 'predatory news' practices. To enhance its standing in the field of journalism, it is important to explore resolutions at a more intricate level encompassing production, dissemination, and consumption.

      • KCI등재

        이원일의 큐레이팅에 있어서의 "제4세계"론 -탈식민주의를 중심으로

        김성호 ( Sung Ho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0 No.-

        본 연구는 연구자의 기발표 논문인 이원일의 큐레이팅 연구-창조적 역설(Creative Paradox) 을 잇는 후속편이다. 이 연구는 고 이원일 큐레이터(1960-2011)가 아시아인의 정체성으로서 해외의 국제전을 기획하는 가운데 필연적으로 맞닥뜨렸던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 담론에 대한 그의 ‘인식과 주제의식’ 그리고 ‘실천적 큐레이팅 방법론’이 무엇이었는지를 탐구한다. 연구자는 그의 탈식민주의적 큐레이팅의 실천이 도달한 지점을 ‘제4세계론’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 연구자는 ‘아시아 중심의 국제전’과 ‘국제전에서의 아시아적 주제’를 두루 아우르면서, 그가 기획한 국제전을 면밀히 살피는 한편, 그가 작성한 전시 카탈로그 서문, 인터뷰 내용들을 검토했다. 이원일의 초기 큐레이팅에 나타난 ‘아시안 네트워킹’이라는 ‘서구에 대한 단순한 저항의 논리와 실천’으로부터 시작된 그의 탈식민주의 관점은 이내 저항보다 화해, 균형이라는 관점으로 서구/비서구, 문화식민자/문화피식민자의 경계를 와해시키는데 집중된다. 즉 그의 탈식민주의적 큐레이팅은 ‘동질화를 도모하는 세계화’에 저항하는 방법으로 ‘혼성’을 실천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서구의 동질화의 전략이라는 것이 ‘다원주의의 용인’이라는 이름 아래 벌어지고 있는 후기식민주의, 신식민주의 양상임을 밝히는 것이자, 그것에 저항하는 방식으로서의 바바(Homi K. Bhabha)가 탈식민주의 실천으로 제시한 ‘혼성성(hybridity)’을 실천의 전략으로 삼는 것이었다. 특히 다문화성(Multiculturality), 탈지정학(Post Geopolitics), 혼성의 지형도(Mixed topo map), 문화혼성(Mixed culture), 접지(Ground Connection), 통합(Integration)과 같은 무수한 큐레이팅 개념들로 나타나고 있는 ‘혼성’에 관한 구체적인 큐레이팅의 실천적 전략으로 그는 빛의 생산적인 혼성인 ‘가산혼합(Additive mixture)’ 개념을 제시하는데, 이것을 연구자는 에쉬크로프트(Bill Ashcroft)와 동료들의 탈식민주의적 실천 개념인 ‘전유’를 통해 해설했다. 즉 연구자는 식민종주국의 언어를 사용하되 그것을 해체, 재구성하는 ‘전유’의 방식이 이원일에게서 식민종주국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해체하는 탈식민주의적 실천 전략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덧붙여 연구자는 이러한 이원일의 글로벌 큐레이팅 전략이라는 것이 본질적으로 ‘비서구를 서구에게 서구의 언어로 소개’하는 탈식민주의적 실천으로서의 번역 행위에 다름 아님을 주장했다. 한편, 연구자는 서구/비서구, 문화식민자/문화피식민자의 대립의 경계 위, 혹은 경계 언저리에서 펼쳐지는 무수한 가능성의 시공간, 즉 다맥락성의 시공간을 통해서 그가 종국에는 ‘터무니없는 시공간’에 대한 관심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주목한다. 나아가 연구자는 이원일의 이러한 실천적 전환점을 사회경제학적 관점의 개발도상국이라는 개념으로부터 탈주하면서 사회학적 ‘다맥락성’과 물리학적 ‘덧차원(extra dimension)’이 결합된 개념으로 ‘제4세계’를 작명하고 그것의 ‘유토피아적 융합의 시공간’으로서의 탈식민주의적 의미를 탐구한다. ‘제4세계’는 그의 큐레이팅 맥락이 외부의 문제로부터 내면의 문제로, 이상의 문제로부터 경험의 문제로 이동하는 차원에서 고안된 그의 소주제 ‘터무니없는 시공간’을 재해석하는 것이다. 제4세계론은 그의 큐레이팅에 있어서 ‘우주 공간에서의 전시’라는 상상기획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그에게 매우 주요한 주제의식이다. 그것은 탈식민주의에 대한 이상론이 이원일의 후기 큐레이팅 실제에서 변형되고 일부 신비화되는 방향성으로 전환되고 있는 한 지점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향 전환은 그를 저항과 극복이라는 논리로부터 화해와 평등을 주장하는 새로운 아시아적 주체의식을 견지한 탈식민주의 큐레이팅의 실천자로 정초시키면서도 ‘포스트모더니즘의 자유주의적 다원주의자’로, ‘근본적인 휴머니즘 옹호자’로 정초시키는 또 다른 계기가 된다. This study is the follow-up of my dissertation A Study on Wonil Rhee`s Curating: Focusing on Creative Paradox.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into his ‘perception and thematic consciousness’ of the discourse on post-colonialism and “practical curating methodology” the late curator Wonil Rhee inevitably faced when curating overseas international exhibitions as an Asian curator with an Asian identit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sees the point his post-colonialist curating reached as the ‘fourth world theory’. Encompassing ‘Asia-centered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Asian themes in international art shows’ to arrive at this conclusion, the researcher has closely examined international exhibitions Rhee curated, and looked through his exhibition catalog essays, interviews, and other documents. His post-colonialist perspective triggered by the ‘logic of resistance against the West and its practice’ that is represented as ‘Asian networking’ denoted in his early curating, concentrates on breaking down the line between the West and the non-West, cultural colonialists and non-colonialists, and the shift from resistance to conciliation and equilibrium. That is, his post-colonialist curating was to practice ‘hybridity’ as a way of resisting ‘globalization trying to accomplish homogeneity’. This is to elucidate that aspects of post-colonialism and neo-colonialism derived from the West`s strategy of homogeneity in the name of ‘tolerance of pluralism’, and to employ the ‘hybridity’ Homi K. Bhabha presented as a way of resisting this. The concept of ‘hybridity’ emerged among numerous concepts such as ‘multiculturality, Post Geopolitics, mixed topo map, mixed culture, ground connection and Integration’. As a practical strategy for concrete curating anchored to this notion of ‘hybridity’ he defined it with ‘addictive mixture’, a productive hybridity of light. The researcher comments on this with ‘appropriation’, the concept of a post-colonialist practice by Bill Ashcroft and his fellow scholars. That is to say, the researcher understands that Rhee adopted ‘appropriation’ that uses the language of colonial ruling countries but deconstructs and reconstructs this as a strategy for post-colonial practice to deconstruct colonial rulers` dominant ideologies. Moreover, the researcher asserts that Rhee`s global curating strategy is by nature nothing but an act of translation to ‘introduce the non-West to the West in the language of the West’. The researcher also takes note of a shift in Rhee`s concern for ‘nonsensical time and space’ through the numerous possibilities of space-time or multi-contextual space-time on the border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West and the non-West, cultural colonialists and non-cultural colonialists. The researcher coins the term ‘the fourth world’ as a wedding of sociological ‘poly-contextuality’ and physical ‘extra dimension’, departing from the notion of ‘the developing country’ from a socio-economical perspective, and explores its post-colonialist meaning as the ‘space-time of utopian conflation’. ‘The fourth world theory’ is to reinterpret Rhee`s ‘absurd space-time’ conceived in the context of his curating shifting from the matter of the exterior to the matter of the interior, from the matter of the ideal to the matter of the experience. This theory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is may continue to his imaginary curating of ‘an exhibition in cosmic space’. This refers to a point where an ideal theory on post-colonialism was deformed and mysticized in Rhee`s late curating. This change of direction serves as momentum to define him as a practitioner of post-colonialist curating who championed conciliation and equality with a new Asian thematic consciousness beyond the logic of resistance and subjugation, and simultaneously as a liberal pluralist of postmodernism and an upholder of elemental humanism.

      • KCI등재

        정치적 대화 채널로서 큐레이팅 저널리즘의 숙의적 효과 : 의견의 질과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김동윤,정아름 한국소통학회 2016 한국소통학보 Vol.15 No.3

        이 연구는 큐레이팅 저널리즘이 정치적 대화 채널로서 숙의적 공론장 활성화에 가지는 역할과 의미를 검토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큐레이팅 저널리즘 매개 의사소통 의 주요한 수단인 읽기와 쓰기의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의견의 질(인지적 차원)과 정치참여(행 동적 차원)에 초점을 두고 실증적으로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먼저, 큐레이팅 저널리즘을 분석적으로 읽고 쓰는 이용자의 ‘의견의 질’은 훑어 읽고 쓰는 이용자들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숙의에 따른 인지적 효과가 단순히 글을 읽고 쓰는 행위 자체 보다는 ‘어떻게 읽고 쓰는가’에 주목함으로써 더 효율적으로 검토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큐레이팅 저널리즘 읽기 행위보다 쓰기 행위가 온, 오프라인 정치참여에 대한 설명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관여적 읽기 행위에 견주어 쓰기 중심의 고관여적 의사소통이 정치참여 기제로서 더 큰 의미와 비중을 가진다는 것을 말해 주었다. 마지막으로, 큐레이팅 저널리즘 이용을 통해 획득된 ‘의견의 질’이 온, 오프라인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도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의견의 질’의 개념적 지표 가운데, ‘의견정교화’의 설명력과 예측력이 높았는데, 이용자 스스로가 해당 쟁점에 대하여 높은 수준의 신념체계를 구축할 수 있을 때 정치참여 수준도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정치적 숙의 채널로서 큐레이팅 저널리즘의 미디어적 가능성을 상당 부분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oles of public sphere of curating journalism as a channel of political conversation. For this, empirical approach was applied to the communicative effects to se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nner of reading and writing, opinion quality 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curating journalism mediated communication.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analytic reading and writing improved opinion quality of the users. This means ‘How to read and write?’ is much more important factors in improvement of following communicative effects. Next, the manner of writing of curating journalism was more predictive on online and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of users compared with the reading behavior. This implies the writing of higher involvement is has something to do with the mechanism of higher political participation. Finally, opinion quality acquired from the uses of curating journalism somewhat affected to online and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Especially, the prediction power of opinion sophistication was higher than other variables composed of opinion quality, and this suggested that the level of political participation can be improved when the users can construct their higher level of belief system on the agendas and issues. We could conclude that the possibility of news media as the political deliberation of curating journalism can be positively inferred.

      • KCI등재

        팩션의 큐레이팅

        김성호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2

        본 연구는 팩션과 미술비평의 관계를 모색했던 선행 연구를 잇는다. 이 연구에서는 팩션을 통한 큐레이팅을 ‘큐레이팅/팩션’ 이라는 이름으로 화용론과 연관된 여러 이론과 함께 실제적 방법론을 탐구한다. 제2장에서는 ‘미술비평/팩션’의 의미론 개념 과 그것을 잇는 ‘큐레이팅/팩션’의 화용론 개념을 언어학, 커뮤니케이션학, 기호학을 통해서 정의한다. 제3장에서는 쌍방형 커 뮤니케이션 모델인 ‘오스굿과 쉬람 모델(The Osgood and Schramm Model, 1954)’과 그것을 응용한 ‘큐레이팅/팩션 모델’을 통해서 화용론의 방법론을 탐구한다. 제4장에서는 기획전 전시기획자 P씨의 죽음을 실제적 사례로 분석하면서 관람자의 자유 로운 해석과 여러 ‘가능성의 세계’를 열어 두는 ‘큐레이팅/팩션’의 구체적인 화용론적 방법론과 그것이 견인하는 인코딩 효과 를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서 팩션을 테마로 한 큐레이팅의 실천적 방법론에 관한 한 모델을 제시한다. This paper presents a study of 'curating through faction' and continues previous studies that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ion and art criticism. This study of 'curating/faction' explores a practical methodology along with several theories related to pragmatics. Chapter 2 defines the concept of the semantics of “art criticism/faction” and the pragmatics theory of “curating/faction,” connecting them through linguistics, communication studies, and semiotics. In Chapter 3, the methodology of pragmatics is explored through the “Osgood and Schramm Model,” two-way communication, and the applied “curating/faction model.” In Chapter 4, we analyze an exhibition entitled the "Death of Curator Mr. P" as an actual case study and explore the pragmatics methodology of 'Curating/Faction', which opens up various 'worlds of possibility' with the open interpretation of visitors and the encoding effect that it drives. Through these studies, an experimental model will be presented of the practical methodology of curating based on a faction theme.

      • KCI등재

        큐레이팅 뉴스란 무엇인가? : 뉴스 이용자의 ‘뉴스관’과 ‘이용행위’를 중심으로

        김동윤,김연식,이현주 한국소통학회 2018 한국소통학보 Vol.17 No.1

        이 연구는 큐레이팅 뉴스 이용자의 뉴스관과 이용행위의 구성요인을 알아보고, 이들 두 요인의 상호 관련성을 모색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큐레이팅 뉴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 354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 음의 세 가지 차원으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큐레이팅 뉴스 이용자가 바라보는 뉴스관 은 기존 온라인 미디어를 구성하는 뉴스관과 크게 다르지는 않았으나, 뉴스의 이야기적 구성 혹은 콘텐츠로서의 뉴스 속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분석적 읽기’와 ‘쓰기’ 그리고 ‘훑어 읽기’와 ‘쓰기’로 세분화된 이용행위 가운데, 이용자는 ‘분 석적’ 읽기와 쓰기라는 숙의적 이용행위 중심의 뉴스 소비행태를 보여주고 있었다. 마 지막으로, 큐레이팅 뉴스 이용자의 뉴스관과 이용행위 사이에는 상보적인 관련성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뉴스에 대한 신뢰도가 낮은 우리의 언론 현실에서 이는 저널리 즘의 기능과 역할의 방향성과 좌표에 일정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는 뉴스 큐레이션이 사회정치적 숙의와 그에 기반한 식견 있는 공중과 시민적 자질 향상에 상당히 기능적일 수 있다는 기대를 갖도록 해주었다. This paper has tried to explore the major factors of news perception and using behaviors of curation news and to seek the relativeness of them. Data analysis collected from curation news users 354 through online surve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news perception of curation news users was not different from the prior online news media, but users regarded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uration news as the remarkable news storytelling or/and the attribution as news contents. Next, using behaviors could be mainly divided into the deliberative and the non-deliberative reading and writing and the deliberative reading and writing were the prominent factors in their using behaviors. Finally, the complementary relativeness between news perception and using behaviors have been implying to the roles and functions of our present journalism which has had low credibility. To sum it all up, the values and meaning of news curation was enough to emphasis on its further impacts on the socio-political deliberation and the formation of well informed citizen with civic virtue.

      • KCI등재

        카트린 다비드(Catherine David)의 담론적 큐레이팅을 통해 본90년대 이후 큐레이팅의 전환

        권혁규 현대미술학회 2022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26 No.2

        In the 1990s, artists and their artworks were under pressure to respond urgently to requests for reflection on the great narrative of the past. At that time, curators recognized that the conventional form of the exhibition was not enough to contain the times’s complexity and began to pay attention to expanding the field of practice. The 90s is a time when criticism of the existing curating/exhibition model became more concrete, setting a specific turning point in its history. Curator, Katherine David attempted to actively change the exhibition language away from the conventional model. The research aims to explore David's Documenta X (1997), Contemporary Arab Representations (2002-2007) and the “Discursive Crating,” and lay the foundation for continuous research on curating/curatorial methodology, history, and its theoretical background. 1990년대 동시대 미술은 과거의 거대 서사에 대한 반성과 다양성의 촉구에 시급히 응답해야 했다. 같은 시기 큐레이팅은 전시의 관습적 틀이 그 복잡성을 담기에 역부족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실천의 장을 확장하는 데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90년대는 기존의 큐레이팅 모델 비판이 보다 구체화된 시기로, 큐레이팅 역사에 있어서 특정한 분기점을 마련한다. 이때, 큐레이터 카트린 다비드는 전통적 큐레이팅 모델에서 벗어나 정체된 미술과 전시 언어를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려 시도했다. 본 연구는 카트린 다비드의 1997년 《도큐멘타 X》과 2002-2007년 장기 프로젝트 《동시대 아랍의 재현》을 살피며, 그의 큐레이팅 방법론이 가진 혁신성을 엿보려 한다. 나아가 큐레이팅/큐레토리얼 방법론과 역사, 그 이론적 배경을 다루는 연속적인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 KCI등재

        시각예술 큐레이팅에서의 팩션의 스토리텔링

        김성호 한국영상학회 2022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20 No.3

        This paper studies 'storytelling as a faction in visual arts curating'. In particular, it aims to explore the specifics of ‘efficient operation of Iconotext’ and ‘slash encoding connecting fact/fiction’ and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with the audience that it leads. This study, which synthesized and developed two of my previous studies, 'Criticism through Factions' and 'Curating Theory through Factions', is developed in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First, ‘images and texts in visual art curating’ are studie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verbal referential function' of texts that 'fixes' or 'relays' the multiplicity of images is still valid in today's world where subjective interpretations are prevalent. This study also examines what is the 'linguistic explanation on works of visual art(images)' and 'the role of linguistic mediation(text)' for the audience. Second, this study examines ‘storytelling through factions and iconotext in visual art curating’. It examines how the encoding of a message that combines fact and fiction is implemented in curating, and considers the efficient operation of Iconotext to achieve faction storytelling in the curating of visual arts. Third, this study analyzes a special exhibition in detail in ‘Analysis of Curating Cases that Encode Faction Storytelling’. By doing so, we examine that storytelling through faction emphasizes 'achievement of meaning and empathy' rather than 'success of message delivery and information sharing'. In today's situation where 'fake news' pollutes the media, this paper has academic value and significance for the following reasons. This paper not only revises a series of perspectives that view faction storytelling as an object of avoidance, but also leads a 'creative interpretation'. 이 논문은 ‘시각예술 큐레이팅에서의 팩션의 스토리텔링’을 연구한다. 특히 ‘아이코노텍스트의 효율적 운용’과 ‘팩트/픽션을 잇는 빗금의 인코딩’이 구체적으로 무엇이고 그것이 이끌어 내는 관객과의 소통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자의 선행 연구였던 ‘팩션을 통한 비평론’과 ‘팩션을 통한 큐레이팅 이론’을 잇는 본고는 다음의 세 범주에서 다루어진다. 첫째, ‘시각예술 큐레이팅에서의 이미지와 텍스트’를 연구한다. 주관적 해석이 만연해진 오늘날, 이미지의 다의성을 고정하거나 중계하는 텍스트의 ‘언어적 지시적 기능’이 여전히 유효한 것인지를 살피고, 큐레이팅이 견지하는 관객을 위한 ‘시각예술 작품(이미지)’에 대한 ‘해설과 언어적 매개(텍스트)’의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둘째, ‘시각예술 큐레이팅에서의 팩션의 스토리텔링과 아이코노텍스트’를 살펴본다. 팩트와 픽션을 결합하는 메시지의 인코딩이 어떻게 큐레이팅에서 구현되는지 살펴보고 시각예술의 큐레이팅에서 팩션의 스토리텔링을 성취하는 ‘아이코노텍스트의 효율적인 운용’이 무엇인지 고찰한다. 셋째, ‘팩션의 스토리텔링을 인코딩하는 큐레이팅 사례 분석’에서 한 기획전을 세밀하게 분석하면서 팩션의 스토리텔링이 ‘메시지 전달의 성공과 정보의 공유’보다 ‘의미작용의 성취와 공감’을 중시하는 것임을 살펴본다. 오늘날 ‘가짜 뉴스’가 미디어를 오염하는 상황에서, 본고는 팩션의 스토리텔링을 기피의 대상으로 바라보는 일련의 관점을 수정할 뿐만 아니라 ‘창의적인 해석’을 이끈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가치와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

        비조각 담론의 큐레이팅 : 《2020 창원조각비엔날레》를 중심으로

        김성호 한국미술이론학회 2020 미술이론과 현장 Vol.0 No.30

        본 연구는 《2020창원조각비엔날레》의 주제인 비조각 담론의 큐레이팅을 분석한다. 그레마스의 기호학에서 '비(not)'의 모순 논리를 빌려온 로잘린드 크라우스의 연구나, 비조각적 재료를 통해 비조각을 실험했던 이승택의 작품에서도 중성화는 주요한 개념이다. 본 연구는 비조각에 내재한 자기모순과 자기반성의 중성화 담론에 대한 큐레이팅을 위해서 ‘빗금( / )’의 메타포를 제시한다. ‘빗금의 경계’ 또는 ‘빗금 큐레이팅’은 A와 B의 영역을 계보학처럼 명확히 구별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리좀처럼 허물지도 않는다. 그것은 A와 B를 빗금의 경계 양쪽에 위치시키되 서로의 영역을 일정 부분 공유하는 화해와 소통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또한 이 연구는 야외/실내, 처음/마지막, 작품/작품, 작품/환경 그리고 조각/비조각의 영역에서 실제로 실험했던 빗금 큐레이팅을 분석하면서 비조각 담론의 큐레이팅 모델을 다각도로 탐구한다. This study discusses the curation of the discourse of non-sculpture, the theme of the Changwon Sculpture Biennale 2020. Neutralization is the main concept in Rosalind Krauss' thesis, which borrows the contradictory logic of not(~) from A. J. Greimas' semiotics, and in the works of Lee Seung-Taek, who experiments with non-sculpture through non-sculptural materials. This study proposes a metaphor of slash (/) for the curatorial practice concerning the discourse of the neutralization of self-contradiction and self-reflection inherent in non-sculpture. Slash curating, would neither make a clear distinction between A and B, nor break down the boundary between them. While slash curating places A and B on the opposite sides or slash, it allows for reconcili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a shared area. This study examines how slash curating has been used in the form of outdoor/indoor, first/last, work/environment, or sculpture/non-sculpture, and explores the curatorial model for non-sculptural discourse from diverse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