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지역 청년층 인재유출 원인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이찬영 ( Chanyoung Lee ),조세형 ( Se-hyung Jo ),류재준 ( Jae-joon Ryu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6 지역개발연구 Vol.48 No.1

        본고에서는 광주지역 청년층의 인재유출 현황 및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한다. 학령 기를 구분하여 인재유출 현황을 살펴본 결과, 매년 광주지역 고등학교 출신의 4년제 대학 진학자 중 약 17%는 수도권에 진학하고 있고, 광주지역 대졸자의 약 23%는 수도권에 취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출률은 다른 광역시에 비해 높은 편인데, 광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의 경쟁력 저하와 상대적으로 낮은 취업률이 이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졸업자의 수도권 대학 진학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고학력자에 대한 노동수요 부족 및 열악한 근로여건은 광주지역 대졸자의 수도권 이주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춰볼 때, 광주지역의 인재유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2014년에 통과된 <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육성법 >을 토대로 산업·학교·연구기관·주민 및 시민단체의 협력 고도화를 통해 지방 명문대학 육성,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고용 활성화, 그리고 고급 인적자원의 관리 및 중개시스템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youth outflow in Gwangju and its causes and suggest some potential responses. The analysis conducted by school-period shows that abouth 17% of four-year college entrants from high school in Gwangju enter the university in capital regions and about 23% of college graduates in Gwangju have a job in capital regions. The outflow rates of Gwangju i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metropolitan city. The situation results from the low competitiveness of college and employment rates in Gwangju. Those factors make high school graduates in Gwangju push to metropolitan``s college. Also, a shortage of labor demand on higher-educated youth and poor working conditions trigger college graduates in Gwangju to move to capital reg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we need to foster a prestigious university in local area, to promote employment of local talents in public institutions, and to manage higher educated human resources and develop matching system through the cooperation of industry-education-research institute-community using the laws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local universities and balanced local human resources were established in 2014.

      • KCI등재

        청년층의 지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 분석과 전망

        이찬영(Chanyoung Lee),이흥후(Heunghu Lee) 한국경제통상학회 2016 경제연구 Vol.34 No.4

        본 연구에서는 2001년-2014년의 16개시도 25~29세 청년층의 지역 간 인구이동 결정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비수도권 지역 청년층의 인재유출에 대한 향후 흐름을 전망해본다. 이를 위해, 취업여건, 거주비용 뿐만 아니라, 문화적 혜택이나 결혼가능성 같은 비금전적인 요인을 포함하여 지역패널분석을 시도한다. 아울러, 전입지와 전출지에 따른 유형별(전 지역 간 이동,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 간 이동, 비수도권 지역 간 이동) 분석을 병행한다. 분석결과, 전 지역 간 이동에 있어서는, 임금과 취업률이 높고, 결혼 기회가 많고, 거주비용이 낮은 곳으로 인구이동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수도권-비수도권 지역 간의 이동에 있어서는 전세가격이 2000년대 중반 이전에는 이주에 그리 큰 부담요인이 아니었지만, 2000년대 후반부터는 상당한 부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또한, 비수도권 지역 간 인구이동에 있어서는 임금이 인구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임금 및 취업률의 지역 간 격차 해소와수도권 거주비용의 증가로 비수도권 지역에서 수도권으로의 인재유출이 향후 감소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youth migration of 16 municipal governments in Korea during 2001-2014 to prospect the youth migration flow, and to get answers to a question whether the recent decreasing trend of youth population movement hereafter. The conducted regional panel analysis includes variables related to job opportunities, moving cost, and the opportunities for obtaining cultural services and for becoming married. Further, the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youth population movement is replicated for sub-group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inflow and outflow movement. The results show that with regard to youth population movements in all areas, when the wage and employment rate is higher, and the opportunities for becoming married greater, a larger portion of the youth moves to that areas. Withe regard to housing prices, it was not a big burden on population movement in the early and mid 2000s. however, it has been considered a significant housing cost hindering population mobility since the late 2000s. Within population movements among non-capital regions, the wage level was an important factor.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will be a decrease in brain drain because of easing of disparity across regions in wage and employment rates and with increasing in housing costs in capital reg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