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마약류범죄의 실태와 대책에 관한 연구

        공태명(Kong Tae Myoung),최응렬(Choi Eung Ryul) 한국공안행정학회 2012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1 No.4

        과거 특정 계층 사람들만 사용하는 것으로 인식되던 마약이 최근 성인 남성은 물론 청소년과 가정주부에 이르기까지 사회 모든 계층으로 확산되고 있다. 마약류범죄의 사회적 위험성과 그 확산 속도를 볼 때 현재 우리나라의 마약류범죄문제는 매우 심각하다고 할 것이다. 특히, '국가의 미래'라고 할 수 있는 청소년들까지 마약류범죄를 저지른다는 현실은 청소년 마약류범죄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청소년 마약류범죄에 대한 연구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마약류범죄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그에 대한 예방과 치료ㆍ재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청소년 마약류범죄에 대하여 이론적 검토와 통계청, 대검찰청 통계 자료와 여성가족부의 청소년 유해환경 접촉 종합실태조사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마약류범죄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공식통계상의 청소년 마약류범죄는 양적으로 그리크지 않고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는 있지만, 마약류범죄의 암수성과 위험성을 생각해 보면 청소년 마약류범죄에 대한 대책이 절실한 시기라고 판단할 수 있다. 청소년 마약류범죄에 대하여는 단속보다는 예방을, 처벌보다는 치료와 재활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 이러한 청소년 마약류범죄의 예방과 치료ㆍ재활을 위해서는 가정, 학교, 지역사회, 정부 차원의 대처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대처가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정, 학교, 종교기관, 민간단체, 행정기관, 교정기관, 경찰, 검찰 등 모두가 청소년 마약류범죄를 예방하고 그 치료와 재활을 위해 함께 노력하고 대처해야 한다는 것이다. Drug abuse, of which use was perceived as being limited to a certain type of people such as the rich, celebrities, prostitutes and organized crime, its use has recently spread to all types of people, such as juveniles, housewives and students. As drug abuse problems spread throughout the world, South Korea also needs to preperations to prevent this sprea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drug abuse among juveniles, analyze its cause, and propose preven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policies of drug abuse. With a theoretical overview of juvenile drug abuse, current status of juvenile drug abuse was examined mainly through statistical data from Statistics Korea and Supreme Prosecution Office, and a comprehensive survey of juvenile risk environment conducted by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Official statistics indicate juvenile drug abuse is not decreasing nor increasing, but considering unrecorded statistics, prevention, rehabilitation and treatment of juvenile drug abuse can be deemed necessary. With regards to juvenile drug abuse, policies of prevention rather than arrest and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rather than punishment should be given priority. For prevention,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juvenile drug abuse, efforts of families, schools, local communities and governments are necessary and integration of their efforts should be more effective. In other words, families, schools, religious institutions, civic groups, administrative institutions, correctional institutions, police and prosecution office should all make an integrated effort to prevent, treat and rehabilitate juvenile drug abuse.

      • KCI등재

        실제-이상 자기개념 불일치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 비행청소년과 일반청소년의 비교 중심

        박우정,정진복 한국재활심리학회 2015 재활심리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기존의 자기개념 불일치, 우울, 공격성에 관한 연구들을 기반으로 실제-이상 자기개념 불일치, 우울, 공격성에 있어 공격성, 즉 문제 행동을 표출한 비행청소년과 문제 행동을 표출하지 않은 일반 청소년 집단 간 차이 여부를 확인하고 집단에 따라 변인들 간의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며, 실제-이상 자기개념 불일치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가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행 청소년 집단은 소년원에 재소했던 경험이 있는 남녀 청소년 122명, 일반 청소년은 서울시에 소재한 중학교 및 인문계 고등학교의 남녀 청소년 10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비행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사이에서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집단 간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비행 청소년 집단이 일반 청소년 집단보다 상관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차이검증 결과 역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실제-자기 개념 불일치와 공격성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역할을 살펴 본 결과, 비행 청소년 집단과 일반 청소년 집단 모두 우울의 부분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 KCI등재

        복부지방축적에 따른 남자 비만청소년의 골밀도,아디포사이토카인과 골대사지표의 관계

        정현철 ( Hyun Chul Jung ),송종국 ( Jong Kook So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4 체육과학연구 Vol.2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복부지방 축적에 따른 남자 비만청소년의 골밀도, 아디포사이토카인 및 골대사지표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12~14세 남자 청소년으로 총 24명(비만청소년:12명, 일반청소년:12명)이었다. 신장과 체중을 측정하였고, TW3 방법을 적용하여 뼈나이를 산출하였다. 신체구성과 골밀도 4부위는 DXA(Hologic, QDR- 4500W,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복부지방조직은 CT(ECLOS, Hitachi, Japan)를 이용하여 요추 4~5번 사이를 10 mm 간격으로 촬영하였으며, 총 복부지방조직(TAT), 내장지방조직(VAT), 피하지방조직(SAT), 그리고 내장지방 대 피하지방조직비(VSR)를 산출하였다. 아디포사이토카인으로 렙틴(leptin)과 아디포넥틴(adiponectin)을 분석하였고, 골대사지표는 골형성지표인 osteocalcin(OC)과 bone-specific alkaline phosphatase(BALP), 그리고 골흡수지표인 C-terminal telopeptide(CTx), N-terminal telopeptide(NTx)를 분석하였다. 복부지방 축적에 따른 그룹 간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독립 t-검증을 적용하였고, 피어슨 상관관계수를 이용하여 종속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다중회기분석을 통하여 복부지방조직과 골밀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만청소년은 일반청소년보다 지방조직(p<.001), 체지방률(p<.001), 총 복부지방조직(p<.001), 내장지방조직(p<.001)과 피하지방조직(p<.001)이 높게 나타났으나, 골무기질량(p<.01)은 일반청소년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전신골밀도(p<.001)와 요추골밀도(p<.01)는 일반청소년이 비만청소년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대퇴골밀도와 전완골밀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복부지방조직은 전신골밀도, 요추골밀도와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렙틴은 골밀도와 부적상관을 보인 반면, 아디포넥틴은 골밀도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골흡수지표인 NTx는 복부지방조직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내장지방조직은 전신골밀도와 요추골밀도의 부정적인 예견인자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남자 비만청소년은 일반청소년에 비해 낮은 전신골밀도와 요추골밀도를 보였으며, 총 복부지방조직, 내장지방조직, 및 피하지방조직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렙틴과 아디포넥틴은 골밀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장지방조직은 청소년의 전신골밀도와 요추골밀도를 설명하는 부정적인 예견인자로 나타났다. 추후 연구에서는 비만청소년들의 복부지방축적의 패턴을 규명하고, 운동을 통한 복부지방조직과 골대사지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relationship of abdominal fat, adipocytokine,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turnover markers in obese male adolescents. Twenty four male adolescents (obese: 12, normal: 12)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thropometry and skeletal maturity were measured.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estimated by DXA (Hologic, QDR-4500, USA). Abdominal fat with total adipose tissue (TAT), visceral adipose tissue (VAT), subcutaneous adipose tissue (SAT), and visceral adipose tissue to subcutaneous adipose tissue ratio (VSR) were estimated by computed tomography (ECLOS, HITACH, Japan). Blood samples were obtained for and analysis of adipocytokines including leptin and adiponectin. Bone turnover markers, osteocalcin (OC), bone-specific alkaline phosphatase (BALP) for bone formation markers and N-terminal telopeptide (NTx), C-terminal telopeptide (CTx) for bone resorption markers were analysed. All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SAS 9.3 (SAS Institute, NC, USA).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obese adolescents and normal adolescent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bdominal fat, adipocytokines,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turnover marker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factors of abdominal fat which influence on bone mineral density. A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p<.05.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fat tissue (p<.001), percent body fat (p<0.001), TAT (p<.001), VAT (p<.001), and SAT (p<0.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adolescents than normal adolescents. However bone minera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normal adolescents. Normal adolescents have significantly higher whole body BMD and lumber BMD than obese adolescents. Abdominal fat including VAT and SAT related negatively with whole body BMD and lumbar BMD. Leptin related negatively with BMD whereas adiponectin related positively with BMD. NTx for bone resorption marker related positively with abdominal fat. Visceral adipose tissue was a predictor for whole body BMD and lumbar BMD in explaining 46% and 32% in adolescents. In conclusion, obese male adolescents have lower whole body BMD and lumbar BMD than normal adolescents. Abdominal fat including VAT and SAT related negatively with whole body BMD and Lumbar BMD. And leptin and adiponectin were closely related with BMD. Finally, visceral adipose tissue was a predictor for whole body and lumbar BMD in adolescents.

      • KCI등재

        북한이탈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남한 청소년의 역할

        정순미 ( Soon Mi 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0 윤리교육연구 Vol.0 No.22

        본 논문의 목적은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 학교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남한 청소년이 알아야 할 북한이탈 청소년의 특징 및 남한 청소년의 역할을 탐색하는 것이다. 북한이탈 청소년이 남한 학생과 원만한 교우관계를 형성하고, 학업 성취를 통해 꿈을 이루어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남한 청소년의 북한이탈 청소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북한이탈 청소년이 남한의 학교생활에 원만하게 적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남한 학생의 도움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3단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는 남한 청소년이 북한이탈 청소년의 특징을 이해함으로써 북한이탈 청소년 이해 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우선 북한이탈 청소년의 입국 현황 및 증가 추세 파악을 통해 북한이탈 청소년 이해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2단계는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 생활 적응 과정을 파악함으로써 북한이탈 청소년의 현 상황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북한이탈 청소년이 남한에 입국하여 받게 되는 초기 남한 적응 교육의 과정 및 특징을 통해 그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단계는 남한 청소년이 북한이탈 청소년의 성공적인 적응을 돕는 방법을 찾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남한 청소년(멘토)과 북한이탈 청소년(멘티)간의 멘토링은 북한이탈 청소년의 남한 학교생활의 성공적 적응을 위해 효과적인 방법이다. 북한이탈 청소년에 대한 남한 청소년의 멘토 활동은 ``통일`` 과정에서 남북한 사회통합에 기본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arch the role of south korean youth in order to help school life adjustment of defecting north korean youth. Defecting north korean youth were in school maladjustment. South Korean youth should teach how to adjust in school life of them. Therefore, the South Korean youth should know about the defecting north korean youth. This paper is composed of three steps. First, w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defecting North Korean youth. Second, the author studied the initial adaptation process to South Korea of defecting north korean youth. They have difficulties in school life in south korea. The greatest obstacle faced at school is their academic progress. Especially the academic gap is still existing, it become worse as time goes by. Third, defecting north korean youth should learn how to overcome difficulties in school life. Mentoring is a good way to resolve the maladjustment in school. South Korean youth can help defecting North Korean youth to become their mentor. South Korean youth are a mentor and mentee is defecting North Korean youth. North and South Korean youth have a lot in common. But Defecting North Korean Youth experienced academic gap, friend relationship, linguistic problem etc. It is very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adjust of defecting north korean youth.

      • KCI등재

        국가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청소년직업체험활동의 현황과 과제

        임지연,김정주 한국청소년학회 2008 청소년학연구 Vol.15 No.1

        What does Youth Vocation Experience Activity(YVEA) imply in terms of Nat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NHRD) through school education policy, youth policy and labor policy, how should it be proceeded and what policy changes need to be addressed for its sustainable development of future. Those questions are what this study tries to answer. The role of YVEA should not be limited to offering youth work experience only, but be extended to enhance the value of human resources and improve further study and/or employability, which ultimately leads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ies and a nation. For such reason, it is required that YVEA be clearly understood, analyzed of related matters and facilitated with supportive and efficient public policy in an effort to enhancing NH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bridge the gap between YVEA and public policy and to derive new directions and implications to the extent by which individuals' career competences as well as NHRD are expected to improve. There exist many programs with same target group and with similar activities organized by ministries and departments. With systematic approach to foster competences through cooperative work of school education policy, youth policy and labor policy, it is hoped that youth work experience activity contributes to NHRD enhancement. It is also suggested that career development in school education policy founded on strong infrastructure from ministries and offices, not only focus on career guidance and career counseling but present various kinds of YVEA to cover diverse personal needs and circumstances. 이 연구는 청소년직업체험활동이 청소년정책, 학교교육정책, 노동정책 등을 아우르는 국가인적자원개발(NHRD)의 관점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고 어떤 방향으로 나가야 하는지, 청소년직업체험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향후 어떤 정책적 변화가 필요한지에 대하여 알아보려는 것이다. 청소년직업체험활동이 국가인적자원개발로 연결되려면 체험활동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인적자원의 가치를 높이고 진학, 취업에 도움이 되며 지역사회와 국가가 발전하는데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한 연구내용은 청소년직업체험활동의 실태와 정책중심의 현황을 조사한 것이며, 청소년직업체험활동을 통해 개인의 직업능력을 개발하고 나아가서 국가인적자원개발과 연결될 수 있도록 정책적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한 것이다. 이에 대한 관점으로 청소년직업체험활동을 활성화함으로써 청소년역량강화와 청소년인적자원개발을 통하여 국가인적자원개발에 기여함을 강조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어느 특정 부처의 노력만으로는 청소년직업체험활동을 활성화할 수 없음으로 각 부처의 기존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였다. 청소년 진로교육이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에 치중한 것을 벗어나 지역사회자원과의 연계를 통하여 직업체험활동과 연결되도록 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부처별로 청소년이라는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청소년직업체험활동에 대한 청소년정책, 학교교육정책, 노동정책 간의 연계협력을 통한 역량집중으로 국가인적자원개발에 기여하도록 현황분석을 통한 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오영경,이형실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 psychology, family environment and social environment factors on adolescents'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00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side in Incheon, Geonggi-Do and 483 self 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However, it was found that female adolescents experienced more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an male adolescents. Secondly, low levels of self-control and more contact with delinquents. were associated with mor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or male and female adolescents. Self-esteem, self-control, marital conflict and contact with delinquents were related to more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for male adolescents. In addition,self-esteem, parenting behavior and contact with delinquents affected female's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본 연구는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청소년 행동문제의 차이를 살펴보고 개인심리 요인과 가족환경 요인 및 사회환경 요인이 청소년의 행동문제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연구목적을 위해 기존의 연구와 관련 자료를 참고로 하여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부모의 양육행동, 부부갈등, 비행친구접촉, 학교생활적응 그리고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관한 척도를 구성하고, 인천광역시에 있는 중학교 2학년 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최종 483부의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외현화 행동문제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나타나지 않아,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은 비슷한 수준의 외현화 행동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화 행동문제에서는 성별 차이가 나타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수준의 내재화 행동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심리와 가족환경 및 사회환경 요인이 청소년의 행동문제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면,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 모두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비행 친구 접촉이 많을수록 더 많은 외현화 행동문제를 경험하는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여자 청소년은 부부갈등이 심할수록 더 많은 외현화 행동문제를 경험하였다. 또한 남자 청소년은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부부갈등이 심할수록 그리고 비행 친구 접촉이 많을수록 더 많은 내재화행동문제를 경험하고, 여자 청소년은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비행 친구 접촉이 높을수록 그리고 부모의 양육행동이 적대적일수록 더 많은 내재화 행동문제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체육활동을 통한 청소년 시민성 함양 방안 모색

        박선영,김응준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1

        This research has begun to analyse the influence of sport activities for young people in relation to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sense of community because both play an important role in developing active citizenship for young people.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sense of community are the very important components of citizenship education. The aims of the research were firstly to validate the consequence of sport activities with regard to citizenship education, secondly, to analyse the influence of sport activities on the understanding of community awareness and sense of community lastly, to find whether there is gender difference between sport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of community and sense of community. This study has used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KCYPS) from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s a conclusion, this research found that firstly, the more participation of sport activities can lead the more in-depth contribute to community involvement and civic participation. It means that sport activities can strengthen the understanding of community awareness and sense of community which are the fundamental prerequisite of citizenship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that sport activities can be used as a method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re is a need for creative citizenship education approach in relation to sport activities. Further sport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in terms of active citizenship education provision. 본 연구는 청소년의 체육활동 참여 여부와 참여 정도가 청소년의 지역사회에 대한 인식과 공동체 의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청소년의 지역사회 인식과 공동체 의식은 청소년에게 요구되는 중요한 시민성의 덕목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시민교육의 새로운 방법과 시도로서 체육활동과 시민성과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둘째, 청소년의 체육활동이 청소년의 지역사회 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확인하며 셋째, 체육활동이 공동체 의식의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체육활동 참여 여부와 참여정도가 청소년의 지역사회 인식과 공동체 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스포츠 활동에 참여할수록 그리고 참여 시간이 많을수록 의미가 있었다. 즉 청소년의 체육활동 참여는 청소년 시민교육에 있어 중요한 목표가 될 수 있는 청소년의 지역사회 인식과 공동체 의식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청소년의 체육활동 참여가 청소년의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공동체 의식을 강화함으로써 청소년 시민교육의 주요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앞으로도 보다 적극적인 청소년의 체육활동에의 참여를 유도하는 다양한 방법이 강구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농촌청소년의 지역사회참여 실태와 활성화방안

        이채식,최영창,박은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alities of community participation of rural youths and to suggest activations for community participation.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97 rural youths. With SPSS program for Windows, Frequency, t-test, ANOVA, LSD for post-hoc interpretation and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of .05. The main results and suggestions were as follows; Whereas rural youths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cultural events, class meeting, internet search for community, rural youths a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connecting governor and the member of parliament, reporting and guiding of harmful environments, watching candidates TV debates. Teacher and Youth leaders motivated youths to participate community. Difficulties of community participations were lack of concerns and cooperations and insufficient times in daily life. The study suggests that rural youths should get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diverse types of participation and community should develope new educational program for rural residents with changing of perspectives of youth particip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농촌청소년의 지역사회참여와 지역사회참여에 관한 참여계기, 참여애로, 참여변화 등의 참여실태를 분석하고 참여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농촌청소년 287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13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빈도, t-분석, 변량분석 및 요인분석 등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와 제언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농촌청소년의 지역사회참여는 학교/학급의 회의참여, 지역(청소년)문화행사참여, 인터넷 지역사회관련기사검색 등의 회의 및 행사참여와 모니터링활동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의 지역사회참여는 지역문제관련 지역공무원 및 국회의원연락, 선거시 후보의 토론회시청, 청소년유해환경신고 및 감시, 지역문제발생시 해당기관에 연락 등의 직접적인 정치참여관련 활동은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농촌청소년의 지역사회참여의 계기를 보면 선생님과 지도자가 40%정도로 가장 많았으며 부모 및 친구, 신문 및 TV 등이었다. 농촌청소년은 지역사회참여의 변화는 능력개발이 1/3정도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소속감과 유대, 지역사회관심 등이 있었다. 셋째, 농촌청소년이 지역사회참여에서 느끼는 애로점으로 지역사회참여 관심 및 협조부족과 참여시간부족이 많았다. 중학생에 비해 학교수업과 학업에 대한 부담이 많은 고등학생들이 지역사회참여에 있어 참여시간부족에 보다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넷째, 농촌청소년의 지역사회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지역사회참여방식의 개발이 가장 많았으며 청소년의 지역사회참여에 대한 인식전환 및 협조 등이었다. 앞으로 농촌청소년의 지역사회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청소년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참여방식을 개발하여 참여를 유도하는 한편 지역사회주민들이 갖고 있는 청소년의 지역사회참여에 대한 인식전환과 적극적인 협조체제를 위한 주민교육이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청소년 멘토링 정책과 사례 분석

        박선영 한국시민청소년학회 2013 시민청소년학연구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청소년멘토링 활성화방안에 대한 논의를 위해 영국의 청소년멘토링 사례를 고찰하였다. 영국의 청소년멘토링은 1990년대 중반이후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여 지금은 인증 시스템까지 갖추고 각 지방정부와 민간단체별로 다양한 멘토링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었다. 영국 청소년멘토링 현황 고찰을 통한 청소년멘토링 활성화 방안은 첫째, 멘토링은 사업 그 자체가 아니라 모든 청소년 정책과 프로그램의 주요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멘토링을 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기구가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주체에 의한 멘토링이 필요하며, 네 번째로는 멘토링 프로그램의 질 확보와 보급을 위한 인증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다섯 번째로 멘토링 대상의 세분화, 여섯 번째로 멘토링 전문가 양성의 필요성, 마지막으로 멘토링의 중요성 인식과 확산이 필요하다.

      • KCI등재

        청소년 이행(transition)과 ‘위기 청소년’ 담론에 대한 분석

        김미란 한국교육사회학회 2012 교육사회학연구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young people have been managed through analysis of 'youth at-risk' discourse. Youth was defined by developmental psychology as the stage of transition(a moratorium) in modern society. And they were considered unstable stage, the so-called 'the storm and stress' period. It was the adults' anxiety to undiscipline of young peoples to be found in policy discourse. Young peoples were considered to be managed by social institutions like the family, the school and the judical system. The state have categorized the jobless young peoples as dangerous youth and provided vocational programs in the school to them. The young peoples had to learn vocational attitudes and norms through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management of conformity through excluding deviant young peoples as the otherness. Youth transition has been delayed and fractured for economic depressions from 1980's. The uncertainty of futures augment the anxiety to young peoples' transition. The state managed young peoples through the policy of 'youth at-risk'. The new policy has emerged that not only supports existing policy but also encourages the development of new policy that are preventatives. On the one hand, the policy creates 'others', marginalized groups of young people who are perceived as dangerous and in need of greater control(exclusionary strategy). On the other, the state governed young people to produce subjectivity of self-discipline, self- management(inclusive strategy). 이 연구는 ‘위기청소년’ 담론을 중심으로 청소년 이행에 대한 사회적 불안이 어떻게 그들을 관리해왔는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소년(기)의 등장은 근대가족의 등장, 아동노동 금지, 중등교육의 의무교육화 같은 사회경제적 변화의 결과였다. 청소년이 성인기를 준비하는 이행기라는 사고는 발달심리학의 지식을 통해 체계화되면서 이행기 불안정성에 대한 사회적 불안을 형성하였다. 특히 사회제도(학교교육과 노동시장의 규율)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노동계급 청소년들은 ‘사회적 무질서’를 유발하는 ‘위험한’ ‘문제 청소년’으로 간주되었고, 국가는 직업교육을 통하여 사회적 규율을 내면화시키고자 하였다. 이후 성인(기)로의 이행의 어려움에 처한 청소년에 대한 관리는 ‘위기청소년’ 정책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편으로는 위기요인분석을 통하여 ‘위기청소년’을 조기 발견하여 제도적으로 개입하는 방식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위기에 대한 ‘자기관리’, ‘자기계발’라는 개인적 차원으로 나타났다. ‘위기청소년’ 담론은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한 위기의식을 증폭시키고, 이를 통하여 국가는 특정 청소년과 그의 가족을 타자화하는 배제의 전략을 작동시켰으며, 다른 한편으로 신직업주의의 자기계발의 담론을 통하여 청소년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선택하고 책임지도록 하였다. 이러한 개인의 자율성과 책임감을 강조하는 포섭의 전략은 사회구조적 변화로 인한 청소년 이행의 문제를 개인적 차원에서 책임지도록 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