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발, 일상적 이동, 비즈니스 연대를 통해 본 국경도시 치앙라이의 관계적 도시화

        채현정 한국문화인류학회 2020 韓國文化人類學 Vol.53 No.2

        본 논문은 초국가적 원조 기구, 아세안 역내 국가와의 협력,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의 개발 투자 등으로 인해 나타나는 변방의 작은 교역 도시 치앙라이의 도시화를 분석한다. 치 앙라이 도시화에 대한 분석은 장소들 간의 관계와 사람, 기술, 정책 등의 개입으로 특정한 국면에서 특정한 양태의 도시가 관계적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하는 연구들의 연속선상에 있 다. 국경도시는 연결의 매개이자 산물인 국경에 의해 구성되기에 더더욱 네트워크에 의한 도시화 과정이 두드러지는 공간이다. 국경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관계들이 공간을 가로 질러 확장되고 상호 연결되는 것을 보여주고, 국경도시가 경제, 사회 영역의 미시적 네트워 크를 통해 국경 인근의 도시들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데에 영향을 미친다. 국경도시가 관 계적 도시 공간이라면, 국경도시가 어떤 연결과 관계를 중심으로 발전하며 그로 인해 나타 나는 도시화의 특징은 무엇인지 밝혀야 한다. 본 연구는 이동성과 일상의 실천이 도시 공간 을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주목하며, 치앙라이 국경 도시화 과정을 개발 계획, 일상적 이동성, 비즈니스 연대라는 세 축에서 나타나는 연결과 분산의 과정을 살핀다. 태국 북부 치앙라이 국경지역은 므앙 치앙라이, 치앙샌, 치앙콩, 매사이와 같이 국경교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 는 접경지역과 시장의 개발, 그리고 그 연결을 통해 도시화되고 있다. 상인들의 교역활동은 시간에 따른 이동의 궤적을 남기며 도시, 시장, 국경의 연결을 공간에 기입한다. 나아가 지역 시장에서 부각되는 국경의 중요성은 접경지역인 치앙라이가 인근의 대도시 치앙마이와 공 간적, 경제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과정들은 주변부와 중심의 모호한 공존이라는 국경도시의 관계적 특성을 드러내며 국경도시의 다중심적인 도시화의 과정을 보여준다. 국경도시의 다중심성은 주변부 도시가 초국적인 경제, 정치적 연결망 속 에 개입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기며, 불평등한 공간 위계에 균열을 내는 기획과 실천으로 연결 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urbanization of the border city of Chiang Rai as facilitated by development aid from transnational institutions, the ASEAN Economic Community, and investment from foreign countries. This analysis of the urbanization of Chiang Rai is one of a number of studies describ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places and the interactions of people, technology, and policies constructing a certain type of city. The border city is a space where urbanization is spurred by these networks of interaction, the border being both a medium and a product of these connections. Because the border city is a relational urban space, it is necessary to clarify what connections and relationships bring about border city development and what characteristics of urbanization appear as a result. This study focuses on how mobility and daily practice define urban space. It observe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onnections between places and distributing their functions by examining development planning, everyday mobility, and trade solidarity. Regarding development planning, the urbanization of the Chiang Rai border region has been considered in relation to three nodal points of border trade, Chiang Saen, Chiang Khong, and Mae Sai. These places have multitudinous connections created by merchants’ trade activities and the trajectories of their movements between cities, markets, and borders. Moreover, the emerging importance of the border in the local market creates the possibility that the border area, Chiang Rai, will be spatially and economically connected to the nearby city of Chiang Mai. These processes reveal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s, the ambiguous coexistence between the periphery and the center, and the multi-centered urbanization of the border city.

      • KCI등재

        아세안지역시장의 출현과 국경교역 장(field)의 재편

        채현정(Chae, Hyun-ju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8 비교문화연구 Vol.24 No.2

        본고는 태국 북부 국경지역인 치앙라이(Chiang Rai)의 국경교역 사례를 통해, 아세안경제공동체(ASEAN Economic Community)가 추진하는 국경 장벽이 없는 지역 시장(regional market) 체제가 국경교역 장에 영향력을 미치는 사회적 자본의 종류를 변화시키고 교역상인의 시장 적응 전략과 실천을 분화시키는 것을 살펴본다. 본 논문에서는 국경교역에서 작동하는 사회적 자본의 다른 속성과 가치를 부르디외의 장(field) 개념과 함께 고찰한다. 이를 통해 국경교역에서 중요한 자원이자 교역 실천의 구성요소가 되는 사회적 자본이 구별가능한 것임을 증명하고, 다른 종류의 사회적 자본들과 연동하여 나타나는 장내의 질서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지역경제협력이 추구하는 국경자유화의 움직임에 따라 태국 북부 국경지역에는 국경시설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국경 제도를 통일되고 체계적으로 만드는 정책이 실행된다. 국경검문소가 신설되고 국경 이동 규칙이 정비되는 과정은 국경에 대한 제한된 접근성과 국경정체성에 기대어 교역해 온 전통적인 국경상인들의 특권적 지위를 상실하게 한다. 반면에 지역 시장에 대한 정보와 교역 기술을 습득하고 국경정책 변화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치앙라이상공회의소 소속의 상인은 상공회 소속이라는 사회적 자본을 통해 변화하는 국경교역 장에서 유리한 입지를 차지하게 된다. 각기 다른 종류의 사회적 자본을 가진 상인은 지역 시장의 논리가 작동하는 국경교역 장에서 서로 다른 전략을 택한다. 이러한 현상은 국경 이동을 자유롭게 하고 교역 시장을 지역으로 확장하는 것이 국경상인에게 더 많은 기회를 줄 것이라는 지역협력의 목표와 국가의 주장의 이면에 존재하는 복잡한 사회적, 경제적 분화와 적응을 보여준다. 국경 정책의 변화가 국경교역 장의 질서를 변화시키고 장 내의 자본의 위계, 그 중에서도 사회적 자본의 종류에 따른 행위자의 위치를 조정시키는 것임을 이해하고, 지역 시장으로 나아가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교역 시장에서 상인의 실천과 전략을 분화시키는 과정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This article uses Bourdieu’s concept of social capital in order to elucidate local traders’ diversified strategies of border trade in Chiang Rai, and presents how the transformation of the local border trading market into a free–trade oriented ASEAN regional market has affected local traders. Firstly, I present how the state has built border facilities and initiated new institutional processes along with new border infrastructure, such as the bridge connecting the Thai–Laos border in Chiang Rai of Northern Thailand, to establish the regional market. Secondly, I analyse how these changes reorganize the field of border trade and transform the types of social capital,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this field. For instance, traders who had social networks with foreign neighbors in the border–crossing market or those who were familiar with border–crossing customs based on the membership of the border town used to occupy a privileged position in the past. However, now that the movement across the border is managed by national and regional policy as a part of the ASEAN market, having a membership in the Chamber of Commerce which accommodates national border policy has become a crucial social capital in the field of border trade. Lastly, I show how border traders choose different strategies with the goal of expanding their business in the regional market, depending on the types of social capital they have. Thus, this research helps to underst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regional market, which on the one hand promises new opportunities for the border traders who can freely move across the border, but on the other hand actually changes the rules of the field of border trade and causes socio–economic diversification among traders who have different opportunities by employing various strategies.

      • KCI등재

        국경의 다중성 개념을 통해 본 아세안지역경제협력의 국경자유화 정책: 태국 북부 치앙라이(Chiang Rai) 국경교역 사례를 중심으로

        채현정 한국문화인류학회 2019 韓國文化人類學 Vol.52 No.1

        This article uses the concept of the border multiple to analyze the cross– border liberalization policy of ASEAN [Association of South East Asian Nations], and the cross–border trade and border–keeping practices that result from the policy. Analyzing the border as multiple makes it possible to find the ways in which the liberalized border policy makes a difference in border–keeping practices. The border multiple is a concept that highlights a given border as meaning different things to different people. It is also a tool to see a single border as comprised of a variety of components, and it facilitates the analysis of transformations of the forms of border crossing practice; in addition it enables the attaching and/or detaching of components. In this article, I analyze the components of a border, such as who crosses the border, and with what kinds of socio–economic capital, where she/he crosses the border, and what kind of rules control the crossing. The cases are drawn from the Thai–Lao cross–border trade in Chiang Rai, Northern Thailand. Based on these cases, I find a certain form of border practice is related to a certain form of cross border trade. In addition, cross border liberalization in the ASEAN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zone amplifies control by requiring formality for a certain factor needed in order to cross the border. I argue that the new liberalized border policy functions in different ways for different people in the borderlands with the transformation of networks of border trade. The border multiple is a useful concept to find that border traders are influenced by the ‘open’ border policy differently. 본 논문에서는 국경교역과 국경을 넘는 실천에 다중성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고, 지역경제협력 시대의 국경 자유화 정책이 국경실천의 차이를 어떻게 증폭시키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국경의 다중성은 주어진 국경이 다른 사람들에게 다른 존재로 의미화될 수 있음을 강조하기 위한 개념이며, 국경을 구성하는 요인들의 결합체로서 국경을 분석하고 요소들 간의결합 양상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하는 틀이다. 논문은 태국 북부 치앙라이의 치앙콩과라오스의 훼이사이 국경교역 실천 사례를 통해 국경을 이동하는 주체의 사회경제적 특성, 국경검문소의 장소적 특성, 월경에 적용되는 제도의 특성 등과 같이 국경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다르게 결합하여 어떻게 다중적인 국경을 구성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둘째, 국경실천의 사례를 바탕으로 상이한 국경실천이 특정한 교역 방식과 친화적인 관계를 맺는 것을 살핀다. 셋째, 지역경제협력으로 인해 국경이 자유화되는 것은 국경을 구성하는 조건들 중 특정한 요인에 대하여 공식성을 요구하고 규제하는 과정임을 밝힌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협력으로 나타나는 새로운 국경 정책과 국경 시설이 치앙라이의 국경교역 상인에게 다른 의미로 기능하며 국경과 그 국경이 매개하는 연결을 변형시키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동시에 다중성의 개념이 ‘자유화’된 국경을 다르게 실행할 수밖에 없는 주체들에 내재된 차이를 발견하는 데 유용한 개념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 KCI등재

        메콩강 상류의 댐 건설이 강 하류의 커뮤니티에 미친 영향: 태국 치앙라이의 사례

        ( Silsupa Wiwatwicha ),( Edo Andriesse ) 한국동남아학회 2020 동남아시아연구 Vol.30 No.2

        본 연구는 강의 상류에서 일어나는 건설 행위가 하류 커뮤니티의 생계에 미친 영향에 대해 고찰한다. 특히, 태국 북부의 치앙라이 소재 세 개 군에 위치한 커뮤니티를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치앙라이는 라오스, 미얀마와 국경을 공유하고 있고 태국 내 지역으로는 메콩강 가장 상류에 위치한다. 여러 선행연구는 사회생태학적, 사회경제적 영향에 집중하였으나 본 연구는 태국어 문헌에 근거하여 사회문화적 측면도 강조한다. 사회경제적 영향은 대개 무형적(intangible)이지만 않지만 풍부하고 유서 깊은 전통을 가진 강둑 커뮤니티에게 중요하다. 상류의 개발에 대한 하류 커뮤니티의 인식은 지역문화, 믿음과 정체성의 소실에 대한 우려로 대표된다. 하지만 커뮤니티 생태계에 대한 이러한 위협은 한편으로 지역 시민사회 행동주의를 촉진하였고, 나아가 사회통합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생계와 커뮤니티에 미친 영향을 통해 우리는 흥미로운 역설을 발견한다. 변화하는 메콩생태계는 경제학적인 측면에서는 사회분열처럼 보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사회문화적으로 접근하면, 개발사업 허가를 내리는 권위주의적 결정들에 저항할 역량을 키운다고 볼 수 있다. 연구의 이러한 분석결과는 지역 거주민과의 소통 실패, 거시경제적 이익에 대한 집중, 미래의 생태계 변화에 대한 지역 커뮤니티와의 미비한 소통 수준 등으로 인한 정책 입안 과정의 문제점을 반영한다.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 본 연구는 마무리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erceived impacts of upstream river activities upon the livelihoods and community of riverbank villagers in downstream waters. The case study focuses on communities in three districts of Chiang Rai Province, Northern Thailand. The Province borders Laos and Myanmar and is the most upstream Thai province along the Mekong River. While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the socio-ecological and socio-economic effects, we also emphasize socio-cultural aspects, based on a reading of mostly Thai language sources. These aspects are often intangible, yet no less important for the overall well-being of river bank communities with rich and long standing traditions. However, the perceived threats to such intangible, yet vital, elements to the community’s ecology have reinvigorated activism of local civil society, and hence, could be seen as a positive to social cohesion. Combining the insights from the perceived livelihoods and community impacts generates an interesting paradox: The changing Mekong ecology leads to an erosion of local cohesion in the economic sphere, but to a strengthening and empowerment in resistance against government decisions and policies. These results reflect problems in policy-making processes with respect to (1) failures to engage with the local population; (2) a strong focus on economic gains at the macro-level; and (3) weak communication with local communities regarding forthcoming ecological changes. The paper concludes by providing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KCI등재

        태국 북부 커피산지의 분포와 특성에 대한 연구-태국 치앙라이(州) 중심으로-

        김홍길 ( Kim Hong-kil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8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8 No.3

        본 연구는 커피문화가 빠르게 성숙해 지고 있는 사회에서 커피원두의 관심과 지식의 욕구가 다양 해 짐으로서 커피농장 체험활동에 필요한 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커피는 인류가 가장 즐겨 마시는 음료 중 하나지만 커피나무와 커피콩을 직접 본 사람은 1%도 채 되지 않는다. 우리가 마시는 커피, 즉 원두는 생산 국가, 지역, 농장, 커피 등급, 품종의 조합으로 인하여 커피 벨트지역에서 재배 생산되어지고 있다. 브라질, 콜롬비아, 중남미가 아니어도 아시아 지역에도 우수한 커피원두를 생산하는 커피 농장이 있다는 소비자는 그리 많지 않다. 베트남을 비롯하여 태국, 인도네시아, 인도, 라오스 등 지역에서 재배되는 커피는 세계적으로 품질과 맛을 인정받고 있으며, 이러한 커피재배의 산지 분포와 특성에 대하여 체험과 경험을 위한 일정한 프로그램에 참여 하고 싶은 사업가 및 마니아들에 대한 욕구가 강하게 확산되고 있다. 커피체험프로그램의 조건은 기존의 단순한 커피농장의 견학을 벗어나 직접적인 체험 할 수 있는 지리적 여건과 환경이 갖추어져야 한다. 아시아 커피 산지 중 품질로 인정받고 있는 태국 북부지역 커피산지 분포와 특성에 대한 프로그램개발의 가장 큰 목적지이다. 커피 농장에서 이루어지는 재배, 생산과정의 공정, 마케팅, 판매 등 농장 체험 등이 주요 프로그램이다. 커피농장에서 일정기간동안 체험을 통하여 산지의 분포와 특성 그리고 커피상품과정을 직접 체험하는 체험관광투어 프로그램이다. 태국 북부지역의 농장을 대상으로 커피산지의 분포와 특성에 대한 연구는 향후 체계적이고 다양한 커피농장 체험학습 활동과 커피 전문가 교육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explores a situation that people’s interests and knowledge toward coffee beans are growing in the society where coffee drinking culture is spreading rapidly. As a result, diverse programs essential in experiencing coffee farms are being developed. Although coffee is one of the world’s most popular drinks, less than 1% of them have seen coffee trees and beans. Currently, coffee beans consumed as a drink have been producing in coffee belt areas based on a production country, region, farm, quality grade of coffee, and type of coffee. Except Brazil, Columbia, and Latin America, there are only few owners of coffee farms producing high quality coffee beans in Asia. Coffee beans have been produced in regions including Thailand, Indonesia, India, and Laos besides Vietnam. The beans from the regions have been highly evaluated in the world in terms of quality and taste. Simultaneously, the desire to participate in a certain experience program is spreading widely among business owners and maniacs to obtain experience and knowledge on the distribution and features of coffee production regions. Conditions that a coffee experience program must fulfill include a certain level of geological conditions and environments to allow these people to obtain direct experience on coffee farms, different from a simple tour on such farms. In this respect, the largest goal for developing a coffee experience program on the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ffee production areas in the northern parts of Thailand globally renowned for its high quality coffee in Asia, which is relatively close to South Korea compared to other regions such as South America. Major programs offer diverse programs as follows: how coffee beans are produced; how they are processed; what are the marketing strategies; and how beans are sold to consumers. Fundamentally, participants are able to gain experience and knowledge on the distribution and features of coffee farms as well as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offee beans via those program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deals with real coffee production sites. Thus, the research will be helpful for the coffee industry and training on coffee education in the near future based on well-organized and various programs taking place in the real si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