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블루’시대에 필요한 목회적 돌봄

        박기영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0 복음과 실천신학 Vol.57 No.-

        본 연구의 목적은‘코로나블루’시대에 필요한 목회적 돌봄의 방향 을 제시하고, 목회자가 우울과 불안과 같은 정신건강의 문제를 경험하 고 있는 성도들에게 어떻게 목회돌봄을 할 수 있을 것인지 구체적인 방 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서론에서는 코로나19 확산의 중심에 교회공동 체가 있다는 점을 성찰하면서 교회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문제를 제기 했다. 본론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코로나블루’의 증상과 사회적 대 처방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연구자는 목회돌봄의 개념과 기능 을 언급하면서‘코로나블루’시대에 필요한 목회돌봄의 방향을 두 가 지로 제시했는데, 첫째는 정신건강을 위한 목회돌봄이며, 또 한 가지는 지역공동체를 위한 목회돌봄이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코로나블루’ 시대에 필요한 목회돌봄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첫 째, 안전한 교회 환경 제공과 비대면 예배에 대한 인식전환, 둘째, 공감 적 경청으로 돌보기, 셋째, 치유적 설교와 회복프로그램의 운영, 넷째, SNS를 통한 개인 및 소모임 소통의 활성화, 다섯째, ‘정신건강 돌보 미’양성 과정 운영, 여섯째, 지역네트워킹 및 휴먼 클라우드 활용 등 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결론적으로‘코로나블루’시대를 맞이하여 목 회자는 성도의 정신건강의 유지와 회복에 관심을 가질 뿐 아니라, 교회 가 속한 지역공동체를 위한 목회돌봄을 통해서 교회의 시대적 사명을 감당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pastoral care needed in the era of ‘Corona Blue’ and suggest a concrete plan about how ministers can care for the suffering and mental health problems experienced by Christian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 In the introduction, this researcher raised the question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the church, reflecting on the fact that the church community is at the center of the spread of Corona 19. The main text is about the symptoms of ‘Corona Blue’ caused by Corona 19 and about how to cope it socially. The researcher suggested two directions for pastoral care needed in the era of ‘Corona Blue’ and mentions the concept and functions of pastoral care. The two directions relate to pastoral care for mental health and pastoral care for local communities. Finally, the researcher suggested details of pastoral care needed in the era of ‘Corona Blue’ along the following lines: first, provision of a safe church environment and change in the perception of non-face-to-face church services; second, engaging in empathic listening; third, healing sermons and the operation of recovery programs; fourth, activation of individual and small-group communication through SNS; fifth, operation of programs for training‘ mental health caregivers; and sixth, utilization of regional networking and human cloud. In conclusion, pastors are expected not only to be interested in maintaining and restoring the mental health of Christians but also to be able to fulfill the mission of the times of the church through pastoral care for local communities to which the church belongs, in the era of ‘Corona Blue.’

      • KCI등재후보

        ‘코로나 블루’ 시대에 설교의 역할과 방향 제언

        이승우 ( Lee Seung-woo )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59 No.-

        코로나 팬데믹이 장기화하면서 코로나로 인한 우울감을 느끼는 “코로나 블루”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코로나 블루는 심각한 사회 현상으로 그리스도인들도 코로나 블루에서 예외일 수는 아니다. 그렇다면 교회는 코로나 블루를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가? 코로나 블루 극복을 위한 교회의 핵심 수단은 설교가 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코로나 블루 시대에 설교가 어떤 역할을 해야 하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살펴보았다. 설교는 은혜의 방편으로써 하나님의 백성을 세우며 성도의 아픔을 보듬어 주는 상담적 역할을 해야 한다. 올바른 설교는 청중의 변화를 만들어 낸다. 그러므로 코로나 블루 시대에 설교는 성도들에게 소망을 주는 핵심적 역할을 할 수 있는 중요한 키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코로나 블루를 겪고 있는 성도들을 향해 하나님을 드러내고 하나님께 집중하게 하는 하나님 중심 설교가 필요하며, 성도들의 문제를 지적하고 정죄하는 것이 아니라 공감해주는 설교 그리고 코로나 블루에 대한 올바른 시각을 제시하는 설교가 필요하다. 또한 설교는 세상적 수단을 의지하는 것이 아니라 복음이 우리의 근본적 위로라는 사실을 전해 주어야 한다. 본향을 사모하는 종말론적 소망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뿐만 아니라, 설교를 듣는 청중의 적극적 참여 요구도 잊지 말아야 한다. 코로나 블루 시대에 온전한 설교의 선포를 통해서 청중을 하나님 나라의 건강한 백성으로 세울 수 있을 것이다. With the coronavirus 2019 pandemic continuing over a prolonged period, the “Corona Blue” phenomenon, a feeling of depression due to the pandemic, has emerged. Corona Blue is a serious social phenomenon, which also affects Christians. How should the church overcome the Corona Blue? Preaching should be the core instru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s the desired role and direction of preaching in the Corona Blue era. Preaching is a means of grace; it should play a counseling role to support God's people and relieve their pain. Good preaching can transform the audience. Therefore, preaching in the Corona Blue era can play a key role in creating hope. For those suffering from Corona Blue, God-centered preaching will help to focus on the revelation of the Almighty. Further, the sermons should preach that the Gospel is our fundamental comfort rather than any worldly means. It should be possible to present the eschatological hope of longing for one’s homeland. In addition, we must not forget the need for activ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during sermons. The proclamation of proper sermons in the Corona Blue era will enable the audience to establish themselves as healthy people in the kingdom of God.

      • 코로나 블루 치유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 글쓰기 치유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손시은(Son, Si-Eun)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1 마음공부 Vol.2 No.-

        우리는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사태를 겪고 있다. 극심한 위기에 직면했을 때 사람들의 반응은 크게 둘로 나뉜다. 절망과 좌절 그리고 무력감과 냉소주의에 침잠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위기 속에서 자신의 삶을 근원적으로 돌아보고, 자기 삶의 방향과 가치관을 재정립하는 사람도 있다. 그런데 이 양 축의 상반된 모습 사이에서 어느 쪽을 택할 것인가는 오롯이 ‘나’에게 달려 있다. 선택의 기로에서 현명한 판단을 하려면 나에게 진정으로 소중한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진지한 탐색이 필요하다. 글쓰기는 나에 대한 성찰과 삶에 대한 통찰적 안목을 키워 줌으로써, 당면한 코로나 팬데믹 사태를 새로운 삶을 향한 전환점으로 삼을 수 있게 해 준다. 코로나로 인한 뉴 노멀이 촉발시킨 인문학적 고민과 함께, 고강도 격리 조치로 인한 폐쇄적·고립적 상황에서 코로나 블루를 호소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치유하기 위한 실제적이고 자력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코로나 블루 치유 프로그램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프로그램들의 한계를 보완하는 방법으로 글쓰기 치유를 제안하였다.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코로나 블루 치유 프로그램 대부분은 치유대상이 겪고 있는 정신적·심리적 문제에 대한 본질적인 원인 규명이나 근원적인 치유보다는 숲, 화훼, 독서, 음악, 영화 같은 치유 콘텐츠를 활용한 체험형 프로그램에 머물러 있다. 이런 한계로 인해 체험에 참여하는 동안에만 치유 효과가 보일 뿐 지속적인 치유 기제로 작동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코로나 팬데믹의 위기를 경험하면서 우리는 인간을 포함한 천지만물이 상호 연결된 존재이며, 서로 없어서는 살 수 없는 공존의 관계임을 절실히 깨달았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글쓰기 치유가 갖는 강점은 자기표현 글쓰기 활동을 통해 그것을 타인과 공유, 교감, 소통함으로써 관계 치유로 확장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글쓰기는 내가 나와 연결된 수많은 존재들에 대해 새로운 의미를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코로나 블루 치유를 위한 어떤 프로그램과도 연계가 가능하다는 유연성도 글쓰기의 장점이다. 대면 상담뿐 아니라 동시적 온라인, 시간차 카톡식 글쓰기 상담 등 위드 코로나 시대에 글쓰기 치유의 가능성은 무한히 열려 있다. We are experiencing the unprecedented situation of COVID-19. When faced with an extreme crisis, people’s reactions are largely divided into two. There are people who are immersed in despair, frustration, helplessness, and cynicism, while others are fundamentally looking back on their lives in crisis and re-establishing the direction and values of their lives. However, it is up to ‘I’ to decide which one to choose between the opposite appearances of this spectrum. Making wise judgments at the crossroads of choice requires a serious search for what is truly precious to us. Writing enhances reflection on us and insight into life, enabling us to turn the current corona pandemic into a turning point for a new life. Along with the humanistic concerns triggered by the New Normal caused by COVID-19, a practical and self-help program is needed to heal the hearts of those who complain of Corona Blue in a closed and isolated situation caused by physical distancing measures. Therefore,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Corona Blue healing programs and proposed writing healing as a metho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programs. Most of the Corona Blue healing programs have identified the underlying cause of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that the target is suffering from, but overlooked the underlying healing. However, it is limited to an experiential program that utilizes healing contents such as forests, flowers, reading, music, and movies. Due to this limitation, the healing effect is only visible while participating in the experience, but there is a tendency that it does not work as a continuous healing mechanism. As we experience the crisis of the COVID-19 pandemic, we realized that all things, including humans, are interconnected beings, that they are in a coexistent relationship and cannot live without each other. The strength of writing healing in the Post-COVID era extends to relationship healing by sharing and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self-expressive writing activities. Writing helps us form new meanings for the numerous beings connected to us. Another advantage of writing is the flexibility that it can be linked with any program for healing Corona Blue. In the era of With-COVID, the possibility of writing healing is infinitely open, including not only face-to-face counseling, but also simultaneous online and time difference writing counseling via smartphone messaging.

      • KCI등재

        코로나 블루와 여가 활동 : 한국 사례를 중심으로

        사혜지 ( Hye Ji Sa ),이원상 ( Won Sang Lee ),이봉규 ( Bong Gyou Lee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21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22 No.2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코로나19와 우울감(blue)이 합쳐진 코로나 블루(Corona Blue)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전과 후의 스트레스와 여가활동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스트레스에 따른 여가활동의 도움에 관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토픽모델링방법을 통한 코로나 블루 뉴스기사 분석과 설문조사의 2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첫째, 코로나19가 “경계”단계로 격상된 2020년 1월부터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까지 강화된 9월까지의 신문 기사를 토대로 총363건의 뉴스 기사를 토픽모델링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28개의 토픽이 추출되었으며, 비슷한 주제끼리 멘탈데믹(mentaldemic), 세대확산, 우울증 가속 원인, 피로감 증가, 장기전에 대처하는 자세, 소비변화, 우울 극복을 위한 노력 총 7개로 그룹화 하였다. 둘째,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코로나19 전, 후 여가활동에 따른 스트레스 변화수준과 여가활동에 따른 주된 도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 전 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 평균 차이가 코로나19 후 보다 큰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코로나19 후에도 여가활동은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19전 여가활동에 따른 주된 도움이 신체적, 사회적 활동을 통한 기분전환, 재충전의 의미였다면, 코로나19 후에는 자연, 야외 활동, 지적 활동을 통한 기분전환, 잠깐 잊음과 같은 심리적 역할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코로나 블루 현황 파악과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여가 대처를 통해 완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코로나 블루 극복을 위한 현실적이고 바람직한 여가 정책 및 대응 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global COVID-19 pandemic is prolonged, the Corona Blue phenomenon, combined with COVID-19 and blue, is intensify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trend of Corona Blue in consideration of the possibility of increasing mental illness and the need for countermeasures, especially after COVID-19.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leisure activities before and after COVID-19 by using Corona Blue news article analysis through the topic modeling method, and questionnaire find out the help of stress and leisure activities. This study was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wo research methods. First, a total of 363 news articles were analyzed through topic modeling based on newspaper articles from January 2020, when COVID- 19 was upgraded to the “border” stage, until September, where the social distancing stage was strengthened to stage 2.5 in Korea. As a result of the study, a total of 28 topics were extracted, and similar topics were grouped into 7 groups: mental-demic, generational spread, causes of depression acceleration, increased fatigue, attitude to coping with long-term wars, changes in consumption, and efforts to overcome depression. Second,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level of stress change according to leisure activities before/after COVID-19 and the main help according to leisure activit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difference in stress reduction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before COVID-19 was larger than after COVID-19. Also, leisure activitie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stress relief even after COVID-19. In addition, if the main help from leisure activities before COVID-19 was the meaning of relaxation and recharging through physical and social activities. After COVID-19, psychological roles such as mood swings through nature, outdoor activities, or intellectual activities were found to play a large part. As such,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Corona Blue and coping with leisure in extreme stress situations has a positive effect.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an serve as a basis for preparing realistic and desirable leisure policies and countermeasures to overcome Corona Blue.

      • KCI등재

        20대 여성들의 코로나19로 인한 불안이 정부신뢰와 공동체신뢰에 미치는 영향력 연구: 코로나블루와 코로나레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지숙(Park, Ji sook),김화연(Kim, Hwa yeon),이숙종(Lee, Sook jong) 서울행정학회 202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3

        COVID-19의 장기화로 국민들은 일상의 불편 뿐 아니라 정신건강까지 위협당하고 있다. 최근에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우울감을 느끼는 코로나블루, 우울감을 넘어 분노와 자살생각으로까지 이어지는 코로나레드 등 새로운 심리적 증상을 나타내는 용어까지 등장했다. 특히 COVID-19로 인한 정신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사람들 중 젊은 세대의 비율이 매우 높아지고 있으며, 이 가운데 20대 여성 우울증 환자 수와 자살률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다. 감염병 등 재난 상황에서 발생하는 정신적·심리적 고통은 재난관리에 책임을 갖고 있는 정부와 불특정한 사회 구성원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대 여성의 안전 우려와 고용 불안이 코로나블루와 코로나레드를 매개하여 정부와 공동체신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안전에 대한 우려와 고용불안 모두 코로나블루와 코로나레드를 심화시키고, 코로나블루가 공동체신뢰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안전우려와 공동체신뢰 사이에서 코로나블루의 매개효과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정책과 심리적 방역 정책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특히 재난 상황에서 사회경제적 취약성이 20대 여성에게 더욱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정부가 COVID-19로 인한 심리적·문제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하였다. The prolonged nature of the COVID-19 pandemic has led to the emergence of new psychological symptoms: Corona blue (feelings of depression) and Corona red (depression with anger and suicidal ideation). The proportion of younger people experiencing mental health difficulties as a result of COVID-19 is increasing particularly females with depression and suicide rates are increasing significantly. Mental and psychological pain that occurs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infectious disease outbreaks can lead to distrust of the government and community that has responsibility for disaster management. Therefore, the influence of safety concerns and employment insecurity related to COVID-19 on government and community trust through the mediating Corona blue and red were analyzed in this study among women in their 20s Analysis confirmed that safety concerns and job insecurity increase the severity of both Corona blue and red, while Corona blue diminished community trust. In addition, a mediating effect of Corona blue between safety concerns and community trust was confirme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youth policy and psychological quarantine policy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it was noted that socioeconomic vulnerability can have a greater impact on women in their 20s in disaster situation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government should provide more active policy support for mental health issues arising as a result of the COVID-19 pandemic.

      • KCI등재

        대학생이 인식하는 코로나 블루와 대학 차원의 지원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CQR-M 분석을 중심으로

        조지혜,이영란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2

        This study is an exploratory study to investigate the concept of Covid Blue, the influence of COVID-19, and support requirements at the university level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An open surve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Google questionnaire for four-year private university college students and 96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CQR-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9 categories and 27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ree areas: Meaning of Covid Blue, Impact of Covid 19, and Requirements for Support at the University level. First,‘the Meaning of Covid Blue’, recognized by college students, 10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cluding restrictions on romantic college life and activities, lack of reality in college life due to online classes, Isolation and depression due to interpersonal restrictions, and expansion of worries and anxiety about the future. Second,‘The Impact of COVID-19,’8 subcategories were derived, including the absence of college life and experience, disconnection of human relationships in college life, family conflict and psychological instability, academic maladjustment due to non-face-to-face classes. Third, 9 sub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University-level support requirements’such as improving the environment and quality of non-face-to-face classes, specialized customized service and scholarship support, and tuition reduction. The frequency and results of each area were analyzed and presen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본 연구는 대학생이 인식하는 코로나 블루와 코로나19 영향, 대학 차원의 지원 요구사항을 조사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서울, 충청권 4년제 사립대학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구글 설문지를 활용해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고 CQR-M(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Modified)을 사용하여 96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코로나 블루의 의미’,‘코로나19의 영향’,‘대학 차원의 지원 요구 사항’3개 영역에서 9개 범주, 2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대학생이 인식하는‘코로나 블루의 의미’영역에서는‘낭만적인 대학 생활과 활동의 제약·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대학 생활의 실재감 부재·대인관계의 제한으로 인한 고립감 및 우울·취업 및 미래에 대한 걱정과 불안 확대’등 10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코로나19의 영향’에서는‘대학 생활 및 경험의 부재·대학 생활의 인간관계 단절·가족 갈등 및 심리적 불안정·비대면 수업으로 인한 학업 부적응’등 8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셋째,‘대학 차원의 지원 요구 사항’에서는‘비대면 수업 환경개선 및 질 관리·전문화된 맞춤형 서비스·장학금 지원 및 등록금 감면’등 9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 블루, 코로나19 영향, 지원 요구사항을 세분화하여 살펴봄으로써 이들에게 필요한 현실적인 요구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방법으로 초점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를 읽는 10가지 키워드

        오동섭(Dong Seub Oh)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21 선교와 신학 Vol.54 No.-

        우리는 코로나19라는 이전에 경험해 보지 못한 펜데믹의 폭풍 속에 있다. 그 폭풍의 소용돌이는 모든 시간과 삶을 멈추게 하고, 모든 일상에서 우리를 떠나게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앞으로 코로나19 시대와 그 이후 시대 변화는 어떻게 될 것인가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다양한 견해를 내놓고 있다. 그렇다면 코로나19 시대를 읽는 핵심적인 키워드가 무엇이며 어떠한 변화들이 있는지를 키워드 10가지를 살펴보면 첫째 사회적 거리두기 즉, ‘비대면(Untact)’, 둘째, 불필요한 대면접촉을 피해 의식주,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받는 온라인을 기반으로 하는 ‘온택트(ontact)’다. 셋째, 코로나19로 언택트 생활이 보편화되면서 가상공간에서 소통이 증가하게 되면서 새롭게 주목받는 키워드가 ‘AI’와 ‘메타버스(metaverse)’다. 넷째, 코로나19 대응에 있어 ‘신뢰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떠올랐다. 다섯째, 무분별한 개발로 생태계 파괴에 의한 영향으로 코로나19가 발생했다는 인식하에 ‘생태 위기’가 키워드로 인식되고 있다. 여섯째, 비대면이 강화되어 온라인소비가 증가하면서 기업들은 소비자들에게 맞는 서비스를 위해 ‘이커머스(e-commerce) 마케팅’으로 새로운 소비 키워드로 떠오른다. 일곱 번째 비대면 상황에서 조직관리 문제나 구성원 정서 관리, 비대면 확대에 따른 소속감에 대한 고민 등이 풀어야 할 문제들이 발생하면서 부각되는 경영조직인 ‘애자일(Agile)’이다. 여덟 번째,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제한된 생활패턴이 되면서 사람들의 우울감이 증가하며 만들어진 신조어가 ‘코로나 블루(우울증, CORONA BLUE)’다. 아홉 번째, 코로나 상황에서 새로운 문화예술소비 형태로 소위 ‘랜선공연, 전시’, ‘홈루덴스’라는 용어가 새롭게 출현했다. 마지막 열 번째 키워드는 ‘공간’으로 코로나19를 계기로 새로운 공간구조가 재편될 것으로 본다 We are in the midst of an unprecedented pandemic called COVID-19. The whirlpool of the storm stops all time and life, and leaves us from all our daily lives. Under this circumstance, experts in each field are offering various views on what will happen in the era of COVID-19 and the times after that. Then, if we look at 10 keywords to find out what are the keywords for reading the COVID-19 era and what changes there are. First, social distancing, ‘untact’, Second, avoid unnecessary face-to-face contact and receive food, clothing, shelter, and entertainment services. It is ‘ontact’ based on online. Third, as untact life becomes common due to COVID-19, communication in virtual space has increased, and new keywords that are attracting attention are ‘Metaverse’ and ‘AI’. Fourth, ‘reliability’ emerges as a very important factor in responding to COVID-19. Fifth, ‘ecological crisis’ is recognized as a keyword under the recognition that COVID-19 has occurred due to the impact of ecological destruction due to reckless development. Sixth, as non-face-to-face is strengthened, and as consumers’ consumption patterns are rapidly increasing due to restraint from going out and working from home, companies are changing to ‘e-commerce marketing’ to provide services tailored to consumers. It emerges as a consumption keyword. The seventh keyword is ‘Agile’, a management organization that is highlighted as problems to be solved such as organizational management problems in non-face-to-face situations, emotional management of members, and concerns about belonging due to the expansion of non-face-to-face situations arise. Eighth, due to the prolonged COVID-19, travel and outings are restricted, and people’s feelings of depression are increasing as they change to a pattern of living only at home. As this situation continued, a new word, ‘CORONA BLUE’ was born. Ninth, the so-called ‘LAN performance, exhibition’ and ‘homeludens’ have emerged as new forms of cultural and artistic consumption in the Corona situation. The tenth and last keyword is ‘space’, and it is expected that a new spatial structure will be reorganized in the wake of Corona 19.

      • 코로나와 일상의 행복에 관한 고찰

        홍종관(Hong, Jong Kwan) 행복한부자학회 2020 행복한부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코로나 상황에도 불구하고 건강하고 행복한 일상적 삶을 가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그래서 먼저 코로나 확산과 장기화에 따른 사람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상태를 살펴보았고, 이어서 코로나 사태를 극복하기 위한 개인차원의 심리적 전략과 국가 및 지역사회 차원의 국민건강 증진 방안들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확산에 따라 심리변화가 더욱 심각하여 져서 ‘코로나 블루’현상과 언택트 생활양식이 나타났다. 또한 확진자, 의심환자, 접촉자, 의료진과 관계자 등 대상별로 신체적 심리적 반응이 달랐다. 둘째, 코로나로 인한 불안과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심리적 전략으로 긍정적으로 수용되고 공감적으로 이해 받는 정서전략과, 코로나 사태를 합리적이고 현실적으로 수용하는 인지전략, 그리고 일상 생활습관을 바꾸는 행동전략이 있다. 셋째, 코로나 사태를 극복하기 위한 비대면 원격 정신건강 서비스 실시, 심리지원단 조직과 지원, 심리건강 지도 매뉴얼 제공 등의 국가적 및 지역 사회적 방안이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 확산과 장기화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책에 대한 국내외 연구결과들을 종합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의 코로나 사태로 말미암은 정신건강문제에 대한 개인적이고 국가 및 지역 사회적 대책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ways to have a healthy and happy daily life despite the corona situation. So first we looked at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conditions of people following the spread and prolonged corona. Then we looked at the psychological strategy of the individual level to overcome the corona crisis. Then we looked at national and community-level national health promotion measu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sychological change became more serious with the spread of corona, resulting in the corona blue phenomenon and the untact lifestyle. And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responses of the subjects varied, including confirmed patients, suspected patients, contacts, medical staff and officials. Second, there are emotional strategies that can reduce anxiety and stress caused by corona, cognitive strategies that are positively accepted and empathic understood, and behavioral strategies that change daily life habits. Third, there are national and local social measures 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remote mental health services, the organization and support of psychological support groups, and the provision of psychological health guidance manuals to overcome the corona situation. This study present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results on problems and solutions caused by the spread of corona and prolonged period. This will be of practical help to establish personal and national and regional social measures against mental health problems caused by the corona crisis in Korea.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성경주(Gyeong-Joo SEONG),김석범(Suk-Bum KIM)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5

        The COVID-19 pandemic is not only feared to spread the epidemic around the world, but also maximized social isolation by breaking off relationships with family, relatives, and acquaintance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is phenomenon transcends the state and everyone is in a crisis situation through an uncontrollable daily life. this study with the aim to confirm the changes in overall psychological states, has tried to review the impact of changes in daily life due to COVID-19 on Corona-Blue. To this end, original data from 「2020 Media Consumer Conscience Survey」conducted by the Korea Press Foundation have been used. And data regarding a total of 1,000 subjects in Korea, including 509 males and 401 females over 19 years of age, have been used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two weeks from August 21st to September 4th, 2020.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 in changes in daily life due to COVID-19 existed between groups based on gender, and higher Corona-Blue symptoms could be found in females. Second, the variable that significantly describes Corona Blu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lanatory power of the relation among learning activities, earning activities , and relational activitie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consultative implications have been presented. 코로나19 팬데믹은 전세계에 감염병 확산에 대한 두려움 뿐만 아니라 가족, 친지, 지인들과의 관계를 단절시킴으로서 사회적 고립감을 극대화시켰다. 이러한 현상은 국가를 초월하여 모든 사람들이 통제불능의 일상생활을 겪으며 위기상황에 놓여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팬데믹 사태에 대한 전반적인 심리적 정서변화를 확인하고자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조사한 2020년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원본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1,000명(남자 509명, 여 4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는 2020년 8월 21일부터 9월 4일까지 약 2주간 진행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첫째, 코로나19로 변화된 일상생활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는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성에게서 더 높은 코로나블루 증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활동, 수입활동, 관계활동 중에서 코로나블루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변수는 관계활동의 설명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상담학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위드 코로나 시대 시민문화예술의 향유 현황과 코로나 블루 완화를 위한 움직임 퍼포먼스의 방향성 탐색

        홍애령 한국무용과학회 202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40 No.1

        The study aimed to find ways to alleviate the sadness/depression/blu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at has affected many citizens. To this end, I investigated the cases of citizens enjoying arts and culture at home and abroad; I considered citizens' preferences and interests, and sought directions to plan a movement performance program to relieve depression and anxiety.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following measures need to be taken. First, domestic and foreign arts and culture-related institutions should implement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programs to aid citizens' artistic experiences and emotional purification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share them online through YouTube and their own platforms. Second, the reactions to COVID-19 by citizens during the pandemic included anxiety, depression and lethargy, and stress. Third, the selection of expression topics and methods which include lectures and movement creation, the composition of inquiry-based movement performance and the use of blended performance, and the convergence of narrative-motion-media were proposed for movement performance. The research result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movement performance-based civic arts and culture to alleviate the ill effects of COVID-19 and highlighted the need for research on performanc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cases by applying various expression methods and types. 이 연구는 COVID-19 팬데믹을 거쳐 위드 코로나(With Corona) 시대를 맞이하는 가운데 다수의 시민들이 경험한 코로나 블루의 완화 방법 모색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시민들이 팬데믹 상황에서 경험한 코로나 블루를 현상학적으로 파악하고 국내외에서 실행된 시민문화예술 향유 사례를 조사하여, 시민들의 기호와 흥미를 고려하고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움직임 퍼포먼스 프로그램을 기획하기 위한 방향성과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국내외의 문화예술 유관기관에서는 COVID-19 상황 속에서도 시민들의 문화예술체험과 정서적 순화를 위한 대면, 비대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유튜브 및 독자적인 플랫폼을 통해 이를 온라인에서 공유하고 있었다. 둘째, 팬데믹 기간 시민들이 인식한 코로나 블루의 유형별 특성은 불안형, 우울 및 무기력형, 스트레스형으로 나타났다. 셋째, 움직임 퍼포먼스는 강연과 창작을 통한 표현 주제 및 방식의 선정, 탐구기반 움직임 퍼포먼스의 구성과 블랜디드 퍼포먼스의 활용, 내러티브-움직임-미디어의 융합적 활용이 제안되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코로나 블루를 완화하기 위한 움직임 퍼포먼스 기반 시민문화예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다양한 표현방식과 유형을 적용한 퍼포먼스 기획 및 실행 사례에 대한 연구가 요청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