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양한 원료에 따른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윤활 특성 연구

        김재곤,장은정,전철환,황인하,나병기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201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5 No.4

        Bio-heavy oil for power generation is a product made by mixing animal fat, vegetable oil and fatty acid methyl ester or its residues and is being used as steam heavy fuel(B-C) for power generation in Korea. However, if the fuel supply system of the fuel pump, the flow pump, the injector, etc., which is transferred to the boiler of the generator due to the composition of the raw material of the bio-heavy oi, causes abrasive wear, it can cause serious damage.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s the fuel characteristics and lubricity properties of various raw materials of bio-heavy oil for power generation, and suggests fuel composition of biofuel for power generation to reduce frictional wear of generator. The average value of lubricity (HFRR abrasion) for bio-heavy oil feedstocks for power generation is 137 μm, and it varies from 60 μm to 214 μm depending on the raw materials. The order of lubricity is Oleo pitch> BD pitch> CNSL> Animal fat> RBDPO> PAO> Dark oil> Food waste oil. The average lubricity for the five bio-heavy oil samples is 151 μm and the distribution is 101 μ m to 185 μm. The order of lubricity is Fuel 1> Fuel 3> Fuel 4> Fuel 2> Fuel 5. Bio-heavy oil samples (average 151 μm) show lower lubricity than heavy oil C (128 μm). It is believed that bio-heavy oil for power generation is composed of fatty acid material, which is lower in paraffin and aromatics content than heavy oil(B-C) and has a low viscosity and high acid value, resulting in inhibition of the formation of lubricating film by acidic component.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friction and abrasion,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lubrication of fuel when it contains more than 60% Oleo pitch and BD pitch as raw materials of bio-heavy oil for power generation. 바이오중유란 다양한 동·식물성 유지, 지방산 메틸에스테르, 지방산 에틸에스테르 및 그 부산물을 혼합하여 제조된 제품이며, 국내 기력 중유발전기의 연료(B-C)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바이오 중유의 원료 조성 때문에 발전기의 보일러로 이송되는 연료펌프, 유량펌프, 인젝터 등의 연료 공급시스템 에서 마찰마모를 유발할 경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다양한 원료들의 연료특성과 이에 따른 윤활성을 평가하고, 발전기의 마찰마모 저감을 위한 발전용 바이오 중유의 연료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발전용 바이오중유 원료물질의 윤활성(HFRR)은 평균 137 μm이며, 원료물질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60μm ~ 214 μm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 중 윤활성이 좋은 순서는 Oleo pitch > BD pitch > CNSL > Animal fat > RBDPO > PAO > Dark oil > Food waste oil이다.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원료 물질 3종으로 구성된 바이오중유 평가시료 5종에 대한 윤활성은 평균 151 μm이며, 101 μm ~ 185 μm 분포를 보이고 있다. 이 중 윤활성이 좋은 순서는 Fuel 1 > Fuel 3 > Fuel 4 > Fuel 2 > Fuel 5이다. 바이오중유 평가시료(평균 151 μm)는 C중유(128 μm) 대비 낮은 윤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발전용 바이오중유가 지방산 물질로 구성되어 있어 C중유보다 파라핀, 방향족 성분 함량이 낮아 점도가 낮고, 산가가 높기 때문에 산성 성분에 의한 윤활막 형성 저해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적정 수준의 마찰마모 저감을 위해 윤활성을 증가 시킬 수 있는 바이오중유의 원료로서 Oleo pitch, BD pitch를 60% 이상 함유할 경우 연료 제조 시 윤활성 증가가 예상된다.

      • KCI등재

        중유(重油)에 대한 개별소비세 과세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김갑순,윤성만 한국세무학회 2020 세무와 회계저널 Vol.21 No.4

        Individual consumption tax(ICT) is levied on consumption of petroleum, which causes external effects such as discharge of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traffic congestion. However, the current IC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fuel and feedstock material use. Heavy oil is used as fuel for ships and machinery, but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produced by other petroleum products such as aviation oil, naphtha, and asphalt through additional petroleum refining processes like crude oil.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rive an improvement plan by analyzing excise tax on heavy oil for OECD and EU countries and pointing out the current individual consumption tax problems. First, the current ICT for heavy oil is as follows. First, the ICT burden on heavy oil for raw materials is the oil refining business, not the final consumer. Second, taxation of ICT on heavy oil for raw materials, which is the basic fuel of the industry, can cause negative economic ripple effects due to inflation. Third, from the viewpoint of tax neutrality, it can hinder the principle of tax equality between imported oil and domestically produced oil and between industries. Fourth, unlike the purpose of ICT, the heavy oil used in the petroleum refining process has a relatively low level of air pollutant emission compared to other oils or fuel heavy oil. It is lower than the emissions of publ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petroleum products industry and iron and steel industry, and the amount of heavy oil for raw materials is insignificant compared to heavy oil for fue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improvement for the heavy oil for raw materials used in the petroleum refining process to be excluded from the ICT or included in the conditional duty-free range. 현행 석유류에 대한 개별소비세 과세대상을 연료용과 원료용을 구분하지 않는다. 중유는 선박 및 기계류의 연료로 사용되지만 원유와 같이 추가적인 석유정제 공정을 거쳐 항공유, 나프타 및 아스팔트 등의 다른 석유제품으로 생산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유에 대한 소비세제를 OECD와 EU회원국을 대상으로 비교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첫째, 원료용 중유에 대한 개별소비세 담세자가 최종소비자가 아닌 석유정제사업자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개별소비세는 특정 물품의 소비, 특정 장소에의 입장 또는 유흥행위 등을 하는 소비자가 담세 능력이 있다고 추정하고 그 물품이나 행위 등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부과하는 소비세의 성격이다. 그러나 연료로서 사용되어 추가가공 후 새로운 제품으로 생산되는 중유는 결국 최종소비자가 아닌 중간사업자가 부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산업의 기초 원재료가 되는 원료용 중유에 대한 개별소비세 과세는 물가상승으로 부정적인 경제적 파급효과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개별소비세 과세대상인 석유류 중 유일하게 중유는 연료용(수송용과 난방용)과 원료용(석유정제 또는 타산업의 원료용)으로 구분되는 특징이 있다. 결국, 중유에 대한 개별소비세 과세는 타 산업에 사용되는 항공유, 나프타 및 아스팔트 등의 원가로 구성되어 해당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셋째, 조세중립성 관점에서 수입 석유류와 국내 생산 석유류간 조세형평성과 산업간 조세형평성의 문제가 존재한다. 항공유, 나프타 및 아스팔트는 비과세대상이 되는 반면, 국내에서 정제되어 생산되는 항공유, 나프타 및 아스팔트는 비과세되지만 환급이 되지 않아 결국 국내 생산 석유류는 과세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현행 조건부면세에서도 의료용, 의약품 제조용, 비료제조용, 농약제조용 또는 석유화학공업용 원료로 사용되는 중유는 면세가 되지만, 석유정제 공정에 사용되는 중유는 과세되어 조세형평성의 원칙을 저해하고 있다. 넷째, 개별소비세 과세 취지와는 달리, 석유정제 공정에 사용되는 중유는 타 석유류나 연료용 중유에 비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이다. 일반 공공발전시설, 석유제품산업 및 제철제강업의 배출량보다 낮으며, 연료용 중유에 비하면 원료용 중유의 배출량은 미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석유정제 공정에 사용되는 원료용 중유에 대하여 개별소비세 과세대상에서 제외하거나 조건부면세에 포함하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국내 에너지 수급에 미친 영향

        김태헌(Taehun Kim),서병선(Byeongseon Seo) 고려대학교 생명자원연구소 2017 생명자원연구 Vol.25 No.-

        본 연구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에너지 가격체계와 국내 에너지 수급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중유 국제가격의 급등 현상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국내 에너지 수급에 미친 영향을 측정하고자 한다. 첫 번째 분석에서는 사건 연구 (Event Study)를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적용하여 중유 국제가격의 급등 현상을 분석한다. 중유 가격이 국제유가와 갖는 장기균형관계를 추정하고 국제 유가의 변화로 설명되지 않는 중유 국제가격의 비정상적 가격 상승률을 얻고 이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한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국제 유가의 변동에 따른 에너지 가격체계의 변화가 국내 산업부문 에너지 소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국내 산업부문 중유 수요함수를 추정 하여 중유가격 상승이 중유소비에 미친 영향을 측정하고 중유와 도시가스의 결합수요모형으로 중유가격 상승이 도시가스로의 수요 대체에 미친 영향을 측정한다. 연구 결과, 이벤트 스터디에서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로 중유 국제가격이 국제유가에 의한 정상적 변동을 초과하는 비정상적 가격상승 현상이 유의함을 발견하였다. 국내 에너지 소비에 대한 분석에서는 중유 가격의 상승은 중유 소비의 감소추세를 가속화하고 중유를 도시가스로 대체함에 따라 도시가스 소비 증가를 가속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발전용 바이오중유용 원료물질의 품질특성 연구

        장은정,이미은,박조용,민경일,임의순,하종한,이봉희 한국유화학회 2015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2 No.1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제도(Renewable Portfolio Standard(RPS))가 시행됨에 따라, 발전 사업자들은 의무공급량 이행을 위해 발전용 바이오중유를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전용 바이오 중유의 원료물질별 물성과 원료 조성에 따른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발전용 바이 오중유와 원료유지의 연료특성은 전산가, 동점도, 금속분 등 고시 상 품질기준 항목을 분석하였으며, 적 외선 분광광도계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조성분포를 분석하였다. 팜유계열의 저가의 고산가 유지는 유리지방산 함량이 높아 전산가가 높고, 금속분에 의한 회분함량이 높았으며, 바이오디젤 공정부산물은 점도가 높았다. 동점도, 전산가, 금속분과 같은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연료특성은 원료물질 의 조성 및 혼합비와 관련이 깊다. As it carry out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power producers are using the power bio-fuel oil to meet their RPS quota. In this study, we test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aw materials for power bio-fuel oil and the property changes of power bio-fuel oil by the kind of feedstocks. The power bio-fuel oil and feedstocks were analyzed for item of quality standard such as acid number, viscosity and metal contents. And it was analyzed for composition distribution by FT-IT and HPLC. Such as low priced palm oil series has high acid number and ash contents due to high free-fatty acid and metal contents. And by-product of biodiesel have a tendency of high viscosity. The fuel properties of power bio-fuel oil, such as viscosity, acid number and metal contents are correlated with the constituent and the mixing ratio of the feedstocks.

      • KCI등재후보

        중유 대체연료로서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품질특성 연구

        장은정,박조용,민경일,임의순,하종한,이봉희 한국유화학회 201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1 No.4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원 다양화 및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보급활성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500MW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에게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제도(Renewable Portfolio Standard(RPS))를 시행중이다. 발전사업자들은 의무공급량 이행을 위해 발전용 바이오중유를 사용하고 있다. 발전용 바이오중유란 동 식물성 유지, 지방산에스테르 및 그들의 혼합물로서 동점도, 유동점, 전산가 등의 품질특성을 만족해야 한다. 발전용 바이오중유는 원료물질에 의해 품질특성이 결정되었고, 중유와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유동점, 밀도, 황분 및 동점도는 감소하고 전산가, 요오드가, 산소함량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유 대체연료로서의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품질특성과 C 중유에 혼합 시, 혼합비율에 따른 물성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In these days, many countries carry out many renewable energy policies to increase the renewable energy portion and to reduce the GHG(Green House Gas). In Korea,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focused on over 500MW power producers is conducting. And they are using the bio-fuel oil to meet their RPS quota. The oil is a mixture of animal and vegetable fat or fatty acid ester of them and should satisfy some specifications to use the power generation such as viscosity, pour point, acid number. Depends on the raw materials,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er bio-fuel oil are changed. By adding the power bio-fuel oil, pour point, density, sulfur content and viscosity are decreased and acid number, iodine number, oxygen content are increased. In this study, we test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power bio-fuel oil and the property changes by the blending ratio of power bio-fuel oil & conventional fuel oil.

      • KCI등재

        중유 대체연료로서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품질특성 연구

        장은정(Eun-Jung Jang),박조용(Jo-Yong Park),민경일(Kyung-il Min),임의순(Eui-Soon Yim),하종한(Jong-Han Ha),이봉희(Bong-Hee Lee) 한국유화학회 2014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1 No.4

        전 세계적으로 에너지원 다양화 및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보급활성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500MW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에게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제도(Renewable Portfolio Standard(RPS))를 시행중이다. 발전사업자들은 의무공급량 이행을위해 발전용 바이오중유를 사용하고 있다. 발전용 바이오중유란 동․식물성 유지, 지방산에스테르 및 그들의 혼합물로서 동점도, 유동점, 전산가 등의 품질특성을 만족해야 한다. 발전용 바이오중유는 원료물질에 의해 품질특성이 결정되었고, 중유와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유동점, 밀도, 황분 및 동점도는 감소하고 전산가, 요오드가, 산소함량은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유 대체연료로서의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품질특성과 C 중유에 혼합 시, 혼합비율에 따른 물성 변화에 대해 검토하였다. In these days, many countries carry out many renewable energy policies to increase the renewable energy portion and to reduce the GHG(Green House Gas). In Korea,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focused on over 500MW power producers is conducting. And they are using the bio-fuel oil to meet their RPS quota. The oil is a mixture of animal and vegetable fat or fatty acid ester of them and should satisfy some specifications to use the power generation such as viscosity, pour point, acid number. Depends on the raw materials,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er bio-fuel oil are changed. By adding the power bio-fuel oil, pour point, density, sulfur content and viscosity are decreased and acid number, iodine number, oxygen content are increased. In this study, we test the quality characteristic of power bio-fuel oil and the property changes by the blending ratio of power bio-fuel oil & conventional fuel oil

      • KCI등재

        유가금속(有價金屬) 회수(回收)를 위한 중유회(重油灰)의 연소거동(燃燒擧動)에 관한 연구(硏究)

        최영윤,남철우,김병규,Choi, Young-Yeon,Nam, Chul-Woo,Kim, Byoung-Gyu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9 資源 리싸이클링 Vol.18 No.1

        중유회를 효율적으로 소각 처리할 수 있는 이동상식 스토카로를 설계, 제작하기 위해 중유회가 노상을 이동하면서 겪는 조건들을 회분식 노에서 모사(模寫)하여 열중량분석법으로 중유회의 소각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이동상식 스토카로의 운전조건 및 노상면적 등을 구하였다. 중유회의 연소과정은 연소속도 차이에 의해 3단계로 구별되며, 각 단계별로 효과적인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비산방지 및 체적감소를 위하여 소각 전 첨가되는 수분 함량은 20 wt.%가 적절하였다. 중유회의 연소속도는 산소농도에 크게 의존하므로, 소각로는 연소공기의 조절 기능이 필요하다. 저융점 금속화합물의 용착 및 증발을 방지하고, 소각잔사의 불용화 및 유가금속 회수를 위해 소각온도는 $750^{\circ}C{\sim}800^{\circ}C$가 적절하고, 중유회의 균일한 연소반응과 연소속도의 향상을 위해 소각 중 중유회의 교반이 요구된다. 최적 조건에서 단위면적당 소각속도는 $12.53kg/m^{2}hr$이며 1일 18 ton의 중유회를 소각처리하기 위해서는 $60m^2$의 노상면적이 필요하다. To design and construct a moving bed stoker incinerator for incineration treatment of the domestic oil fly ash, operating condition and moving bed area of incinerator were determined by performing incinerate experiment of the oil fly ash in the muffle furnace which simulates moving bed stoker incinerator in all conditions. Incineration process of the oil fly ash could be divided into 3 stages, every stage needs the appropriate operating condition for effective incineration. The optimum content of water in the heavy oil fly ash was found to be 20 wt% to prevent the ash from flying and reduce the volume. Science combustion rate of oil fly ash depends on the oxygen content, the incinerator must have a equipment to control the oxygen content in the combustion air. The optimum temperature was $750{\sim}800^{\circ}C$ in order to prevent adhesion to the stocker and evaporation of metal compounds of low melting point. Uniform combustion reaction and acceleration of combustion rate required agitation during the combustion of oil fly ash. The incineration rate was $12.53kg/m^2hr$ and the working area of moving bed incinerator was found to be $60m^2$ to incinerate 18 tons of oil fly ash per day.

      • KCI등재

        일반논문 : 해인사백지묵서사경(海印寺白紙墨書寫經) 중 유식(唯識) 논의 분석 -중유(中有)와 속선근(續善根)에 대한 유식제가(唯識諸家)의 해석을 중심으로-

        백진순 ( Jin Soon Baek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8

        해인사백지묵서사경의 전반부에 중유의 현전처[中有現前處]와 속선근(續善根)의 문제에 대한 유식제가(唯識諸家)의 해석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모두 『유가사지론』의 문구와 연관된 것이다. 그것을 현존하는 규기(窺基)의 『유가사지론약찬(瑜伽師地論略纂)』 및 둔륜(遁倫)의 『유가론기(瑜伽論記)』의 해당 문구와 대조해보면, 사본의 저자와 저술 시기를 추정해볼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한 단서들이 드러난다. 첫째, 사본의 저자는 현존하지 않은 혜경과 문비의 『유가사지론』 주석서를 직접 접했고 그 내용에 대해서도 정통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 사례로는 사본의 저자가 『약찬』이나 『유가론기』에 나온 ‘一難’ 혹은 ‘此妨’과 같은 익명의 비판자를 각기 ‘景’과 ‘備’라고 구체적으로 명시한 점을 들 수 있다. 둘째, 사본의 저자는 기존의 『유가사지론』 주석가들과 필적할 만한지식과 독자적 식견을 가진 유식학자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대표적사례는 무색계(無色界)에서 죽어 하계(下界)에 태어나는 중유의 현전처를 다룬 곳에서 발견된다. 둔륜의 『유가론기』에서는 혜경과 규기가 똑같이 ‘前死處現前’을 주장했다고 진술한 반면, 사본의 저자는 두 사람의 관점을 각기 ‘當生處現前’과 ‘前死處現前’으로 대비시키고, 『대비바사론』의 소승의 학설들 간에도 그와 유사한 논쟁이 있었음을 환기시킨 후 그 논의 결택에 준해서 혜경과 규기의 득·실을 판단하였다. 셋째, 저자의 활동 연대는 멀게는 둔륜의 활동 시기와 유사한 8세기초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도 있다. 우선 저자가 혜경, 규기, 문비 등 저명한 『유가사지론』 주석가들의 해석에 의거해서 문제를 다루는 방식이 둔륜의 『유가론기』의 주석 방식과 흡사하다. 또 사본의 저자는 ‘속선근’의 문제를 다루면서 ‘금설(今說: 당시의 학설)’이라는 표현을 썼고, 또 그것을 혜경과 문비의 해석과 대등하게 거론하였다. 이는 ‘금설’이 유식학이 왕성하게 연구되던 시대의 학설임을 뜻한다. 넷째, 저자는 혜경의 학설에 정통한 지식을 갖고 그를 존중하면서 선양하려했던 학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는 중유의 문제를 다룰때는 혜경과 규기의 논쟁을 부각시키고, 『대비바사론』에까지 거슬러올라가 혜경의 해석이 타당함을 보여준다. 또 속선근의 문제를 다룰때는 혜경의 해석을 중심에 놓고 다른 해석들에서 적절한 논리를 보충하면서 총괄적 해답을 모색하기도 한다. The first part of the White Paper Manuscript found in the Hae``in-sa(海印寺白紙墨書寫經), contains the discussion on two subjects in Yogaca rabhu mi-sa stra(瑜伽師地論), that is, the place where antarabhava appears(中有現前處) and the process of fastening a virtuous root to oneself(續善根). The author of the manuscript here discussed them, based on the phase interpretations made by a few chinese scholars who all wrote the commentary on Yogaca rabhu mi-sa stra. After checking the statements of manuscript with those of the two existing commentaries, Gyugi(窺基)``s Yakchan (略纂) and Dunryun(遁倫)``s Yugarungi(瑜伽論記), I found several important clues to discover the identity of the author and the writing period of the first part. First, I suppose, the author of the manuscript read directly the commentaries on Yogaca rabhu mi-sa stra by Hyegyung(惠景) and Munbi(文備), and had profound knowledges about their theories. It is critical evidence that the author`` statements make it clear that the anonymous comments(一難 or 此妨) in Yakchan(略纂) and Yugarungi (瑜伽論記) are Gyung(景)``s criticism or Bi(備)``s objection. Secondly, the author of the manuscript could have a comparable knowledge for prominent commentators on Yogaca rabhu mi-sa stra``. A case in point is his discussion of the place where antarabhava(中有) appears. In which case one died in the immaterial world(無色界) and will be born in the lower world(下界), where does the antarabhava appear? According to the author, Gyung(景) assumed that antarabhava appears in the future birthplace(當生處), on the contrary Gi(基) assumed that it appears in the past deathplace(前死 處). The author of the manuscript calls our attentions to the fact that the similar debate was already present in Abhidharmamaha vibhasa -sa stra(大毘婆沙論). Then based on that literature, he estimates the debate between Kyoung and Gi, and discriminates whose position is right or wrong. And the period of author``s activity could go back to the early eighth century, almost the same time of Ryun(倫)``s activity. It is seen in the method of comment: Just like Ryun, the author deals with a difficult problem based on the interpretations of a few chinese Yogaca rabhu mi``-sa stra`` commentators, Gyung(景), Gi(基), Bi(備) and so on. And as the author deals with the issue of fastening a virtuous root to oneself(續善根), ‘ the theory of that time(今說)`` is mentioned equally with the opinion of Gyung and Bi. It means that ``the theory of that time`` is that of the period of actively researching Mind-Only(唯識) thoughts. Finally, I``d like to point out that the author seems to have a special respect for Gyung(景). Dealing with the issue of antarabhava(中有), the author outlines the debate between Gyung and Gi(基), and shows that the former``s opinion is concurrent with the right opinion of Abhidharmamaha vibhasa -sa stra. And dealing with the issue of fastening a virtuous root to oneself(續善根), he tries to find an comprehensive answer which is based on Gyung``s opinion and complemented by Bi(備)`` proper reasoning or ‘ the theory of that time(今說)``. In this respect, the author could be well read in Gyung``s theory and highly esteem his scholarship.

      • 이산화탄소 및 코발트 촉매를 이용한 바이오 중유의 열적 분해 연구

        조성헌 ( Seong-heon Cho ),이상윤 ( Sangyoon Lee ),권도희 ( Dohee Kwon ),정성엽 ( Sungyup Jung ),권일한 ( Eilhann E. Kwon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21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

        신재생에너지 수요로 인한 바이오 디젤의 생산량 확대로 바이오 디젤 생산 공정의 부산물인 바이오 중유의 발생량 또한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 중유는 자유 지방산, 글리세롤, 무기물질과 같은 다양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사용처가 제한적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바이오 중유를 탈염 및 자유 지방산(Free Fatty acids)의 에스테르화(Esterification) 과정과 같은 정제 과정 후, 화력 발전소에서 발전 연료에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연소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제 과정은 추가적인 공정 비용과 폐수 발생과 같은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추가적인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고 직접 바이오 중유를 에너지원 및 화학물질 합성의 원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그 중, 열분해 공정은 바이오 중유를 열적으로 분자 간 결합을 끊어 수소 및 바이오 오일 등 유용한 고부가가치물질로 분해할 수 있는 공정이다. 이러한 열분해 공정의 효율 향상의 방법으로 열분해 대기 환경의 변경, 촉매 주입, 승온 속도 변경 등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 중유를 이산화탄소 조건 열적 분해하여 발생한 타르 및 열분해 가스를 분석하여 이산화탄소가 바이오 중유의 열적 분해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탄소-수소, 탄소-산소 간 결합 분해에 효과가 있는 코발트 촉매를 이산화탄소 및 질소 환경 열적 분해에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코발트 촉매와 이산화탄소가 바이오 중유의 열적 분해 과정 및 산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四十九齋의 의례기반과 地藏信仰의 특성

        구미래 한국정토학회 2011 정토학연구 Vol.15 No.-

        지장보살은 大地神ㆍ地母神的 존재이자 지하세계로 설정된 冥府의 교주로서 뚜렷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죽은 뒤 일정 기간 中有로 머문 뒤 내세의 삶을 부여받게 된다는 윤회사상에 입각했을 때, 중유기에 행하는 사십구재와 지장신앙의 관련성은 더욱 긴밀할 수밖에 없다. 이에 중유의 천도재인 사십구재와 지장신앙의 관련성을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첫째, 四十九齋의 구제대상과 의례기반을 살펴봄으로써 지장신앙과 연계된 薦度齋의 당위성을 고찰하였다. 사후 49일이 靈駕가 새로 태어날 인연을 찾는 시간이자 죽은 자의 구제를 도모할 수 있는 기간으로 수용되면서, 불보살에 의지하여 영가의 악업을 없애고 좋은 곳으로 천도되기를 기원하고자 사십구재를 치르는 것은 자연스러운 귀결이라 하겠다. 이처럼 사십구재는 타력으로 망자의 천도를 도와주는 의례이지만, 佛法으로 영가의 마음을 깨우치게 하여 자력으로 일어설 수 있도록 이끄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는 사실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울러 본래 중유의 존재를 의미했던 餓鬼는 불교의 윤회관이 성립되는 과정에 六道의 한 존재로 수용되기에 이르러, 경전과 도상 속에서 최악의 존재인 餓鬼와 최악의 세계인 地獄은 구원의 대상을 상징하는 표상이 되어왔다. 이때 餓鬼는 업의 굴레에 얽매인 육도의 중생을 상징하는 존재이자, 무명에서 벗어나 깨달음을 추구해야 할 중생 각자를 비추는 거울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지장보살의 구제양상을 통해 민간에 수용되는 지장신앙의 특성을 다루었다. 여러 경전 속에서 지장보살이 중생을 구제하는 모습은 악업으로 고통 받는 부모를 구하고자 지옥에 뛰어들고, 지옥의 참혹함에 願을 맹세하는 구도로 정착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법당과 회화 속에 등장하는 지장보살 또한 상단이 아닌 하단, 극락이 아닌 지옥에 강림하여 명부중생을 보살피는 존재로 등장한다. 이처럼 지장보살의 정체성과 상징성은 가장 처참한 현장에 함께하면서 중생과 고통을 함께하는 존재로 민간에 수용되고 있다. 크고 작은 죄업 속에 살아온 중생에게 곧바로 극락을 제시하기보다 먼저 죄업의 고통에서 구제해준다는 점에서, 지장보살의 행보는 보다 현실적인 중생의 바람이 담겨 있는 것이라 하겠다. 셋째, 한국불교의 생사관 속에서 사십구재의 신위체계와 신앙적 특성을 다루어 의례 속에서 지장보살이 차지하는 위상과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사십구재에 등장하는 불보살의 면모를 살펴보면, 釋迦牟尼는 스스로의 자각을 일깨우고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불교 본연의 가르침을 베푸는 존재를 상징한다. 이에 비해 현세 중생의 고통과 재난을 없애주는 觀世音菩薩, 극락왕생의 정토사상에 따라 정립된 阿彌陀佛, 죄업이 두터운 명부중생을 구제하는 地藏菩薩은 모두 자력으로 깨달음을 실현할 수 없는 중생을 위해 출발한 대승불교의 결실이다. 따라서 사십구재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에 따른 깨달음을 지향하면서, 생사를 넘어 중생의 고난을 없애주는 대자대비의 관세음보살에 의지하는 가운데, 명부계에서 중생을 구제할 존재로 지장보살이, 이상적 세계로 이끌어줄 존재로 아미타불이 부각되는 구도를 지니고 있다. 특히 西方淨土의 敎主인 아미타불이 모든 고통에서 벗어난 세계에 머물면서 중생을 극락으로 맞이하는 분이라면, 幽冥敎主인 지장보살은 지옥에 머물면서 고통 받는 중생을 구원하는 실천행의 보살로서의 특성을 지닌다. Ksitigarbha(地藏菩薩) is The Earth God and has a clear status as the leader of Hells which is set as the underworld. Thus, based on the idea of samsara which believes that afterlife is granted after remaining as a intermediate existence(中有) for a certain period after death, the 49Jae(齋) held in the phase intermediate existence(中有) is closely related to the Ksitigarbha Faith. In this thesis, the relevance between 49Jae which is the Cheondojae ritual of the intermediate existence, and Ksitigarbha faith is examined in three different viewpoints. First, the appropriateness of Cheondojae(薦度齋) related to Ksitigarbha Faith was contemplated by investigating subjects of relief of the 49Jae and its ritual foundation. As the 49 days after death was accepted as the time for the spirit to find a birth connection and the period when the deceased can be relieved, holding a 49Jae in reliance on Buddha and Buddhist saints to eliminate the spirit's misdeeds and pray for easy passage into paradise became a natural conclusion. Although the 49Jae is a ritual for helping the deceased relying upon another strength, what is important is the fact that the spirit is awakened by Buddhist dharma(佛法) and helps that spirit to brace oneself. Also, the starving demon(餓鬼) which originally meant the middle existence, was then accepted as one of the Six Paths of Pain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amsara perspective of Buddhism. The starving demon(餓鬼) which was the worst being in scriptures and sculptures, as well as hell, the worst of all worlds became symbols for subjects of salvation.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Ksitigarbha faith accepted among civilians through Ksitigarbha relief aspects were examined. In several scriptures, Ksitigarbha appeared to relieve mankind by falling into hell in order to save parents suffering from their misdeeds, or swearing an oath against the horrendous sights of hell. Moreover, Ksitigarbha in Buddhist sanctuaries and paintings appears as an existence that looks over all creatures of hell descending upon the lower world instead of the upper world, hell instead of heaven. The identity of Ksitigarbha is accepted as a being that shares pain with all living things in the most horrible places. Instead of presenting heaven directly to mankind that have committed small and large sins, Ksitigarbha first relieves them from the torture of sins. The move of Ksitigarbha contains the more realistic wishes of mankind. Third, the status of Ksitigarbha in rituals and its meaning was identified by examining the system of God(神位體系) and religious characteristics of 49Jae within the Korean Buddhism idea on life and death. As for the aspects of Buddha and Buddhist saints that appear in 49Jae, Sakyamuni(釋迦牟尼) represents the being that presents the true teachings of Buddhism, awakening one's self-consciousness and proceeding toward enlightenment. Meanwhile, Avalokitesvara(觀世音菩薩) which eliminates the sufferings of mankind of this life, Amitabha(阿彌陀佛)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Pure Land Idea(淨土思想) of the easy entrance to paradise(極樂往生), and Ksitigarbha which is to relieve all creatures of afterlife that have committed many sins are the fruits of Mahayana Buddhism for all living things that cannot realize spiritual enlightment by one's own efforts. Thus, the 49Jae(齋) aspires to enlightment by the teachings of Sakyamuni, relies on Avalokitesvara Guan Yin (Buddhist Goddess of Mercy) who eliminates the suffering of all living things, while Ksitigarbha relieves mankind in the afterworld and Amitabha leads them to paradise. Especially as Amitabha, leader of the Western Paradise (Buddhist Elysium) remains in the world which is free from all pain and welcomes mankind into paradise, Ksitigarbha as the leader stays in hell and saves all suffering creatures, presenting characteristics as the Bodhisattva of fulfill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